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카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카르는 아이누 민족의 구전 문학으로, 킨다이치 쿄스케의 분류에 따라 인간의 유카라(영웅 서사시)와 카무이 유카라(신요)로 나뉜다. 인간의 유카라는 폰야운페라는 소년의 모험담을 주로 다루며, 카무이 유카라는 카무이가 1인칭으로 이야기하는 형식으로 아이누의 세계관을 반영한다. 유카르는 구전으로 전승되었으며, 무역과 부모의 죽음, 자연과의 관계를 주요 주제로 한다. 킨다이치 쿄스케 교수에 의해 일본어로 번역되었으며, 영어 번역 및 연구도 이루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이누 신화 - 에비스 (신화)
    에비스는 일본 신화에 등장하는 어업, 상업, 행운의 신으로, 칠복신 중 하나이며, 바다와 관련된 기원을 가지며 상업 번영의 신으로도 숭배받는다.
  • 아이누 신화 - 코로폭쿠르
    코로폭쿠르는 아이누 민족의 전설에 등장하는 작은 요정 종족으로, 홋카이도에서는 농업 기술을 가르쳐 준 은인으로, 사할린에서는 문신을 한 모습으로, 치시마 열도에서는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존재로 묘사되지만, 고고학적 증거 부족과 츠보이 쇼고로의 '프리 아이누설' 논쟁, 그리고 조몬인과의 연관성 연구 등 아이누 민족 기원과 관련되어 논의된다.
  • 아이누 문화 - 우포포이
    우포포이는 아이누 문화 부흥과 발전을 위한 거점으로, 아이누 민족 박물관, 민족 공생 공원, 위령 시설 등으로 구성되어 아이누 문화와 역사를 전시하고 체험할 수 있는 시라오이정의 공간이다.
  • 아이누 문화 - 카무이
    카무이는 일본 아이누족 신화에서 영적인 존재를 의미하며, 동물, 식물, 자연 현상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인간과의 소통은 구전 서사시를 통해 이루어진다.
  • 일본의 음악 - 우타이테
    우타이테는 '불러보았다' 영상을 통해 활동하는 아마추어 가수로, 기존 악곡이나 보컬로이드 커버 곡을 주로 부르며, 보컬로이드 인기와 함께 성장하여 오리지널 곡을 발표하는 넷 싱어와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있으며, 다양한 미디어 작품의 소재로도 활용된다.
  • 일본의 음악 - 비주얼계
    비주얼계는 1980년대 일본 언더그라운드 음악 씬에서 시작되어 화려한 외모와 패션을 특징으로 하는 문화 현상으로, 1990년대 전성기를 거쳐 쇠퇴 후 현재까지 일본 대중문화의 일부로 남아 재평가되고 있다.
유카르

2. 어원 및 명칭

이전 단계에서 원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아 내용을 작성할 수 없었습니다. 따라서 수정할 내용도 없습니다. 원문 소스가 제공되면 지침에 따라 위키텍스트를 작성하고 수정할 수 있습니다.

3. 종류

(요약이 비어 있으므로 내용을 채울 수 없습니다.)

4. 특징

유카르는 짧은 것부터 며칠씩 걸려 이야기되는 긴 것까지 다양하다. 아이누는 문자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구전으로 전해져 왔다.

4. 1. 구전 전승

아이누는 문자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구전으로 전해져 왔다. 짧은 것부터 며칠씩 걸려 이야기되는 긴 것까지 있다.

아이누 민족이자 아이누 문화 연구자인 가야노 시게루는 "유카ㇻ"라는 말에 대해 "'이탓에유카ㇻ=말하는 방식을 흉내 냄', '악카시에유카ㇻ=걷는 방식을 흉내 냄', '이페에유카ㇻ=먹는 방식을 흉내 냄' 등과 같이 드문 말이 아니라 아주 흔하게 사용되고 있다. 내가 이야기한 유카ㇻ도 내가 작가가 아니라, 아주 옛날 아이누가 이야기했고, 그것을 누군가가 흉내 내어 입에서 입으로 전해져 왔으며, 나도 그것을 흉내 내게 되었다."고 한다.[1]

킨다이치 쿄스케의 분류에 따르면, 유카라는 "인간의 유카라"(영웅 서사시)와 "카무이 유카라"(신요)의 두 종류로 나뉜다. 인간(아이누)을 중심으로 이야기되는 유카라는 주로 폰야운페라고 불리는 소년이 활약하는 모험담이다.[2]

"카무이 유카라"는 카무이가 1인칭으로 이야기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으며, 사케헤라고 불리는 반복어가 특징이며, 아이누의 세계관을 반영한 신들의 세계의 이야기이다. 그 중에는 신, 자연과 인간의 관계에 대한 가르침이 포함되어 있다.[3]

산문의 이야기는 아이누어로는 우에페케레라고 한다.[4]

아이누 사람들은 문자를 가지지 않은 아이누어로, 자연의 신들의 신화와 영웅의 전설을 구전으로 풍부하게 표현하며 이야기해 왔다. 최근 아이누어·아이누 문화의 쇠퇴와 함께, 유카라를 비롯한 구전 문학의 화자도 점차 줄어들었지만, 아이누어·아이누 문화의 부흥 운동 속에서 구전 문예를 연습·습득한 새로운 화자도 성장하고 있다.[5]

유카라는 히다카 서부·이부리·이시카리 등에서의 명칭이며, 도카치나 구시로에서는 사코ㇿ페(sakorpe), 히다카 동부(우라카와·사마니)에서는 야이라ㇷ゚(yayrap)라고 부르며, 주인공의 이름도 오타스툰쿠ㇽ(오타스 사람) 등이 된다.[6]

가라후토 아이누어에서 유카라(yuukara)는 단순히 노래를 가리키는 말이며, 서사시는 하우키(hawki)라고 부른다.

4. 2. 다양한 길이

유카르는 짧은 것부터 며칠씩 걸려 이야기되는 긴 것까지 다양하다. 아이누는 문자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구전으로 전해져 왔다.

아이누 민족이자 아이누 문화 연구자인 가야노 시게루는 "유카ㇻ"라는 말에 대해 "'이탓에유카ㇻ=말하는 방식을 흉내 냄', '악카시에유카ㇻ=걷는 방식을 흉내 냄', '이페에유카ㇻ=먹는 방식을 흉내 냄' 등과 같이 드문 말이 아니라 아주 흔하게 사용되고 있다. 내가 이야기한 유카ㇻ도 내가 작가가 아니라, 아주 옛날 아이누가 이야기했고, 그것을 누군가가 흉내 내어 입에서 입으로 전해져 왔으며, 나도 그것을 흉내 내게 되었다."고 설명한다.

4. 3. 1인칭 서술

Yukarain는 모두 1인칭으로 서술된다. 몇몇 이야기는 올빼미, 늑대, 여우와 같은 동물의 관점을 통해 세상을 묘사한다. 동물 외에도 강, 계곡, 바다를 포함한 자연 세계의 모든 것이 이야기 속에서 그들의 목소리를 낼 수 있다. 동물과 자연의 1인칭 서술은 아이누족의 강력한 상상력을 보여준다.[4]

"카무이 유카라"는 카무이가 1인칭으로 이야기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으며, 사케헤라고 불리는 반복어가 특징이며, 아이누의 세계관을 반영한 신들의 세계의 이야기이다. 그 중에는 신, 자연과 인간의 관계에 대한 가르침이 포함되어 있다.

4. 4. 동물의 관점

Yukarain는 모두 1인칭으로 서술된다. 몇몇 이야기는 올빼미, 늑대, 여우와 같은 동물의 관점을 통해 세상을 묘사한다. 동물 외에도 강, 계곡, 바다를 포함한 자연 세계의 모든 것이 이야기 속에서 그들의 목소리를 낼 수 있다. 동물과 자연의 1인칭 서술은 아이누의 강력한 상상력을 보여준다.[4]

5. 주요 주제

유카르ain 이야기에서 흔히 나타나는 두 가지 주요 주제는 무역과 부모의 죽음이다. 외국인과의 갈등, 내륙 침략자들의 공격, 와진 마을에서의 문제 등 무역 활동과 관련된 다양한 위험이 존재했다. 이러한 위험은 부모의 죽음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나타나기도 한다.[3]

5. 1. 무역

아이누와 와진 사이의 무역은 14세기부터 19세기 중반까지 지속되었다. 와진은 일본 민족을 가리킨다. 아이누어에서 와진과의 무역을 우이맘ain이라고 부른다. 아이누-와진 무역은 처음에는 우호적인 관계였으나, 와진이 무역을 통해 아이누를 통제하고 지배하려 하면서 관계가 변화했다.[3]

무역에 대한 두 가지 이야기 패턴이 있다.[3]

# 무역 난관 패턴: 영웅들이 와진 마을에서 문제에 부딪히지만, 이를 극복하고 부자가 되는 이야기이다.

# 무역 살인 패턴: 영웅들이 와진 마을에서 살해당하는 이야기이다.

두 패턴 모두 무역과 관련된 위험을 보여준다. 첫 번째 패턴에서는 모든 문제가 해결되고 영웅들이 부유하고 성공하게 되는 반면, 두 번째 패턴에서는 주요 등장인물 중 일부가 살해당하고, 살아남은 영웅이 가문을 잇는 책임을 지게 된다.[3]

유카르ain "폰 오타스툰쿠르와 그의 아들을 구한 늑대 신의 이야기"는 교역과 부모의 죽음이라는 두 가지 주제를 보여준다. 이 이야기는 교역의 위험과 부모의 죽음 사이의 연관성을 보여준다.[3]

주인공 폰 오타스툰쿠르는 고아로, 늑대 신인 노인에 의해 길러진다. 늑대 신은 폰 오타스툰쿠르를 와진 마을로 데려가 교역을 하게 하고, 폰 오타스툰쿠르는 와진 마을 통치자의 딸과 결혼한다. 그들은 마을로 돌아오지만, 다른 마을 사람들과의 싸움에서 폰 오타스툰쿠르와 그의 아내는 죽는다. 그들의 아들은 늑대 신에 의해 다시 와진 마을로 보내져 교역을 하게 되고, 결국 마을을 구하고 치유한다.[3]

5. 2. 부모의 죽음

유카르ain 이야기에서 흔히 나타나는 두 가지 주제는 무역과 부모의 죽음이다. 유카르ain의 또 다른 주제는 부모의 죽음이다. 서사시에서 주인공들은 어린 나이에 부모를 모두 잃는다. 아이누 문화에서 유카르ain의 이러한 영웅적 인물들은 스스로 살아남거나 신들의 도움을 받는다. 고아가 성장하여 외부인과의 교역을 시작하는 행위는 유카르ain에서 영웅적인 행위로 여겨진다. 교역으로 인한 위험은 유카르ain에서 부모의 죽음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3]

유카르ain "폰 오타스툰쿠르와 그의 아들을 구한 늑대 신의 이야기"는 교역과 부모의 죽음이라는 두 가지 주제를 드러낸다. 이 이야기는 교역의 위험과 부모의 죽음이라는 두 가지 주제 사이의 연관성을 보여준다.[3]

주인공 폰 오타스툰쿠르는 고아이다. 그의 부모는 모두 세상을 떠난다. 그는 늑대 신이 진짜 정체인 노인에 의해 마을에서 길러진다. 폰 오타스툰쿠르가 충분히 자라자 늑대 신은 그를 와진 마을로 데려가 교역을 하게 한다. 와진 마을 통치자의 딸은 폰 오타스툰쿠르와 사랑에 빠져 그와 결혼한다. 그들은 와진 마을을 떠나 함께 마을로 돌아온다. 어느 날, 다른 마을 사람들이 폰 오타스툰쿠르와 싸움을 시작하여 그가 와진과의 교역으로 얻은 돈을 빼앗으려 한다. 불행하게도, 폰 오타스툰쿠르와 그의 아내는 이 싸움에서 모두 죽는다. 그들의 아들은 부모를 모두 잃고 아버지와 같은 운명을 반복한다. 늑대 신은 폰 오타스툰쿠르의 아들을 키워 그를 와진 마을로 데려가 교역을 하게 한다. 이야기의 마지막에서, 그들은 마을을 손상으로부터 성공적으로 구출하고 치유한다.[3]

5. 3. 자연과의 관계

Yukarain는 모두 1인칭으로 서술된다. 몇몇 이야기는 올빼미, 늑대, 여우와 같은 동물의 관점을 통해 세상을 묘사한다. 동물 외에도 강, 계곡, 바다를 포함한 자연 세계의 모든 것이 이야기 속에서 그들의 목소리를 낼 수 있다. 동물과 자연의 1인칭 서술은 아이누족의 강력한 상상력을 보여준다.[4]

문학 작품에서 자연을 관찰하고 창조하는 것은 수 세대에 걸친 사냥, 채집, 어로 활동을 통해 얻은 경험에서 비롯된다. 이는 자연 세계에 대한 서구 과학의 관점, 즉 객관적이고 거리를 두는 시각과는 매우 다르다. 아이누족은 먼저 자연에 참여한 다음, 그들이 보고 경험한 생물과 그들의 생활 환경을 묘사한다. yukarain 서술에서 반복되는 리듬구는 동물의 영혼의 울부짖음, 비명, 갉아먹는 소리, 또는 미끄러지는 소리를 흉내낸다. 또한 뱀이 풀밭을 지나가는 것과 같은 행동도 모방한다. 히라메 카레피아의 chironnupu kamuiain (여우 영혼) yukarain의 낭송에는 pau 소리로 시작하는 후렴구가 있다. 이는 아이누 문화에서 여우의 울음소리를 전통적으로 의성어로 표현한 것이다.[5]

"카무이 유카라"는 카무이가 1인칭으로 이야기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으며, 사케헤라고 불리는 반복어가 특징이며, 아이누의 세계관을 반영한 신들의 세계의 이야기이다. 그 중에는 신, 자연과 인간의 관계에 대한 가르침이 포함되어 있다.

6. 번역 및 연구

킨다이치 쿄스케는 유카르ain를 수집하여 일본어로 번역했다.[1] 2006년 8월, 아사히 신문일본어은 일본 문화청(분카초일본어)이 이메카누의 유카르ain 번역 및 필사 사업에 대한 재정 지원을 2007 회계 연도까지 중단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이 사업은 92개의 유카르ain 이야기를 로마자로 기록한 칸나리 마츠 노트북일본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열 번째 이야기는 유실되었고 49개의 이야기는 아직 번역되지 않았다. 이 중단은 2006년 5월 카야노 시게루의 사망으로 인한 것이라고 한다.[1]

1999년에는 여러 국가의 교육자와 번역가들로 구성된 "프로젝트 U-e-페커"가 설립되어 더 많은 아이누 민담을 영어로 제공하기 시작했다. 이후의 프로젝트에는 아이누 신요슈일본어에 기록된 유카르ain를 그림책 영어 버전으로 제작하는 것이 포함된다.[1]

아이누의 서사시를 영어로 번역한 책으로는 치리 유키에의 아이누 신요슈일본어가 있으며, 영어 번역본도 여럿 존재한다. 아이누 서사시 쿠투네 시르카ain는 유카르ain 스타일의 주요 예시이다.[2]

6. 1. 초기 번역

킨다이치 쿄스케는 유카르ain를 수집하여 일본어로 번역했다.

1999년, 여러 국가의 교육자와 번역가들로 구성된 "프로젝트 U-e-페커"가 설립되어 더 많은 아이누 민담을 영어로 제공하기 시작했다. 이들은 카야노 시게루의 저서 두 권을 영어로 번역하여 ''아이누: 일본 원주민 이야기''(Tuttle Publishing, 2004)와 ''아이누와 여우''(RIC Publications, 2006)라는 제목으로 출판했다. 앞으로의 프로젝트에는 치리 유키에가 기록하고 일본어로 번역한 아이누 신요슈일본어에 수록된 유카르ain를 영어 그림책으로 제작하는 것이 포함된다. 치리 유키에(1903–1922)는 킨다이치의 중요한 조력자였던 칸나리 마츠의 조카였으며, 19세에 사망했다.[1]

아이누의 서사시를 영어로 번역한 책으로는 치리 유키에의 아이누 신요슈일본어가 있으며, 2011년 사라 M. 스트롱과 2013년 프로젝트 오키키르무이의 벤자민 피터슨이 번역했다. 도널드 L. 필리피의 ''신들의 노래, 인간의 노래: 아이누의 서사시 전통''도 있다. 프로젝트 오키키르무이 컬렉션에는 13개의 유카르ain가 포함되어 있으며, 필리피는 35개의 서사시를 번역했는데, 이 모든 이야기는 원래 여성, 대부분 이메카누가 기록했다. 스트롱의 텍스트에는 아이누 신요슈일본어의 13개의 유카르ain와 치리의 서문, 그리고 킨다이치와의 작업 관계에 대한 배경이 포함되어 있다.[2] 아이누 서사시 쿠투네 시르카ain는 유카르ain 스타일의 주요 예시이다.

6. 2. 현대의 번역 및 연구

킨다이치 쿄스케는 유카르ain를 수집하여 일본어로 번역했다.

2006년 8월, 아사히 신문일본어은 일본 문화청(분카초일본어)이 이메카누의 유카르ain 번역 및 필사 사업에 대한 재정 지원을 2007 회계 연도까지 중단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이 사업은 92개의 유카르ain 이야기를 로마자로 기록한 칸나리 마츠 노트북일본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 열 번째 이야기는 유실되었고 49개의 이야기는 아직 번역되지 않았다. 이러한 중단은 2006년 5월 카야노 시게루의 사망으로 인한 것이라고 한다.[1]

1999년, 여러 국가의 교육자와 번역가들로 구성된 "프로젝트 U-e-페커"는 더 많은 아이누 민담을 영어로 제공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이들은 카야노 시게루의 저서 두 권을 영어로 번역하여 ''아이누: 일본 원주민 이야기''(Tuttle Publishing, 2004)와 ''아이누와 여우''(RIC Publications, 2006)라는 제목으로 출판했다. 앞으로의 프로젝트에는 아이누 신요슈일본어에 기록된 유카르ain를 그림책 영어 버전으로 제작하는 것이 포함된다. 아이누 신요슈일본어는 아이누 구전 전통의 이야기를 모은 것으로, 치리 유키에(1903–1922)가 처음으로 기록하고 일본어로 번역했다. 치리 유키에는 킨다이치 쿄스케의 귀중한 조수였던 칸나리 마츠의 조카였으며, 19세에 사망했다.[1]

아이누의 서사시를 영어로 번역한 책으로는 치리 유키에의 아이누 신요슈일본어가 있으며, 2011년 사라 M. 스트롱과 2013년 프로젝트 오키키르무이의 벤자민 피터슨이 번역했다. 또한 도널드 L. 필리피의 ''신들의 노래, 인간의 노래: 아이누의 서사시 전통''이 있다. 프로젝트 오키키르무이 컬렉션에는 13개의 유카르ain가 포함되어 있으며, 필리피는 35개의 서사시를 번역했는데, 이 모든 이야기는 원래 여성, 대부분 이메카누가 기록했다. 스트롱의 텍스트에는 아이누 신요슈일본어의 13개의 유카르ain와 치리 유키에의 원래 서문, 그리고 킨다이치 쿄스케와의 작업 관계에 대한 배경이 포함되어 있다.[2] 아이누 서사시 쿠투네 시르카ain는 유카르ain 스타일의 주요 예시이다.

7. 현대적 의의

(이전 출력이 비어 있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와 요약 정보가 제공되면 해당 내용을 바탕으로 위키텍스트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참조

[1] 서적 Songs of gods, songs of humans : the epic tradition of the Ainu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79
[2] 서적 Ainu spirits singing : the living world of Chiri Yukie's Ainu shin'yōshū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11
[3] 간행물 Possibilities of Reality, Variety of Versions: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of Ainu Folktales http://muse.jhu.edu/[...] 2011
[4] 간행물 The Possibility of Imagination in These Islands https://www.jstor.or[...] 1994
[5] 간행물 The Most Revered of Foxes: Knowledge of Animals and Animal Power in an Ainu Kamui Yukar https://www.jstor.or[...] 2009
[6] 문서 이 책은 한국어 번역으로도 나왔다(이용준·홍진희 옮김, 지식을만드는지식, 20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