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세희 (금계필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세희는 야사집 《금계필담》에 등장하는 인물로, 조선 세조와 정희왕후의 맏딸로 묘사된다. 세조가 조카 단종을 죽이려 하자 이에 반발하여 궁에서 쫓겨난 후, 유모와 함께 보은으로 피신하던 중 김종서의 손자와 결혼한다. 세조는 이들을 찾으려 했지만, 두 사람은 동굴에서 숨어 살았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이 이야기는 《조선왕조실록》에는 기록이 없고, 김종서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지면서 세조를 비판하기 위해 창작된 이야기일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 설화를 바탕으로 KBS 드라마 《공주의 남자》가 제작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공의 한국 사람 - 홍천기
《홍천기》는 단 왕조 시대를 배경으로, 여화공 홍천기와 눈 먼 점술가의 운명적인 관계를 그린 판타지 로맨스 드라마이며, 2021년 SBS에서 방영되었고 김유정, 안효섭 등이 출연했다. - 가공의 한국 사람 - 최미미
최미미는 애니메이션 《안녕 자두야》에 등장하는 최자두의 여동생으로, 꾸미는 것을 좋아하고 순수한 성격을 지녔으며, 가족으로는 부모님, 언니 최자두, 남동생 최승기, 남자친구 준이가 있다. - 드라마 등장인물 - 오언 헌트
오언 헌트는 드라마 《그레이 아나토미》에 등장하는 가상의 인물로, 시애틀 그레이스 병원 외상외과 과장으로 부임하여 크리스티나 양, 테디 알트만, 아멜리아 셰퍼드 등과 복잡한 관계를 맺고, 십 대 어머니에게 버려진 아기를 입양하며 테디와의 사이에서 딸을 낳았다. - 드라마 등장인물 - 슈퍼맨
슈퍼맨은 제리 시걸과 조 슈스터가 창작한 DC 코믹스의 슈퍼히어로로, 크립톤 행성 출신의 외계인 칼-엘이 지구에서 클라크 켄트라는 이름으로 이중 생활을 하며 초인적인 힘과 비행 능력 등 뛰어난 능력을 지녔지만 크립토나이트와 마법에 취약하고, 다양한 미디어를 통해 재해석되며 사회 정의와 인간애를 중시하는 영웅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 조선 세조 - 윤곤
윤곤은 고려 말 문과에 급제하여 조선 건국 후 완산부윤, 대장군 등을 지냈고, 제2차 왕자의 난에 이방원을 도와 공신이 되었으며, 명나라 사신, 의정부 참찬, 이조판서를 역임한 문신, 무신, 정치인, 외교관이다. - 조선 세조 - 계유정난
계유정난은 1453년 수양대군이 황보인, 김종서 등의 고명대신을 제거하고 정권을 장악한 사건으로, 수양대군이 권력을 장악하여 왕위에 오르고 훈구파의 권력 독점을 야기하며 조선의 정치 구도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세희 (금계필담) | |
---|---|
기본 정보 | |
![]() | |
개인 정보 | |
본명 | 이세희 (李世熺) |
출생 | 1945년 7월 12일 |
사망 | 1999년 12월 23일 (향년 54세) |
본관 | 전주 이씨(全州 李氏) |
배우자 | 김미희 |
자녀 | 1남 1녀 |
학력 | |
학력 |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철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철학과 졸업 |
경력 | |
주요 경력 | 문화방송 PD MBC 프로덕션 대표이사 제일기획 제작본부장 상무 |
주요 작품 | |
드라마 연출 | 《수사반장》 《당신》 《아들과 딸》 《엄마의 바다》 《사랑과 결혼》 《미망》 《영웅반란》 |
기타 연출 | 《뽀뽀뽀》 《장학퀴즈》 |
수상 | |
수상 내역 | 백상예술대상 TV연출상 (1993년) MBC 연기대상 특별상 (1994년) |
2. 야사 속의 이세희
조선 고종 때인 1873년(고종 10년) 서유영이 자신의 고향인 충청도 금계(錦溪, 지금의 충청남도 금산군)에 낙향하여 쓴 야사집《금계필담(錦溪筆談)》에 등장하는 인물이다.[11] 이세희는 왕족 출신으로, 세조와 정희왕후의 맏딸이라고 전해진다.
2. 1. 《금계필담》의 내용
조선 고종 때인 1873년(고종 10년) 서유영이 자신의 고향인 충청도 금계(錦溪, 지금의 충청남도 금산군)에 낙향하여 쓴 야사집《금계필담(錦溪筆談)》[11]에 따르면, 이세희는 왕족 출신으로 세조와 정희왕후의 맏딸이라고 한다.세희는 아버지 세조가 친조카인 단종을 죽이려는 것에 대해 반감을 품었고, 이로 인해 궁에서 쫓겨나 선원록에 이름조차 올리지 못했다. 정희왕후는 세희를 유모와 함께 충청북도 보은으로 피신시켰는데, 이 과정에서 세희는 한 총각과 사랑에 빠져 결혼한다. 결혼 후 출신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다가 세희는 자신이 세조의 딸이고, 총각은 김종서의 손자임을 알게 된다. 김종서의 손자는 계유정난 당시 멀리 유학 중이었던 덕에 살아남았다.
훗날 이 사실을 알게 된 세조가 두 사람을 찾으려 하지만, 이들은 세속을 떠나 동굴 속에서 숨어 지냈다고 한다.[12][13][14]
계유정난 이후, 세희는 세조가 내린 단종의 강원도 유배 명령을 공개적으로 비판했다. 정희왕후는 세희에게 벌이 미치지 않도록 몰래 피신시켰다. 충청도에 도착한 세희와 유모는 한 청년(김종서의 손자)의 집에 묵게 되고, 서로에게 끌려 결혼하지만 청년은 그 때 처음으로 신부가 세조의 딸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 세희의 소식을 들은 세조는 한성부로 돌아오라고 명령하지만, 세희는 거부하고 청년과 함께 사는 길을 택한다.
몇 년 후, 만년을 맞이한 세조는 자신과 닮은 소년을 보게 되고, 그 어머니가 세희임을 알게 된다. 재회한 아버지와 딸은 화해했고, 그 후에도 세희는 가족과 함께 행복하게 살았다.
2. 2. 《금계필담》 속 사랑 이야기의 전개
세희는 아버지 세조가 친조카인 단종을 죽이려는 것에 대해 반감을 품고 공공연히 비판했다. 이로 인해 궁에서 쫓겨나 선원록에도 오르지 못했다. 어머니 정희왕후는 세희를 유모와 함께 충청북도 보은으로 피신시켰다.[11]충청도로 가던 중 세희는 한 총각과 사랑에 빠져 결혼했다. 남편은 계유정난 때 일가가 몰살될 때 유학 중이라 살아남은 김종서의 손자였다. 세조가 두 사람을 찾으려 했지만, 이들은 동굴 속에 숨어 살았다.[12][13][14]
몇 년 후, 세조는 자신과 닮은 소년을 보았고, 그 어머니가 세희임을 알게 되었다. 부녀는 재회하여 화해했고, 세희는 가족과 함께 행복하게 살았다.
3. 역사적 기록과 평가
이세희에 대한 기록은 정사인 《조선왕조실록》에는 전혀 등장하지 않으며, 세조가 계유정난 성공 후 김종서의 자손들을 모두 변방의 노비로 삼았기 때문에 《금계필담》의 내용은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 이야기는 김종서가 비교적 후한 평가를 받기 시작한 후 세조의 행동을 비판하기 위해 창작된 이야기일 것이라는 추측이 있다. 고려대학교 국문학과 교수 장효현은 세조가 참혹하게 사람들을 죽인 과거를 말년에 후회했던 것을 사실로 받아들이고자 하는 민중들의 바람이 반영되었다고 해석하였다. 순천 김씨 가문에서는 《금계필담》에 등장하는 이야기가 집안에는 전해 내려오기는 하나, 문서 등으로 기록된 것은 없다고 밝혔다.[12][13][14][15]
그러나 세조가 말년에 계유정난 때 자신과 반대되는 입장에 있던 이들의 자손들을 방면하게 했다는 기록이 있기는 하다. 1446년 정인지가 지은 영릉(세종과 소헌왕후의 능)의 지문에는 당시 수양대군이던 세조가 윤씨와 결혼하여 1남 2녀(장남 덕종, 성명불상의 장녀, 차녀 의숙공주, 예종은 출생 전)를 두고 있다고 적고 있는데[16], 광릉(세조와 정희왕후의 능)의 지문에는 윤씨가 2남 1녀(장남 덕종, 차남 예종, 외동딸 의숙공주)를 낳았다고 기록하고 있어[17] 기록에 차이를 보인다.[13][18][15] 영릉 지문의 기록을 따를 경우,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장녀가 이 민담의 모델이 되었을 수도 있다.
3. 1. 《조선왕조실록》 기록과의 불일치
세희에 대한 기록은 정사인 《조선왕조실록》에는 전혀 등장하지 않는다. 세조는 계유정난 성공 후 김종서의 장성한 자손들은 모두 변방의 노비로 삼고, 어린 자손들도 장성하면 모두 노비로 삼게 하였기 때문에 《금계필담》의 내용은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평이다.[12][13][14][15] 비교적 왕의 세세한 일상까지도 상세히 기록한 《조선왕조실록》인데 왕의 적장녀임에도 불구하고 그 이름이 단 한 번도 등장하지 않는다는 점, 왕들 조차도 《실록》의 열람이 금지되었던 당시 상황에서 단지 어명이라 하여 특정 인물의 이름을 모두 지울 수 있었는가 하는 점 역시 《금계필담》의 이야기를 사실이 아닌 것으로 보는 근거가 되기도 한다. 이 이야기를 모티브로 한 드라마 《공주의 남자》에 남편으로 등장하는 김승유는 계유정난 후 살아남은 것은 사실이나, 이미 계유정난 전에 결혼을 하였던 인물이며, 김종서의 손자가 아닌 셋째 아들이다.결국 이 이야기는 김종서가 비교적 후한 평가를 받기 시작한 후 세조의 행동을 비판하기 위해 창작한 이야기일 것이라는 추측이 있다.[5] 고려대학교 국문학과 교수인 장효현은, 세조가 참혹하게 사람들을 죽인 과거를 말년에 후회했던 것을 사실로 받아들이고자 하는 민중들의 바람이 반영되었다고 해석하였다. 김종서의 본관인 순천 김씨 가문에서는, 《금계필담》에 등장하는 이야기가 집안에는 전해 내려오기는 하나, 문서 등으로 기록된 것은 없다고 밝혔다.[12][13][14][15]
세조가 말년에 계유정난 때 자신과 반대되는 입장에 있던 이들의 자손들을 방면하게 했다는 기록이 있기는 하다. 1446년 정인지가 지은 영릉(세종과 소헌왕후의 능)의 지문에는 당시 수양대군이던 세조가 윤씨와 결혼하여 1남 2녀(장남 덕종, 성명불상의 장녀, 차녀 의숙공주, 예종은 출생 전)를 두고 있다고 적고 있는데[16], 광릉(세조와 정희왕후의 능)의 지문에는 윤씨가 2남 1녀(장남 덕종, 차남 예종, 외동딸 의숙공주)를 낳았다고 기록하고 있어[17] 기록에 차이를 보인다.[13][18][15] 영릉 지문의 기록을 따를 경우,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장녀가 이 민담의 모델이 되었을 수도 있다.
세종 시대에 쓰인 『조선왕조실록』의 한 구절에는 수양대군/세조에게 1남 2녀가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3] 세희의 이름이 확인되는 것은 『금계필담』뿐이며 조선왕조실록을 비롯한 역사적 문헌에서는 확인할 수 없다.[2]
왕이 왕조실록의 내용을 읽는 것조차 금기시되던 시대에, 설령 왕의 명령이라도 기록에서 공주(왕과 왕후 사이의 딸)에 관한 기록을 삭제할 가능성은 낮기 때문에, "실존했지만 기록에서 말소되었다"는 설의 신빙성은 낮다는 지적이 있다.[5]
계유정난 후, 김종서의 자녀는 모두 아버지와 함께 살해되거나 지방으로 노비로 보내졌다. 그 결과, 그들의 아들이 공주와 알게 되어 결혼할 가능성은 낮다.
3. 2. 실존 여부에 대한 논란과 비판적 시각
이세희에 대한 기록은 정사인 《조선왕조실록》에는 전혀 등장하지 않는다. 세조는 계유정난 성공 후 김종서의 장성한 자손들은 모두 변방의 노비로 삼고, 어린 자손들도 장성하면 모두 노비로 삼게 하였기 때문에 《금계필담》의 내용은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평가이다. 비교적 왕의 세세한 일상까지도 상세히 기록한 《조선왕조실록》인데 왕의 적장녀임에도 불구하고 그 이름이 단 한 번도 등장하지 않는다는 점, 또 왕들 조차도 《실록》의 열람이 금지되었던 당시 상황에서 단지 어명이라 하여 특정 인물의 이름을 모두 지울 수 있었는가 하는 점 역시 《금계필담》의 이야기를 사실이 아닌 것으로 보는 근거가 되기도 한다. 이 이야기를 모티브로 한 드라마 《공주의 남자》에 남편으로 등장하는 김승유는 계유정난 후 살아남은 것은 사실이나, 이미 계유정난 전에 결혼을 하였던 인물이며, 김종서의 손자가 아닌 셋째 아들이다.이 이야기는 김종서가 비교적 후한 평가를 받기 시작한 후 세조의 행동을 비판하기 위해 창작한 이야기일 것이라는 추측이 있다. 고려대학교 국문학과 교수인 장효현은, 세조가 참혹하게 사람들을 죽인 과거를 말년에 후회했던 것을 사실로 받아들이고자 하는 민중들의 바람이 반영되었다고 해석하였다. 김종서의 본관인 순천 김씨 가문에서는, 《금계필담》에 등장하는 이야기가 집안에는 전해 내려오기는 하나, 문서 등으로 기록된 것은 없다고 밝혔다.[12][13][14][15]
세조가 말년에 계유정난 때 자신과 반대되는 입장에 있던 이들의 자손들을 방면하게 했다는 기록이 있기는 하다. 1446년 정인지가 지은 영릉(세종과 소헌왕후의 능)의 지문에는 당시 수양대군이던 세조가 윤씨와 결혼하여 1남 2녀(장남 덕종, 성명불상의 장녀, 차녀 의숙공주, 예종은 출생 전)를 두고 있다고 적고 있는데[16], 광릉(세조와 정희왕후의 능)의 지문에는 윤씨가 2남 1녀(장남 덕종, 차남 예종, 외동딸 의숙공주)를 낳았다고 기록하고 있어[17] 기록에 차이를 보인다.[13][18][15] 영릉 지문의 기록을 따를 경우,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장녀가 이 민담의 모델이 되었을 수도 있다.
세종 시대에 쓰인 『조선왕조실록』의 한 구절에는 수양대군/세조에게 1남 2녀가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3]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희의 이름이 확인되는 것은 『금계필담』뿐이며 조선왕조실록을 비롯한 역사적 문헌에서는 확인할 수 없다.[2]
왕이 왕조실록의 내용을 읽는 것조차 금기시되던 시대에, 설령 왕의 명령이라도 기록에서 공주(왕과 왕후 사이의 딸)에 관한 기록을 삭제할 가능성은 낮기 때문에, "실존했지만 기록에서 말소되었다"는 설의 신빙성은 낮다는 지적이 있다.[5]
계유정난 후, 김종서의 자녀는 모두 아버지와 함께 살해되거나 지방으로 노비로 보내졌다. 그 결과, 그들의 아들이 공주와 알게 되어 결혼할 가능성은 낮다. 이 설화는 김종서에 대한 재평가가 일어나기 시작한 시기, 김종서를 무대에서 배제한 세조를 비판하는 사람들에 의해 창작된 것이 아닌가 추정되고 있다.[5]
3. 3. 민중들의 바람과 역사적 해석
이세희에 대한 기록은 정사인 《조선왕조실록》에는 전혀 등장하지 않는다. 세조는 계유정난 성공 후 김종서의 자손들을 노비로 삼았기 때문에 《금계필담》의 내용은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평이다.[12][13][14][15] 왕의 세세한 일상까지도 상세히 기록한 《조선왕조실록》에 왕의 적장녀임에도 그 이름이 한 번도 등장하지 않는다는 점, 왕들조차도 《실록》 열람이 금지되었던 당시 상황에서 어명으로 특정 인물의 이름을 모두 지울 수 있었는가 하는 점 역시 의문이다.이 이야기는 김종서가 후한 평가를 받기 시작한 후 세조의 행동을 비판하기 위해 창작된 이야기일 것이라는 추측이 있다. 고려대학교 국문학과 교수 장효현은 세조가 참혹하게 사람들을 죽인 과거를 말년에 후회했던 것을 사실로 받아들이고자 하는 민중들의 바람이 반영되었다고 해석하였다. 순천 김씨 가문에서는 《금계필담》에 등장하는 이야기가 집안에는 전해 내려오기는 하나, 문서 등으로 기록된 것은 없다고 밝혔다.[12][13][14][15]
세조가 말년에 계유정난 때 반대편에 있던 이들의 자손들을 방면하게 했다는 기록이 있기는 하다. 1446년 정인지가 지은 영릉 (세종과 소헌왕후의 능) 지문에는 당시 수양대군이던 세조가 윤씨와 결혼하여 1남 2녀를 두고 있다고 적고 있는데[16], 광릉 (세조와 정희왕후의 능) 지문에는 윤씨가 2남 1녀를 낳았다고 기록하고 있어[17] 기록에 차이를 보인다.[13][18][15] 영릉 지문의 기록을 따르면,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장녀가 이 민담의 모델이 되었을 수도 있다.
세종 시대에 쓰인 《조선왕조실록》에는 수양대군/세조에게 1남 2녀가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3]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희의 이름은 《금계필담》뿐이며 《조선왕조실록》을 비롯한 역사적 문헌에서는 확인할 수 없다.[2]
왕이 왕조실록의 내용을 읽는 것조차 금기시되던 시대에, 왕의 명령이라도 공주(왕과 왕후 사이의 딸)에 관한 기록을 삭제할 가능성은 낮기 때문에, "실존했지만 기록에서 말소되었다"는 설의 신빙성은 낮다는 지적이 있다.[5]
계유정난 후, 김종서의 자녀는 모두 아버지와 함께 살해되거나 지방으로 노비로 보내졌기 때문에, 그들의 아들이 공주와 알게 되어 결혼할 가능성은 낮다. 그 결과, 이 설화는 김종서에 대한 재평가가 일어나기 시작한 시기, 김종서를 무대에서 배제한 세조를 비판하는 사람들에 의해 창작된 것이 아닌가 추정되고 있다.[5]
4. 관련 작품
2011년 KBS는 이세희와 김종서의 손자에 대한 설화를 바탕으로 텔레비전 드라마 《공주의 남자》를 제작, 방송했다. 제작 과정에서 설화의 설정은 대폭 수정되었고 픽션이 가미되었다. 여주인공으로 이세희를 모티브로 한 이세령이라는 오리지널 캐릭터가 만들어졌으며, 김종서의 손자는 셋째 아들 김승유로 대체되었지만, 사서에 따르면 김승유는 계유정난 발생 시점에 이미 처자가 있었다.[1]
4. 1. 드라마 《공주의 남자》
2011년 KBS는 이 야사를 바탕으로 드라마 《공주의 남자》(연출: 김정민, 박현석 / 극본: 조정주, 김욱)를 방영하였다. 이 드라마에서는 세희의 이름을 "세령"으로 바꾸고, 김종서의 손자는 실제 인물의 연령 문제 등으로 인해 김종서의 아들 김승유로 바꾸는 등 사실과 허구를 섞어 이야기를 전개시켰다.[12][14][19] 세령(세희) 역에는 배우 문채원이, 김승유 역에는 배우 박시후가 캐스팅되었다. 《공주의 남자》는 한때 20%대의 시청률을 기록하며 동 시간대 수목드라마 중 시청률 1위를 차지한 적도 있었다.[12][14][19]5. 관련 유적
충청북도 괴산군과 경상북도 상주시에 걸쳐 있는 백악산의 "보굴"에는, 실제로 두 사람이 숨어 살았다는 이야기가 전해 내려온다.[15][20]
6. 가족 관계 (야사 기준)
구분 | 관계 | 이름 | 비고 |
---|---|---|---|
왕가 전주 이씨 | 조부 | 세종 | 조선 제4대 왕 |
조모 | 소헌왕후 | ||
아버지 | 세조 | 조선 제7대 왕 | |
외조부 | 윤번 | ||
외조모 | 흥녕부대부인 인천 이씨 | ||
어머니 | 정희왕후 | ||
동생 | 덕종 | 추존 왕 | |
동생 | 의숙공주 | ||
동생 | 예종 | 조선 제8대 왕 | |
시가 순천 김씨 | 시조부 | 김종서 | |
시조모 | 정경부인 파평 윤씨 | ||
시아버지 | 김승벽 | ||
시어머니 | 미상 | ||
남편 | 김차동 |
참조
[1]
서적
韓国時代劇セレクションスペシャル
学研パブリッシング
[2]
서적
韓国ドラマ・ガイド 王女の男
NHK出版
[3]
문서
首陽娶中樞院使尹璠之女, 生一男二女。
朝鮮王朝実録
[4]
문서
誕二男一女, 長則懿敬世子, 次我殿下, 女懿淑公主。
朝鮮王朝実録
[5]
뉴스
공남 ‘세령’ 세희공주 설화 어떻게 왜 생겼나
http://news.nate.com[...]
NATE
2011-08-30
[6]
문서
世祖促之, 於乙云以鐵椎擊宗瑞, 仆地。 承珪驚, 伏其上, 汀乃拔劍擊之。
朝鮮王朝実録
[7]
뉴스
세조의 딸 사랑한 숙부?...헉!
http://www.ohmynews.[...]
ohmynews
2011-09-01
[8]
문서
金宗瑞子承璧 忠淸道 淸州、公州、全義等處, 妾子石臺 忠州, 尹處恭子涇 全羅道 南原。
朝鮮王朝実録
[9]
뉴스
‘공주의 남자’ 애절한 로맨스 어디까지 진실일까?
http://www.kbs.co.kr[...]
KBS
2011-09-25
[10]
웹사이트
姫の男
http://contents.inno[...]
innolife.net
2012-08-14
[11]
웹사이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서유영〉항목
https://terms.naver.[...]
[12]
뉴스
사극의 흐름 바꿀 ‘격정 로맨스 사극’ KBS <공주의 남자>가 온다
http://news.jkn.co.k[...]
재경일보
2012-07-18
[13]
뉴스
공남 ‘세령’ 세희공주 설화 어떻게 왜 생겼나
http://news.nate.com[...]
뉴스엔
2012-07-18
[14]
뉴스
‘역사? 야사?’ 공주의 남자 결말은…
http://sports.khan.c[...]
스포츠경향
2012-07-18
[15]
간행물
조선의 역사를 바꾼 계유정난, 세조는 승리했는가
KBS
2011-10-06
[16]
문서
《조선왕조실록》세종 112권, 28년(1446 병인 / 명 정통(正統) 11년) 6월 6일(임인) 2번째기사
《조선왕조실록》
[17]
문서
《조선왕조실록》세조 47권, 14년(1468 무자 / 명 성화(成化) 4년) 11월 28일(갑신) 1번째기사
《조선왕조실록》
[18]
뉴스
종영 D-1 공남 역사속 승유-세령 어떻게 살아갔나
http://news.nate.com[...]
뉴스엔
2012-07-18
[19]
뉴스
'공주의 남자' 실제 김승유 3살 때 세령 20살… '비화공개'
http://news.nate.com[...]
티브이데일리
2012-07-18
[20]
웹사이트
KBS 드라마 《공주의 남자》 홈페이지 - 기획 의도
http://www.kbs.co.kr[...]
KB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