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동부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동부채는 기업이 1년 이내에 상환해야 하는 부채를 의미하며, 지급 어음, 매입 채무, 단기 차입금, 1년 이내 상환 예정 장기 부채, 미지급금, 미지급 비용, 선수금, 예수금, 선수 수익, 상여금 충당금, 미지급 법인세, 미지급 소비세 등이 있다. 지급 어음은 상품 구매 후 대금 지급을 약속하며 발행하는 어음이며, 매입 채무는 상품 외 자산 매입으로 발생한 채무를, 단기 차입금은 1년 이내 상환 조건으로 빌린 자금을, 1년 이내 상환 예정 장기 부채는 장기 부채 중 1년 내 만기가 도래하는 부채를 의미한다. 선수금은 상품 판매 전에 미리 받은 대금이며, 예수금은 기업이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금액, 미지급 비용은 발생했지만 아직 지급되지 않은 비용을 뜻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계정 과목 - 자본
자본은 경제학에서 생산의 3요소 중 하나이며 회계학에서는 순자산을, 법학에서는 출자액을 의미하고, 잉여가치 창출 및 사회경제적 불평등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개념이다. - 계정 과목 - 매출액
매출액은 기업이 상품이나 서비스 판매로 얻은 수익을 나타내는 경영 지표로, 순매출액, 매출총이익, 영업이익, 순이익 등으로 구분되며 손익계산서에 기록되어 재무상태 분석에 활용된다. - 회계 - 감가상각
감가상각은 시간 경과, 사용, 노후화에 따른 자산 가치 감소를 회계적으로 인식하는 방법으로, 취득 원가를 내용연수에 걸쳐 배분하여 수익과 비용을 일치시키고 재무 상태 파악에 기여하며, 유형자산에 적용되지만 토지 등은 제외되고, 정액법, 정률법 등 다양한 방법이 존재하며, 세법상 한도가 제한되고 국가별로 상이한 제도를 운영한다. - 회계 - 배당
배당은 기업이 이익을 주주에게 분배하는 것으로, 네덜란드 동인도회사가 최초로 정기적인 배당을 지급한 사례로 알려져 있으며, 신뢰도 향상 및 자본 조달에 기여하고, 현금, 주식, 현물 등 다양한 형태로 지급되며, 배당 수익률, 배당 성향 등으로 평가된다. - 사회 및 사회과학 - 지리학
지리학은 지구와 천체의 특징, 현상, 그리고 공간적 요소를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 고대부터 현재까지 이어진다. - 사회 및 사회과학 - 인류학
인류학은 인간의 생물학적, 문화적, 사회적 측면을 종합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 형질인류학, 문화인류학, 고고학, 언어인류학 등의 분야로 나뉘어 인간의 진화, 문화적 다양성, 사회 조직, 언어의 기원과 발전을 탐구하며, 학제 간 연구를 통해 인간과 사회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추구한다.
유동부채 | |
---|---|
개요 | |
정의 | 현금으로 결제될 사업체의 부채 |
분류 | 대차 대조표의 유동부채로 분류 1년 이내 또는 정상적인 영업 주기 내에 결제될 것으로 예상됨 |
특징 | |
일반적인 형태 | 매입채무 미지급 비용 미지급 급여 단기 차입금 미지급 법인세 선수 수익 유동성 장기 부채 |
중요성 | 회사의 유동성 및 재무 건전성 평가에 중요 |
고려 사항 | 부채의 규모 만기일 이자율 |
측정 및 인식 | |
측정 기준 | 일반적으로 역사적 원가 또는 공정 가치로 측정 |
인식 시점 | 부채가 발생하고 금액을 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있을 때 |
회계 처리 | |
대차 대조표 표시 | 유동 부채는 대차 대조표의 부채 섹션에 표시 |
주석 공시 | 유동 부채의 성격, 금액, 만기일 등에 대한 추가 정보 공시 |
예시 | |
매입 채무 | 상품 또는 서비스 구매에 대한 미지급 금액 |
미지급 비용 | 발생했지만 아직 지불하지 않은 비용 (예: 미지급 임금, 미지급 이자) |
단기 차입금 | 1년 이내에 만기가 도래하는 차입금 |
관리 | |
중요성 | 유동 부채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것은 회사의 재무적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 |
방법 | 현금 흐름 관리 부채 만기일 추적 자금 조달 옵션 모니터링 |
기타 | |
관련 개념 | 유동 자산 운전자본 재무 비율 |
2. 주요 유동부채
기업의 영업 활동이나 재무 활동 과정에서 다양한 종류의 유동부채가 발생할 수 있다. 주요 유동부채 계정 과목과 영문 명칭은 다음과 같다. 각 항목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해당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계정 과목 | 영문 |
---|---|
지급 어음 | Notes payable |
매입 채무 | Accounts payable-trade |
단기 차입금 | Short-term debt |
1년 이내 상환 예정 장기 차입금 | Long-term debt within a year |
미지급금 | Accounts payable-other |
미지급 비용 | Accrued expense |
선수금 | Receipt in advance |
예수금 | Receipt in trust |
선수 수익 | Income in advance |
상여금 충당금 | Allowance for bonus |
미지급 법인세 등 | Income taxes payable |
미지급 소비세 | Consumption tax payable |
2. 1. 매입 채무
기업이 상품이나 서비스를 외상으로 구매하면서 발생하는 채무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상품 거래에서 발생한 외상 매입금을 가리키며, 영문으로는 Accounts payable-trade|어카운츠 페이어블-트레이드eng라고 한다. 지급 어음과 함께 기업의 주요 영업 활동에서 발생하는 채무를 구성한다.2. 1. 1. 지급 어음 (Notes payable)
기업이 상품 등을 구매하고 대금 지급을 약속하며 발행하는 어음이다. 영문으로는 Notes payable|노츠 페이어블eng이라고 한다.2. 1. 2. 미지급금 (Accounts payable-other)
미지급금 Accounts payable-othereng은 상품 이외의 자산(예: 유가증권, 토지, 건물 등)을 구입하고 아직 지급하지 않은 채무를 말한다.2. 2. 단기 차입금 (Short-term debt)
단기 차입금(Short-term debt|쇼트텀 뎃eng)은 금융기관 등으로부터 1년 이내에 상환해야 하는 조건으로 빌린 자금을 의미한다. 이는 유동부채의 한 종류에 해당한다.2. 3. 1년 이내 상환 예정 장기 부채 (Long-term debt within a year)
장기 부채 중에서 상환 기한이 1년 이내로 다가온 부채를 말한다. 회계 계정 과목으로는 '''1년 이내에 상환 예정인 장기 차입금'''(Long-term debt within a yeareng)으로 표기한다.2. 4. 선수금 (Receipt in advance)
선수금(Receipt in advance|리시트 인 어드밴스eng)은 상품 등을 판매하기 전에 미리 받은 대금을 의미한다. 유동부채 계정 과목 중 하나이다.2. 5. 예수금 (Receipt in trust)
예수금( Receipt in trust|리시트 인 트러스트eng )은 기업이 일시적으로 보관하고 있는 금액을 말한다. 주로 종업원의 급여를 지급할 때 소득세나 건강보험료, 국민연금 등을 미리 공제하여 잠시 보관하는 금액이 이에 해당한다. 이 금액은 나중에 해당 기관에 납부해야 할 의무가 있으므로 부채로 처리된다.2. 6. 미지급 비용 (Accrued expense)
미지급 비용(Accrued expenseeng)은 이미 발생한 비용 중 아직 지급되지 않은 금액을 의미한다. 이는 유동부채의 한 종류이다.2. 7. 선수 수익 (Income in advance)
선수 수익(Income in advanceeng)은 이미 수익을 얻었으나, 아직 제공하지 않은 미래의 용역에 대해 미리 받은 금액을 의미한다.2. 8. 충당금
미래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특정 비용이나 손실에 대비하여 미리 회계 장부에 비용으로 인식하고 적립해 두는 금액이다. 유동부채에 속하는 충당금의 예시로는 상여금 충당금 등이 있다.2. 8. 1. 상여금 충당금 (Allowance for bonus)
유동부채의 한 종류로, 종업원에게 지급할 상여금에 대비하여 미리 설정하는 충당금이다. 영어로는 Allowance for bonuseng라고 표기한다.2. 9. 미지급 세금
미지급 세금은 기업 등이 납부해야 할 세금 중 아직 납부하지 않은 금액을 의미하는 부채이다. 유동부채의 한 종류로 분류되며, 대표적인 예로는 미지급 법인세 등과 미지급 소비세 등이 있다. 각 항목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2. 9. 1. 미지급 법인세 등 (Income taxes payable)
미지급 법인세 등은 유동부채의 한 종류로, 기업이 납부해야 할 법인세나 소득세 등을 아직 납부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계정 과목이다. 영문으로는 Income taxes payable|인컴 택시스 페이어블eng이라고 한다.2. 9. 2. 미지급 소비세 (Consumption tax payable)
미지급 소비세(未支給消費税|미지급 소비세jpn, Consumption tax payable)는 유동부채의 한 종류이다.[1] 주로 일본의 회계에서 사용되는 계정 과목으로, 상품 판매나 서비스 제공 시 거래 상대방으로부터 징수한 소비세 중 아직 세무서에 납부하지 않은 금액을 의미한다. 이는 한국의 부가가치세와 유사한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한국의 기업회계기준에서는 일반적으로 '미지급 부가가치세' 또는 관련 예수금 계정 등으로 처리하며, '미지급 소비세'라는 계정 과목을 직접 사용하지는 않는다.참조
[1]
서적
Financial ratio analysis
2012-12-15
[2]
문서
건설업における建設業会計|未成工事受入金も流動負債に含まれるが、一般に流動比率・当座比率の算出からは除外され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