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시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시방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인조반정에 참여하여 공신이 되었으며, 정묘호란병자호란을 겪었다. 관료로서 서산군수, 광주부사, 나주목사, 전라도관찰사 등을 역임했고, 호조참판, 병조참판, 공조판서, 형조판서, 한성부판윤 등을 거치며 요직을 두루 거쳤다. 말년에 김자점의 역모 사건에 연루되어 파직되기도 했으나, 복직 후 대동법 실시를 주장했다. 남한산성 개수 중 사망했으며, 사후 영의정에 추존되었다. 저서로는 서봉일기가 있으며, 초상화는 보물 및 대전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의 군수 - 황진 (1550년)
    조선 중기 무장 황진은 황희의 후손으로, 무과 급제 후 선전관으로 시작하여 이탕개의 난에 참전, 조선통신사로 일본에 다녀온 뒤 임진왜란 때 권율 휘하에서 웅치 전투와 이치 전투에서 공을 세워 익산군수와 충청도 조방장을 겸임하고 충청도 병마절도사로 승진, 죽산성 방어전에서 승리했으나 제2차 진주성 전투에서 전사, 사후 좌찬성에 추증되고 무민이라는 시호를 받았으며 창열사와 민충사에 제향되었다.
  • 조선의 군수 - 방덕룡
    방덕룡은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에서 활약했으며, 이순신의 선봉장으로 노량해전에 참전하여 전사했다.
  • 조선의 제주목사 - 기건
    기건은 조선 세종 때 포의로 발탁되어 여러 관직을 역임하며 선정과 백성 교화에 힘썼고, 대사헌으로 강맹경 등을 탄핵했으나 계유정난 이후 은둔하며 절개를 지킨 인물이다.
  • 조선의 제주목사 - 이전 (1517년)
    이전은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1539년 무과 급제 후 함경북도병마절도사, 경기도수군절도사 등 주요 군직을 역임하며 국방에 기여했고, 임진왜란 당시 선조를 의주까지 호종하여 호성원종공신 3등에 책록된 인물이다.
  • 조선의 나주목사 - 김성일 (1538년)
    김성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학자로 이황의 제자이며, 조선통신사 부사로 일본에 다녀온 후 일본의 침략 가능성이 낮다고 보고하여 임진왜란에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를 받고, 임진왜란 당시 경상우병사, 경상도 초유사, 경상도관찰사를 역임했다.
  • 조선의 나주목사 - 마천목
    마천목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무신으로, 우왕 때 무관으로 활동하며 왕자의 난에서 공을 세우고 북방 6진 설치를 주장했으며, 사후 영의정에 추증된 인물이다.
이시방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시방 초상
이시방 초상 (보물 1482호)
이름이시방
원어 이름李時昉
계명(季明)
서봉(西峯)
시호충정(忠靖)
출생일1594년
출생지조선
사망일1660년
사망지조선
거주지충청도 공주
국적조선
민족한민족
본관연안
직업문관
활동 기간1623년 ~ 1660년
가족 관계
부모이귀(李貴)
형제이시백(李時白), 이시담(李時聃)

2. 생애

이시방은 1623년 아버지 이귀와 함께 인조반정에 참여하여 정사공신 2등에 책록되고 연성군(延城君)에 봉해지면서 관직 생활을 시작했다. 이후 이괄의 난 진압에 참여하고 정묘호란인조를 보좌하며 신임을 얻었으며, 서산군수, 광주부사 등 지방관을 역임했다.

1632년 이후 한성부 좌윤과 우윤, 나주목사, 전라도 관찰사 등을 지냈다. 전라도 관찰사 재직 중 병자호란이 발발했을 때, 지원군 파병 문제로 책임을 지고 1637년 정산으로 귀양을 갔다.

1640년 귀양에서 풀려나 제주목사로 임명되었고, 당시 제주에 유배 중이던 광해군을 돌보았다고 전해진다. 이후 광주수어사를 거쳐 1645년 호조참판으로 조정에 복귀하여 대동법 시행을 주장했다. 이후 병조참판, 공조판서, 형조판서, 한성부판윤 등 주요 관직을 두루 역임하며 조정의 중신으로 활동했다.

이시방 초상 일괄 중 노년의 이시방 밑그림. (대전광역시 유형문화재 제38호)


효종 말년 김자점의 역모 사건에 인척이라는 이유로 연루되어 파직되었으나, 현종 즉위 후 공조판서로 복직하여 다시 대동법 실시를 주장했다.[1] 1660년 남한산성 개수 공사를 감독하던 중 사망하였으며, 사후 충정(忠靖)이라는 시호를 받고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2. 1. 역사에 등장하다 (1623년 ~ 1631년)

1623년 아버지 이귀와 함께 인조반정에 참여하여 정사공신 2등에 책록되고 연성군(延城君)으로 봉해지면서 사서에 등장했다. 이듬해인 1624년 이괄의 난 진압에도 참가하여 인조의 신임을 얻었고, 이에 1625년에는 서산군수가 되어 관료로서 녹봉을 받기 시작했다. 1627년 정묘호란 당시 인조가 파천(播遷)하기에 앞서 순검사로 임명되어 강화도의 군비를 점검하고, 파천 후에는 전국 8도의 군량미 등을 관리하는 등 인조의 큰 신임이 있어야만 가능한 책무를 받았다. 정묘호란이 끝난 뒤에는 광주부사가 되어 광주와 남한산성 일대를 방호하는 임무를 맡았다.

2. 2. 귀양을 가다 (1632년 ~ 1639년)

1632년에는 한성부의 좌윤과 우윤을 지냈다. 인목대비 사후에는 국장도감과 산릉도감의 제조를 맡아 장례 절차를 총괄했다. 한성부의 좌윤과 우윤을 맡은 지 4년 뒤인 1636년에는 나주목사로 임명되었다. 이듬해인 1637년에는 전라도 관찰사로 승진했다. 당시 조정에서는 전라도 주민들을 국경 방어에 동원하려 했으나, 이시방은 이에 강력히 반대하며 군량미를 확보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특히 병자호란의 위기가 다가오자 입암산성을 축조하는 등 방어 준비에도 힘썼다. 그러나 병자호란 발발 시 지원군을 제대로 보내지 못했다는 이유로 결국 정산으로 귀양을 가게 되는 어려움을 겪었다.

2. 3. 판서를 역임하다 (1640년 ~ 1651년)

귀양 간 지 만 4년 만인 1640년에 풀려나 제주목사로 임명되었다. 연려실기술에 따르면, 인조반정 공신임에도 불구하고 당시 교동도에서 제주도로 유배지가 옮겨진 광해군을 보호했으며, 1641년 광해군이 사망하자 직접 염습을 하는 등 정성을 다했다고 전해진다. 이듬해 병을 이유로 제주목사 자리에서 물러났으나, 같은 해 겨울 광주수어사로 임명되어 다시 관직에 나섰다. 1644년에는 심기원의 역모 사건이 발생했는데, 이시방과 그의 형 이시백이 연루되었다는 소문이 돌아 파직되기도 했다.

1645년 호조참판으로 다시 조정에 복귀했으며, 전라도충청도 지역에 대동법 시행을 주장했다. 2년 뒤인 1647년에는 병조참판을 지냈고, 1648년에는 공조판서에 임명되어 처음으로 판서직에 올랐다. 1649년 인조가 사망하자 산릉제조로서 능 조성과 안장 과정을 책임졌으며, 이후 형조판서로 임명되었다. 효종이 즉위한 뒤에는 한성부판윤에 임명되어 조정에서 계속 활동했다.

2. 4. 말년과 최후 (1651년 ~ 1660년)



공조판서와 형조판서를 역임하던 중, 효종 즉위 말년에 김자점의 역모 사건이 발생하자 김자점과의 인척 관계(김자점 처제의 오누이)를 이유로 파직되었다. 이후 현종이 즉위하면서 공조판서로 복직하였다.[1] 이때 판금부의사를 겸직하며 전라도 지역에 대동법 실시를 꾸준히 주장하였다.

1660년에는 남한산성을 개수하라는 현종의 명을 받아 공사를 진행하던 중 사망하였다. 사후 충정(忠靖)이라는 시호를 받았으며, 영의정에 추존되었다.

3. 저서 및 관련물

이시방의 주요 저서로는 서봉일기가 전해진다. 또한, 그의 모습을 담은 이시방 초상과 업적을 기리는 보령 충정공 이시방 신도비 등의 관련 유물이 남아 있다.

3. 1. 저서

저서로는 서봉일기 등이 있다.

3. 2. 관련 유물

4. 가족 관계

wikitext

'''연안 이씨(延安 李氏)'''
구분이름비고
고조부이수장(李壽長)
증조부이기(李巙)
조부이정화(李廷華)
조모안동 권씨(安東 權氏)권용(權鎔)의 딸
아버지이귀
어머니인동 장씨(仁同 張氏)장민(張旻)의 딸
이시백
이시담숙부 이경(李憬)에게 출계
본인이시방(李時昉)
누이이예순김자점의 동생 김자겸(金自兼)의 부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