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야나가 쇼키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야나가 쇼키치는 일본의 수학자이다. 유체론 분야의 발전에 기여했으며, 주 아이디얼 정리를 일반화하는 에밀 아르틴의 문제를 해결했다. 도쿄 제국 대학에서 이학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도쿄 대학 정교수, 시카고 대학교 방문 교수, 도쿄 대학 이학부 학장 등을 역임했다. 국제수학교육위원회 회장, 필즈상 심사위원을 지냈으며, 일본 학술회의 회원으로 활동했다. 2006년 도쿄에서 사망했으며, 일본 수학계의 기초를 닦은 인물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쿠슈인 대학 교수 - 고다이라 구니히코
    고다이라 구니히코는 일본의 수학자로, 대수기하학 분야에서 변형 이론, 대수곡면 분류, 고다이라 차원, 고다이라 소멸 정리 등의 업적을 남겨 1954년 필즈상을 수상했고 프린스턴 고등연구소와 여러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수학 대중화에도 기여했다.
  • 가쿠슈인 대학 교수 - 레지널드 블라이스
    레지널드 블라이스는 영국 출신의 영문학자로, 한국과 일본에서 활동하며 선불교와 하이쿠 연구에 헌신했고, 서구 사회에 선불교와 하이쿠를 알리는 데 기여했다.
  • 일본의 백세인 - 나카소네 야스히로
    나카소네 야스히로는 1918년 군마현 출생으로 도쿄 제국대학 법학부를 졸업하고 일본 제국 해군에서 복무했으며, 자유민주당 소속으로 정계에 입문하여 내각총리대신을 역임하며 행정 개혁, 국철 민영화 등을 추진하다가 2019년 사망했다.
  • 일본의 백세인 - 노사카 산조
    노사카 산조는 일본의 공산주의 운동가로, 영국 유학 중 공산주의 활동을 시작하여 일본 공산당 창립에 참여했으며, 제2차 중일 전쟁 기간에는 중국에서 활동했고, 전후 일본 공산당에서 활동하며 국회의원을 지냈으나 과거 동료 살해 연루 의혹으로 제명되었다.
  • 일본의 수학자 - 고다이라 구니히코
    고다이라 구니히코는 일본의 수학자로, 대수기하학 분야에서 변형 이론, 대수곡면 분류, 고다이라 차원, 고다이라 소멸 정리 등의 업적을 남겨 1954년 필즈상을 수상했고 프린스턴 고등연구소와 여러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수학 대중화에도 기여했다.
  • 일본의 수학자 - 히로나카 헤이스케
    히로나카 헤이스케는 대수다양체의 특이점 해소 정리 증명으로 필즈상을 수상한 일본의 수학자로, 여러 대학에서 교수를 역임하고 수학 교육에도 기여했다.
이야나가 쇼키치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야나가 쇼키치
이름이야나가 쇼키치
원어 이름彌永 昌吉 (이야나가 쇼키치)
출생1906년 4월 2일
출생지일본 도쿄
사망2006년 6월 1일
사망지일본 도쿄
국적일본
학문 분야
분야수학
모교도쿄 제국 대학
지도 교수다카기 데이지
박사 학위 제자아즈마야 고로
이토 기요시
이와사와 겐키치
고다이라 구니히코
구가 미치오
사토 미키오
스즈키 미치오
다케우치 가이시
다마가와 쓰네오
야마베 히데히코
아키오 핫토리
이하라 야스타카
이와호리 나가요시
오노 다카시
요네다 노부오
경력
직장도쿄 대학
나고야 대학
가쿠슈인 대학
수상
훈장욱일장 (1976년)
레지옹 도뇌르 훈장 (1980년)

2. 생애

이야나가 쇼키치는 1906년 4월 2일 도쿄에서 태어났다.[3] 도쿄부립 제4중학교(현 도쿄도립 도야마 고등학교)를 졸업하고[5] 구제 제1고등학교에 입학했다. 도쿄 제국 대학 이학부 수학과에 입학하여 다카기 데이지에게 유체론을 배웠다.[5] 1929년 도쿄 제국 대학을 졸업했다.[3]

학부 시절 일본 수학 저널과 도쿄 제국 학사원 회보에 두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이 논문들은 모두 1928년에 출판되었다. 이누이 테츠로와 친하게 지냈으며, 아키야마 류나 모리 오가이 사부로 등의 번역서인 대수 및 기하 등의 일반 수학 서적, 그리고 앙리 푸앵카레의 "과학과 가설"을 접했다.

이야나가 쇼키치는 1931년부터 1934년까지 프랑스독일에서 유학했다.[3][6] 프랑스 정부로부터 장학금을 받았으며, 독일 함부르크에서 에밀 아르틴에게 수학을 배웠다.[3] 1932년에는 취리히에서 열린 국제 수학자 회의에 참석하여 클로드 슈발레, 앙리 카르탕 등을 만났다.

이야나가 쇼키치는 1934년 귀국하여 도쿄 대학 조교수가 되었다.[3] 1936년 도쿄 대학에서 이학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학위 논문 제목은 "일반 단항화 정리에 대하여"이다.[7] 1935년부터 1939년까지는 익숙하지 않았던 가르침과 기타 업무의 압박 때문에 연구 논문을 발표하지 않았다. 주 아이디얼 정리를 일반화하는 에밀 아르틴의 문제를 해결하여 1939년에 출판하였다.

1942년 도쿄 대학 정교수가 되었다.[3]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도 대수적 위상 수학, 함수 해석학, 기하학과 같은 여러 강좌를 통해 많은 논문을 발표했고, 교육 활동 또한 계속했다. 전쟁 말기에는 많은 일본 도시들이 폭격을 받아 시골로 피난을 가야 했다. 그는 초등학교 및 중등학교 교과서를 편집하는 데 바빴고 계속해서 강좌를 열고 세미나를 조직했다.

전쟁이 끝난 후, 1947년 일본 학술회의에 참여했다. 1952년 국제수학연합 집행위원회 위원이 되었다. 1954년 암스테르담에서 열린 세계 수학자 대회를 조직하는 책임을 맡았으며, 이 대회에 참석했다. 1957년부터 1978년까지 국제수학교육위원회 회장을 역임했다.

1961년부터 1962년까지 시카고 대학교에 방문 교수로 있었다. 1965년 도쿄 대학 이학부 학장이 되었으며, 1967년 도쿄 대학에서 은퇴할 때까지 이 직책을 맡았다. 은퇴 후, 1967년부터 1968년까지 낭시 대학교 객원 교수로 활동했다. 1967년부터 1977년까지 가쿠슈인 대학 교수를 역임했다.[3] 1970년 필즈상 심사위원을 역임했다.[3] 1978년 일본학사원 회원이 되었다.[3]

이야나가는 2006년 6월 1일 도쿄에서 노환으로 사망했다. 교과서를 비롯한 여러 서적과 논문을 내고 수많은 후학들을 양성하여, 일본 수학계의 기초를 닦은 인물로 평가된다.

2. 1. 유년 시절과 교육

이야나가 쇼키치는 1906년 4월 2일 도쿄에서 태어났다.[3] 도쿄부립 제4중학교(현 도쿄도립 도야마 고등학교)를 졸업하고[5] 구제 제1고등학교에 입학했다. 도쿄 제국 대학 이학부 수학과에 입학하여 다카기 데이지에게 유체론을 배웠다.[5] 1929년 도쿄 제국 대학을 졸업했다.[3]

학부 시절 일본 수학 저널과 도쿄 제국 학사원 회보에 두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이 논문들은 모두 1928년에 출판되었다. 이누이 테츠로와 친하게 지냈으며, 아키야마 류나 모리 오가이 사부로 등의 번역서인 대수 및 기하 등의 일반 수학 서적, 그리고 앙리 푸앵카레의 "과학과 가설"을 접했다.

2. 2. 유럽 유학

이야나가 쇼키치는 1931년부터 1934년까지 프랑스독일에서 유학했다.[3][6] 프랑스 정부로부터 장학금을 받았으며, 독일 함부르크에서 에밀 아르틴에게 수학을 배웠다.[3] 1932년에는 취리히에서 열린 국제 수학자 회의에 참석하여 클로드 슈발레, 앙리 카르탕 등을 만났다.

2. 3. 학문적 경력

이야나가 쇼키치는 1934년 귀국하여 도쿄 대학 조교수가 되었다.[3] 1936년 도쿄 대학에서 이학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학위 논문 제목은 "일반 단항화 정리에 대하여"이다.[7] 1935년부터 1939년까지는 익숙하지 않았던 가르침과 기타 업무의 압박 때문에 연구 논문을 발표하지 않았다. 주 아이디얼 정리를 일반화하는 에밀 아르틴의 문제를 해결하여 1939년에 출판하였다.

1942년 도쿄 대학 정교수가 되었다.[3]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도 대수적 위상 수학, 함수 해석학, 기하학과 같은 여러 강좌를 통해 많은 논문을 발표했고, 교육 활동 또한 계속했다. 전쟁 말기에는 많은 일본 도시들이 폭격을 받아 시골로 피난을 가야 했다. 그는 초등학교 및 중등학교 교과서를 편집하는 데 바빴고 계속해서 강좌를 열고 세미나를 조직했다.

전쟁이 끝난 후, 1947년 일본 학술회의에 참여했다. 1952년 국제수학연합 집행위원회 위원이 되었다. 1954년 암스테르담에서 열린 세계 수학자 대회를 조직하는 책임을 맡았으며, 이 대회에 참석했다. 1957년부터 1978년까지 국제수학교육위원회 회장을 역임했다.

1961년부터 1962년까지 시카고 대학교에 방문 교수로 있었다. 1965년 도쿄 대학 이학부 학장이 되었으며, 1967년 도쿄 대학에서 은퇴할 때까지 이 직책을 맡았다. 은퇴 후, 1967년부터 1968년까지 낭시 대학교 객원 교수로 활동했다. 1967년부터 1977년까지 가쿠슈인 대학 교수를 역임했다.[3] 1970년 필즈상 심사위원을 역임했다.[3] 1978년 일본학사원 회원이 되었다.[3]

2. 4. 사망

이야나가는 2006년 6월 1일 도쿄에서 노환으로 사망했다. 교과서를 비롯한 여러 서적과 논문을 내고 수많은 후학들을 양성하여, 일본 수학계의 기초를 닦은 인물로 평가된다.

3. 연구 업적 및 공헌

3. 1. 정수론

이야나가는 정수론을 전문 분야로 하였으며, 단항화와 분기 이론 등 유체론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특히 주 아이디얼 정리를 일반화하는 아르틴의 문제를 해결하는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3. 2. 수학 교육

이야나가는 대수학, 기하학 분야에도 관심을 가졌으며, 중학교 선배이자 수학자인 요시다 요이치와 함께 수학사 편찬에 참여했다. 또한 11개 국어 전후의 언어를 마스터했다. 고다이라 구니히코 등과 함께 도쿄 쇼세키 발행의 산수·수학 교과서 제작에 관여했다.(1970년대 후반까지).

3. 3. 기타

나가노현가루이자와에 별장이 있었으며, '구 이야나가 가 별장'은 국가 등록 유형 문화재로 등록되어 있다.

4. 수상 및 서훈

이야나가는 여러 훈장과 상을 받았다. 1976년 일본으로부터 훈2등욱일 중광장을 수훈받았다. 1978년 일본학사원의 회원이 되었다. 1980년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수훈받았다.

5. 가족 관계

여동생은 코다이라 세이코로, 이야나가가 지도한 학생이자 수학자인 고다이라 구니히코의 아내이다. 고다이라는 처남이 된다. 장남 이야나가 켄이치는 수학자로, 장피에르 세르의 "수론강의" 등을 번역했다.

참조

[1] 논문 Review: ''Sur les Classes d'Idéaux dans les Corps Quadratiques'' by S. Iyanaga
[2] 논문 Review: ''The theory of numbers'', S. Iyanaga, ed., (translated by K. Iyanaga) http://www.ams.org/j[...]
[3] 논문 彌永昌吉氏欧文書簡について 1 https://hdl.handle.n[...] 学習院大学史料館 2010-03
[4] 웹사이트 弥永昌吉とは https://kotobank.jp/[...] 2021-12-09
[5] 논문 <インタビュー>彌永昌吉先生にお話しを伺う 日本数学会 1992
[6] 서적 若き日の思い出 数学者への道 岩波書店 2005-06-03
[7] 문서 博士論文
[8] 웹사이트 彌永昌吉先生が満百歳で発表された論文について https://www.kurims.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