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치조 천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치조 천황은 986년부터 1011년까지 재위한 일본의 66대 천황이다. 그는 엔유 천황의 손자이자 가잔 천황의 뒤를 이어 7세의 어린 나이에 즉위했으며, 후지와라 씨의 섭정 정치 아래에서 헤이안 시대 문화의 절정기를 이끌었다. 이치조 천황은 문학과 음악을 사랑하고, 두 명의 황후(후지와라노 데이시, 후지와라노 쇼시)를 두어 궁정 문화를 발전시켰다. 그의 치세는 후지와라 씨의 권력 정점과 일치하며, 만년에는 퇴위 후 승려가 되어 32세에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치조 천황 - 후지와라노 데이시
    후지와라노 데이시는 헤이안 시대 이치조 천황의 중궁으로, 아버지의 사망과 권력 투쟁 속에서 고난을 겪었으나 궁정 문화를 꽃피우고 문학과 예술의 중심지가 되었다.
  • 이치조 천황 - 후지와라노 쇼시 (988년)
    후지와라노 쇼시는 후지와라노 미치나가의 딸로 이치조 천황의 중궁이며 고이치조 천황과 고스자쿠 천황의 어머니이고, 헤이안 시대 문학을 후원하며 섭관 정치의 전성기를 이끌다가 1074년 사망했다.
  • 1011년 사망 - 레이제이 천황
    레이제이 천황은 967년부터 969년까지 재위한 일본의 63대 천황으로, 재위 기간 동안 정신 질환으로 후지와라 씨의 영향력이 커졌고, 안나의 변을 거쳐 동생인 엔유 천황에게 양위 후 레이제이인으로 불리며 기행과 관련된 일화들이 전해진다.
  • 1011년 사망 - 양규
    양규는 고려 목종 때 형부낭중으로, 제2차 고려-거란 전쟁에서 서북면 도순검사로서 흥화진을 지키고 곽주를 탈환하는 등 큰 공을 세웠으나 애전 전투에서 전사 후, 그의 공로를 인정받아 공부상서에 추증되고 삼한후벽상공신에 추봉되었다.
  • 980년 출생 - 오토 3세
    오토 3세는 980년 출생하여 1002년 사망한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로, 어린 나이에 독일 왕으로 즉위하여 섭정을 받으며 성장, 친정 후에는 로마 제국 부흥을 꿈꿨으나 젊은 나이에 사망했다.
  • 980년 출생 - 올로프 솃코눙
    올로프 솃코눙은 스베아인과 예테인을 지배한 최초의 스웨덴 국왕이자 스웨덴 최초로 화폐를 주조하고 기독교로 개종한 왕으로, 그의 통치는 노르웨이와의 전쟁, 스베인 포크비어드와의 동맹, 스웨덴의 기독교화 노력으로 요약된다.
이치조 천황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치조 천황
이치조 천황 (真正極楽寺 소장)
이름이치조 천황
로마자 표기Ichijō Tennō
가네히토 (懐仁)
이명에이엔테이 (永延帝)
쇼진가쿠 (精進覚)
묘가쿠 (妙覚) (법명)
추호이치조인 (一条院), 이치조 천황
즉위
즉위일986년 8월 1일
즉위 (음력)간나 2년 6월 23일
즉위식986년 8월 29일 (간나 2년 7월 22일 (음력))
대례986년 12월 18일 (간나 2년 11월 15일 (음력))
생애
출생980년 7월 15일
출생 (음력)덴겐 3년 6월 1일
출생지히가시산조 제
사망1011년 7월 25일
사망 (음력)간코 8년 6월 22일
사망지이치조인 주덴
능묘엔유지 기타노 미사사기 (円融寺北陵)
재위
재위 기간986년 8월 1일 - 1011년 7월 16일
재위 (음력)간나 2년 6월 23일 - 간코 8년 6월 13일
시대헤이안 시대
연호간나
에이엔
에이소
쇼랴쿠
조토쿠
조호
간코
수도헤이안쿄
궁궐헤이안 궁
이치조인
히가시산조인
비와덴
가족 관계
아버지엔유 천황
어머니후지와라노 센시
배우자후지와라노 데이시 (990년 결혼, 1001년 사망)
후지와라노 쇼시 (1000년 결혼)
자녀슈시 내친왕
아쓰야스 친왕
비시 내친왕
고이치조 천황
고스자쿠 천황
정치
섭정후지와라노 가네이에 (986년–990년)
후지와라노 미치타카 (990년–993년)
관백후지와라노 가네이에 (990년)
후지와라노 미치타카 (990년)
후지와라노 미치타카 (993년–995년)
후지와라노 미치카네 (995년)
태정대신후지와라노 가네미치 (978년-989년)
후지와라노 가네이에 (990년)
후지와라노 다메미쓰 (991년-992년)
기타
능묘 위치교토

2. 생애

엔유 천황과 후지와라노 센시의 첫째 아들로, 즉위 전 이름은 '''야스히토 친왕'''(懐仁일본어)이었다.[4] 외할아버지인 후지와라노 가네이에 등 외척 후지와라 씨 내부의 권력 다툼 속에서 986년 가잔 천황이 갑작스럽게 퇴위하자, 7세(만 6세)의 어린 나이에 천황으로 즉위했다.[6]

이치조 천황의 치세는 헤이안 시대 문화의 절정기이자 동시에 외척 후지와라 씨의 권력이 정점에 달했던 시기와 일치한다. 특히 외숙부인 후지와라노 미치나가는 강력한 권력을 행사하며 자신의 딸 쇼시를 황후(중궁)로 들여, 기존의 황후였던 데이시와 함께 한 명의 천황 아래 두 명의 황후가 공존하는 '일제이후(一帝二后)'라는 전례 없는 상황을 만들었다.[8]

두 황후의 궁정은 당대 문화의 중심지 역할을 했다. 데이시의 궁정에서는 세이 쇼나곤이 『마쿠라노소시』를 집필했고, 쇼시의 궁정에는 『겐지모노가타리』를 쓴 무라사키 시키부이즈미 시키부 등 뛰어난 여류 문인들이 활동하며 헤이안 여류 문학의 황금기를 이끌었다. 이치조 천황 자신도 문학과 음악, 특히 피리 연주에 능했으며 온화한 성품으로 알려졌다.

1011년 재위 25년 만에 사촌인 산조 천황에게 양위하고 출가하였으나, 3일 뒤인 7월 25일(간코 8년 6월 22일) 32세(만 31세)의 나이로 붕어했다.[12][13] 이치조 천황은 다섯 명의 황후 또는 황족비와 다섯 명의 황자 및 황녀를 두었다.[5]

능묘는 교토 료안지 경내에 있으며, 궁내청에 의해 공식적으로 ''엔유지노 키타노 미사사기''(円融寺北陵)로 지정되어 있다.[1][16]

2. 1. 즉위 전

그가 천황으로 즉위하기 전 개인적인 이름은 '''야스히토 친왕'''(懐仁|일본어)이었다.[4] 야스히토 친왕은 엔유 천황과 후지와라노 센시 사이에서 태어난 첫째 아들이었다. 어머니 센시는 후지와라노 가네이에의 딸이었다. 기록상 형제가 없어 외동아들로 추정된다.

에이칸 2년(984년) 8월 27일, 가잔 천황황위를 계승하자 황태자로 책봉되었다. 칸와 2년(986년) 6월 23일(8월 1일), 가잔 천황이 갑자기 출가하면서 7세의 어린 나이로 즉위하게 되었다. 이는 외할아버지인 후지와라노 가네이에가 자신의 손자를 빨리 즉위시키기 위해 꾸민 음모, 즉 칸와의 변 때문이라고 전해진다. 황태자로는 이복형인 이사다 친왕(산조 천황)이 책봉되었고, 섭정에는 가네이에가 취임했으며 이후 관백이 되었다.

같은 해 7월 22일, 대극전에서 즉위식이 거행되었다. 이때부터 대극전 북쪽 동쪽 휘장 안에서 섭정이 천황을 보좌하는 방식이 확립되었는데, 이는 천황과 섭정 및 관백 사이의 새로운 관계를 보여주는 것이었다.[25] 『오카가미』에 따르면, 이치조 천황의 즉위식 날 대극전의 고치에 머리카락이 붙은 생목이 놓여 있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실제로 이런 일이 있었을 가능성은 낮지만, 이치조 천황의 즉위를 탐탁지 않게 여기는 세력이 있었음을 짐작하게 하는 일화이다.

2. 2. 즉위와 섭관정치

984년 가잔 천황이 즉위하자 황태자로 책봉되었고, 2년 뒤인 986년 가잔 천황이 돌연 출가하면서 7세(만 6세)의 어린 나이로 황위에 올랐다.[6] 이는 외할아버지인 후지와라노 가네이에가 자신의 손자를 빨리 즉위시키기 위해 꾸민 정치적 계략, 이른바 '간나의 변' 때문이라고 알려져 있다. 황태자로는 이복형인 이사다 친왕(산조 천황)이 책봉되었고, 가네이에가 섭정이 되어 실권을 장악했다. 7월 22일 거행된 즉위식에서는 천황 뒤편 휘장 안에서 섭정이 국사를 처리하는 방식이 확립되었는데, 이는 천황과 섭관의 새로운 관계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장면이었다.[25] 『오카가미』에는 즉위식 날 대극전 고치에 머리카락이 붙은 생목이 놓여 있었다는 기록이 있는데, 사실 여부를 떠나 이치조 천황의 즉위를 탐탁지 않게 여기는 세력이 있었음을 짐작하게 한다.

어린 천황을 대신해 외척인 후지와라 씨가 정치를 주도하는 섭관정치가 이어졌다. 990년 가네이에가 사망하자 그의 장남이자 천황의 외숙부인 후지와라노 미치타카관백 자리를 이어받았다. 미치타카는 자신의 딸 데이시를 중궁으로 삼아 권력을 공고히 했으나, 995년 그 역시 병으로 세상을 떠났다. 뒤이어 관백이 된 동생 후지와라노 미치카네마저 7일 만에 사망하자, 미치타카의 아들인 후지와라노 고레치카와의 권력 투쟁에서 승리한 미치나가·미치카네의 동생 후지와라노 미치나가가 천황의 생모이자 자신의 누나인 후지와라노 센시의 추천을 받아 내람이 되어 실권을 장악했다.[8] 미치나가는 기존의 중궁 데이시를 황후궁으로 칭호를 바꾸고, 자신의 딸 쇼시를 새로운 중궁으로 책봉하여 한 명의 천황 아래 두 명의 황후를 두는 '일제이후(一帝二后)'라는 전례 없는 상황을 만들었다. 이는 후지와라 미치나가의 막강한 권세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천황의 어머니 후지와라노 센시는 관리 임명에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14]

이치조 천황의 시대는 미치타카·미치나가 형제 아래에서 후지와라 씨의 권세가 최성기에 달했으며, 동시에 헤이안 시대 문화가 만개한 시기이기도 했다. 특히 두 황후의 궁정을 중심으로 뛰어난 여성 문인들이 활동하며 헤이안 여류 문학의 황금기를 이끌었다. 황후 데이시를 섬긴 세이 쇼나곤은 수필 『마쿠라노소시』를 남겼고, 중궁 쇼시를 섬긴 무라사키 시키부는 『겐지모노가타리』를, 이즈미 시키부는 뛰어난 와카를 남겼다. 천황 자신도 문예에 깊은 관심을 보여 시문을 남겼으며, 특히 피리를 잘 불었다고 한다. 또한, 추운 밤에는 일부러 옷을 벗고 자며 "백성들이 추위에 떠는 것을 생각하면 나 혼자 따뜻하게 지낼 수 없다"고 말했다는 일화는 그의 온화하고 배려심 깊은 성품을 보여주지만, 이는 중국 고사에 바탕을 둔 이야기라는 해석도 있다.

성장하면서 천황은 증조부 다이고 천황이나 조부 무라카미 천황처럼 직접 정치를 하고자 하는 의지를 보였다고 한다. 미치나가 역시 천황과 협력하는 모습을 보여, 후지와라노 사네스케나 후지와라노 유키나리와 같은 유능한 인재들이 등용되어 정치가 안정적으로 운영되기도 했다. 특히 999년9월 9일 (조호 원년 7월 27일) 반포된 "조호 원년령"은 이후 공가법의 기본이 될 정도로 중요한 정책으로 평가받는다. 이치조의 치세 동안, 황실 방문은 처음으로 가스가 대사, 오하라노 신사, 마츠노오 대사, 기타노 텐만구 등 4개의 신사에 이루어졌고, 이후 천황들은 전통적으로 이 신들과 가모 신사, 이와시미즈 하치만구, 히라노 신사 등 3개의 신사를 매년 방문하게 되었다.[15]

그러나 천황과 미치나가·쇼시의 관계가 항상 원만했던 것만은 아니라는 시각도 있다. 후지와라노 유키나리의 일기 『곤키』에는, 만년에 천황이 데이시가 낳은 아쓰야스 친왕을 차기 동궁으로 삼고 싶어 했으나, 미치나가의 의향(자신의 외손자인 아쓰나리 친왕, 후의 고이치조 천황)을 존중한 유키나리가 천황에게 아쓰나리 친왕을 추천했다는 기록이 있다. 또한 천황 붕어 후, 미치나가와 쇼시가 유품을 정리하던 중 발견한 편지에 "삼광명(三光明)이 되기를 바라며, 겹겹의 구름이 덮여 큰 정기가 어둡다"라고 적혀 있었는데, 이를 "미치나가 일족의 전횡으로 나라가 혼란하다"라는 의미로 해석한 미치나가가 그 글을 불태웠다는 일화가 『구칸쇼』와 『고지단』에 전해진다.

이전부터 양위 의향을 미치나가에게 전했지만 만류되던 중, 1011년 5월 말경 병세가 악화되어[26] 같은 해 6월 13일 이사다 친왕(산조 천황)에게 양위하고 태상천황이 되었다. 6월 19일에 출가했지만, 그 3일 후인 6월 22일에 붕어했다. 향년 32세(만 31세). 생전에 데이시처럼 토장을 원했지만, 미치나가가 이를 잊어버려 7월 8일 밤에 화장되었다고 한다.[27][28]

'''주요 연표'''

  • '''986년 8월 1일''' (''간나 2년 6월 23일''): 이치조 천황 즉위[10]
  • '''991년 3월 1일''' (''쇼랴쿠 2년 2월 12일''): 아버지 엔유 천황 사망[11]
  • '''1008년''' (''칸코 5년 2월 8일''): 가잔 천황 사망[12]
  • '''1011년 7월 16일''' (''칸코 8년 6월 13일''): 산조 천황에게 양위[13]
  • '''1011년 7월 19일''' (''칸코 8년 6월 16일''): 출가
  • '''1011년 7월 25일''' (''칸코 8년 6월 22일''): 이치조 천황 사망[12]


이치조 천황의 치세 동안 사용된 연호는 다음과 같다.[22]

  • ''에이엔''(永延) (987–988)
  • ''에이소''(永祚) (988–990)
  • ''쇼랴쿠''(正暦) (990–995)
  • ''조토쿠''(長徳) (995–999)
  • ''조호''(長保) (999–1004)
  • ''간코''(寛弘) (1004–1012)

2. 3. 문화적 업적

이치조 천황의 치세는 헤이안 시대 문화가 최고조에 달했던 시기였으며, 이는 외척인 후지와라 씨의 정치적 권력이 정점에 이른 시기와 일치했다.[8] 당시 권력자였던 후지와라노 미치나가는 자신의 딸 쇼시를 황후로 들이면서 기존 황후였던 테이시(미치나가의 조카)와 함께 두 명의 황후를 두는 이례적인 상황을 만들었다. 미치나가는 황후의 칭호인 '주구(中宮)'와 '고고(皇后)'가 다르다는 논리를 내세워 이를 관철시켰고, 이는 이후 한 명의 천황이 두 명의 정식 황후를 두는 일제이후(一帝二后)의 선례가 되었다.

두 황후의 궁정은 당대 문화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했다. 황후 데이시의 궁정에서는 세이 쇼나곤이 활동하며 유명한 수필집 『마쿠라노소시』를 남겼다. 중궁 쇼시의 궁정에는 『겐지모노가타리』를 쓴 무라사키 시키부이즈미 시키부 같은 뛰어난 여류 작가와 시인들이 모여들어, 헤이안 여류 문학의 황금기를 이끌었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고위 관료들 사이에서는 딸들이 재능 있는 여성 문인들과 함께 문화 살롱을 여는 것이 중요하게 여겨졌다.

이치조 천황 자신도 문학과 예술에 깊은 관심을 보였다. 그는 특히 피리 연주를 즐겼으며, 『혼초몬즈이』와 같은 문헌에 직접 쓴 시문이 남아있기도 하다. 또한 온화한 성품으로 백성들의 어려움을 헤아리려 노력했다는 일화도 전해진다. 추운 밤에 일부러 옷을 벗고 자면서 그 이유를 묻는 쇼시에게 "백성들이 추위에 떠는 것을 생각하면 나 혼자 따뜻하게 지낼 수 없다"고 답했다는 이야기가 있으나, 이는 중국 고사에 바탕을 둔 것으로 여겨진다.

이치조 천황 시대에는 황실이 특정 신사를 정기적으로 방문하는 관례가 시작되기도 했다. 가스가, 오하라노, 마츠노오, 기타노 등 4곳의 신사를 처음으로 공식 방문했으며, 이후 가모, 이와시미즈, 히라노를 포함한 7곳의 신사를 매년 참배하는 전통으로 이어졌다.[15]

2. 4. 만년과 죽음

천황은 만년에 데이시가 낳은 아쓰야스 친왕을 다음 황태자로 삼고 싶어 했으나, 후지와라노 미치나가의 의향을 존중한 후지와라노 유키나리는 아쓰나리 친왕(고이치조 천황)을 황태자로 삼도록 천황에게 진언했다는 기록이 유키나리의 일기 『곤키』에 남아있다.[27] 1220년경 편찬된 『구칸쇼』와 비슷한 시기의 『고지단』에는, 천황 붕어 후 미치나가와 쇼시가 유품을 정리하다가 "삼광명(三光明)이 되기를 바라며, 겹겹의 구름이 덮여 큰 정기가 어둡다"는 내용의 편지를 발견했다는 일화가 기록되어 있다. 미치나가는 이를 자신 일족의 전횡으로 나라가 혼란하다는 비판으로 해석하고 편지를 불태웠다고 전해진다.

이치조 천황은 이전부터 미치나가에게 양위 의사를 밝혔으나 미치나가의 만류로 미루어졌다. 그러나 간코 8년(1011년) 5월 말경 병세가 악화되었다.[26] 결국 같은 해 6월 13일(7월 16일)에 이사다 친왕에게 양위하여 태상천황이 되었고, 6월 19일(7월 22일)에 출가하였다. 그러나 출가한 지 불과 3일 후인 6월 22일(7월 25일)에 32세의 나이로 붕어했다.[12][27]

그의 사세구(辞世の句, 죽기 전에 남기는 시)는 『미도 관백기』에 "이슬 같은 몸, 풀의 집에 그대를 두고, 티끌을 벗어나는 것을 생각하네(露の身の 草の宿りに 君をおきて 塵を出でぬる こそ思ふなれ)"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만 『곤키』에서는 마지막 구절이 "일이 슬프다(事ぞ悲しき)"로 되어 있으며, 『신고킨와카슈』 권제8 애상가(哀傷歌)에는 첫 두 구가 "가을바람의, 이슬 맺힌 집에(秋風の 露の宿りに)"로 되어 있다.

이치조 천황은 생전에 황후 데이시처럼 토장(土葬)을 원했으나, 미치나가가 이를 잊어버려 7월 8일 밤에 화장(火葬)되었다고 한다.[27][28] 그의 실제 위치는 알려져 있으며,[1] 교토료안지 경내에 있는 "일곱 천황릉" 중 하나이다.[17] 궁내청은 이곳을 이치조 천황의 능묘로 공식 지정하고 있으며, 정식 명칭은 ''엔유지노 키타노 미사사기''(円融寺北陵)이다.[16] 현재의 능 모습은 19세기 메이지 천황의 명으로 이루어진 황실 능묘 정비 사업의 결과이다.[18]

3. 연표


  • 984년 (에이칸 2년) 8월 27일: 가잔 천황 즉위 후 황태자로 책봉되었다.[6]
  • 986년 (간나 2년) 6월 23일 (8월 1일): 가잔 천황이 출가함에 따라 7세(만 6세)의 나이로 즉위하였다. 이는 외할아버지인 후지와라노 가네이에가 자신의 손자를 조기에 즉위시키려 계획한 칸와의 변 때문이라고 전해진다. 황태자로는 이복형인 이야사다 친왕(산조 천황)을 세웠고, 섭정에는 가네이에가 취임했다.
  • 986년 7월 22일: 대극전에서 즉위 의식을 거행했다. 이때부터 섭정이 천황 뒤 휘장 안에서 정무를 돌보는 관례가 확립된 것으로 보이며, 이는 천황과 섭관의 새로운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었다.[25] 『오카가미』에 따르면, 즉위식 날 대극전의 고치에 머리카락과 피가 묻은 생목이 놓여 있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실제로 이런 일이 있었을 가능성은 낮지만, 이치조의 즉위를 반기지 않는 세력이 있었음을 보여주는 일화로 해석될 수 있다.
  • 990년 (에이소 2년) 정월: 태정대신이 된 가네이에의 주관 하에 원복 의식을 치렀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가네이에는 병으로 사망했다. 이후 가네이에의 장남이자 천황의 외삼촌인 후지와라노 미치타카관백이 되었다.
  • 991년 (쇼랴쿠 2년) 2월 12일 (3월 1일): 아버지 엔유 천황이 3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1]
  • 995년 (초토쿠 원년): 후지와라노 미치타카가 병사하고, 그의 동생 후지와라노 미치카네가 관백이 되었으나 7일 만에 사망했다. 이후 미치타카의 아들 후지와라노 고레치카와의 권력 다툼에서 승리한 후지와라노 미치나가가 누나이자 천황의 생모인 후지와라노 센시의 추천으로 내람이 되어 실권을 장악했다.
  • 999년 (조호 원년) 7월 27일 (9월 9일): 후대의 신제의 기본이 되고 중세 공가법에도 영향을 미친 "조호 원년령"을 반포했다.
  • 1008년 (간코 5년) 2월 8일: 전 천황 가잔이 41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2]
  • 1011년 (간코 8년) 6월 13일 (7월 16일): 재위 25년 만에 황태자이자 사촌인 이야사다 친왕(산조 천황)에게 양위하고 태상천황이 되었다.[13]
  • 1011년 (간코 8년) 6월 19일 (7월 19일): 출가하여 승려가 되었다.
  • 1011년 (간코 8년) 6월 22일 (7월 25일): 32세(만 31세)의 나이로 붕어했다.[12]
  • 1011년 (간코 8년) 7월 8일: 생전에 토장을 원했으나, 후지와라노 미치나가가 이를 잊어 화장되었다고 전해진다.[27][28]

4. 가족 관계

이치조 천황의 즉위 전 개인 이름(이름)은 '''야스히토'''(懐仁) 친왕이었다.[4] 아버지는 엔유 천황이며, 어머니는 후지와라노 가네이에의 딸인 후지와라노 센시이다. 기록상 다른 형제가 없어 외동아들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치조 천황은 다섯 명의 황후 또는 황족비와 다섯 명의 황자 및 황녀를 두었다.[5]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을 참고한다.

어머니인 후지와라노 센시는 다치바나 씨를 통해 고분 천황과 그의 아내이자 덴무 천황의 황녀인 토치노 황녀의 11대손이다. 이 혈통은 이치조 천황을 통해 현재의 일본 황실 및 구 황족에게 이어지고 있다. 또한 이치조 천황의 황후였던 후지와라노 사다코와 중궁이었던 후지와라노 아키코, 뇨고였던 후지와라노 손시 역시 고분 천황과 토치노 황녀 부부의 후손이다.[32][33]

4. 1. 황후 및 중궁

wikitext

'''황후, 중궁, 뇨고, 궁인'''
구분이름 (한자, 다른 이름)부친비고
황후 (고고)후지와라노 사다코 (藤原 定子)후지와라노 미치타카977년 ~ 1000년. 처음에는 중궁(中宮), 이후 황후궁(皇后宮).
황후 (중궁)후지와라노 아키코 (藤原 彰子)후지와라노 미치나가988년 ~ 1074년. 후의 조토몬인(上東門院).
뇨고 (女御)후지와라노 요시코 (藤原 義子, 기시)후지와라노 킨스에974년 ~ 1053년.
뇨고 (女御)후지와라노 모토코 (藤原 元子, 겐시)후지와라노 아키미쓰979년 출생 추정. 후에 미나모토노 요리사다와 결혼.
뇨고 (女御)후지와라노 손시 (藤原 尊子)후지와라노 미치카네984년 ~ 1022년. 1015년 후지와라노 미치토와 결혼.
미쿠시게도노노벳토 (御匣殿別当)이름 미상 (미쿠시게도노)후지와라노 미치타카985년 출생 추정 ~ 1002년. 황후 사다코의 동복 여동생.



'''자녀'''
생모구분이름 (한자)비고
황후 후지와라노 사다코제1황녀슈시 내친왕 (脩子 内親王)996년 ~ 1049년. 1품 준삼궁.
황후 후지와라노 사다코제1황자아쓰야스 친왕 (敦康 親王)999년 ~ 1018년. 1품 시키부쿄.
황후 후지와라노 사다코제2황녀비시 내친왕 (媄子 内親王)1000년 ~ 1008년. 토산조인(東三条院)의 양녀.
중궁 후지와라노 아키코제2황자아쓰나리 친왕 (敦成 親王)1008년 ~ 1036년. 후의 고이치조 천황.
중궁 후지와라노 아키코제3황자아쓰나가 친왕 (敦良 親王)1009년 ~ 1045년. 후의 고스자쿠 천황.


4. 2. 후궁


  • 황후: 후지와라노 사다코( 藤原 定子일본어, 977년 ~ 1001년) - 후지와라노 미치타카의 장녀. 처음에는 중궁이었으나 후에 황후궁으로 옮겼다.
  • * 제1황녀: 나가코 내친왕( 脩子 内親王일본어, 997년 ~ 1049년) - 1품 준삼궁
  • * 제1황자: 아쓰야스 친왕( 敦康 親王일본어, 999년 ~ 1019년) - 1품 시키부쿄
  • * 제2황녀: 비시 내친왕( 媄子 内親王일본어, 1000년 ~ 1008년) - 토산조인의 양녀
  • 중궁: 후지와라노 쇼시( 藤原 彰子일본어, 988년 ~ 1074년) - 후지와라노 미치나가의 장녀. 후에 조토몬인( 上東門院일본어)이 되었다.
  • * 제2황자: 아쓰나리 친왕( 敦成 親王일본어, 1008년 ~ 1036년) - 후의 고이치조 천황
  • * 제3황자: 아쓰나가 친왕( 敦良 親王일본어, 1009년 ~ 1045년) - 후의 고스자쿠 천황
  • 뇨고: 후지와라노 요시코( 藤原 義子일본어, 974년 ~ 1053년) - 후지와라노 긴스에의 딸
  • 뇨고: 후지와라노 모토코( 藤原 元子일본어, 979년? ~ ?) - 후지와라노 아키미쓰의 딸. 후에 미나모토노 요리사다와 결혼했다.
  • 뇨고: 후지와라노 손시( 藤原 尊子일본어, 984년 ~ 1022년) - 후지와라노 미치카네의 딸. 후에 후지와라노 미치토와 결혼했다.
  • 미쿠시게도노: 이름 미상 (985년? ~ 1002년) - 후지와라노 미치타카의 넷째 딸. 황후 데이시의 동복 여동생이다.

5. 평가 및 영향

이치조 천황의 아버지는 제64대 엔유 천황이고, 어머니는 후지와라 노 젠시이다. 친할아버지는 제62대 무라카미 천황, 친할머니는 후지와라 노 야스코이며, 외할아버지는 후지와라노 가네이에, 외할머니는 후지와라노 도키히메이다.

재위 중의 리다이리 명칭에 따라 "일조원"으로 시호되었다. 붕어 후 얼마 동안은 "대궁원"이라고도 불렸다.[34] 메이지 이후 "〜원"의 시호는 폐지되어 "일조 천황"이 되었다.

6. 이치조 천황 시대의 주요 관료 (구교)

구교(公卿)는 메이지 시대 이전 천황의 조정에 속한 소수의 최고위 관료를 가리키는 용어이다.[19] 일반적으로 이 엘리트 집단은 한 번에 3~4명으로 구성되었으며, 경험과 배경을 통해 경력의 정점에 오른 세습 귀족들이었다. 이치조 천황의 재위 기간 동안 태정관의 최고위직을 역임한 주요 인물들은 다음과 같다. 이들은 주로 후지와라 씨 가문 출신으로, 천황의 외척으로서 강력한 권력을 행사했다.



이치조 천황 재위 중의 상세한 중신(重臣) 일람은 다음과 같다.

7. 연호

이치조 천황의 치세 동안 사용된 연호(일본어: 年号|넨고일본어)는 다음과 같다.[22]


  • 간와 (寛和)
  • 에이엔 (永延, 987년–988년)
  • 에이소 (永祚, 988년–990년)
  • 쇼랴쿠 (正暦, 990년–995년)
  • 조토쿠 (長徳, 995년–999년)
  • 조호 (長保, 999년–1004년)
  • 칸코 (寛弘, 1004년–1012년)

8. 기타

에이칸 2년(984년) 8월 27일, 가잔 천황황위에 오르자 황태자로 책봉되었다. 칸와 2년(986년) 6월 23일(8월 1일), 가잔 천황이 갑작스럽게 출가하면서 불과 7세의 나이로 즉위하게 되었다. 이는 외할아버지인 후지와라노 가네이에가 자신의 손자를 빨리 즉위시키기 위해 꾸민 정변(칸와의 변)으로 알려져 있다. 황태자로는 이복 형인 이사다 친왕(훗날의 산조 천황)이 책봉되었고, 가네이에가 섭정(후에 관백)이 되어 권력을 장악했다.

같은 해 7월 22일, 대극전에서 즉위식이 거행되었다. 이때 대극전 북쪽 동쪽 휘장 안에 섭정이 시후(侍候, 천황 곁에서 보좌함)하는 관례가 확립되었다고 하며, 이는 천황과 섭관(섭정·관백)과의 새로운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었다[25]. 『오카가미』에는 즉위식 날 대극전의 고치(御帳, 휘장)에 머리카락과 피가 묻은 생목이 놓여 있었다는 설화가 전해지는데, 이는 이치조 천황의 즉위를 달갑지 않게 여기는 세력이 있었음을 암시하는 일화로 해석된다.

에이소 2년(990년) 정월, 태정대신이 된 가네이에의 주관으로 원복(성인식)을 치렀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가네이에는 병으로 사망했다. 이후 가네이에의 장남인 후지와라노 미치타카가 외척으로서 관백 자리를 이어받아, 자신의 딸 데이시황후로 입궁시켜 중궁이라 칭하게 했다. 그러나 미치타카 역시 초토쿠 원년(995년)에 병사했다. 그의 뒤를 이어 동생 후지와라노 미치카네가 관백이 되었으나 불과 7일 만에 사망했고, 미치타카의 아들인 후지와라노 고레치카와의 권력 다툼에서 승리한 후지와라노 미치나가가 누이이자 천황의 생모인 센시의 추천을 받아 내람으로서 실권을 장악했다. 미치나가는 기존의 중궁 데이시를 황후궁으로 칭호를 바꾸게 하고, 자신의 딸 쇼시를 새로 황후로 책봉하여 중궁이라 칭하게 함으로써 한 명의 천황 아래 두 명의 황후가 존재하는(일제이후) 전례를 만들었다.

이치조 천황의 치세는 미치타카와 미치나가 형제를 중심으로 후지와라 씨의 권세가 절정에 달했던 시기였다. 동시에 황후 데이시를 섬긴 세이 쇼나곤, 중궁 쇼시를 섬긴 무라사키 시키부이즈미 시키부 등 뛰어난 여성 문인들이 활약하며 헤이안 여류 문학이 꽃을 피웠다. 천황 자신도 문예에 대한 조예가 깊어 『혼초몬즈이』 등에 시문을 남겼으며, 음악에도 능숙하여 피리를 잘 불었다고 전해진다. 또한, 추운 밤에는 일부러 옷을 벗고 잠들었다고 하는데, 쇼시가 그 이유를 묻자 "백성들이 추위에 떨 것을 생각하니, 나 혼자 따뜻하게 지내는 것이 미안하다"라고 답했다는 일화가 있다. 이는 백성을 생각하는 깊은 마음을 보여주는 이야기지만, 한편으로는 중국의 효자 설화에 바탕을 둔 이야기라는 지적도 있다.

미치나가가 섭정이나 관백이 아닌 내람 직위에 머무른 것은, 당시 각의(정무 회의)에 참석할 수 없었던 섭정·관백과 달리, 내람을 겸하며 이치노카미(각료 수석)로서 실권을 장악하려 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천황 자신도 성장하면서 증조부 다이고 천황이나 조부 무라카미 천황처럼 직접 정치를 하고자 하는 의지를 가졌다고 전해진다. 미치나가 역시 천황과 협력하는 모습을 보였고, 이 시기 후지와라노 사네스케나 후지와라노 유키나리와 같은 유능한 인재들이 등용되어 안정적인 정치 체제가 구축되었다는 평가도 있다(오에노 마사후사의 『속본조왕생전』). 특히 조호 원년(999년) 7월 27일(9월 9일)에 반포된 "조호 원년령"은 후대의 신제(새로운 법령)의 기본으로서 공가(귀족) 사회에서 중요하게 여겨졌으며, 중세 공가법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

한편, 천황과 미치나가·쇼시의 관계가 항상 원만했던 것은 아니라는 설도 있다. 후지와라노 유키나리의 일기 『곤키』에는 천황이 말년에 황후 데이시가 낳은 아쓰야스 친왕을 다음 황태자로 삼고 싶어 했으나, 유키나리가 미치나가의 의향을 존중하여 아쓰나리 친왕(훗날 고이치조 천황)을 황태자로 삼도록 천황에게 진언했다는 기록이 있다. 또한 1220년경에 성립된 『구칸쇼』에는 천황이 붕어한 후, 미치나가와 쇼시가 천황의 유품을 정리하던 중 三光明ならんと欲すれども、重々雲かかりて大精暗し|산코묘 나란토 홋스레도모, 주주쿠모 가카리테 다이쇼 구라시|세 개의 빛(해, 달, 별)이 밝게 빛나기를 바라지만, 겹겹의 구름이 가려 큰 기운이 어둡다일본어라고 적힌 편지를 발견했다는 일화가 실려 있다. 미치나가는 이를 "미치나가 일족의 전횡으로 나라가 혼란스럽다"는 의미로 해석하고 그 편지를 불태워 버렸다고 한다. 비슷한 이야기가 같은 시기에 쓰인 『고지단』에도 기록되어 있다.

이치조 천황은 이전부터 미치나가에게 양위 의사를 밝혔으나 번번이 만류되었다. 간코 8년(1011년) 5월 말경 병세가 악화되어[26], 같은 해 6월 13일에 황태자 이사다 친왕(산조 천황)에게 양위하고 태상천황이 되었다. 6월 19일에 출가했으나, 사흘 뒤인 6월 22일에 32세의 나이로 붕어했다. 생전에 황후 데이시와 마찬가지로 토장(土葬, 매장)을 원했지만, 미치나가가 이를 잊어버려 7월 8일 밤에 화장되었다고 한다[27][28].

사세의 노래(죽기 전에 읊는 시)는 『미도 관백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다.

露の身の 草の宿りに 君をおきて 塵を出でぬる こそ思ふなれ|쓰유노 미노 구사노 야도리니 기미오 오키테 지리오 이데누루 고소 오모후나레|이슬 같은 이 몸, 풀의 집에 그대를 남겨두고 속세를 벗어나려 하네일본어.

다만 『곤키』에서는 마지막 구절이 事ぞ悲しき|고토조 가나시키|일이 슬프다일본어로 되어 있고, 『신고킨와카집』 권제8 애상가(哀傷歌)에는 앞 두 구절이 秋風の 露の宿りに|아키카제노 쓰유노 야도리니|가을바람 부는, 이슬 맺힌 집에일본어로 되어 있다.

구분제목연도제작/방송사배역 배우
영화겐지모노가타리 천년의 수수께끼2011년도호도기 히데키
텔레비전 드라마빛나는 너에게2024년NHK 대하드라마시오노 아키히사
텔레비전 애니메이션고양이 고양이 일본사2018년E 텔레비전(성우)


참조

[1] 웹사이트 Imperial Household Agency http://www.kunaicho.[...]
[2] 서적 The Imperial House of Japan 1959
[3] 서적 Gukanshō
[3] 서적 Jinnō Shōtōki
[3] 서적 Annales des empereurs du japon https://books.google[...] 1834
[4] 문서
[4] 문서
[5] 문서
[6] 서적 The Pillow Book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1
[7] 서적 The Tale of Genji
[8] 서적 The World of the Shining Prince: Court Life in Ancient Japan Penguin Books
[9] 문서
[9] 문서
[10] 문서
[10] 문서
[11] 문서
[12] 문서
[13] 문서
[13] 문서
[13] 문서
[14] 서적 Heian Japan: Centers and Peripheri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7
[15] 문서
[16] 문서
[17] 문서 The "Seven Imperial Tombs" at Ryoan-ji are the burial places of [[Emperor Uda|Uda]], [[Emperor Kazan|Kazan]], Ichijō, [[Emperor Go-Suzaku|Go-Suzaku]], [[Emperor Go-Reizei|Go-Reizei]], [[Emperor Go-Sanjō|Go-Sanjō]], and [[Emperor Horikawa|Horikawa]].
[18] 서적 Kyoto: A Contemplative Guide 1978
[19] 문서
[20] 문서
[21] 문서
[22] 문서
[23] 웹사이트 Genealogy https://reichsarchiv[...] 2010-04-30
[24] 문서 尊卑分脉
[25] 간행물 即位式における摂関と母后の登壇
[26] 문서 御堂関白記 1313-05-23
[27] 문서 栄花物語
[28] 뉴스 「一条天皇の願いもド忘れ」道長の意外すぎる一面 https://toyokeizai.n[...] 東洋経済オンライン 2024-10-21
[29] 문서 花園天皇宸記 1313-02-03
[30] 문서 台記
[31] 문서 薩戒記
[32] 웹사이트 天武天皇から今上天皇までの系譜 https://www.pseudo-h[...]
[33] 웹사이트 天武天皇【今上天皇の直系祖先】 https://rekishi.dire[...]
[34] 문서 小右記
[35] 간행물 平安時代における天皇・太上天皇の喪葬儀礼
[35] 서적 王朝再読 臨川書店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