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윤남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윤남경은 1931년 윤치소의 손녀이자 윤완선의 딸로 태어난 소설가, 언론인, 사회 봉사자이다. 경기여자고등학교와 이화여자대학교 영문학과를 졸업하고, 소설 《5급 공무원》으로 등단하여 《코리아 타임즈》 기자, 동아방송 프로듀서, 경향신문 필진 등으로 활동했다. 1976년부터 생명의 전화 상담역으로 활동했으며, 1992년에는 이화여자대학교 동창문인회 회장을 역임했다. 2008년 사망했으며, 작품으로 《산수 인생》, 《서울의 사마리아인》 등이 있다. 남편은 전상근이며, 방송인 남궁연은 이종 조카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향신문 - 손충무
    손충무는 김구 암살 사건 진상규명에 집중한 저술 활동과 대한민국 정권에 대한 비판적 보도를 한 언론인이자 저술가이다.
  • 경향신문 - 언론통폐합
    전두환 신군부 정권은 사회 혼란 방지 명분으로 1980년 언론 통폐합을 단행하여 다수 언론사를 폐간 또는 통합시키고 KBS와 MBC를 정부 통제하에 둔 언론 자유 훼손 정책을 시행, 권언 복합체를 형성했다.
  •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프로듀서 - 김재형 (연출가)
    김재형은 1961년 《국토만리》를 시작으로 《용의 눈물》, 《여인천하》 등 다수의 인기 사극을 연출하여 '사극의 거장'으로 불리는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드라마 연출가이다.
  •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프로듀서 - 김종학
    김종학은 1970년대 후반 MBC 입사 후 《수사반장》, 《여명의 눈동자》, 《모래시계》 등 1980-90년대 대표 드라마들을 연출하고 김종학 프로덕션을 설립하여 《태왕사신기》, 《베토벤 바이러스》 등 여러 작품을 제작한 대한민국의 드라마 연출가이자 제작자이다.
  • 경성부 출신 - 덕혜옹주
    덕혜옹주는 고종과 귀인 양씨 사이에서 태어나 불행한 삶을 살았던 대한제국의 옹주로, 일본 유학 후 결혼 생활 중 조현병 증세를 보였으며 해방 후 귀국하여 창덕궁에서 생을 마감했고, 그녀의 삶은 여러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 경성부 출신 - 김상순 (배우)
    김상순은 1963년 KBS 공채 탤런트로 데뷔하여 드라마 《수사반장》, 《전원일기》 등과 시트콤, 영화, 뮤지컬, 광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MBC 연기대상 남자 우수상, 남자 최우수상 등을 수상한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윤남경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윤남경 작가
윤남경 작가
이름윤남경
원어 이름尹男慶
출생명알 수 없음
출생일알 수 없음
출생지알 수 없음
사망일알 수 없음
사망지알 수 없음
필명알 수 없음
별칭알 수 없음
직업알 수 없음
언어알 수 없음
국적알 수 없음
민족알 수 없음
시민권알 수 없음
학력알 수 없음
모교알 수 없음
활동 기간알 수 없음
등단 시기알 수 없음
등단작알 수 없음
장르알 수 없음
주제알 수 없음
문학 경향알 수 없음
주요 작품알 수 없음
수상알 수 없음
신장알 수 없음
배우자알 수 없음
부모알 수 없음
동거인알 수 없음
자녀알 수 없음
친척알 수 없음
종교알 수 없음
영향을 받은 인물알 수 없음
영향을 준 인물알 수 없음
서명알 수 없음
웹사이트알 수 없음

2. 생애

남편 전상근은 경제기획원 기술관리국장, 국립과학관장, 과학기술처 종합상황실장을 역임하였다. 방송인 남궁연은 이종 조카이다.

2. 1. 초기 생애 및 학창 시절

1931년 중추원 의관 윤치소의 아들인 윤완선(尹浣善)과 이순정의 딸로 태어났다. 윤완선은 윤보선의 친동생이고, 윤원선의 형이며 윤치호의 5촌 조카였다.

그는 경기여자고등학교를 거쳐 이화여자대학교 영문학과로 진학하였다. 이화여자대학교 4학년 재학 중 이대 계몽대대표 좌담회에 참여하였으며[1], 이후 시사 및 계몽 강연회의 연사로도 활동하였다. 1953년 이화여자대학교 영문학과를 졸업하였으며, 한때 신학 대학에서 1년간 강의를 듣기도 했다.[2]

2. 2. 언론 및 문학 활동

이화여자대학교 영문학과 4학년 재학 중 이대 계몽대대표 좌담회에 참여했으며[1], 시사 및 계몽 강연회의 연사로도 활동했다. 소설 5급 공무원이 월간문학 제8회 신인상에 당선되어 문단에 등단했다.

1954년에는 코리아 타임즈 기자로 활동했고, 이후 동아방송 프로듀서를 역임하는 등 언론계에서도 경력을 쌓았다. 한국문인협회와 한국기독여성문인회의 회원으로 활동했으며, 잡지 활동과 경향신문 필진으로도 참여했다. 1970년대 이후에는 월간문학, 매일경제 등 여러 매체에서 칼럼니스트로 활동하며 사회 현안에 대한 글을 썼다.

작품 활동 외에도 사회 참여에 적극적이어서, 1976년 9월 1일부터는 생명의 전화 상담역으로 봉사했다.[3] 1992년 3월에는 이화여자대학교 동창문인회 정기총회에서 제5대 회장으로 선출되어 문인들의 교류와 활동을 지원했다.

주요 작품으로는 창작집 『산수 인생』, 『월방 마님』, 『서울의 사마리아인』과 단편 콩트집 『새벽을 여는 손』 등이 있다.

2. 3. 사회 봉사 활동

작품 활동과 동시에 1976년 9월 1일부터는 생명의 전화의 상담역으로도 활동하였다.[3]

2. 4. 사망

2008년 3월 19일 서울특별시 서울대학교병원에서 노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77세.

3. 작품 활동

주요 작품 목록
연도작품명
1977목욕탕과 소녀
1979그늘에서 익는 열매들
돌아온 아들
하와의 웃음
미친 여자
1983하나님의 가슴
1984서울의 사마리아인
단편 콩드집, 새벽을 여는 손
연도 미상5급 공무원
산수 인생
목마른 생명수
사모가 되기까지
월방 마님
그림자 없는 태양
윤보선 전 대통령 약전


4. 가족 관계

남편은 전상근(全相根)이며, 슬하에 아들 전재익[4]과 딸 전명혜(全明惠)[5]를 두었다.

4. 1. 친인척 관계

1931년 중추원 의관을 지낸 윤치소의 아들인 윤완선(尹浣善)과 이순정의 딸로 태어났다. 아버지 윤완선은 대한민국 제4대 대통령을 지낸 윤보선의 친동생이자 윤원선의 형이며, 개화파 지식인이었던 윤치호의 5촌 조카이기도 하다.

남편 전상근은 경제기획원 기술관리국장, 국립과학관장, 과학기술처 종합상황실장 등을 역임했다. 방송인 남궁연은 그의 이종 조카이다.

주요 친인척 관계는 다음과 같다.

관계이름비고
할아버지윤치소 (尹致昭)1871년 ~ 1944년, 호 동야(東野), 중추원 의관 역임
할머니이범숙 (李範淑)1876년 ~ 1969년, 호 명사(明師), 본관 전주
아버지윤완선 (尹浣善)1901년 ~ 1970년
어머니이순정? ~ 1998년
언니윤연경 (尹演慶)이화여자대학교 음대 학장, 오페라위원회 위원장 역임
동생윤정구
동생윤상경방송인 남궁연의 어머니
동생윤혜구
남편전상근 (全相根)1927년생, 과학기술처 종합상황실장, 삼전복지재단 이사장 역임
아들전재익[4]엘시종합건설 대표[4]
며느리남순임
전명혜 (全明惠)1958년[5]
시아버지전옥영
시어머니김남이


5. 기타

1976년 9월 1일부터는 생명의 전화의 상담역으로도 활동하였다.[3] 1992년 3월에는 이화여자대학교 동창문인회 정기총회에서 제5대 회장으로 선출되기도 하였다.

남편 전상근은 경제기획원 기술관리국장, 국립과학관장, 과학기술처 종합상황실장을 역임하였다. 방송인 남궁연은 이종 조카이다. 제1공화국 후반의 공보실장이며 CBS 기독교방송국 사장을 지낸 전성천은 남편 전상근의 형이었다.

독립운동가 겸 정치인 윤치호는 재종조부였고, 화가 윤완희(尹完嬉, 독립운동가 신규식의 며느리), 서울대 고려대 인하대 교수를 지낸 법조인 남흥우(南興祐)의 처 윤완구는 그의 사촌 언니들이었다. 방송인 윤인구는 6촌 동생이 된다.

2008년 3월 19일 서울특별시 서울대학교 병원에서 노환으로 별세하였다. 향년 77세였다.

참조

[1] 뉴스 경향신문 1952년8월 5일자 2면 경향신문 1952-08-05
[2] 뉴스 "40년의 신앙생활로 작품세계 이룬 윤남경씨 종교의 근본정신 강조하고 싶어" 경향신문 1979-11-28
[3] 뉴스 "대화부족이 부부 갈등의 원인" 동아일보 1986-09-02
[4] 뉴스 "[부고] 윤남경 별세·전상근 부인상·재익 명혜 씨 모친상"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08-03-21
[5] 뉴스 경향신문 1977년 8월 20일자 5면 경향신문 1977-08-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