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와테이치노헤 터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와테이치노헤 터널은 일본 도호쿠 신칸센의 일부로, 모리오카와 하치노헤 사이를 연결하는 철도 터널이다. 1988년에 측량이 시작되어 1989년 착공, 2000년에 관통되었으며, 2002년 도호쿠 신칸센 모리오카-하치노헤 구간 개통과 함께 운영을 시작했다. 터널은 기타카미 산지와 오우 산맥 근처의 구릉 지대를 통과하며, 지질학적으로는 중생대, 고생대 지층, 신생대 화산 응회암, 이암 및 안산암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단선 복선 설계를 따르며, 신 오스트리아 터널 공법(NATM)을 사용하여 건설되었다. 터널은 이와테현 이와테정, 이치노헤정을 통과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호쿠 지방의 터널 - 세이칸 터널
    세이칸 터널은 혼슈와 홋카이도를 연결하는 총 연장 53.85km의 해저터널로, 전략적 목표에서 시작되어 도야마루호 침몰 사고를 계기로 본격화, 1조 1,000억 엔의 건설비를 들여 1988년 개통되었으며, 현재 홋카이도 신칸센이 운행 중이고 통신 및 송전 통로 역할도 수행한다.
  • 도호쿠 지방의 터널 - 핫코다 터널
    핫코다 터널은 일본 아오모리현과 아키타현 경계의 핫코다 산맥을 관통하는 26.5km 길이의 복선 단선 육상 철도 터널로, 건설 중 기술적 난관과 사고를 극복하고 도호쿠 신칸센 개통과 함께 개통되어 지역 경제에 기여했으며 세계에서 세 번째로 긴 육상 철도 터널이다.
  • 니노헤시의 교통 - 이와테 은하 철도선
    이와테 은하 철도선은 모리오카역부터 메토키역에 이르는 82.0km의 철도 노선으로, 도호쿠 신칸센 연장 개통 후 JR 동일본에서 이관되어 IGR 이와테 은하 철도가 운영하며, 복선 전철화되어 아오이모리 철도선과 직결 운행한다.
  • 니노헤시의 교통 - 니노헤역
    니노헤역은 이와테현 니노헤시에 위치한 JR 동일본 도호쿠 신칸센과 IGR 이와테 은하 철도선 환승역으로, 1891년 후쿠오카역으로 개업하여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으며 주변에 편의시설이 위치한다.
  • 니노헤시의 건축물 - 구노헤성
    구노헤성은 이와테현 구노헤촌에 위치한 15세기 말 축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성으로, 구노헤 마사자네의 난의 무대였으며 국가 사적으로 지정, 속일본 100명성 중 하나로 선정된 평산성이다.
  • 니노헤시의 건축물 - 니노헤역
    니노헤역은 이와테현 니노헤시에 위치한 JR 동일본 도호쿠 신칸센과 IGR 이와테 은하 철도선 환승역으로, 1891년 후쿠오카역으로 개업하여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으며 주변에 편의시설이 위치한다.
이와테이치노헤 터널 - [지명]에 관한 문서
위치 정보
일반 정보
이름이와테이치노헤 터널
로마자 표기Iwate-Ichinohe Ton’neru
한자 표기岩手一戸トンネル
종류철도 터널
상태사용 중
통과 지점오우 산맥
위치이와테현 (이와테누마쿠나이역-니노헤역 구간)
노선도호쿠 신칸센
시공 정보
착공알 수 없음
개통2002년
소유철도 건설·운수 시설 정비 지원 기구
운영동일본 여객철도 (JR 동일본)
특징신칸센 전용
규격
길이25,808m
선로 수2 (복선)
궤간1,435mm (표준궤)
전철화유 (교류 25,000V, 50Hz)
속도260km/h
높이알 수 없음
표고알 수 없음
경사알 수 없음

2. 역사

이와테이치노헤 터널은 모리오카하치노헤 중간 지점으로, 도쿄역에서 도호쿠 신칸센 노선을 따라 545km 떨어진 곳에 있으며, 최대 깊이는 약 200m이다.[2] 1988년에 측량이 시작되었고, 1991년에 건설이 시작되어 2000년에 관통되었다. 2002년 철도 노선이 개통되면서 터널도 운영되기 시작했다.[2]

하위 섹션에서 연표 형태로 자세한 내용이 기술되어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간단하게 요약된 내용만 남긴다.

2. 1. 연표


  • 1988년: 측량 시작[1]
  • 1989년 (헤이세이 원년) 8월 9일: 착수[4]
  • 1991년 8월: 건설 시작[2]
  • 2000년 (헤이세이 12년) 9월 9일: 관통[2]
  • 2002년 (헤이세이 14년) 12월 1일: 도호쿠 신칸센 모리오카역-하치노헤역 구간 개통[3]
  • 2011년 3월 11일: 2011년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으로 터널 통과 운행 중단
  • 2016년 (헤이세이 28년) 8월: 터널 내 휴대전화 서비스 개시[5]

3. 지리 및 지질

터널은 기타카미 산지와 오우 산맥 근처의 구릉 지대를 통과하며, 마부치강과 기타카미강은 터널의 도쿄 측 입구 근처를 흐른다.[1]

터널 경로를 따른 지질은 다음과 같이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구간지질
도쿄 측 끝에서 17km중생대고생대 지층 (점판암, 화강반려암, 혼펠스차트)
5km 중앙 구간팽창하기 쉽고 시공상의 어려움을 야기하는 신생대 화산 응회암
아오모리 측 끝에서 4km이전 두 구간의 조합과 함께 신생대 시대의 이암안산암



단층이 터널의 경로를 가로지른다.[1]

3. 1. 지리적 특성

터널은 기타카미 산지와 오우 산맥 근처의 구릉 지대를 통과한다. 마부치강과 기타카미강은 터널의 도쿄 측 입구 근처를 흐른다.[1] 터널은 모리오카하치노헤 중간 지점으로, 도쿄역에서 도호쿠 신칸센 노선을 따라 545km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다.[2]

터널 경로를 따른 지질은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구간지질
도쿄 측 끝에서 17km중생대고생대 지층 (점판암, 화강반려암, 혼펠스차트)
5km 중앙 구간팽창하기 쉽고 시공상의 어려움을 야기하는 신생대 화산 응회암
아오모리 측 끝에서 4km이전 두 구간의 조합과 함께 신생대 시대의 이암안산암



단층이 터널의 경로를 가로지른다.[1]

3. 2. 지질학적 특성

터널은 기타카미 산지와 오우 산맥 근처의 구릉 지대를 통과한다. 마부치강과 기타카미강은 터널의 도쿄 측 입구 근처를 흐른다.[1]

터널 경로를 따른 지질은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단층이 터널의 경로를 가로지른다.[1]

4. 터널 공법

이 터널은 신 오스트리아 터널 공법(NATM)으로 건설되었다. NATM 기술은 록 볼트, 숏크리트, 강철 지보를 포함한다. 굴착 방식은 지질에 따라 발파 굴착 또는 기계 굴착이 사용되었으며, 전단면 굴착 또는 벤치 컷 방식이 사용되었다.[2] 건설 속도를 높이고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터널은 7개의 구역으로 나누어졌으며, 중간 접근 램프 또는 경사 갱도가 설치되었다.[1]

4. 1. 설계 및 구조

터널은 단선 복선 설계를 따랐다. 말굽 모양이며, 단면 치수는 폭 9.8m, 높이 7.7m이다.[1] 굴착 면적은 약 70m2~85m2이다.[2] 도쿄 쪽 입구에서 0.5% 경사로 약 22km를 올라간 다음, 아오모리 쪽 입구까지 1% 경사로 내려간다.[1] 지질 조건에 대처하기 위해 신 오스트리아 터널 공법이 채택되었다. 신 오스트리아 터널 공법 기술은 록 볼트, 숏크리트, 강철 지보를 포함했다. 굴착 방식은 지질에 따라 발파 굴착 또는 기계 굴착이 사용되었으며, 전단면 굴착 또는 벤치 컷 방식이 사용되었다.[2] 건설 속도를 높이고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터널은 7개의 구역으로 나누어졌으며, 중간 접근 램프 또는 경사 갱도가 설치되었다.[1]

4. 2. 시공 기술

이 터널은 단선 복선 설계를 따랐다. 말굽 모양이며, 단면 치수는 폭 9.8m, 높이 7.7m이다.[1] 굴착 면적은 약 70m2~85m2이다.[2] 도쿄 쪽 입구에서 0.5% 경사로 약 22km를 올라간 다음, 아오모리 쪽 입구까지 1% 경사로 내려간다.[1] 지질 조건에 대처하기 위해 신 오스트리아 터널 공법(NATM)이 채택되었다. NATM 기술은 록 볼트, 숏크리트, 강철 지보를 포함했다. 굴착 방식은 지질에 따라 발파 굴착 또는 기계 굴착이 사용되었으며, 전단면 굴착 또는 벤치 컷 방식이 사용되었다.[2] 건설 속도를 높이고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터널은 7개의 구역으로 나누어졌으며, 중간 접근 램프 또는 경사 갱도가 설치되었다.[1]

5. 통과하는 지자체

이와테현을 지나며, 이와테군 이와테정니노헤군 이치노헤정을 통과한다.

5. 1. 이와테현

참조

[1] 간행물 World's Longest Terrestrial Railway Tunnel http://www.jsce-int.[...] 2009-02-09
[2] 간행물 The Iwate-Ichinohe Tunnel in the Tohoku Shinkansen Railway Line http://www.jsce-int.[...] 2001-09
[3] 뉴스 Shinkansen service extended to Aomori Pref. Kyodo News 2002-12-01
[4] 웹사이트 新幹線 これまでの経緯 http://www.pref.aomo[...] 青森県 2010-12-04
[5] 웹사이트 新幹線における携帯電話サービスの一部開始について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 2016-06-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