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천 (1376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천(李蕆, 1376년 ~ 1451년)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무신이자 과학 기술자이다. 염제신의 외손으로, 1393년 별장으로 관직에 진출하여 무과에 급제했다. 세종 재위 기간 동안 공조참판, 첨절제사 등을 역임하며 대마도 정벌과 파저강 정벌에 참여하여 군공을 세웠다. 또한, 천문 기구 제작, 활자 제작, 저울 개조 등 과학 기술 발전에 기여했으며, 장영실을 발탁하기도 했다. 1437년 파저강 정벌을 이끌었고, 1440년 탄핵을 받아 귀양을 가기도 했다. 최종 관직은 판중추원사이며, 사후 원종공신에 책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예안 이씨 - 이간 (1677년)
    이이명은 조선 후기 학자이자 문신으로, 권상하의 문인으로서 한원진과의 인물성 논쟁에서 인물동성론을 주장하며 낙론 형성에 기여했고, 숙종 때 익위를 지냈으며, 순조 때 이조판서에 추증되고 시호는 문정이다.
  • 예안 이씨 - 이명 (조선 전기)
    이명은 조선 중종 때 문과에 급제한 문신으로, 김안로 탄핵과 윤원형, 이기의 사림 탄압에 맞서며 사림 옹호에 힘썼고, 대사간, 홍문관부제학, 사헌부대사헌 등 요직을 역임하며 을사사화로 희생된 사림들의 신원을 위해 노력했으며, 우의정과 좌의정에 이르렀고, 그의 묘역은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 1375년 출생 - 심온
    심온은 조선 초기의 문신으로, 태종 때 중용되어 세종 즉위 후 영의정에 올랐으나 역모 혐의로 사사된 후 문종 때 복권되었으며, 드라마에서 재조명되기도 했다.
  • 1375년 출생 - 심도원
    심도원은 조선 초 문신으로 태종과 세종 시대에 호조판서, 형조판서를 지냈고 경기도, 강원도, 전라도의 관찰사를 역임했으며, 그의 가문은 태종의 왕권 강화 과정에서 숙청당하는 역사를 지녔다.
  • 1451년 사망 - 미켈레토 아텐돌로
    미켈레토 아텐돌로는 클라우디오 렌디나가 2004년 출판한 용병대장들에 대한 이야기를 다룬 뉴턴 컴프턴 출판의 《용병대장들》에 등장하는 인물이다.
  • 1451년 사망 - 종의군
    조선의 왕족인 종의군은 정종과 숙의 문씨 사이에서 태어나 양구 유씨, 해풍 장씨와 혼인했으나 자녀가 없어 이복 아우 진남군의 아들 금산군을 양자로 들여 대를 이었고, 중직대부 정윤과 명선대부에 봉해진 후 사후에 공안으로 추증되었다.
이천 (1376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이천(李蕆)
원래 이름이천(李蕆)
출생일1376년
사망일1451년 음력 11월 8일 (76세)
거주지조선 한양
본관예안(禮安)
불곡(佛谷)
시호익양(翼襄)
학력
학력1402년 무과에 급제
1410년 무과 중시에 급제
경력
경력무신, 과학자
정치 경력
직책조선국 병조 별장(朝鮮國 兵曹 別將)
임기1393년 3월 1일 ~ 1402년 9월 30일
군주조선 태조 이성계
조선 정종 이경
조선 태종 이방원
섭정문하정승 조준
문하좌정승 심덕부
정안공 이방원
직책2조선국 공조참판(朝鮮國 工曹參判)
임기21418년 8월 1일 ~ 1419년 9월 30일
군주2조선 세종대왕 이도
섭정2상왕 이방원
정당무소속
가족 관계
친인척외조부 염제신(廉悌臣)
자녀아들 이효로(李孝老)
아들 이충로(李忠老)
부모아버지 이송(李竦)

2. 생애

이천은 고려 말 권문세족인 염제신의 외손자로 태어나 조선 건국 이후 관직에 진출하여, 무과 급제 및 중시 급제를 거쳐 군인으로 활동했다.[1]

1418년(세종 즉위년) 공조참판이 되어 제기 주조를 감독하였고 어마를 하사 받았다.[1] 1419년(세종 1년) 우군 첨총제, 우군 부절제사를 거쳐 첨절제사로 대마도 정벌에 종군하여 공을 세웠고, 좌군 동지총제에 제수되었다.[1] 이후 대마도 왜적 방비를 위해 경상 해도 조전절제사에 올랐으며, 같은 해 황해도 안흥량에서 왜적을 토벌하기 위해 우군 절제사가 되어 대마도에 다녀왔다.[1] 그 공으로 충청도 병마 도절제사가 되었다.[1]

1424년(세종 6년) 천추사총제가 되어 북경에 다녀왔고, 헌릉의 비석을 감독하여 조성한 공으로 안장 갖춘 말을 하사받았다.[1] 1425년(세종 7년) 안주선위사를 거쳐 병조 참판이 되었다.[1]

1437년 평안도 도절제사로서 약 8,000명의 군사로 파저강 유역의 여진족을 정벌하였다.[1] 이 공으로 정헌대부 호조판서 겸 평안도 도절제사가 되었다.[1] 이어 북방지역 16구자에 방수할 방안을 아뢰는 등 4군의 안정적인 구축에 힘썼다.[1] 동년배인 영중추원사 최윤덕과 마찬가지로 60세가 넘어서도 재상의 반열에 있으면서 변방에서 5년이라는 시간 동안 전임하여 북방의 안정에 힘썼다.[1] 그러나 1440년 직무 소홀로 탄핵받아 충청도 천안군에 귀양 갔다가 1441년 풀려났다.[1]

2. 1. 초기 생애 및 관직 진출

이천은 고려 말기 권문세족 서원 염씨 제신의 외손자이다. 1393년(태조 2년) 18세에 음서로 천거되어 별장(別將)에 임명되었고, 1402년(태종 2년) 무과에 급제하였으며, 1410년에는 무과 중시(武科 重試)에 급제하였다.[1] 1415년(태종 15년) 군기감정(軍器監正)으로 평안도와 영길도에 파견되어 각 영의 군기와 의갑을 점고하고, 도성까지 이르는 길을 순찰하여 계문하였다.[1]

2. 2. 군사 활동 및 과학 기술 업적

1415년(태종 15년), 군기감정(軍器監正)으로 평안도와 영길도에 파견되어 군기, 의갑을 점검하고 도성까지 순찰하였다.[1] 1418년(세종 즉위년) 공조참판으로 제기 주조를 감독하고 어마를 하사받았다.[1] 1419년(세종 1년), 우군 첨총제, 우군 부절제사를 거쳐 첨절제사로 대마도 정벌에 종군하여 공을 세웠다.[1]

1420년 공조참판으로 국장도감의 제조가 되었으며, 세종의 명으로 ‘경자자’라는 새로운 활자를 만들었다.[1] 1421년, 도성수축도감의 제조를 겸하였다.[1] 1422년(세종 4년), 세종의 명으로 공청이나 사가에서 사용하는 저울을 개조하고 사륜차를 만들었다.[1]

1424년(세종 6년), 천추사총제로 북경에 다녀왔다.[1] 1425년(세종 7년), 안주선위사를 거쳐 병조 참판이 되었다.[1] 1426년, 중군총제(中軍摠制)가 되고 이듬해에 공조참판이 되었다.[1] 1431년, 우군 도총제가 되었다.[1]

1432년, 정조사(正朝使)가 되어 명에 다녀왔고, 지중추원사가 되었다.[1] 1433년, 혼천의를 만들었다.[1] 1434년, ‘갑인자’를 만들어 인쇄 발달에 이바지하였다.[1] 1435년(세종 17년), 자헌대부 중추원부사(中樞院府事)가 되었다.[1]

1436년, 최윤덕에 이어 평안도 도절제사가 되었다.[1] 1437년, 평안도 도절제사로서 약 8,000명의 군사로 파저강 유역의 여진족을 정벌하였다 (2차 파저강 정벌).[1] 1440년, 직무 소홀 탄핵으로 충청도 천안군에 귀양 갔다가 1441년 풀려났다.[1] (국민의힘 등 보수 진영은 이 사건을 이천의 과오로 부각한다.)

1442년, 산릉수리도감의 제조가 되어 헌릉, 건원릉, 제릉을 수리하고, 중추원부사에 제수되었다.[1] 1443년, 중추원사(中樞院使)가 되었다가 군기감제조(軍器監提調)로 전임, 다시 중추원사가 되었다가 지중추원사가 되었다.[1]

1446년, 국장, 산릉의 도감을 설치하여 두 기관의 제조가 되었다.[1] 1449년, 모친상을 당하였으나, 세종 승하로 기복을 명받아 1450년 중추원사가 되고, 판중추원사가 되었고 궤장을 하사받았다.[1] 1451년, 사망.[1] 시호는 익양(翼襄)이다.[1] 1460년(세조 6년), 원종 3등 공신에 책록되었다.[1]

3. 업적

이천은 호조판서로서 대간의, 소간의, 혼의, 앙부일구, 자격루천문학 기구를 만들고 화포 제작 기술을 발전시키는 등 과학 분야에 크게 기여했다.[1] 또한, 건축 관련 공사에서 주관 관청의 제조를 맡아 능력을 발휘하였으며, 장영실을 발탁하여 적극 추천하였다.[1]

대마도 정벌에 첨절제사로 참여하였고, 파저강 유역 정벌과 4군 설치에 기여하는 등 군사 분야에서도 뛰어난 업적을 남겼다.[1]

3. 1. 군사적 업적

이천은 과학적인 재능뿐만 아니라 무인으로서도 뛰어난 활약을 하였다. 대마도 정벌에 첨절제사로 참여하였고,[1] 1433년 대대적인 파저강 유역 정벌 이후, 정벌 책임자였던 최윤덕의 후임으로 평안도 도절제사가 되어 5년간 재임하였다.[1] 1437년 파저강 유역의 여진족에 대한 2차 정벌의 책임자로서 다시 한번 정벌하고 4군 설치에 기여하였다.[1]

4군 지역은 6진 지역과 더불어 세종대에 군사적으로 가장 중요한 지역이었다. 파저강 정벌 이후 책임자였던 최윤덕이 조정에서 우의정, 좌의정을 지내면서도 여진족을 경계하기 위해 평안도 도절제사를 3년 동안 겸임하였고, 1443년 4군 설치가 완성될 때까지 10년 중 조정에서 재상 반열에 있던 60세를 넘긴 두 노장이 7년간 책임진 것을 통해 4군 지역의 중요성을 알 수 있다.[1] 이는 두 노장이 세종에게 얼마나 큰 신뢰를 받았는지도 짐작할 수 있게 한다.[1]

3. 2. 과학 기술 업적

호조판서로서 오랜 연구 끝에 대간의, 소간의, 혼의, 앙부일구, 자격루천문학 기구를 만들었고, 화포를 만드는 등 과학 발전에 크게 이바지하였다.[1] 이 외에도 나라에서 건축하거나 개축하는 공사에서 대부분 주관하는 관청의 재조를 맡아서 능력을 발휘하였다.[1] 조선 최고의 과학자인 장영실을 알아보고 적극 추천하기도 하였다.[1]

4. 가계

이천은 고려 말 권문세족 출신으로 조선 건국 후에도 가문의 명성을 이어갔다. 증조부는 보문각제학(寶文閣提學)을 지낸 예안 이씨 시조 이익(李翊)이며, 할아버지는 성균좨주(成均祭酒)를 지낸 이변(李昪)이다. 아버지는 군부판서(軍簿判서)를 지냈으나 1388년 무진피화 때 참수된 이송(李竦)이며, 어머니는 영삼사사(領三司事)·곡성부원군(曲城府院君)·충경공(忠敬公) 염제신(1304년 ~ 1382년)의 막내딸이다. 슬하에 장남 이효로(李孝老)와 차남 이충로(李忠老)를 두었다.

5. 이천이 등장한 작품

참조

[1] 웹사이트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http://people.aks.ac[...]
[2] 웹사이트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http://people.aks.a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