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리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엘리야는 북이스라엘 왕국 시대에 활동한 예언자로, 이교 신인 바알 숭배자들과 대결하고 야훼 신앙을 옹호한 인물이다. 그의 활동은 이스라엘 종교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성경에는 아합 왕 시대의 행적과 사르밧 과부의 아들을 살린 기적, 갈멜 산에서의 바알 예언자들과의 대결, 엘리사에게 후계자 자리를 물려주고 하늘로 승천하는 내용 등이 기록되어 있다. 엘리야는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 등에서 중요한 인물로 여겨지며, 재림에 대한 다양한 믿음이 존재한다. 또한, 엘리야의 이야기는 예술 작품과 대중문화에도 널리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9세기 아시아 사람 - 엘리사 (예언자)
엘리사는 기원전 9세기경 활동한 히브리 성경의 예언자로, 엘리야의 제자이자 후계자로서 다양한 기적과 사역을 펼쳐 이스라엘 왕국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기독교와 이슬람교에서도 존경받는다. - 엘리야 - 예수의 변모
예수의 변모는 공관복음서에 기록된 사건으로, 예수의 모습이 변화하고 모세와 엘리야가 나타나 예수와 대화하며 예수의 신성을 드러내는 사건이다. - 엘리야 - 바알
바알은 고대 근동 지역에서 숭배된 폭풍, 다산, 풍요를 관장하는 신으로, 히브리 성경에서는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되었으며, 기독교에서는 악마를 상징한다. - 북이스라엘 왕국 - 사마리아인
사마리아인은 에브라임 지파와 므낫세 지파의 후손으로, 스스로를 이스라엘, 브네 이스라엘, 또는 샤메림이라 부르며 그리심산을 중심으로 독자적인 신앙과 고대부터 이어진 복잡한 역사를 지닌 민족이자 종교 공동체이다. - 북이스라엘 왕국 - 세겜
세겜은 히브리 성경에 등장하는 고대 도시로, 벧엘과 실로 북쪽 에브라임 산지, 그리심 산 아래에 위치했으며, 금석병용기 시대부터 주거지가 형성되어 가나안 정착지, 에브라임 지파의 중심지, 북이스라엘의 첫 번째 수도, 헬레니즘 시대와 로마 시대에는 사마리아인의 주요 거주지로서 현재의 나블루스 지역에 위치하며 성경 속 여러 사건과 관련되어 중요한 역사적 의미를 지닌다.
| 엘리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이름 | 엘리야 |
| 칭호 | 예언자 카르멜회의 아버지 |
| 출생지 | 티슈베 가능성 있음 |
| 사망일 | 기원전 849년경 |
| 사망 장소 | 여리고 근처 |
| 공경 대상 |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 드루즈교 |
| 축일 | 7월 20일 (가톨릭 교회, 동방 정교회, 루터교-미주리 시노드) |
| 수호 | 카르멜회 제11근위공수여단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드루즈인 하이파 카르멜 산 멜키트 그리스 가톨릭 아크카 대교구 |
| 이름 정보 | |
| 히브리어 | ('엘리야후', "나의 신은 야훼/YHWH시다") |
| 그리스어 | (엘리아스) |
| 시리아어 | (엘리아에) |
| 아랍어 | (일리야스), 또는 (일리야) |
| 종교적 중요성 | |
| 유대교 | 모세와 함께 가장 중요한 예언자 중 하나로 여겨짐 유대인의 종말론적 전통에서 중요한 역할 메시아의 도래를 알리는 인물로 여겨짐 할라카 문제 해결과 같은 중요한 상황에서 나타날 것으로 믿어짐 유월절 세데르에서 엘리야의 자리가 마련됨 |
| 기독교 | 예수의 사역에서 중요한 인물 세례자 요한과 동일시되기도 함 변모 사건에서 모세와 함께 나타남 |
| 이슬람 | 꾸란에 언급된 예언자 중 하나 유대교 및 기독교 전통과 유사한 역할 |
| 드루즈교 | 중심 인물 세례자 요한으로 환생했다고 믿어짐 |
| 관련 인물 | |
| 제자 | 엘리사 |
| 기타 | |
| 관련 작품 | 엘리야 (멘델스존) |
2. 배경 및 의미
당시 북이스라엘 왕국은 오므리 왕조의 최전성기에 해당했으며, 아합왕은 페니키아(성경의 베니게)로부터 왕비를 맞아 양국 간에 우호적인 관계가 성립됨과 동시에 경제적·정치적인 이로움이 많았다. 그러나 이와 동시에 페니키아의 종교가 공공연히 이스라엘에 침투하게 되었던 것 또한 피할 수 없는 일이었다.[216] 예언자 엘리야의 행적 가운데 가장 뚜렷한 것은 이교신(異敎神) 바알과 아세라 숭배자들과의 대결에 있었다. 갈멜산 위에서 참다운 신의 증거를 구하면서 바알에 도전하여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어떤 신을 선택할 것인지 결단할 것을 촉구하였다.[216] 이것은 이스라엘 민족이 역사적 배경에 지니고 있는 사막문화와 가나안의 옥토문화 사이에 벌어질 수밖에 없었던 필연적인 대결이었으며, 그 결과 모세 이래의 야훼 신앙이 승리하게 되었다. 엘리야의 예언자 정신과 그 활동은 그 후 이스라엘의 종교 사상에 등장하는 일련의 예언자들의 선구(先驅)로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217]
오므리 왕조 시대의 북이스라엘 왕국은 최전성기를 맞이하였고, 아합왕은 페니키아와 우호적인 관계를 맺어 경제적, 정치적으로 많은 이익을 얻었다. 그러나 이와 동시에 페니키아의 종교가 이스라엘에 공공연하게 들어오는 것을 막을 수는 없었다. 예언자 엘리야의 가장 두드러진 행적은 이교 신인 바알과 아세라 숭배자들과의 대결이었다. 엘리야는 갈멜산에서 바알에게 도전하여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참된 신을 선택할 것을 촉구했다.[216] 이는 이스라엘 민족의 사막 문화와 가나안의 옥토 문화 사이에 벌어질 수밖에 없었던 필연적인 대결이었으며, 그 결과 모세 이래의 야훼 신앙이 승리하게 되었다. 엘리야의 예언자 정신과 그 활동은 그 후 이스라엘 종교 사상에 등장하는 예언자들의 선구자로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217]
3. 성경 속의 엘리야
성경에 따르면, 기원전 9세기경 솔로몬 아래 통일되었던 이스라엘 왕국은 북쪽의 이스라엘 왕국과 남쪽의 유다 왕국으로 분열되었다. 이스라엘 왕 오므리는 여로보암 통치 시대부터 내려온 정책을 이어받아 예루살렘에서 종교적 초점을 돌리려 했다. 그는 제물을 바치는 지역 사당을 짓도록 장려하고, 레위 가문이 아닌 사람들을 제사장으로 임명했으며, 고대 가나안 종교의 중요한 신인 바알에게 헌정된 신전을 허용하거나 장려했다.[20][21] 오므리는 아들 아합과 페니키아의 시돈 왕의 딸이자 바알 숭배자인 공주 이세벨 간의 결혼 동맹을 통해 국내 안보를 달성했다. 이러한 해결책은 한동안 이스라엘에 안보와 경제적 번영을 가져다주었지만,[24] 종교법을 엄격하게 신명기적으로 해석하는 이스라엘 예언자들과의 화평을 가져오지는 못했다.
아합의 통치 하에서 긴장은 더욱 악화되었다. 아합은 바알 신전을 지었고, 그의 아내 이세벨은 바알과 아세라의 제사장과 예언자들을 대거 데려왔다. 이러한 상황에서 엘리야는 열왕기상 17장 1절에서 "디셉 사람"으로 소개된다. 그는 아합에게 아합과 그의 왕비가 "주 앞에서 악을 행했다"고 전해지는 이스라엘 왕들의 마지막 세대에 서 있기 때문에 이슬조차 맺히지 않을 정도로 심각한 가뭄이 몇 년 동안 지속될 것이라고 경고한다. 엘리야의 히브리어 이름은 "나의 하느님은 야훼이시다"를 의미하며, 바알 숭배에 대한 그의 도전 때문에 그에게 붙여진 칭호일 수 있다.[25][26][27][28][29]
히브리 성서에 따르면, 엘리야의 도전은 대담하고 직접적이다. 바알은 비, 천둥, 번개, 이슬을 담당하는 가나안 신이었다. 따라서 엘리야는 처음 가뭄을 선포할 때, 하느님을 대신하여 바알에게 도전했을 뿐만 아니라 이세벨, 그녀의 제사장들, 아합과 이스라엘 백성에게도 도전했다.[30]
일부 학자들은 엘리야라는 이름의 예언자가 이스라엘 왕국의 아합과 아하시야 왕 치세 동안 존재했으며, 그가 뛰어난 개인적인 역동성과 보수적인 열정을 가진 종교적 인물이었고, 기원전 9세기에 이스라엘에서 바알 숭배의 부상에 저항하는 지도자였다는 데 동의한다.[54] 그러나 일부 학자들은 예언자에 대한 성경적 묘사가 그의 활동에 대한 역사적 기록으로 받아들여질 수 없다고 본다. 성경 본문은 그를 영웅적인 인물로 간주하는 대중적 전설과 그 이후의 신학적 성찰의 관점에서 그의 경력을 제시한다.[55]
엘리야는 아합이 이스르엘 사람 나봇의 포도원을 부당하게 탐내고, 이세벨이 무고한 죄를 씌워 나봇을 살해했을 때, 아합을 만나 아합이 부당하게 나봇의 밭을 빼앗은 것을 꾸짖는 하나님의 말씀을 전하며, 아합과 그의 집이 멸망할 것이라고 예언했다.[209] 아합이 뉘우쳤기 때문에, 재앙이 아합 자신에게 직접 미치지 않고 그의 아들 대에 이를 것이라는 예언이 엘리야에게 내려졌다.[210]
유대교에서는 모세 이후 가장 위대한 예언자로 여겨졌다.
3. 1. 아합 시대의 엘리야
엘리야는 길르앗의 티스베(성경의 디셉) 출신으로, 이스라엘 왕국의 아합 왕 시대에 활동한 예언자이다. 아합 왕이 악행을 저지르고 우상 숭배를 하며 시돈 왕의 딸 이세벨과 결혼하자, 엘리야는 아합에게 몇 해 동안 비가 내리지 않아 이스라엘이 극심한 가뭄에 시달릴 것이라고 예언했다.[25][26][27][28][29]
성경에 따르면, 기원전 9세기경 솔로몬 아래 통일되었던 이스라엘 왕국은 북쪽의 이스라엘 왕국과 남쪽의 유다 왕국으로 분열되었다. 이스라엘 왕 오므리는 여로보암 통치 시대부터 내려온 정책을 이어받아 예루살렘에서 종교적 초점을 돌리려 했다. 그는 제물을 바치는 지역 사당을 짓도록 장려하고, 레위 가문이 아닌 사람들을 제사장으로 임명했으며, 고대 가나안 종교의 중요한 신인 바알에게 헌정된 신전을 허용하거나 장려했다.[20][21] 오므리는 아들 아합과 페니키아의 시돈 왕의 딸이자 바알 숭배자인 공주 이세벨 간의 결혼 동맹을 통해 국내 안보를 달성했다. 이러한 해결책은 한동안 이스라엘에 안보와 경제적 번영을 가져다주었지만,[24] 종교법을 엄격하게 신명기적으로 해석하는 이스라엘 예언자들과의 화평을 가져오지는 못했다.
아합의 통치 하에서 긴장은 더욱 악화되었다. 아합은 바알 신전을 지었고, 그의 아내 이세벨은 바알과 아세라의 제사장과 예언자들을 대거 데려왔다. 엘리야는 아합에게 치명적인 가뭄이 몇 년 동안 지속될 것이라고 경고한다. 엘리야의 히브리어 이름은 "나의 하느님은 야훼이시다"를 의미하며, 바알 숭배에 대한 그의 도전 때문에 그에게 붙여진 칭호일 수 있다.[25][26][27][28][29]
히브리 성서에 따르면, 엘리야의 도전은 대담하고 직접적이다. 바알은 비, 천둥, 번개, 이슬을 담당하는 가나안 신이었다. 따라서 엘리야는 처음 가뭄을 선포할 때, 하느님을 대신하여 바알에게 도전했을 뿐만 아니라 이세벨, 그녀의 제사장들, 아합과 이스라엘 백성에게도 도전했다.[30]
아합과 이세벨의 미움을 사 쫓기게 된 엘리야는 요르단강 동쪽에 위치한 크릿(성경의 그릿) 시내에 숨어지냈다. 물은 그 시내에서 마셨고 음식은 야훼가 명령한 까마귀들이 떨어뜨려 주어 며칠 동안 머물렀다.
엘리야는 열왕기상 21장에서 아합이 살인을 통해 포도원을 얻은 후 다시 아합을 만난다. 아합은 이스르엘 사람 나봇의 포도원을 갖고 싶어 했다. 그는 더 좋은 포도원이나 땅에 대한 적절한 가격을 제시했지만, 나봇은 아합에게 하나님께서 그 땅을 팔지 말라고 하셨다고 말했다. 아합은 이 대답을 받아드렸지만, 이세벨은 그 땅을 얻기 위한 방법을 꾸몄다. 그녀는 아합의 이름으로 나봇 근처에 사는 장로와 귀족들에게 편지를 보냈다. 그들은 잔치를 열고 나봇을 초대해야 했고, 잔치에서 하나님과 아합을 저주한다는 거짓 혐의가 그에게 제기되어야 했다. 음모가 실행되었고 나봇은 돌에 맞아 죽었다. 나봇이 죽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이세벨은 아합에게 포도원을 차지하라고 말했다.
하나님은 다시 엘리야에게 말씀하시고 그를 보내 아합에게 "너는 죽였느냐, 또한 차지했느냐?" 그리고 "개들이 나봇의 피를 핥은 곳에서 개들이 네 피도 핥을 것이다."라는 질문과 예언을 하도록 하셨다.[44] 아합은 엘리야를 자신의 적으로 부르며 대립을 시작했다. 엘리야는 그의 행동으로 스스로 하나님의 적이 되었다고 말하며 그에게 책임을 되돌렸다. 엘리야는 아합의 온 왕국이 그의 권위를 거부할 것이라고 말했고, 이세벨은 이스르엘에서 개에게 먹힐 것이고, 그의 가족은 개(도시에서 죽는 경우)나 새(시골에서 죽는 경우)에게 먹힐 것이라고 말했다. 아합은 이 말을 듣고 매우 진심으로 회개하여 하나님은 아합을 벌하는 것을 멈추시고, 대신 이세벨과 아합의 아들 아하시야에게 진노를 쏟기로 하셨다.
엘리야의 이야기는 아하시야(열왕기 하 1장)와의 만남으로 이어진다. 아하시야는 심각한 부상을 입고 넘어졌다. 그는 이스라엘 왕국 밖에 있는 에그론의 바알세붑 제사장들에게 보낼 사람을 보내 회복할 수 있는지 묻게 한다. 엘리야는 그의 사자들을 가로막고 그들을 아하시야에게 돌려보내 "이스라엘에 하나님이 없어서 너희가 에그론의 신 바알세붑에게 문의하러 보내는 것이냐?"라는 메시지를 전한다.[42][45] 아하시야는 사자들에게 이 메시지를 전한 사람을 묘사해 달라고 요청한다. 그들은 그가 허리에 가죽 띠를 두른 털이 많은 남자였다고 말했고, 그는 즉시 그 묘사가 디셉 사람 엘리야임을 알아차렸다.
아하시야는 엘리야를 체포하기 위해 세 그룹의 군인을 보낸다. 처음 두 그룹은 엘리야가 하늘에서 내린 불에 의해 멸망했다. 세 번째 그룹의 지도자는 자신과 그의 사람들을 위해 자비를 구했다. 엘리야는 이 세 번째 그룹과 함께 아하시야에게 가서 그 자리에서 예언을 한다. 아하시야는 엘리야의 말대로 부상에서 회복하지 못하고 죽었다.[46]
엘리야는 이스라엘로 돌아와 아합에게 "바알의 예언자 450명, 아세라의 예언자 4백 명, 이세벨의 식탁에서 식사하는 자들"[205]과의 대결을 요구했다. 바알의 예언자들과 엘리야는 갈멜 산에 제단을 쌓고 각자의 신에게 기도했는데, 바알에게서는 아무런 응답이 없었고, 엘리야의 신(야훼)만이 하늘에서 불을 내리는 기적을 행했다. 곧바로 엘리야는 바알의 예언자들을 붙잡으라고 지시했고, 바알의 예언자들은 붙잡혀 처형되었다.[206]
3. 2. 엘리야와 사르밧 과부
엘리야는 야훼의 신탁에 따라 시돈의 사르밧(사렙다)으로 가 머물렀다. 그곳에서 한 과부의 도움으로 숨어 지냈는데, 과부의 아들이 병들어 죽자 엘리야는 기적을 일으켜 아이를 살려냈다.[35] 이것은 성경에 기록된 죽은 자를 살린 첫 번째 사례이다.[35]
엘리야가 아합과 대결한 후, 하나님은 그에게 이스라엘을 떠나 요단강 동쪽, 그릿 시내 근처에 숨으라고 말씀하셨고, 그곳에서 까마귀들이 그를 먹여 살렸다.[31][32] 시내가 마르자 하나님은 엘리야를 페니키아의 사르밧이라는 마을에 사는 과부에게 보냈다.
엘리야가 과부에게 물과 빵을 요청했지만, 과부는 자신과 아들을 위한 음식밖에 없다고 말했다. 엘리야는 하나님께서 그녀의 밀가루와 기름이 떨어지지 않게 하실 것이라고 말하며, "두려워하지 마십시오... 이스라엘의 주 하나님께서 말씀하시기를, 주님께서 이 땅에 비를 내리시는 날까지 밀가루 단지는 떨어지지 않고 기름병도 마르지 않을 것입니다."라고 하였다.[33] 과부는 엘리야의 말을 따랐고, 엘리야의 약속은 기적적으로 이루어졌다.
얼마 후 과부의 아들이 죽자 과부는 엘리야에게 "당신은 제 죄를 기억하게 하고 제 아들을 죽게 하시려고 저에게 오셨습니다!"라고 울부짖었다.[34] 엘리야는 하나님께 그녀의 아들을 다시 살려주시기를 기도했고, 하나님께서 엘리야의 음성을 들으시고 아이의 생명이 돌아와 살아났다.[35] 과부는 "당신의 입에서 나온 주의 말씀은 진실입니다."라고 외쳤다.[36]
3. 3. 이적과 카르멜(갈멜)산의 대결
당시 북이스라엘 왕국은 오므리 왕조의 최전성기로, 아합왕은 페니키아와 우호적인 관계를 맺어 경제적, 정치적으로 이득을 얻었다. 그러나 이와 함께 페니키아의 종교가 이스라엘에 들어오는 것을 막을 수는 없었다. 예언자 엘리야의 주요 활동은 이교 신인 바알과 아세라 숭배자들과의 대결이었다. 갈멜산에서 엘리야는 바알에게 도전하여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참된 신을 선택할 것을 촉구했다.[216] 이는 이스라엘 민족의 사막 문화와 가나안의 옥토 문화 사이의 필연적인 대결이었으며, 모세 이래의 야훼 신앙이 승리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엘리야의 예언자 정신과 활동은 이후 이스라엘 종교 사상에 등장하는 예언자들의 선구자로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217]
가뭄이 몇 년 동안 계속되자, 아합은 엘리야 때문이라고 생각하고 그를 찾으러 나섰다.[218] 엘리야는 아합을 만나 카르멜산(성경의 갈멜산)에서 바알과 아세라의 예언자 850명과 대결하게 된다.(열왕기상 18:19)
엘리야는 이스라엘 백성, 바알의 예언자 450명, 아세라의 예언자 400명을 갈멜 산으로 소환한다. 엘리야는 바알 숭배에 동의한 백성들을 질책하며 "너희가 언제까지 두 마음 사이에서 머뭇거리겠느냐? 만일 야훼가 하나님이시라면, 그를 따르라. 그러나 바알이라면 그를 따르라."라고 말한다.[37]
엘리야는 바알과 야훼의 힘을 직접 시험해 볼 것을 제안한다. 그와 바알의 예언자들이 각각 두 마리의 황소 중 하나를 가져다가 제물로 준비하여 나무 위에 놓되, 불을 붙이지 않는다. 엘리야는 이스라엘의 열두 지파를 상징하는 열두 개의 돌로 야훼의 제단을 수리하고, 제단 주위에 도랑을 파고 황소를 제물로 준비한다. 그는 "네 개의 큰 항아리"에서 물을 세 번 부어 제물과 제단을 적시라고 명령하고, 도랑에도 물을 채운다.[39] 그는 야훼께 제물을 받으시라고 간청한다. 하늘에서 불이 내려와 제물, 제단의 돌, 땅, 그리고 도랑 속의 물을 모두 태워 버렸다. 백성들은 이 광경을 보고 "야훼, 그가 하나님이시다. 야훼, 그가 하나님이시다."라고 외쳤다.[40] 엘리야는 그들에게 바알의 예언자들을 붙잡으라고 명령하고, 그들은 기손 강으로 끌려가 죽임을 당한다. 그 후에 가뭄이 끝나고 비가 내리기 시작한다.
엘리야는 처음에 길르앗의 테스베(티슈베)에 살았으며, 아합이 이스라엘 왕국의 왕이었을 때 예언 활동을 시작했다.[203] 엘리야는 사마리아 지방을 떠나 요르단 동쪽 기슭의 크릿 시냇가에서 3년 동안 가뭄과 기근속에서 지냈다.[204] 이스라엘로 돌아온 엘리야는 아합에게 "바알의 예언자 450명, 아세라의 예언자 4백 명, 이세벨의 식탁에서 식사하는 자들"[205]과의 대결을 요구했다. 엘리야의 신(야훼)만이 하늘에서 불을 내리는 기적을 행했고, 바알의 예언자들은 붙잡혀 처형되었다.[206]
3. 3. 1. 갈멜산 대결의 현대적 해석
오므리 왕조의 최전성기에 아합왕은 페니키아와의 우호적인 관계를 통해 경제적, 정치적 이점을 얻었지만, 동시에 페니키아의 종교가 이스라엘에 침투하는 것을 막을 수는 없었다. 엘리야의 주요 활동은 이교 신인 바알과 아세라 숭배자들과의 대결이었다. 갈멜산에서 엘리야는 바알에게 도전하여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참된 신을 선택할 것을 촉구했다.[216] 이는 이스라엘 민족의 사막 문화와 가나안의 옥토 문화 사이의 필연적인 대결이었으며, 모세 이래의 야훼 신앙이 승리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엘리야의 예언자 정신과 활동은 이후 이스라엘 종교 사상에 등장하는 예언자들의 선구자로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217]
엘리야와 바알, 아세라 예언자 850명의 대결에서, 바알과 아세라의 예언자들이 먼저 제물을 바치고 신을 불렀으나 응답이 없었다. 그러나 엘리야가 야훼를 부르자 곧바로 불이 내려왔다. 엘리야는 백성들에게 바알의 예언자들을 처형하게 했고, 곧 비가 내려 가뭄이 끝났다.
3. 4. 엘리사를 부르다
엘리야는 사팟의 아들 엘리사를 만나 자신의 겉옷을 입혀 후계자로 삼았다.[219] 야훼에게서 다마스쿠스의 하자엘을 시리아 왕으로, 예후를 이스라엘 왕국 왕으로, 엘리사를 자신의 후계자로 삼으라는 말씀을 받은 후 호렙 산을 떠났다.[208]
3. 5. 승천
엘리야는 엘리사와 함께 길갈을 떠나 베텔(벧엘)로 내려갔다.[220] 엘리야는 그곳에서 엘리사를 머물게 하려 했으나 엘리사는 엘리야와 함께 있기를 청하고 함께 베델로 갔다. 베델에서 다시 엘리야는 엘리사를 그곳에 머물게 하고 혼자 여리고로 가려고 했으나 엘리사는 엘리야와 함께 있기를 청하고 함께 여리고로 갔다.[221] 그곳에서 다시 엘리야는 엘리사를 여리고에 머물게 하려했지만 엘리사는 엘리야와 함께 있기를 청하고 함께 요르단강으로 갔다.[222] 엘리야는 요르단강에서 멀찍이 있는 그의 제자들이 보는 가운데, 겉옷으로 물을 갈라 엘리사와 함께 강을 건넜다. 강을 건너자 불병거와 불말이 두 사람을 갈라놓았고 엘리야는 회오리바람에 휩쓸려 하늘로 승천했다.[223]

열왕기하 2장 3-9절에 따르면, 엘리사와 "선지자의 아들들"은 엘리야가 언젠가 하늘로 올라갈 것을 미리 알고 있었다. 엘리사는 엘리야에게 엘리야의 "영"을 "갑절이나" 자신에게 주기를 구했다. 엘리야는 엘리사가 자기가 "올라가는 것"을 볼 수 있다면 그렇게 하겠다고 동의했다.
엘리야는 엘리사와 함께 요단 강으로 다가갔다. 그는 그의 겉옷을 말아 물을 쳤다.[47] 물은 즉시 갈라졌고 엘리야와 엘리사는 마른 땅으로 건너갔다. 갑자기 불의 전차와 불의 말들이 나타났고[42] 엘리야는 회오리바람 속으로 올라갔다. 엘리야가 올라갈 때 그의 겉옷이 땅에 떨어졌고 엘리사가 그것을 집었다.
4. 신약성서의 영향
신약성서에 따르면 예수가 변모했을 때 엘리야와 모세가 나타나 예수가 십자가에서 별세할 문제에 대해 이야기했다.[224] 야고보는 야고보의 편지(야고보서)에서 엘리야가 비가 오지 않게 해달라고 기도했더니 정말 비가 오지 않았다는 이야기를 올바른 사람의 기도 사례로 들었다.
이름 없는 산 정상에서 예수의 얼굴이 빛나기 시작했을 때, 제자들은 하나님의 음성을 듣고 예수가 "내 사랑하는 아들"이라고 선포하는 것을 듣는다. 제자들은 또한 모세와 엘리야가 나타나 예수와 대화하는 것을 보는데, 이는 엘리야와 모세가 죽지 않고 하늘로 들려 올라갔다는 사실과 관련 있는 것으로 보인다. 베드로는 이 경험에 감동받아 예수에게 엘리야, 예수, 모세를 위해 세 개의 "초막"을 지어야 하는지 묻는다.
일부 기독교 신학자들은 엘리야가 예언자들의 책임을 예수에게 넘겨주는 것으로 해석하며, 우물가의 여인이 예수에게 "나는 당신이 예언자인 줄 압니다"라고 말한 것과 같은 맥락으로 본다.[97] 모세 또한 하나님의 아들로 선포된 예수에게 율법의 책임을 넘겨주기 위해 나타났다.[98][99]
엘리야는 신약성경에서 누가복음, 로마서, 히브리서, 야고보서에 네 번 더 언급된다. 누가복음 4장 24-27절에서 예수는 엘리야를 거부당한 예언자의 예로 사용한다. 예수는 "어떤 예언자도 자기 고향에서는 환영을 받지 못한다"고 말하며, 이스라엘에 많은 과부가 있었지만 엘리야는 페니키아의 한 과부에게 보내졌다고 언급한다. 로마서 11장 1-6절에서 바울은 엘리야를 하나님께서 자신의 백성(이스라엘 백성)을 결코 버리지 않으시는 예로 인용한다. 히브리서 11장 35절 ("여자들이 죽은 자기의 자녀를 부활로 받아들이기도 하였으며...")는 엘리야가 사르밧 과부의 아들을 살린 것과 엘리사가 수넴 여인의 아들을 살린 것을 모두 언급하며, 엘리야와 엘리사를 믿음의 구약의 예로 인용한다.[100][101][102] 야고보서 5장 16-18절에서 야고보는 "의인의 간구는 역사하는 힘이 많으니라"고 말하며, 이스라엘의 기근을 시작하고 끝낸 엘리야의 기도를 예로 인용한다.
예수 그리스도의 변용 때 엘리야는 모세와 함께 예수 곁에 있었다고 기록되어[214] 그 위상을 짐작할 수 있다. 엘리야의 죽음이 성경에 기록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1세기 당시 엘리야가 재림할 것이라는 전승이 있었음을 신약성서 등에서 알 수 있다.
십자가 위의 그리스도의 마지막 일곱 말씀 중 네 번째 말씀은, 구경꾼들에게 엘리야를 부르는 것으로 오해받았다. 마태복음 27장 46절-54절과 마가복음 15장 34절-39절에는 예수가 "엘리, 엘리, 레마, 사박다니" 또는 "엘로이, 엘로이, 라마, 사박다니"라고 외쳤는데, 이는 "나의 하나님, 나의 하나님, 어찌하여 나를 버리셨나이까"라는 뜻이다. 곁에 있던 사람들은 이를 엘리야를 부르는 것으로 오해했다.
4. 1. 엘리야와 세례 요한의 관계
신약성경에서 예수는 믿는 자들에게 세례 요한이 엘리야라고 말하며, 말라기가 예언한 대로 "크고 두려운 날" 전에 올 것이라고 하였다.[93]세례자 요한은 회개와 세례의 메시지를 설교했다. 그는 말라키서와 유사한 이미지를 사용하여 심판의 날을 예언했다. 그는 또한 메시아가 오고 있다고 설교했다. 이 모든 것은 그의 청중에게 즉시 엘리야의 이미지를 떠올리게 하는 스타일로 행해졌다. 그는 가죽 띠로 고정된 낙타 털 옷을 입었다. 그는 또한 요르단 강 근처의 황무지 지역에서 자주 설교했다.[93]
요한 복음서에서 세례자 요한은 사제 대표단으로부터 "네가 엘리야냐"는 질문을 받았을 때 "아니다"라고 대답했다.[94] 그러나 마태복음 11:14과 17:10–13은 요한이 엘리야의 영적 후계자임을 분명히 한다. 누가 복음의 세례자 요한의 탄생에서 가브리엘은 요한의 아버지인 즈가리야에게 나타나 요한이 "많은 이스라엘 자손을 그들의 주 하나님께로 돌아오게 할 것"이며, "엘리야의 영과 능력으로" 나아갈 것이라고 말했다.[95]
예수 그리스도의 변용 때 엘리야는 모세와 함께 예수의 곁에 있었다고 기록되었으며[214], 엘리야의 죽음이 성경에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보아, 1세기 당시 엘리야가 재림할 것이라는 전승이 있었음을 신약성서 등에서 알 수 있다. 세례자 요한과 예수 그리스도, 일부에서는 이들 둘다 엘리야의 재림으로 여겨졌다[215]。이는 메시아 예언과 결합하여, 다가올 구세주의 재림을 알리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복음서는 세례자 요한을 이에 비정하여 기록하고 있다.
십자가 위의 그리스도의 마지막 일곱 말씀 중 네 번째 말씀이, 구경꾼들에게는 엘리야를 부르는 것으로 오해된 말로 남아 있다.
5.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에서의 엘리야
엘리야는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에서 중요한 예언자로 존경받는다.
유대교유대교 전승에서 엘리야는 아가다와 바빌론 탈무드를 포함한 다양한 랍비 문학에 등장하며, 그의 삶과 "승천" 이후 인류 역사의 종말까지 이어지는 새로운 역사를 다룬다. 정경에 비해 유대교 전설에서 엘리야에 대한 언급은 훨씬 풍부하며, 후대의 전설은 성경 이야기를 바탕으로 한다. 엘리야는 메시아의 선구자, 하나님의 대의에 열정적인 인물, 고통받는 자들의 조력자 등 세 가지 주요 특징으로 묘사된다. 그는 거지나 학자의 모습으로 전 세계에 나타나는 것으로 묘사된다.
말라키 시대부터 하스칼라 시대의 랍비들의 후대 이야기까지, 엘리야는 유대인의 의식 속에서 존경, 사랑, 기대, 희망과 연결되어 왔다. 엘리야의 출생에 대해서는 세 가지 이론이 있는데, (1) 갓 지파 출신,[57] (2) 예루살렘 출신의 벤야민 사람, (3) 제사장이라는 것이다. 일부 랍비들은 그가 비느하스와 동일 인물이라고 추측하기도 했다.[59] 후기 카발라 문헌에서는 엘리야를 인간의 모습을 한 천사로 보았으며,[42] 부모가 없었다고 한다.[60]
미드라시에 따르면, 엘리야는 이스라엘이 언약의 표징을 폐지했다고 비난하며 하나님 앞에 나타났다고 한다.[62] 하나님은 엘리야에게 자신의 자비에 호소해야 함을 깨닫게 했지만, 엘리야는 열정과 엄격함을 굽히지 않았고, 하나님은 그에게 후계자를 임명하라고 명령했다.[63] 하나님이 엘리야에게 자신을 드러낸 환상은 인간의 운명을 보여주는 것이었다.[64] 이 환상 후 3년 뒤 엘리야는 "승천"했다.[65] 엘리야가 옮겨진 장소에 대해서는 유대인과 기독교인 사이에 의견이 다르지만, 초기에는 엘리야가 하늘에 받아들여져 인간의 행적을 기록한다고 보았다.[66] 그러나 2세기 중반부터 엘리야가 천국에 들어가지 않았다는 주장이 제기되었고,[67] 후기 문헌에서는 낙원이 엘리야의 거처로 지정되었지만,[68] 낙원의 위치가 불확실하여 두 주장은 동일할 수 있다.
집회서는 엘리야의 사명을 (1) 하나님의 분노를 가라앉히는 것, (2) 가족의 평화를 회복하는 것, (3) 이스라엘의 열두 지파를 회복하는 것으로 묘사한다.[69]
유대교 할례 의식에는 엘리야를 위한 의자가 마련되는데, 이는 엘리야가 모든 할례의 증인이라는 믿음에서 비롯된다.[70] 이는 엘리야가 호렙 산에서 이스라엘이 언약을 버렸다고 비난한 사건에서 유래한다.[72] 랍비 전통에 따르면, 엘리야의 비난은 사실이 아니었고,[73] 하나님은 엘리야에게 모든 할례 언약에 참석하도록 요구했다.[74][75]
유월절 세데르
탈무드 문헌에 따르면, 엘리야는 어려운 법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랍비들을 방문하곤 했다. 말라키는 엘리야를 종말의 도래를 알리는 자로 언급했다.[76] 랍비들은 양립할 수 없는 법이나 의례를 "엘리야가 올 때까지" 보류했다.[76] 유월절 세데르에서 와인 잔을 네 잔 또는 다섯 잔으로 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이 있었는데, 이는 출애굽기에 나오는 "구원의 네 가지 표현"과 다섯 번째 표현의 실현 여부 때문이었다.[77][78] 엘리야의 도착을 위해 잔을 남겨 두었고, 다섯 번째 잔은 미래의 구원을 기념하는 것으로 여겨지게 되었다. 오늘날 세데르 테이블에는 엘리야를 위한 자리가 마련되고 와인 잔이 놓여 있으며, 세데르 동안 문을 열어 엘리야를 초대한다. 이 잔은 엘리야의 것으로 여겨져 다른 목적으로 사용되지 않는다.[79][80]
하브달라는 안식일을 마무리하는 의식으로, 마지막 찬송가 부분에서 엘리야가 다음 주에 오기를 간청한다.
유대교 민간 전승에서 엘리야는 정경보다 훨씬 더 많이 언급된다. 엘리야가 하늘로 옮겨진 사건은 그의 정체성에 대한 추측을 낳았고, 루이스 긴즈버그는 그를 아론의 손자인 비느하스와 동일시한다.[81][82] 엘리야는 예언자이자 제사장이며, 산달폰과 동일시되기도 한다.[84] 엘리야의 또 다른 이름은 "언약의 천사"이다.[86]
유대교 민간 전승에서 엘리야는 짧은 관찰부터 하나님의 정의에 대한 긴 비유까지 다양하게 등장한다. 랍비 여호수아 벤 레비의 이야기에서 엘리야는 늙은 부부의 암소를 죽게 하고, 부유한 남자의 벽을 수리하며, 부유한 회당에는 많은 지도자를, 가난한 회당에는 현명한 지도자를 주도록 기도했다. 이를 통해 악인의 번영과 의인의 고통이 하나님의 불공정을 의미하지 않음을 보여준다.[88]
엘리야는 안락함을 추구하는 자들을 괴롭히는 능력을 보여주기도 한다. 랍비 엘리에제르 벤 랍비 시몬 벤 요차이의 경우, 엘리야는 못생긴 남자로 변장하여 랍비의 모욕을 받지만, 도시 전체의 간청과 랍비의 개선 약속 후에야 용서한다.
엘리야는 릴리스와 맞서는 경건한 인물로 묘사된다. 릴리스는 아담의 첫 번째 아내로, 악마이자 마녀로 여겨졌다.[90][91] 엘리야는 릴리스를 저주하지만, 릴리스는 자신의 이름을 부적으로 사용하면 해를 끼치지 않겠다고 약속한다.[92]
기독교신약성서에서 예수의 모습이 변했을 때 엘리야와 모세가 나타나 예수의 별세에 대해 이야기했다.[224] 의인 야고보는 야고보의 편지(야고보서)에서 엘리야의 기도를 통해 비가 오지 않았다는 예를 들었다.
역대기
엘리야는 역대기하 21:12에 다시 언급되는데, 이것이 히브리 성경에서 그의 마지막 언급이다. 엘리야는 유다의 여호람에게 편지를 보내 그가 유다 백성을 미혹했다고 말하고, 고통스러운 죽음을 예언한다. 이 편지는 엘리야가 이스라엘 왕국에 관여했고, 편지가 일반적인 표현과 다르며, 엘리야의 승천 후에 온 것으로 보인다는 점에서 수수께끼로 여겨진다.[48] 마이클 윌콕은 이 편지가 덜 알려진 예언자 대신 엘리야의 이름을 사용한 것일 수 있다고 제안했지만,[49] 존 반 세터스는 엘리야 전승과 관련이 없다고 일축했다.[50] 그러나 윌콕은 엘리야의 편지가 "남쪽 왕국에서 매우 '북쪽'의 상황을 다루고 있다"고 주장하며 진정성을 옹호한다.[51]
히브리 성경에서 엘리야에 대한 마지막 언급은 역대기에 있지만, 기독교 성경의 재배열은 말라기서를 구약의 마지막 책으로 배치하여 엘리야를 구약의 마지막에 등장시킨다.[52] 말라기서에서 엘리야는 "크고 두려운 날"이 오기 전에 보내질 것이며, 아버지와 자녀의 마음을 돌이키게 할 것이라고 예언된다.[53]
서방 기독교에서 엘리야는 성인으로 기념되며, 로마 가톨릭교회[103]와 미주리 시노드 루터교회[104]는 7월 20일을 축일로 기념한다. 가톨릭 신자들은 그가 미혼이었고 독신이었다고 믿는다.[105]
동방 정교회와 비잔틴 전례를 따르는 동방 가톨릭 교회에서도 같은 날짜에 기념한다. 그는 정교회에서 관상 생활의 모범으로 존경받으며, 동방 정교회 전례력에서 성부들의 주일(주님 탄생 전 주일)에 기념된다.
엘리야는 1752년부터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수호 성인으로 숭배받았으며,[106] 파바오 드라기체비치 주교의 요청에 따라 리다의 성 게오르기우스를 대체했다. 대체 이유는 불분명하지만, 엘리야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세 주요 종교 집단 모두에게 중요하기 때문이라는 설이 있다.[107] 교황 베네딕토 14세는 야생 민족에게 야생 수호 성인이 어울린다는 말과 함께 요청을 승인했다고 전해진다.[108]
예언자 엘리야는 가톨릭 교회에서 6월 17일에 기념되며,[109] 동방 정교회에서는 4월 14일에 모든 성인 시나이 수도승들과 함께 기념된다.[110]
엘리야는 가르멜회의 영적 아버지이자 전통적인 창시자로 존경받는다.[111] 가르멜회는 은둔자들이 자리를 잡았던 카르멜 산에서 이름을 따왔으며, 칼체드 가르멜회와 맨발 가르멜회의 엘리야와 관련된 전통은 예언자가 공적인 삶에서 물러난 것에 초점을 맞춘다.[112][113] 중세 가르멜회의 첫 수도자들의 책은 가르멜회의 관상적 소명과 예언자에 대한 경외심을 보여준다.
17세기에 볼란디스트 협회는 가르멜회의 기원을 엘리야에게 귀속시키는 것에 대해 가르멜회와 논쟁을 벌였다.[114] 1681년부터 1698년까지 양측에서 일련의 문서가 발행되었고, 가르멜회는 스페인 법원의 지원을, 볼란디스트는 장 드 로누아와 소르본 대학교의 지원을 받았다. 1698년 교황 인노첸시오 12세는 논쟁을 종식하라고 명령했다.[115]
대부분의 동방 교회가 그리스어를 전례 언어로 사용하거나 그리스어에서 전례를 번역했기 때문에, 예언자의 이름은 '엘리아스'(또는 '일리이스')로 동방 정교회 신자와 비잔틴 전례를 따르는 동방 가톨릭 교회에서 사용된다.
성 엘리야의 축일은 정교회 전례력으로 7월 20일이다(전통적인 율리우스력을 따르는 교회에서는 8월 2일에 해당). 이 날은 레바논의 주요 공휴일이며, 불꽃놀이를 하는 공휴일 중 하나이다. 레바논에서 성 엘리야의 전체 이름은 성 엘리야(생존자)로 번역되는데, 그가 불의 전차를 타고 하늘로 올라갔다고 믿기 때문이다. 불의 전차에 대한 언급은 레바논 사람들이 이 휴일을 불꽃놀이로 기념하는 이유일 가능성이 높다.
엘리야는 또한 주님 성탄절 전 주일인 거룩한 아버지들의 주일에 구약성서의 모든 의로운 사람들과 함께 기념된다.
성 엘리야를 위한 제4선율의 아폴리키온:
> 육화하신 천사, 예언자들의 주춧돌, 그리스도의 오심의 두 번째 선구자, 영광스러운 엘리야여, 위로부터 엘리사에게 질병을 물리치고 나병 환자를 정화하는 은총을 보내시니, 그를 존경하는 자들에게 치유가 풍성하게 넘치도다.
성 엘리야를 위한 제2선율의 콘다키온:
> 오 예언자여, 하나님의 위대한 업적을 미리 아는 자여, 오 위대하게 명성을 떨친 엘리야여, 당신의 말씀으로 비의 구름을 막으셨으니, 우리를 위해 유일한 사랑하는 분께 간구하소서.
엘리야에 관한 내용 참고: 페린#페린과 노브고로드의 페룬 숭배
5세기부터 엘리야는 종종 헬리오스 즉, 태양과 연결되었다. 두 단어는 고전 이후 그리스어에서 매우 유사한 발음을 가졌고, 엘리야는 헬리오스처럼 불의 전차를 타고 하늘로 올라갔다.[13] 엘리야가 드린 번제물은 하늘에서 내려온 불에 의해 불탔고,[116] 이는 태양이 땅을 따뜻하게 하는 것과 일치한다.[117]
세둘리우스는 엘리야의 "공적과 이름"에 "빛나는 하늘로 가는 밝은 길"이 적합하다고 썼다.[118] 크리소스토뭄에게 잘못 귀속된 설교는 엘리야가 헬리오스라고 말한다. 성 파트리치오는 헬리오스와 엘리야를 혼동한 것으로 보인다.[119] 현대 그리스 민속에서도 엘리야를 태양과 연결시킨다.[120]
그리스에서는 예언자 엘리야(Προφήτης Ηλίας)에게 헌정된 예배당과 수도원이 종종 산꼭대기에서 발견되며, 산꼭대기 자체도 종종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다. 바흐스무트(1864)는 엘리야가 산꼭대기에 신전을 가진 헬리오스와 동일시되었다고 설명했지만,[121] 헬리오스의 신전은 산꼭대기에 거의 없었고, 태양 숭배는 기독교 시대에 아폴로 숭배에 흡수되었으므로 엘리야와 혼동될 수 없었다.[122] 현대 민속은 태양, 엘리야, 산꼭대기의 연관성의 "기원"에 대한 좋은 증거가 아니다.[126] 어쩌면 엘리야는 "높은 곳의 자연스러운 수호신"일 뿐이다.[123]
엘리야가 산꼭대기와 연관된 것은 제우스와 관련된 속성과 장소를 취했기 때문일 수 있다. 엘리야가 바알의 제사장들을 이겼을 때, 그곳은 카르멜 산이었으며,[116] 나중에 성 엘리야 산으로 알려졌다. 그가 40일을 동굴에서 보냈을 때, 그것은 호렙 산이었다.[124] 엘리야가 아합을 대면했을 때, 그는 3년 동안 비를 멈췄다.[125][126]
제우스의 산악 숭배 지도를 보면, 대부분이 현재 엘리야에게 헌정되어 있으며, 올림푸스 산, 리케이온 산, 아라크나이온 산, 본토의 탈레톤 산과 케나이온 산, 오케 산, 섬의 키나도스 산을 포함한다. 이 중에서 헬리오스 숭배에 대한 기록된 전통이 있는 곳은 탈레톤 산뿐이다.[126]
엘리야는 많은 유럽 전통에서 기독교 이전의 번개 신들과 연관된다.
알바니아인들은 여름 동안 비를 구하기 위해 산꼭대기로 순례를 간다. 인기 있는 전통 중 하나는 샤르 산맥의 류보텐 산으로의 8월 2일 순례이다. 무슬림들은 이 날을 ''알리진''("알리 날")이라고 부르며, 알리가 정오에 엘리야가 된다고 믿는다.[127]
엘리야가 불의 전차를 타고 하늘로 올라간 것으로 묘사되었기 때문에, 슬라브 부족을 개종시킨 기독교 선교사들은 그를 폭풍, 천둥, 번개의 최고 슬라브 신인 페룬의 이상적인 비유로 여겼을 것이다. 많은 슬라브 국가에서 엘리야는 천둥 치는 엘리야(''일리야 그로모브니크'')로 알려져 있으며, 전차를 타고 하늘을 달리며 비와 눈을 내리므로 민간 신앙에서 페룬의 자리를 차지한다.[128][129][130] 페룬은 때때로 무로메츠의 엘리야와 혼동되기도 한다.[131][132] 성 엘리야 축일은 남슬라브어로 ''일리덴''으로 알려져 있으며, 1903년 일리덴-프레오브라제니 봉기의 날로 선택되었다. 현재 북마케도니아의 공화국의 날 휴일이다.
에스토니아 민속에서 엘리야는 번개 정령인 우코의 후계자로 여겨진다.[132]
조지아 신화에서 그는 엘와를 대체한다.[132] 엘리야에 대한 조지아 이야기:
> 한때 예수, 예언자 엘리야, 성 조지가 조지아를 지나가고 있었다. 그들은 피곤하고 배가 고파서 식사하려고 멈춰 섰다. 그들은 조지아 양치기를 보고 그에게 음식을 요청하기로 했다. 먼저 엘리야가 양치기에게 가서 양을 달라고 했다. 양치기가 그의 신분을 묻자 엘리야는 그에게 좋은 농작물 수확을 얻도록 비를 내려준 사람이 자신이라고 말했다. 양치기는 그에게 화를 내며, 가난한 과부들의 농장을 파괴하는 천둥 번개를 보낸 사람도 자신이라고 말했다. (엘리야, 예수, 성 조지가 도움을 요청하고 결국 성공한다.)[133]
오세티아인과 카바르디아인을 포함한 다른 코카서스 민족 사이에서, 엘리야는 우아칠라 또는 일리아, 옐리라고 불리는 일종의 천둥 신으로 이해되며, 전통적으로 번개와 특정 정신 질환과 관련된 "초파" 의식에서 불려졌다.[134] 사람이나 동물이 번개에 맞으면, 폭풍이 계속되고 있더라도, 엘리야의 이름은 "초파" 또는 "코페이"라는 말과 함께 사용되어 즉시 현장 주변에서 원무가 행해졌다. 희생자가 죽으면, 그 가족은 슬퍼하는 것이 금지되었고 마을 묘지가 아닌 그들이 쓰러진 곳에 그들을 묻어야 했다. 희생자가 살아남으면, 그들의 삶은 엘리야에게 헌신되었다: 생존한 사람은 예언자였고, 동물은 다른 사람들이 집으로 데려가지 못하도록 표식을 하여 풀어주었다. 이 전통의 다른 버전에서는 존경받는 사람은 엘리야가 아니라 쉬블레(Щыблэ), 아피(Афы), 안츠와(Анцуа)와 같은 다른 전통적인 천둥 신이었다.
엘리야는 다른 이교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엘리야에 대한 현대 전설은 현지인들이 노를 알아보지 못할 장소를 찾는 오디세우스의 전설과 정확히 일치한다 - 따라서 산꼭대기.[135]
이슬람교엘리야()는 꾸란에서 예언자로 언급된다. 꾸란과 후기 무슬림 전통에서 엘리야의 이야기는 히브리 성경의 내용과 매우 유사하며, 무슬림 문헌은 엘리야가 주로 아합과 이세벨, 그리고 아하시야의 통치 기간에 예언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그는 무슬림들에게 엘리사의 예언적 선구자로 여겨진다. 성경이나 꾸란 모두 엘리야의 계보를 언급하지 않지만, 일부 이슬람 학자들은 그가 예언자 아론의 사제 가문 출신일 수 있다고 믿는다.[144] 엘리야는 이슬람 종말론과 연관되어 있지만, 이슬람은 예수를 메시아로 본다.[145] 그러나 엘리야는 최후의 심판 동안 히드르로 알려진 신비로운 인물과 함께 다시 올 것으로 예상된다.[146] 엘리야의 인물은 일부 학자들이 엘리야의 또 다른 이름이라고 믿는 이드리스,[147] 그리고 히드르[148]를 포함하여 다른 많은 예언자와 성인과 동일시되었다. 이슬람 전설은 나중에 엘리야의 모습을 발전시켜 그의 속성을 크게 장식했으며, 일부 외경 문헌은 엘리야에게 반 인간, 반 천사의 지위를 부여했다.[149] 엘리야는 또한 ''함자나마''를 포함한 후기 문학 작품에도 등장한다.[150]
엘리야는 꾸란에 언급되어 있으며, 그의 설교는 간결하게 묘사되어 있다. 꾸란은 엘리야가 자신의 백성에게 신을 숭배하고 지역의 주요 우상인 바알 숭배를 그만두라고 말했다고 전한다. 꾸란은 "엘리아스는 실로 사도들 중의 한 사람이었다. 그가 그의 백성에게 말했을 때를 기억하라. '너희는 두려워하지 않겠느냐? 너희는 바알을 부르고 가장 훌륭한 창조주를 버리느냐? 너희의 주님이시며 너희 조상들의 주님이신 알라를?'"라고 기록하고 있다. [151]
꾸란은 엘리야의 백성 대부분이 그 예언자를 거부하고 우상 숭배를 계속했다고 명시하고 있다. 그러나 그들 중 소수의 헌신적인 하느님의 종들이 엘리야를 따르고 하느님을 믿고 숭배했다고 언급하고 있다. 꾸란은 "그러나 그들은 그를 거부했으니, 그들은 틀림없이 징벌을 받게 될 것이다. 그러나 하느님의 선택받은 종들은 그렇지 않다. 우리는 그에게 후세에 칭송을 받도록 복을 내렸다."라고 기록하고 있다. [152]
꾸란에서 하느님은 엘리야를 두 번 칭찬한다.
압둘라 유수프 알리를 포함한 수많은 주석가들은 알-안암 6: 85에 대한 주석을 제공하며, 엘리야, 자카리아, 세례자 요한 그리고 예수는 모두 영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고 말한다. 압둘라 유수프 알리는 "세 번째 그룹은 행동하는 사람들이 아니라, 고독한 삶을 살았던 진실의 설교자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들의 칭호는 '의로운 자'이다. 그들은 예수 주변에 연결된 그룹을 형성한다. 자카리아는 '오리라 한 엘리야' (마태 11:14)로 언급되는 세례자 요한의 아버지였으며, 엘리야는 변모산에서 예수와 함께 있었고 이야기를 나누었다고 한다 (마태 17:3)."[153]
무슬림의 문학과 전통은 엘리야가 아합과 그의 아들 아하시야가 다스리던 이스라엘 왕국에 설교했다고 전한다. 그는 "사막의 예언자, 세례자 요한과 같은" 인물로 여겨진다.[154] 엘리야는 아합과 그의 아내 이세벨에게 열정적으로 설교한 것으로 여겨지며, 무슬림 전통에 따르면 이세벨은 이 지역의 우상 숭배에 부분적으로 책임이 있었다고 한다. 무슬림들은 대다수의 사람들이 엘리야의 말을 듣기를 거부했기 때문에, 엘리사가 그 후 하나님의 메시지를 이스라엘에 계속 전파해야 했다고 믿는다.[155]
엘리야는 무슬림 문화에서 전설과 민담의 대상이 되었으며, 주로 히드르와의 만남, 그리고 한 전설에서는 무함마드와의 만남을 포함한다.[156] 이슬람 신비주의에서 엘리야는 현자 히드르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한 하디스에 따르면 엘리야와 히드르는 매년 예루살렘에서 만나 메카로 순례를 떠났다고 한다.[157] 엘리야는 또한 ''함자나마''에도 여러 번 등장하며, 여기에서 그는 히드르의 형제이자 생명의 샘에서 물을 마신 사람으로 묘사된다.[158]
게다가, 키타브 알-카피에는 이맘 자파르 알-사디크가 시리아어로 일라스(엘리야)의 엎드림을 암송하며 울기 시작했다는 내용이 전해진다. 그는 방문한 학자들에게 이 기도를 아랍어로 번역했다.
> "오 주님, 정오의 더위 속에서 제 갈증을 아시면서 저를 벌하실 건가요? 저를 숭배하기 위해 얼굴을 땅에 비비는 것을 아시면서 저를 벌하실 건가요? 주님을 위해 죄를 버리는 것을 아시면서 저를 벌하실 건가요? 오직 주님을 위해 밤새 깨어 있는 것을 아시면서 저를 벌하실 건가요?" 이에 알라는 일라스에게 영감을 주셨다. "땅에서 머리를 들어라. 나는 너를 벌하지 않겠다."[159]
대부분의 무슬림 학자들은 엘리야가 이스라엘에서 설교했다고 믿었지만, 꾸란의 일부 초기 주석가들은 엘리야가 레바논의 바알벡으로 보내졌다고 진술했다.[160] 현대 학자들은 이러한 주장을 거부하며, 엘리야와 그 도시의 연관성은 도시 이름의 첫 부분, 즉 엘리야가 그의 백성들에게 숭배를 중단하라고 권고했던 신인 ''바알''에서 비롯되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엘리야의 도시를 바알벡과 동일시하는 것을 거부하는 학자들은 또한 바알벡이라는 도시가 꾸란이나 히브리 성경의 엘리야 서술에서 언급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161]
드루즈 전통은 여러 "멘토"와 "예언자"를 존경하며, 엘리야는 예언자로 존경받는다.[162] 엘리야는 드루즈의 핵심 인물로 여겨진다.[163] 종교에서 그의 중요성 때문에, 카르멜산에 드루즈가 정착한 것은 부분적으로 엘리야의 이야기와 헌신과 관련이 있다. 카르멜산 동쪽 경사면에는 두 개의 큰 드루즈 마을, 달리야트 알-카르멜과 이스피야가 있다.[163] 드루즈는 엘리야의 동굴을 신성하게 여기며,[164] 엘리야를 물과 생명을 상징하는 녹색 예언자 "알-키드르", 병자를 치료하는 기적으로 여긴다.[164] 그는 이드로(슈아이브)와 함께 드루즈의 수호성인으로 여겨진다.[165][166]
일부 기독교인과 마찬가지로 드루즈는 엘리야가 세례 요한으로 다시 왔다고 믿으며,[2][167] 그들은 윤회와 영혼의 환생을 믿기 때문에 드루즈는 엘 키드르와 세례 요한이 동일 인물이며, 성 게오르기우스와 동일 인물이라고 믿는다.[167]
드루즈 신앙에 대한 기독교의 영향으로 인해 두 명의 기독교 성인이 드루즈가 가장 좋아하는 숭배 대상이 되었다. 성 게오르기우스와 성 엘리야이다.[168] 따라서 레바논 산맥 중앙의 드루즈와 기독교인이 거주하는 모든 마을에는 기독교 교회나 드루즈 마캄이 그들 중 한 명에게 헌정된다.[168] 학자 레이 자브레 무아와드는 드루즈가 두 성인, 즉 용과 맞선 성 게오르기우스와 바알의 이교 사제들과 경쟁하여 그들을 이긴 성 엘리야의 용기를 높이 평가했다고 한다.[168] 두 경우 모두 기독교인들이 제공하는 설명은 드루즈가 그들 자신의 군사화된 사회를 닮은 군인 성인에게 매료되었다는 것이다.[168]
6. 엘리야의 유산과 현대적 의의
당시 북이스라엘 왕국은 오므리 왕조의 최전성기에 해당했으며, 아합왕은 페니키아(성경의 베니게)로부터 왕비를 맞아 양국 간에 우호적인 관계가 성립됨과 동시에 경제적·정치적인 이로움이 많았다. 그러나 이와 동시에 페니키아의 종교가 공공연히 이스라엘에 침투하게 된 것 또한 피할 수 없는 일이었다.[216] 예언자 엘리야의 행적 가운데 가장 뚜렷한 것은 이교신(바알과 아세라) 숭배자들과의 대결이었다. 갈멜산 위에서 참다운 신의 증거를 구하면서 바알에게 도전하여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어떤 신을 선택할 것인지 결단할 것을 촉구하였다.[216] 이것은 이스라엘 민족이 역사적 배경에 지니고 있는 사막 문화와 가나안의 옥토 문화 사이에 벌어질 수밖에 없었던 필연적인 대결이었으며, 그 결과 모세 이래의 야훼 신앙이 승리하게 되었다. 엘리야의 예언자 정신과 그 활동은 그 후 이스라엘의 종교 사상에 등장하는 일련의 예언자들의 선구(先驅)로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217]
참조
[1]
웹사이트
Biography of Elijah, Old Testament Prophet
https://www.learnrel[...]
2020-07-17
[2]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Druzes
Rowman & Littlefield
[3]
웹사이트
St. Elijah the Prophet
http://www.carmelite[...]
2014-11-21
[4]
웹사이트
The Glorious Prophet Elias (Elijah)
http://stelias.ia.go[...]
2020-07-17
[5]
문서
Calendar of Saints (Lutheran)
[6]
웹사이트
Prophet Elijah
https://www.saintsfe[...]
[7]
서적
Religious Interactions in Europe and the Mediterranean World: Coexistence and Dialogue from the 12th to the 20th Centuries
Taylor & Francis
[8]
서적
Waiting for the Dawn: An Autobiography
Th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9]
서적
The Old Testament: A Historical and Literary Introduction to the Hebrew Scriptures
Oxford University Press
[10]
백과사전
Elijah
Thomson Gale
[11]
서적
The Oxford Bible Commentary
Oxford University Press
[12]
서적
The Chosen People
http://biblehub.com/[...]
1859
[13]
성경
2 Kings 2:11
[14]
성경
2 Kings 2:3
[15]
성경
Malachi 4:5
[16]
웹사이트
Elijah Heralding the Redemption - Moshiach 101
https://www.chabad.o[...]
[17]
성경
Matthew 16:14
[18]
성경
Luke 1:11
[19]
서적
Encyclopaedia of the Qurʾān
https://archive.org/[...]
Brill
2002
[20]
서적
Great Ages and Ideas of the Jewish People
Modern Library
[21]
서적
The History of the Religion of Israel
Baker Book House
[22]
성경
Psalms 45:10
[23]
서적
The Interpreter's Bible
Abingdon Press
[24]
서적
A History of Ancient Israel and Judah
Westminster John Knox Press
[25]
서적
New Bible Dictionary
Tyndale Press
[26]
Jewish Encyclopedia
Elijah
http://jewishencyclo[...]
2007-04-08
[27]
백과사전
Elijah
Keter Publishing House
[28]
문서
Cogan, Mordechai. ''The Anchor Bible: I Kings.'' New York: Doubleday, 2001. p. 425.
[29]
서적
Oxford Dictionary of the Jewish Religion
Oxford University Press
[30]
성경
1 Kings 18:17
[31]
성경
1 Kings 17
[32]
웹사이트
The Peraea and the Dead Sea
http://www.christusr[...]
The Madaba Mosaic Map
2014-10-13
[33]
성경
1 Kings 17:13
[34]
성경
1 Kings 17:18
[35]
성경
1 Kings 17:22
[36]
Bible
1 Kings 17:24
[37]
Bible
1 Kings 18:21
[38]
Bible
1 Kings 18:27
[39]
Bible
1 Kings 18:33–34
[40]
Bible
1 Kings 18:39
[41]
Bible
1 Kings 19:1–13
[42]
EB1911
Elijah
[43]
Bible
1 Kings 19:11
[44]
Bible
1 Kings 21:19
[45]
Bible
2 Kings 1:6
[46]
Bible
2 Kings 1:17
[47]
Bible
2 Kings 2:8
[48]
웹사이트
Elijah
https://www.catholic[...]
2022-09-07
[49]
서적
The Anchor Bible: II Chronicles.
Doubleday and Company
[50]
간행물
Elijah.
Thomson Gale
[51]
서적
IVP New Bible Commentary 21st Century Edition
[52]
웹사이트
Jewish and Christian Bibles: Comparative Chart
http://catholic-reso[...]
[53]
Bible
Malachi 4:5-6
[54]
웹사이트
Elijah
https://web.archive.[...]
2021-04-28
[55]
웹사이트
Elijah
https://www.encyclop[...]
2021-07-25
[56]
Bible
Malachi 3:23 in Hebrew Bible
[57]
문서
Midrash Genesis Rabbah lxxi
[58]
문서
Aphraates, "Homilies," ed. Wright, p. 314; Epiphanius, "Hæres." lv. 3, passim
[59]
문서
Pirḳe R. El. xlvii.; Targ. Yer. on Num. xxv. 12
[60]
문서
Yalḳuṭ Reubeni, Bereshit, 9a, ed. Amsterdam
[61]
문서
Baba Metzia 14B
[62]
문서
Pirḳe R. El. xxix
[63]
문서
Tanna debe Eliyahu Zuṭa viii
[64]
문서
Tan., Peḳude, p. 128, Vienna ed
[65]
문서
Seder 'Olam R. xvii
[66]
문서
Ḳid. 70; Ber. R. xxxiv. 8
[67]
문서
Suk. 5a
[68]
문서
Compare Pirḳe R. El. xvi
[69]
Bible
Sirach 48:10
[70]
Bible
1 Kings 19
[71]
성경
Kings 18
[72]
성경
Kings 19:10
[73]
성경
Kings 18:4 and Kings 19:18
[74]
서적
Elijah, Chair of
Encyclopaedia Judaica. Jerusalem: Keter Publishing House
1971
[75]
서적
Elijah's Chair
Dictionary of Jewish Lore and Legend. London: Thames and Hudson
1991
[76]
서적
Elijah, Cup of
Encyclopaedia Judaica. Jerusalem: Keter Publishing House
1971
[77]
성경
Exodus 6:6–7
[78]
성경
Exodus 6:8
[79]
서적
Jewish Literacy
New York: William Morrow
2001
[80]
웹사이트
Rabbi Ario S. and Tess Hyams Judaica Museum
https://web.archive.[...]
Temple Beth Sholom
2007-06-23
[81]
서적
Legends of the Bible
Philadelphia: Jewish Publication Society of America
1956
[82]
성경
Exodus 6:25
[83]
성경
Numbers 25:13
[84]
서적
Legends of the Bible
Jewish Philadelphia: Publication Society of America
1956
[85]
서적
Legends of the Bible
Philadelphia: Jewish Publication Society of America
1956
[86]
서적
Tree of Souls: The Mythology of Judaism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87]
서적
The Book of Legends: Sefer Ha-Aggadah
New York: Schocken Books
1992
[88]
서적
Legends of the Bible
Philadelphia: Jewish Publication Society of America
1956
[89]
서적
Legends of the Bible
Philadelphia: Jewish Publication Society of America
1956
[90]
서적
Tree of Souls: The Mythology of Judaism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91]
서적
Legends of the Bible
Philadelphia: Jewish Publication Society of America
1956
[92]
서적
Tree of Souls: The Mythology of Judaism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93]
성경
Matthew 3:4, Mark 1:6
[94]
성경
John 1:21
[95]
성경
Luke 1:16–17
[96]
성경
Matthew 17:1–13, Mark 9:2–13 and Luke 9:28–36
[97]
성경
John 4:19
[98]
서적
The Anchor Bible: Matthew
New York: Doubleday
1971
[99]
서적
The Anchor Bible: Luke I–IX
New York: Doubleday
1981
[100]
뉴스
Hebrews 11:35
http://www.biblestud[...]
2015-09-25
[101]
뉴스
Hebrews 11
http://www.biblestud[...]
2015-09-25
[102]
뉴스
Hebrews 11
http://www.biblestud[...]
2015-09-25
[103]
서적
Martyrologium Romanum
Libreria Editrice Vaticana
2001
[104]
간행물
Calendar of Saints (Lutheran)
[105]
웹사이트
Why are Priests Celibate?
https://web.archive.[...]
2010-08-19
[106]
웹사이트
Sveti Ilija - zaštitnik Bosne i Hercegovine
http://www.vecernji.[...]
vecernji.ba
2012-07-21
[107]
웹사이트
Sveti Ilija – zaštitnik Bosne i Hercegovine
http://www.vecernji.[...]
Večernji list
2012-08-21
[108]
웹사이트
Sveti Jure i sveti Ilija u pučkoj pobožnosti katolika u Bosni i Hercegovini
http://www.svjetlori[...]
Svjetlo riječi
2016-08-06
[109]
웹사이트
Eliasz
https://deon.pl/imio[...]
2022-07-07
[110]
웹사이트
Пророк Илия́ Фесвитянин
https://azbyka.ru/da[...]
2022-07-07
[111]
웹사이트
St. Elijah, Spiritual Father of the Carmelite Order
https://www.ncregist[...]
National Catholic Register
2018-07-20
[112]
논문
Stories of Elijah and medieval Carmelite identity.
1995
[113]
서적
Elijah Prophet of Carmel.
Institute of Carmelite Studies Publications
2003
[114]
웹사이트
Thurston, Herbert. "The Bollandists and Their Work", The Tablet, July 27, 1907
http://archive.theta[...]
2017-04-16
[115]
웹사이트
"Controversies with Other Orders", The Order of Our Lady of Mount Carmel
http://carmelitenuns[...]
[116]
bibleverse
[117]
문서
"The Sun Myths of Modern Hellas"
1889
[118]
문서
translator, Sedulius' Carmen paschale, lines 184–187
http://www.pmcbrine.[...]
[119]
서적
From Plato to Lancelot: a preface to Chrétien de Troyes
https://books.google[...]
2008
[120]
문서
"The Pagan Element in the Names of Saints"
https://books.google[...]
1907
[121]
문서
Das alte Griechenland im neuen
1864
[122]
문서
[123]
문서
Monographie de la voie sacrée Éleusinienne
1864
[124]
bibleverse
[125]
bibleverse
[126]
서적
Zeus: A Study in Ancient Religion
https://books.google[...]
1925
[127]
서적
A Dictionary of Albanian Religion, Mythology, and Folk Culture
https://books.google[...]
NYU Press
2001
[128]
논문
"Christian and Pagan Strata in the East Slavic Cult of St. Nicholas: Polemical Notes on Boris Uspenskij's FilologiÄeskie Razyskanija v Oblasti Slavjanskix Drevnostej."
1984-07
[129]
서적
'Myth: Myths and Legends of the World Explored.'
Facts on File
1996
[130]
서적
Russian Magic: Living Folk Traditions of an Enchanted Landscape
https://books.google[...]
[131]
서적
Encyclopedia of Russian and Slavic myth and legend
https://books.google[...]
[132]
서적
Merriam-Webster's encyclopedia of world religions
https://books.google[...]
[133]
서적
Saint George: In Ancient Georgian Literature
Armazi – 89
1991
[134]
간행물
Lightning, Sacrifice, and Possession in the Traditional Religions of the Caucasus
https://www.jstor.or[...]
2004
[135]
서적
Zeus: A Study in Ancient Religion
[136]
간행물
The Mission of Elijah
https://www.churchof[...]
1981-08
[137]
간행물
I Have a Question: How can Elias, who appeared with Moses on the Mount of Transfiguration, be identified as both the Old Testament prophet Elijah and as John the Baptist?
https://www.churchof[...]
1999-07
[138]
서적
Teachings of the Prophet Joseph Smith
Deseret Book
[139]
간행물
Bible Dictionary, KJV (LDS)
The Church of Jesus Christ of Latter-day Saints
[140]
간행물
The Power of Elijah
https://www.churchof[...]
1974-05
[141]
성경
[142]
서적
4 Kings, 2:11
[143]
서적
The Holy Qur'an: Text, Translation and Commentary
[144]
서적
Stories of the Prophets (Ibn Kathir)|Stories of the Prophets
[145]
간행물
Elijah
[146]
웹사이트
Islamic View of the Coming/Return of Jesus
http://www.islamicpe[...]
2015-09-14
[147]
서적
Message of the Qur'an
[148]
서적
Dimensions of Islam
[149]
간행물
Encyclopedia of Islam
[150]
서적
Adventures of Amir Hamza
[151]
Qref
[152]
Qref
[153]
서적
The Holy Qur'an: Text, Translation and Commentary
[154]
서적
Holy Qur'an: Text, Translation, Commentary
[155]
서적
Stories of the Prophets (Ibn Kathir)|Stories of the Prophets
[156]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Prophets in Islam and Judaism
[157]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Prophets in Islam and Judaism
[158]
서적
The Adventures of Amir Hamza
[159]
서적
Kitab al-Kafi
The Islamic Seminary Inc.
2015
[160]
서적
Stories of the Prophets (Ibn Kathir)|Stories of the Prophets
[161]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Prophets in Islam
[162]
서적
Encyclopedia of Sacred Places, 2nd Edition [2 volumes]
ABC-CLIO
[163]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Druzes
Rowman & Littlefield
[164]
서적
Holy Places in the Israeli-Palestinian Conflict: Confrontation and Co-existence
Routledge
[165]
서적
Religious Interactions in Europe and the Mediterranean World: Coexistence and Dialogue from the 12th to the 20th Centuries
Taylor & Francis
[166]
서적
Peace is in the Eye of the Beholder
Walter de Gruyter GmbH & Co KG
[167]
서적
Cannabis and the Soma Solution
Rowman & Littlefield
[168]
서적
Religious Interactions in Europe and the Mediterranean World: Coexistence and Dialogue from the 12th to the 20th Centuries
Taylor & Francis
[169]
서적
God Passes By
http://reference.bah[...]
Baháʼí Publishing Trust
[170]
서적
Bahá'u'lláh and the New Era
http://reference.bah[...]
Baháʼí Publishing Trust
[171]
서적
The Holy Bible ... with a Commentary and Critical Notes, Volume II
[172]
성경
[173]
서적
Old Testament Library, I & II Kings
SCM Press
[174]
서적
The First Book of King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75]
인용
[176]
웹사이트
Rowley, H.H., "Elijah on Mount Carmel", p. 210 et seq., The John Rylands Library, University of Manchester
https://www.escholar[...]
[177]
웹사이트
Morgenstern, Julian. ''The Fire Upon the Altar'', Brill Archive, 1963, p. 65
https://books.google[...]
1994-06
[178]
성경
[179]
웹사이트
The Fate of Enoch and Elijah
http://www.concordan[...]
Concordant Publishing Concern
2014-05-04
[180]
서적
International Standard Bible Encyclopedia: E–J
[181]
서적
The handbook of Jewish thought
1992
[182]
서적
Josephus' story of the later monarchy: (AJ 9, 1–10, 185)
[183]
성경
[184]
성경
[185]
성경
[186]
성경
[187]
성경
[188]
서적
Wrested Scriptures
2020-07
[189]
서적
A synopsis of criticisms upon those passages
1847
[190]
성경
[191]
성경
[192]
웹사이트
Elijah the prophet
http://www.lastdays-[...]
2014-03-25
[193]
웹사이트
Baháʼí Reference Library – God Passes By
http://reference.bah[...]
Reference.bahai.org
2010-12-31
[194]
웹사이트
Baháʼí Reference Library – Bahá'u'lláh and the New Era
http://reference.bah[...]
Reference.bahai.org
2010-12-31
[195]
웹사이트
Debate between NOI member and I
https://www.angelfir[...]
2017-02-08
[196]
서적
Waiting for Elijah: Time and Encounter in a Bosnian Landscape
Berghahn Books
2018
[197]
웹사이트
Link to on-line biography of Lorenzetto from Vasari's ''Vite''
http://www.efn.org/~[...]
Efn.org
2014-03-05
[198]
서적
Philip K. Dick: The Last Testament
Fragments West/The Valentine Press
1985
[199]
서적
Windows to Grace
Lund Humphries
2011
[200]
뉴스
The Magician
http://www.wdl.org/e[...]
1917-01-01
[201]
웹사이트
ELIJAH (a Hebrew name ... - Online Information article about ELIJAH (a Hebrew name ...
http://encyclopedia.[...]
[202]
문서
ヨハネ1:21ほか
[203]
문서
列上17:1-2
[204]
문서
列上18:1-2
[205]
문서
列上18:19
[206]
문서
列上(口語訳)18:20-40
https://ja.wikisourc[...]
[207]
문서
列上18:45,19:1-8
[208]
문서
列上19:15-16
[209]
문서
列上21:1-24
[210]
문서
列上21:27-29
[211]
성경
열왕기하 2:11
[212]
성경
열왕기하 8:7-15
[213]
성경
열왕기하 9:1-29
[214]
성경
마태복음 17:3
[215]
성경
마태복음 16:14, 17:10
[216]
성경
열왕기상 18:17~40
[217]
백과사전
엘리야
글로벌 세계 대백과
[218]
성경
열왕기상 18:4-5
[219]
성경
열왕기하 2:9~11
[220]
성경
열왕기하 2:1~2
[221]
성경
열왕기하 2:2~4
[222]
성경
열왕기하 2:4~6
[223]
성경
열왕기하 2:11-12
[224]
기타
주의 변모주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