맨위로가기

웨일즈 장로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웨일즈 장로교는 1735년 시작된 칼뱅주의 감리교에서 기원한 웨일스 기독교 교단이다. 1811년 영국 국교회에서 독립하여 웨일즈 장로교로 정립되었으며, 칼뱅주의 신학을 따르고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을 신앙 기준으로 삼는다. 19세기에는 부흥과 선교를 통해 성장했으며, 20세기에는 여성 목사 안수를 허용하고 세계선교협의회에 가입하는 등 변화를 겪었다. 현재는 약 620개의 교회와 2만 명의 신도를 보유하고 있으며, 웨일스 사회의 다양한 문제에 대해 논의하며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있다. 웨일스 장로교는 장로교와 회중교회의 특징을 혼합한 교회 운영 방식을 가지고 있으며, 예배당은 성경적 지명이나 신학적 의미를 담은 웨일스어 단어로 명명되는 전통을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국의 개신교 - 스코틀랜드 교회
    스코틀랜드 교회는 1560년 종교 개혁으로 형성된 개신교 교회로서, 장 칼뱅의 영향을 받아 교리와 통치 구조를 개혁했으며, 장로교이며 성경을 신앙의 근본으로 삼고 사회 문제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 영국의 장로교 - 웨스트민스터 총회
    웨스트민스터 총회는 잉글랜드 의회가 주도하여 찰스 1세와 청교도 간 갈등 속에서 잉글랜드 교회 개혁과 스코틀랜드와의 종교적 통일을 모색하기 위해 소집된 신학자 회의로,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대요리문답, 소요리문답 등 개혁교회의 중요한 신앙 기준들을 작성하여 여러 교단에 영향을 미쳤다.
웨일즈 장로교
개요
웨일스 장로교 로고
웨일스 장로교 현대 로고
주요 분류개신교
성향칼뱅주의
정치 체제장로교 정치
창립일1811년 웨일스 감리교 부흥 기간 동안 공식적으로 잉글랜드 교회에서 분리됨; 웨일스 장로교는 1823년에 공식적으로 독립 교회로 설립됨.
분리 교회잉글랜드 교회
지도자/조정자에반 모건
관련 단체Cytûn
영국 및 아일랜드 교회 협의회
유럽 교회 협의회
세계 개혁 교회 친교회
유럽 개신교 교회 친교회
세계 교회 협의회
지역웨일스
교회 수620개
신자 수20,000명
목사 수45명 + 기독교 봉사자 30명
웹사이트웨일스 장로교 공식 웹사이트
명칭
웨일스어Eglwys Bresbyteraidd Cymru (현재 공식 명칭), Yr Eglwys Fethodistaidd Galfinaidd (이전 명칭)
영어The Presbyterian Church of Wales (현재 공식 명칭), The Calvinistic Methodist Church (이전 명칭)
신앙 고백Confession of Faith of the Calvinistic Methodists or the Presbyterians of Wales

2. 연혁

카나번의 캐슬 스퀘어 장로교회


웨일즈 장로교의 역사는 18세기 웨일스 감리교 부흥과 하웰 해리스(Howel Harris) 및 다니엘 롤랜드(Daniel Rowland)의 설교로 시작된 '''칼뱅주의 감리교''' 운동에 뿌리를 두고 있다.[2][32][33] 1735년 이들의 회심을 기점으로 부흥 운동이 본격화되었으며, 1744년에는 조지 휫필드가 칼뱅주의 감리교의 지도자가 되었다.

1811년에는 잉글랜드 교회(성공회)로부터 공식적으로 분리하여 독립 교단이 되었으며, 웨일즈 발라(Bala)와 란데일로(Llandeilo)에서 최초로 웨일즈 장로교 목사 안수식이 거행되었다.[2] 1823년에는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에 기초한 칼뱅주의 감리교 신앙 고백[34]을 채택하여 교리적 정체성을 확립했다.[4]

교단 발전을 위해 1837년 루이스 에드워즈(Lewis Edwards)와 데이비드 찰스(David Charles)가 발라에 학교(Bala College)를 설립하여 목회자 양성을 시작했으며,[5] 1840년 리버풀에서 외국선교사협회를 설립하고 인도 아삼 지역에 선교사를 파견하기 시작했다.[11] 1864년에는 웨일즈 스완지에서 첫 번째 총회를 개최했다.

1904년 에반 로버츠(Evan Roberts)가 주도한 웨일즈 부흥은 교단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었다.[3] 1968년 인도 북동 지역에 파견된 마지막 선교사들이 귀환하고, Bala College는 어린이 청소년 센터가 되었다. 1978년에는 파멜라 터너(Pamela Turner)가 최초의 여성 목사로 안수받았으며,[13] 같은 해 세계선교협의회(the Council for World Mission)에 가입했다. 2008년에는 자선단체로 등록하고 새로운 헌법을 채택했다.

2. 1. 기원과 발전 (18세기-19세기)



1743년 최초의 감리교 협회에 대한 예술가의 인상


웨일즈 장로교는 18세기 웨일스 감리교 부흥과 하웰 해리스(Howel Harris, 1714–1773) 및 다니엘 롤랜드(Daniel Rowland, 1713–1790)의 설교에서 시작된 칼뱅주의 감리교에 뿌리를 두고 있다.[2] 이 운동의 기원은 잉글랜드 국교회의 란드도러 교구 목사였던 그리피스 존스(1684–1761)에게서 찾을 수 있다. 그는 가난한 아이들을 교육하기 위한 순회 자선 학교 시스템을 시작했으며, 그의 열정적인 설교는 많은 사람에게 영향을 주었다.[8]

1735년 하웰 해리스와 다니엘 롤랜드가 회심하면서 본격적인 감리교 부흥(The Methodist revival)이 시작되었다.[32][33] 롤랜드는 그리피스 존스의 설교를 듣고 깊은 감명을 받아 운동의 열렬한 사도가 되었고, 타고난 웅변가로서 명성을 떨쳤다.[9] 하웰 해리스는 1735년 오순절 성찬식에서 종교적 개심을 경험한 후[10], 즉시 자신의 집과 다른 이들의 집에서 모임을 시작하며 순회 설교자가 되었다. 그의 활동은 웨일스 전역에 큰 영향을 미쳤다. 해리스의 주목할 만한 개종자 중 한 명은 웨일스의 유명한 찬송가 작가인 윌리엄 윌리엄스 판티켈린(1717–1791)이었다.

롤랜드와 해리스는 1737년 데비녹 교회에서 만나 협력 관계를 맺었다. 1743년 1월, 조지 휫필드는 글래모건 카에필리 근처 플라스 왓퍼드에서 회의를 주재하여 롤랜드, 윌리엄스, 해리스 등이 참석한 가운데 최초의 감리교 협회를 조직했다. 이는 존 웨슬리의 첫 회의보다 18개월 앞선 것이었다. 이 협회는 처음에는 잉글랜드 교회의 일부로 여겨졌으나, 박해로 인해 점차 분리 움직임이 나타났다. 1744년 조지 휫필드는 칼뱅주의 감리교의 수장이 되었다.

1751년 "하나님이 갈보리에서 죽으셨는가?"라는 교리 문제로 롤랜드와 해리스 사이에 논쟁이 벌어져 공개적인 분열이 발생했으나, 1762년의 부흥을 통해 극복되었다. 윌리엄 윌리엄스 판티켈린이 1744년 출판한 찬송가집 "알렐루야"는 부흥에 큰 영향을 미쳤다. 한편, 롤랜드는 세인트 데이비드 주교에 의해 설교 허가가 정지되기도 했다.

1770년에는 피터 윌리엄스 목사가 주석을 단 웨일스어 성경을 출판하여 성경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웨일스 북부에서는 발라(Bala)의 토마스 찰스(1755–1814) 목사가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는 1784년 감리교에 합류하여 순회 자선 학교와 주일 학교를 통해 북부 웨일스에서 감리교 운동을 확산시켰다. 1791년 발라에서 부흥이 일어났다.

1795년경부터 박해로 인해 감리교도들은 관용법의 보호를 받기 위해 예배당을 비국교도 예배당으로 등록하기 시작하며 잉글랜드 교회로부터 분리되는 첫 단계를 밟았다. 1811년에는 웨일즈 발라(Bala)와 란데일로(Llandeilo)에서 최초로 웨일즈 장로교 목사 안수식이 거행됨으로써 잉글랜드 교회(성공회)로부터 완전히 독립된 교회가 되었다.[2] 이는 늘어나는 신도 수에 비해 성찬을 집전할 안수받은 목사가 부족했기 때문에 이루어졌다.

1823년에는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에 근거한 칼뱅주의 감리교 신앙 고백[34]이 작성되어 채택되었다.[4] 1826년에는 교단의 헌장 문서(Constitutional Deed)가 공식적으로 완성되었다. 목회자 양성을 위한 신학교육 기관 설립도 이어졌다. 1837년 루이스 에드워즈(Lewis Edwards, 1809–1887)와 데이비드 찰스(David Charles, 1812–1878)가 웨일즈 발라에 학교(Bala College)를 설립했으며, 이 학교는 1839년 목사 양성 대학이 되었다. 1842년에는 트레페카(Trefeca)에 남 웨일스 협회를 위한 대학이 설립되었다.

1840년 리버풀에서 외국선교사협회가 설립되어 인도 아삼 주에 있는 카시아 언덕(Khassia Hills) 및 자인티아 언덕(Jaintia Hills)에 선교사들을 파견하기 시작했다.[11] 이 선교 활동은 훗날 인도 장로교회 설립으로 이어졌다. 1864년에는 웨일즈 스완지에서 첫 번째 총회를 개최했다.

칼뱅주의 감리교는 웨일스에서 순수하게 웨일스 기원을 가진 유일한 기독교 교단으로 평가받으며, 칼뱅주의 종교 개혁에서 직접 파생되기보다는 감리교 부흥 운동에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다른 장로교회들과 구별된다.[6][7] 신학적으로는 칼뱅주의를 따르며, 이 때문에 웨슬리안-아르미니안 신학을 따르는 다른 감리교 교파들과 구분된다. 이 교단은 분기별 저널인 ''Y Traethodydd''와 월간 간행물인 ''The Treasury''를 발행한다.[5]

2. 2. 부흥과 선교 (19세기 말-20세기)

1840년 리버풀에서 외국선교사협회가 설립되어 인도 아삼에 있는 Khassia Hills 및 Jaintia 지역에 선교사들을 파견하면서 본격적인 해외 선교가 시작되었다. 이전까지 교단의 선교 기금은 1798년부터 1840년까지 런던 선교 협회에 기부되었다. 이후 협회가 결성되면서 인도 북부의 실렛 평원, 카시아 및 자이티아 힐스, 루샤이 힐스 (미조람) 등에서 활발한 선교 활동을 펼쳤으며, 이는 인도 장로교회 설립이라는 결실을 보았다.[11] 또한 1842년부터는 프랑스 브르타뉴 지역에서도 선교 활동을 전개했다.

국내에서는 1864년 웨일스 스완지에서 첫 번째 총회를 개최하며 교단 조직을 정비했다. 1891년에는 카디프의 존 푸그 박사가 주도한 '전진 운동'(Forward Movement)을 통해 수천 명의 새로운 신자를 얻으며 교세를 확장했다. 같은 해 개설된 교단 서적실은 연간 1600GBP에서 2000GBP의 수익을 올렸고, 이 수익금은 대학 지원과 주일학교 도서관 설립 등에 사용되었다.

1904년에는 에반 로버츠(Evan Roberts)를 중심으로 한 웨일즈 부흥 운동이 일어나 다시 한번 영적 활력을 얻었다. 1907년 당시 웨일즈 장로교의 교세와 인도 선교 현황은 다음과 같다.

1907년 웨일즈 장로교 및 인도 선교 통계
구분내용수치
웨일즈 장로교 (국내)예배당1,641개 (수용 인원: 488,080명)
목사관229개
교회1,428개
목회자 및 지도자목사 921명, 안수받지 않은 설교자 318명, 장로 6,179명
주일학교1,731개 (교사 27,895명, 학생 193,460명)
교인 및 재정교인 189,164명, 연간 총 헌금액 300912GBP
인도 장로교회 (선교지)교인8,027명
추종자26,787명
선교사23명
현지 사역자목사 15명, 설교자 60명



당시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제11판은 웨일즈 장로교에 대해 "칼빈주의 감리교는 지극히 국가적인 정서와 열망을 가지고 있으며, 모든 의심의 여지 없이 충성스러운 사람들이다. 그들은 사회, 정치 및 교육 문제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공공 기관에 참여하고 있다. 그들은 예술, 문학 및 음악의 후원자이자 영감을 주는 자로서 에이스테드포드를 지지하며, 연례 상 수상자들 중에서 두드러진다. 따라서 그들은 유연하고 진보적인 움직임을 가진, 살아있는 민주적 단체를 형성하며, 종교와 신학 모두에서 충분한 보수성을 유지하여 건전하고 안전하게 유지한다."라고 평가했다.

20세기에 들어서도 변화는 계속되었다. 1968년 인도 북동 지역에 파견되었던 마지막 선교사들이 귀환했다. 1978년에는 파멜라 터너(Pamela Turner)가 웨일즈 장로교 역사상 최초의 여성 목사로 안수받았으며, 같은 해 세계선교협의회(https://www.cwmission.org/ the Council for World Mission)의 회원이 되어 국제적인 협력을 강화했다. 2008년에는 자선단체로 등록하고 새로운 헌법을 채택하며 현대 사회에 발맞추려는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2. 3. 현대 (20세기 말-현재)

1928년 공식적으로 교단 명칭을 ''웨일스 장로교''로 채택하였으나, ''웨일스 칼뱅주의 감리교''라는 명칭도 여전히 동등하게 사용되었다. 1933년에는 영국 의회의 웨일스 장로교법(Presbyterian Church in Wales Act)에 따라 헌법이 수정되었고, 이는 국왕의 재가를 받았다.[12] 1947년에는 영어를 사용하는 교회를 중심으로 한 동부 협회가 설립되었다.

1968년에는 인도 북동 지역에 파견되었던 마지막 선교사들이 귀환하였고, 초기 목사 양성 기관이었던 Bala College는 어린이와 청소년을 위한 센터로 용도가 변경되었다. 이는 웨일즈 장로교의 선교 및 교육 활동에 변화가 있었음을 보여준다.

1978년은 웨일즈 장로교 역사에서 중요한 해였다. 파멜라 터너(Pamela Turner)가 최초의 여성 목사로 안수받으며 교단의 포용성을 넓히는 계기를 마련했다.[13] 같은 해, 웨일즈 장로교는 세계선교협의회 ([https://www.cwmission.org/ the Council for World Mission])의 회원이 되어 국제적인 협력 관계를 강화했다.

2004년에는 중앙 사무실을 카디프의 화이트처치(Whitchurch) 지역으로 이전하였다.[13] 이어서 2007년에는 노회(Presbytery)의 경계와 구조를 새롭게 개편하여 교단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했다.[13] 2008년에는 웨일즈 장로교가 자선단체로 공식 등록되었으며, 시대 변화에 발맞춘 새로운 헌법을 채택하였다.

3. 신학 및 특징



웨일스 장로교는 신학적으로 칼뱅주의를 따른다. 이 교단은 18세기 웨일스 감리교 부흥과 하웰 해리스, 다니엘 롤런드의 설교로 시작된 '''칼뱅주의 감리교'''에서 유래했으며, 1811년 잉글랜드 교회로부터 공식적으로 분리되었다.[2]

교단의 신학적 정체성은 1823년 웨스트민스터 신앙 고백을 바탕으로 작성 및 채택된 신앙 고백에서 명확히 드러난다.[4] 이는 존 웨슬리찰스 웨슬리를 따르는 아르미니우스주의(웨슬리주의) 감리교와 구별되는 점이다. 비록 초기 잉글랜드와 웨일스의 감리교도들은 신학적 입장(칼뱅주의 또는 아르미니우스주의)에 관계없이 함께 활동했지만, 이후 칼뱅주의 감리교가 장로교의 성격을 띠게 되면서, 감리교는 주로 웨슬리안-아르미니안 신학을 따르는 교파로 인식되었다.

웨일스 장로교는 스스로 웨일스에서 순수하게 웨일스 기원을 가진 유일한 기독교 교단이라고 주장하며, 대부분의 장로교회가 칼뱅주의 종교 개혁에서 직접 파생된 것과 달리, 웨일스 장로교는 감리교 부흥 운동에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독특하다.[6][7] 19세기에 웨일스에서 주요 교단으로 급성장했으며, 1904~5년의 웨일스 종교 부흥에서 지도적인 역할을 했다.[3]

교단은 목회자 양성을 위해 기네스주 발라(1837년), 파위스주 트레페카(1842년), 세레디지온의 애버리스트위스 연합 신학대학(1906년)에 신학대학을 설립했다. 또한, 분기별 저널인 ''Y Traethodydd''와 월간 간행물인 ''The Treasury''를 발행한다.[5]

1840년에는 리버풀에 해외 선교 협회를 설립하고 인도 북부(실렛 평원, 카시아 및 자이티아 힐스, 루샤이 힐스(미조람))에서 선교 활동을 시작했다. 인도 북부에서의 선교 활동은 특히 성공적이어서 인도 장로교회 설립으로 이어졌다.[11] 1842년부터는 브르타뉴에서도 선교 활동이 있었다. 1864년에는 첫 번째 총회를 개최했다.

4. 조직

웨일스 장로교의 헌법은 장로교 정치 제도와 회중교회 정치 제도가 혼합된 형태를 띤다. 이 교단은 웨일스어로 Hen Gorff|헨 고르프wel, 즉 "옛 기구"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1811년 성공회에서 분리되기 전 감리교 부흥운동 시기부터 형성된 신자들의 연합체를 의미하기 때문이다.[6][7]

각 개별 교회는 자체적으로 조직되어 고유한 업무를 관리하며, 사안의 성격에 따라 지역 회의 또는 월례 회의에 보고한다. 월례 회의는 현재의 노회에 해당하며, 각 교회 임원들로 구성된다. 노회는 지역별로 나뉘어 운영되며, 지역 교회 간의 협력을 도모한다.

노회는 분기별(현재는 연 2회)로 열리는 연합회(Association)에 파견할 대표자를 임명하며, 모든 교회 임원은 연합회 회원이 된다. 연합회는 현재의 지방회(Synod)와 유사한 성격을 가지며, 북부와 남부 연합회가 오랫동안 별개의 기관으로 운영되어 각자의 문제를 심의하고 결정했다. 1944년에는 영어권 교회를 중심으로 동부 연합회가 동등한 자격으로 설립되어, 북부, 남부와 함께 세 개의 연합회(지방회) 체제를 이루게 되었다. 이전까지 영어권 교회 연례 회의는 의사 결정 권한 없이 주로 사회적, 영적 교류와 토론의 장으로 기능했다.

양 연합회에 공통된 사안에 대한 더 원활한 협력을 위해 1864년 연례 총회(General Assembly)가 설립되었다. 총회는 기본적으로 심의 기구로서 위원회를 통해 운영되며, 총회에서 내려진 결정은 세 연합회(지방회) 회의에서 확정되어야 최종적인 권한을 갖는다.

5. 사회적 이슈

교회는 웨일스 내 사회 문제에 대한 논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1978년부터 여성 목사를 안수해왔다.[18]

2013년에는 동성 결합 축복 문제에 대해, 교단 차원에서 공식적인 입장을 정하지 않고 각 지역 교회가 자체적으로 결정하도록 허용했다. 이러한 결정은 일부 교인들의 반발을 샀으며, 이를 동성 결혼 허용으로 해석한 일부 교단 관계자들이 사임하는 결과를 낳기도 했다.[16][17]

6. 예배당 이름

카디프 화이트처치에 있는 타버내클(Tabernacle, 성막) 교회. 성경 지명에서 이름을 따온 예시이다.


웨일스 예배당 전통에서는 예배당 이름을 특정 성인에게 봉헌하기보다는 성경에 나오는 장소 이름에서 따오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지명들은 웨일스어 철자법으로 표기되는데, 일부는 공인 성경이나 윌리엄 모건의 웨일스어 성경(Y Beibl cyssegr-lan)에 사용된 철자를 기반으로 한다. 일부 이름은 익숙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아래 표는 이러한 이름들의 유래와 의미를 설명한다. 예배당 이름에 사용된 신학적 의미를 가진 웨일스어 단어도 함께 포함되어 있다.

만약 예배당 이름이 아래 목록에 없다면, 해당 예배당이 위치한 마을이나 지역의 이름이거나, '오래된'(Hencym), '유쾌한'(Hyfrydlecym), '새로운'(Newyddcym), '통합된'(Unedigcym)과 같은 형용사일 가능성이 높다.

이름대상
아바림모세가 약속의 땅을 바라본 산맥인 아바림 산맥(신명기 32:49)
아논아논, 세례자 요한이 세례를 집행한 곳(요한복음 3:23)
바벨텐트를 의미하는 웨일스 단어로, 성막을 지칭하거나 세상에서 나그네인 신자들의 개념을 지칭
바라키아, 베라카아마 히브리어 단어 berakahheb 축복의 음역
브엘세바브엘세바, 아브라함, 이삭, 야곱이 머물렀던 이스라엘의 도시(창세기 22:19)
베레아베뢰아, 그리스의 도시로, 그곳의 주민들은 복음의 말씀을 간절히 받았다(사도행전 17:11)
벳바라벳바라, 요한이 세례를 집행한 요단강 건너편 베다니에 대한 공인 성경에 사용된 이름(요한복음 1:28)
베다니베다니, 예수님이 친구 나사로를 죽은 자 가운데서 살리신 예루살렘 근처의 마을(요한복음 11:1)
벧엘벧엘, 야곱이 하나님을 본 곳으로, 그 이름이 하나님의 집을 의미함(창세기 28:19)
베데스다베데스다 연못, 예수님이 중풍병자를 고치신 곳(요한복음 5:2)
베들레헴베들레헴, 다윗의 고향이자 예수님의 출생지(마태복음 2:1)
벳마가다윗에 반역한 자가 최후를 맞이한 마을인 아벨 벳 마아가를 지칭할 가능성이 있음(사무엘하 20:15)
브올라브올라, 결혼한을 의미하는 이름으로, 이사야가 시온에게 주어질 것이라고 예언함(이사야 62:4)
보스라보스라, 에돔의 도시이자 하나님의 심판이 예언된 장소(이사야 63:1)
갈바리아갈보리, 예수가 십자가에 못 박힌 장소의 이름(라틴어를 통해)
가나가나, 예수님이 물을 포도주로 바꾸신 마을(요한복음 2:1)
갈멜갈멜 산, 이스라엘 역사에서 여러 사건이 일어난 곳으로, 특히 엘리야와 바알의 예언자들 간의 대결이 유명함(열왕기상 18:20)
게드론키드론 골짜기, 예루살렘 근처의 계곡으로, 예수님이 십자가에 못 박히시기 전 마지막 밤을 보낸 정원이 있던 곳(요한복음 18:1)
키세그성소를 의미하는 웨일스 단어로, 하나님의 성막과 성전의 안쪽 부분을 지칭
디스궤일파망루를 의미하는 웨일스 단어
도단도단, 요셉의 형제들이 그를 노예로 판 곳이자 엘리사의 기적이 일어난 곳(열왕기하 6:13)
드리노드, 트리니티하나님이 삼위일체이시라는 기독교 교리인 삼위일체의 웨일스어 형태
에베네셀에벤에셀, 도움의 돌, 사무엘 선지자가 군사적 승리 후 세운 돌로, "여호와께서 여기까지 우리를 도우셨다"라고 말함(사무엘상 7:12)
엘림엘림, 이스라엘 백성이 가나안으로 가는 길에 머물렀던 사막의 오아시스
엔게디엔 게디, 포도원으로 알려진 도시로, 다윗이 사울에게서 피신한 곳(사무엘상 23:29)
갓, 이스라엘의 열두 지파 중 하나로, 그 이름은 행운을 의미하는 히브리어와 관련이 있을 수 있음(창세기 30:11)
길르앗길르앗, 이스라엘 변두리의 땅으로, 향유의 근원으로 알려짐(예레미야 46:11)
길갈길갈, 이스라엘 백성이 처음 요단을 건넌 곳이자 그 후 여러 사건이 일어난 곳(여호수아 5:9)
고르프위스파쉼터를 의미하는 웨일스 단어로, 하나님이 약속하신 천국의 쉼을 나타내기 위해 성경에서 사용됨(시편 95:11)
고센고센 땅, 이스라엘 백성이 그곳에서 머물렀던 이집트의 일부(창세기 47:27)
그로에스, 크루이스십자가를 의미하는 웨일스어로, 예수의 십자가를 지칭
헤브론헤브론, 유다의 중요한 도시이자 다윗이 유다의 왕으로 즉위한 곳(사무엘하 2:4)
헤르몬헤르몬 산, 약속의 땅 가장자리에 있는 높은 산(시편 42:6)
호렙호렙 산, 모세가 이스라엘을 위한 율법을 받은 곳(신명기 4:10)
예루살렘, 카에르살렘예루살렘, 이스라엘의 수도, 성전의 위치(사무엘하 5:5)
욥바욥바, 요나가 도망친 도시이자 베드로가 이방인의 이스라엘 수용에 대한 환상을 받은 곳(사도행전 11:5)
리바누스레바논, 이스라엘 북쪽의 땅으로, 레바논의 백향목을 풍부하게 사용했기 때문에 성전과 관련하여 사용됨(예레미야 22:23)
모레야모리아 산, 아브라함이 이삭을 기꺼이 희생하려는 모습을 보여준 곳이자 나중에 성전이 세워진 곳(역대하 3:1)
모세라아론이 죽은 광야의 장소(신명기 10:6)
나사렛나사렛, 예수님이 자라시고 살았던 곳(마태복음 2:23)
느보느보 산, 모세가 약속의 땅을 바라본 산(신명기 34:1)
노드파피난처를 의미하는 웨일스 단어로, 죄인들이 도망칠 수 있는 피난 도시를 지칭하기 위해 성경에서 사용됨(민수기 35:6)
파라다이스, 그윈파낙원을 의미하는 웨일스 단어(요한계시록 2:7)
바란바란 산, 시내 산 근처의 산으로, 하나님의 신현의 장소로 언급됨(신명기 33:2)
브니엘, 브누엘브니엘, 야곱이 하나님과 씨름하고 그분의 얼굴을 본 곳으로, 하나님의 얼굴을 의미함(창세기 32:30)
비스가, 비스가비스가, 모세가 약속의 땅을 바라본 산의 정상(신명기 34:1)
프레스윌파거처를 의미하는 웨일스 단어로, 하나님의 성전 안에서의 거처를 지칭(시편 26:8)
르호보스르호보스, 이삭이 우물을 판 곳으로, 그 이름은 넓은 또는 넉넉한을 의미함(창세기 26:22)
살렘예루살렘의 약칭; 이 부분의 이름 자체는 평화를 의미함(히브리서 7:2)
사데사데, 요한이 요한계시록에서 언급한 일곱 교회 중 하나; 교회 안에 옷을 더럽히지 않은 자들이 있었음(요한계시록 3:4)
사론사론 평원, 이스라엘 해안의 비옥한 지역(이사야 35:2)
실로, 실로실로, 하나님의 임재의 언약궤가 예루살렘으로 옮겨지기 전에 위치했던 곳(사무엘상 1:3)
시온, 므니드 시온시온, 시온 산; 예루살렘의 일부로, 나중에 도시 전체를 지칭하는 이름으로 사용됨(이사야 52:1)
실로암실로암 연못, 예수님이 맹인을 보내신 곳; 그는 씻고 와서 보게 되었음(요한복음 9:7)
서머나서머나, 요한이 요한계시록에 언급한 일곱 교회 중 하나이며, 완전히 충실한 교회 중 단 두 곳 중 하나(요한계시록 2:8)
소알소알, 이 소돔과 고모라의 멸망 동안 피신한 곳으로, 그 이름이 의미하는 바와 같이 매우 작았기 때문에 구원받았음(창세기 19:22)
성막성막, 성전이 세워지기 전까지 하나님이 그의 백성과 함께 거하셨던 천막(출애굽기 40:34)
다볼다볼 산, 산이자 이스라엘의 승리가 있었던 곳(사사기 4:14)
디베랴디베랴 바다, 예수님이 살고 가르치신 갈릴리 바다의 또 다른 이름(마가복음 1:16)


7. 소속 기관


  • 사이튠(Cytûn) - 웨일스 교회 연합
  • 영국 아일랜드 교회 연합(Churches Together in Britain and Ireland)
  • 유럽 교회 회의(Conference of European Churches)
  • 세계 개혁 교회 친교(World Communion of Reformed Churches)
  • 세계 교회 협의회(World Council of Churches)[21]

참조

[1] 웹사이트 Who we are https://www.ebcpcw.c[...] The Presbyterian Church of Wales 2020-01-07
[2] 서적 The Elect Methodists: Calvinistic Methodism in England and Wales, 1735-1811 University of Wales Press 2012
[3] 논문 "The Welsh Religious Revival, 1904-5." British Journal of Sociology 1952
[4] 웹사이트 www.ebcpcw.org.uk/english/about/beliefs https://web.archive.[...] 2013-10-11
[5] 웹사이트 Treasury https://www.ebcpcw.c[...] Presbyterian Church of Wales 2022-05-14
[6] 웹사이트 http://www.oikoumene[...]
[7] 웹사이트 http://www.british-h[...]
[8] 웹사이트 Life and Times of Griffith Jones. https://www.tentmake[...] 1902
[9] 웹사이트 A memoir of the rev. Daniel Rowlands https://books.google[...] 1840-05-19
[10] 서적 Howell Harris and the Dawn of Revival
[11] 웹사이트 德邦快递可 http://www.recweb.or[...]
[12] 웹사이트 http://www.reformier[...]
[13] 웹사이트 www.ebcpcw.org.uk/english/about/our-history https://web.archive.[...] 2013-10-11
[14] 웹사이트 Welsh Presbyterian Church, Liverpool http://www.freewebs.[...]
[15] 웹사이트 http://www.cwmeurope[...]
[16] 웹사이트 Deacon of North Wales Chapel resigns over decision to bless same-sex civil partnerships https://www.dailypos[...] 2013-08-18
[17] 웹사이트 The Presbyterian Church of Wales - Live: The General Assembly https://web.archive.[...] 2016-05-29
[18] 웹사이트 The Presbyterian Church of Wales - Our History https://web.archive.[...] 2016-05-29
[19] PDF https://media.onthem[...] 2024-08
[20] 웹사이트 Historic church and schoolhouse could be converted into holiday accommodation https://www.dailypos[...] 2024-05-22
[21] 웹사이트 www.ebcpcw.org.uk/english/what-we-do/mission https://web.archive.[...] 2013-10-11
[22] 문서 Not in Koinonia with the other Oriental Orthodox Churches
[23] 문서 Part of the Porvoo Communion
[24] 문서 Not in Koinonia with the other Oriental Orthodox Churches
[25] 문서 Part of the Porvoo Communion
[26] 문서 Part of the Porvoo Communion
[27] 문서 Not in Koinonia with the other Oriental Orthodox Churches
[28] 문서 Part of the Porvoo Communion
[29] 문서 Those are legal umbrella bodies which represent their member churches before the national government. They encompass multiple individual autonomous churches of differnet traditions which are themselves members of the CPCE.
[30] 서적 『リバイバル』 いのちのことば社
[31] 서적 『リバイバルの源流を辿る』 マルコーシュ・パブリケーション社
[32] 문서 대니얼 로랜드는 영국 성공회 신부인 그리피스 존스(Griffith Jones)의 설교를 듣고 회심했다. 그리피스 존스는 순회학교를 만들어 문맹을 퇴치함으로써 구원에 필요한 성경과 (성공회) 교리를 읽을 수 있게 하였다.
[33] 문서 웨일즈에서는 독자적으로 부흥이 일어났다고 보기 때문에 웨일즈 메소디스트 부흥이 아니라 메소디스트 부흥이라고 표현한다.
[34] 웹사이트 Confession of Faith of the Calvinistic Methodists of Wales (1823) https://www.apurita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