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서 (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서는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집대성한 책으로, 중국에서 시작되어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 여러 나라에서 중요한 지적 자산으로 여겨졌다. 중국에서는 전국시대 여불위의 《여씨춘추》를 시작으로, 황실에서 편찬한 《황람》, 수·당 시대의 《북당서초》, 송나라의 《태평어람》, 명나라의 《영락대전》, 청나라의 《고금도서집성》 등 시대별로 다양한 유서가 편찬되었다. 한국에서는 고려 시대에 《고금록》이 편찬되었으며, 조선 시대에는 국가 주도로 실용적인 내용을 담은 유서와 실학 사상을 반영한 유서가 등장했다. 유서는 지식의 보급과 문화 발전에 기여했지만, 과거 시험에서 유서에 의존하는 경향이 나타나면서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했다. 현대에는 백과사전 편찬에 영향을 미쳤으며, 체계적인 정보 분류 방식은 여전히 가치를 지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앤솔러지 - 필로칼리아
    필로칼리아는 4세기부터 15세기 동방 기독교 영성가들의 글을 모은 선집으로, 주로 헤시카즘 전통에 따른 내적 기도와 영적 수련에 대한 가르침을 담고 있으며, 다양한 언어로 번역되어 폭넓은 독자층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 앤솔러지 - 마네세 법전
    마네세 법전은 14세기 초에 제작된, 135명의 민네징어들의 작품과 초상화를 담고 있는 선집으로, 현재 하이델베르크의 팔라티나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 참고 문헌 - 시소러스
    시소러스는 특정 단어나 개념의 유의어, 상위어, 하위어를 모아놓은 사전으로, 어휘의 의미 관계를 보여주며 글쓰기, 번역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 참고 문헌 - 지도첩
    지도첩은 특정 지역이나 주제의 지리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여러 장의 지도를 엮어 놓은 책으로, "아틀라스"라는 명칭으로도 불리며 도시계획, 환경 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중국어 백과사전 - 몽계필담
    몽계필담은 북송 시대의 과학자이자 정치가였던 신 과가 은퇴 후 저술한 책으로, 천문학, 수학, 지질학, 인쇄술, 나침반, 석유 등 다양한 분야의 과학기술과 사회, 문화, 사상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으며, 활판인쇄술과 나침반에 대한 세계 최고(最古)의 기록을 포함하고 있다.
  • 중국어 백과사전 - 생명의 백과사전
    생명의 백과사전은 다양한 온라인 데이터 소스에서 정보를 수집하여 유기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계층적 분류 시스템을 통해 데이터를 탐색할 수 있도록 하는 집계 환경이다.
유서 (책)
도서 정보
제목유서
원제슬픔이여, 안녕 (프랑스어: Bonjour tristesse)
브람스를 좋아하세요… (프랑스어: Aimez-vous Brahms…)
저자프랑수아즈 사강
언어프랑스어
출판 국가프랑스
슬픔이여, 안녕 (Bonjour tristesse)
출판일1954년
장르소설
사조실존주의
브람스를 좋아하세요… (Aimez-vous Brahms…)
출판일1959년

2. 역사

유서는 중국에서 시작되어 한국, 일본 등 동아시아 각국으로 전파되어 발전하였다.

2. 1. 중국

선진(先秦) 시대부터 중국에서 유서가 편찬되기 시작했다. 시대별로 다양한 목적과 형태를 띠며 발전했다.

2. 1. 1. 선진 ~ 남북조 시대

초기 유서는 제자백가의 사상을 통합하고 정리하는 데 중점을 두었는데, 전국시대 (秦)의 상국(相國) 여불위(吕不韦)가 주도한 《여씨춘추》(吕氏春秋)가 대표적이다.[4] 삼국시대 위 문제(魏文帝) 때 편찬된 《황람》(皇覽)은 황제만 열람할 수 있는 유서로, 이후 유서 편찬의 모범이 되었다.[5]

남북조 시대에는 다양한 주제와 방대한 분량의 유서가 편찬되어 유서의 번영기를 맞았다. 이 시대를 대표하는 유서로는 劉杳|유묘중국어의 《수광서원》(寿光书苑, 200권), 刘峻|유준중국어의 《유원》(类苑, 120권), 徐勉|서면중국어의 《화림편략》(华林遍略, 620권), 祖珽|조정중국어의 《수문전어람》(修文殿御览, 360권) 등이 있다.

2. 1. 2. 수·당 시대

현존하는 가장 이른 시기의 유서로, 비교적 완질이 남아있는 것은 · 시기에 우세남(虞世南)이 편찬한 《북당서초(北堂書鈔)》(원래 173권)이다. 당대에 유서는 상당히 발전하였는데, 현존하는 당대의 유서는 《북당서초》, 당 고조(唐高祖)의 명으로 구양순(歐陽詢)이 주도하여 편찬한 《예문유취(藝文類聚)》(100권), 서견(徐堅)이 지은 《초학기(初學記)》, 《백씨육첩(白氏六帖)》 네 종류가 있다.

2. 1. 3. 송·원·명·청 시대

송대에는 지식의 집대성과 정리에 기여한 대규모 유서들이 편찬되었다. 송 태종의 명으로 이방 등이 편찬한 《태평광기》(太平廣記, 500권)와 《태평어람》(太平御覽, 1000권), 왕흠약 등이 편찬한 《책부원귀》(冊府元龜, 1000권), 그리고 1267년 남송왕응린이 편찬한 《옥해》(玉海, 240권)가 대표적이다.

명대에는 해진, 요광효 등이 편찬한 《영락대전》(永樂大典, 22877권)이 있었으나, 전란으로 대부분 소실되었다. 명대에는 유서체 형식의 문언소설 편집 및 간행이 전성기를 맞이했는데, 왕근의 《패사휘편》(稗史彙編), 섭향고(葉向高)의 《설류》(說類), 동사장(董斯張)의 《광박물지》(廣博物志) 등이 대표적이다. 또한 명 만력 연간에는 통속적인 생활 정보를 담은 일용유서(日用類書)가 성행하여 서민들의 생활에 영향을 미쳤다. 《사림광기》(事林广记), 《거가필용사류전집》(居家必用事类全集), 《신각천하사면편람삼태만용정종》(新刻天下四民便览三台万用正宗, 약칭 삼태만용정종) 등이 이러한 일용유서에 속한다.

청대에는 진몽뢰와 장정석이 편찬한 《고금도서집성》(古今圖書集成)이 편찬되었는데, 이는 현존하는 중국 최대 규모의 유서이다. 청 가경 연간에는 과거 시험 부정행위에 유서가 이용되면서 유서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이 등장하기도 했다.[7]

2. 2. 한국

이전 출력에서는 원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아 내용을 작성할 수 없었습니다. 원본 소스가 제공되면 지시사항에 따라 위키텍스트를 작성하겠습니다.

3. 체재

유서는 시대와 편찬 목적에 따라 다양한 체재를 갖는다. 초기 유서는 경(經), 사(史), 자(子), 집(集)의 사부(四部) 분류 체계에 명확히 포함되지 않는 특수한 형태였다.[6] 위진남북조 시대에는 사부(史部), 즉 역사서로 분류되었고, 《수서》(隋書)·경적지(經籍志)에는 자부(子部), 즉 철학 사상서로 분류되었다.[6] 당송 시대에는 자부 안에 새롭게 유사(類事)라는 항목이 만들어져 유서를 이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했다.[6]사고전서》는 《수서》의 분류를 따라 유서를 자부로 분류했다.

4. 평가

유서는 고대 학자들이 경전을 정리하고 학문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탄생한 중요한 지적 산물이다. 유서는 정해진 목차에 따라 정보를 분류, 집적하여 열람을 편리하게 하고, 유실된 고서의 내용을 보존하여 지식의 보급과 문화 발전에 기여했다.[8]

그러나 과거 제도가 실시된 후, 유서는 독서의 지름길로 여겨지면서 비판적인 시각도 등장했다.[9] 유서가 책의 일부분, 글의 단편만을 따다 실어놓은 것이기에, 사람들이 책을 시간을 들여 읽고 자신의 머리로 생각하지 않고 유서만 읽고서 그 책을 다 읽었다고 착각하는 등 독서를 겉핥기로만 하는 문제를 야기한다고 여겼기 때문이다.[10][11][12][13]

참조

[1] 서적 唐诗杂论中的《类书与诗》
[2] 서적 燕京大学图书馆目录初稿
[3] 서적 文献学概要
[4] 서적 漢書·藝文志
[5] 서적 玉海
[6] 논문 论〈明史艺文志〉与〈千顷堂书目〉之关系 上海古籍出版社 1999
[7] 웹인용 連筠簃叢書(第三卷) http://google.com/bo[...] 1848
[8] 웹인용 朱升《小四書》研究 http://rportal.lib.n[...] 2017-01
[9] 웹인용 印刷與考試 : 宋代考試用參考書初探 https://ah.nccu.edu.[...] 2000-05
[10] 웹인용 宋代科舉社會 http://google.com/bo[...] 國立臺灣大學出版中心 2015-12-15
[11] 웹인용 类书的源流和作用 http://lgb.bhgbzx.go[...]
[12] 웹인용 南宋的出版市場與流通空間探究 — 以科考用書及醫書為主要討論 http://docsplayer.co[...] 2020-05-27
[13] 웹인용 古代也有「五年高考,三年模拟」? http://new.qq.com/om[...] 2018-06-07
[14] 서적 百科全书的故事 北京图书馆出版社 2005-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