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지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지야는 세르비아 보이보디나 자치주의 도시로, 명칭은 터키어, 정교회 여성의 이름, 또는 라틴어에서 유래되었다는 설이 있다. 1496년 기록이 최초로 발견되었으며, 오스만 제국, 합스부르크 군주국, 유고슬라비아 왕국 등을 거쳐 현재 세르비아에 속해 있다. 2002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세르비아인이 다수를 차지하며, 제조업, 도소매업, 운송업 등 다양한 산업이 발달했다. 문화적으로는 2007년 레드 핫 칠리 페퍼스 콘서트가 열렸으며, 역사적인 건축물과 유적을 보유하고 있다. 축구, 아메리칸 풋볼, 핸드볼, 농구 등 스포츠 클럽이 있으며, 교육 시설로는 초등학교, 중학교, 기술학교가 있다. 세르비아 정교회와 로마 가톨릭 교회가 있으며,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인지야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Inđija |
정착지 유형 | 도시 및 자치체 |
지리 | |
![]() | |
면적 (도시) | 47.96km2 |
면적 (자치체) | 384.61km2 |
해발고도 | 116m |
행정 | |
국가 | 세르비아 |
지방 | 보이보디나 |
구 | 스렘 구 |
구성 정착지 수 | 11 |
시장 | Marko Gašić |
시장 소속 정당 | SNS |
인구 | |
인구 (도시, 2022년) | 24450명 |
인구 밀도 (도시) | 자동 계산 |
인구 (자치체, 2022년) | 43443명 |
인구 밀도 (자치체) | 자동 계산 |
기타 정보 | |
시간대 | CET |
UTC 오프셋 | +1 |
여름 시간대 | CEST |
UTC 오프셋 (여름) | +2 |
우편 번호 | 22320 |
지역 번호 | +381(0)22 |
자동차 번호판 | IN |
웹사이트 | www.indjija.rs www.indjija.biz |
사진 | |
![]() | |
![]() | |
![]() | |
![]() |
2. 명칭
인지야라는 도시 이름의 유래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전해진다. 첫 번째 설은 1699년 이후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던 시기와 관련하여, 튀르키예어로 저녁 기도 시간을 의미하는 'ikindia'에서 유래했다는 주장이다. 다른 한편으로는 정교회 신자인 여성의 이름 '인지야'에서 따왔다는 설도 있다.
가장 최근의 연구에 따르면, 인지야라는 이름은 '토착민'을 뜻하는 라틴어 단어 'Indigena'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높다. 이는 현대 인지야 근처에 고대 일리리아, 켈트족, 로마 시대의 정착지가 존재했다는 사실이 뒷받침하는 가장 설득력 있는 이론으로 여겨진다.
인지야는 여러 언어로 다음과 같이 불린다.
3. 역사
인지야(Inđija)는 15세기 중후반 기록에 처음 등장하는 오랜 역사를 지닌 곳이다. 오스만 제국 통치 시기에는 주로 세르비아인이 거주했으며, 18세기 초 합스부르크 군주국 영토가 되면서 새로운 정착촌 건설과 함께 독일인, 체코인, 헝가리인 등 다양한 민족이 이주해 왔다. 19세기에는 철도가 부설되어 교통의 요충지로 부상했고, 제분소를 시작으로 산업이 발전하기 시작했다. 1918년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및 슬로베니아인 왕국(훗날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일부가 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민족 구성에 큰 변화를 겪었다. 특히 전쟁 전 다수를 차지했던 독일인 주민들이 추방되고 세르비아인 중심의 도시가 되었다. 전후 세르비아의 주요 도시 중 하나로 꾸준히 성장하여 오늘날에는 경제적으로 중요한 지역으로 자리 잡았다.
3. 1. 중세 시대
인지야의 존재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1496년 데스팟 요반 브란코비치의 헌장에서 찾을 수 있다. 하지만 1455년에 이미 헝가리 귀족 술료크(Sulyok) 가문의 소유지였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던 시기(16~18세기)에는 주로 세르비아인들이 거주했으며, 행정적으로는 오스만 제국의 시르미아 산자크에 속했다.
3. 2. 합스부르크 시대
1717년부터 인지야는 합스부르크 군주국의 일부가 되었으며, 불가리아 치프로브치 출신의 페야체비치 가문 마르코 페야체비치 백작의 봉건 영지가 되었다. 옛 중세 시대의 인지야는 오늘날의 마을보다 약간 북쪽에 위치해 있었다. 현재의 인지야는 1746년에 베슈카와 파트카에서 온 세르비아인 정착민들에 의해 새로 설립되었다. 설립 초기에는 60가구가 있었으나, 1791년에는 1,054명의 주민이 사는 122가구로 성장했다. 18세기 후반까지 이 새로운 정착촌은 주로 세르비아인이 거주했다. 19세기 초에는 독일인과 체코인이 정착하기 시작했고, 19세기 말에는 헝가리인도 이주해 왔다. 이 시기 독일인이 마을의 주요 인구 집단이 되었다.
행정적으로 인지야는 18세기 중반에 슬라보니아 왕국의 시르미아 군에 속하게 되었다. 이 왕국은 합스부르크 크로아티아 왕국 및 합스부르크 헝가리 왕국의 일부였다. 1848년부터 1849년까지는 자치적인 세르비아 보이보디나의 일부였고, 1849년부터 1860년까지는 세르비아와 테메슈바르의 바나트 보이보디나에 속했다. 1860년 이후 다시 슬라보니아 왕국의 일부가 되었으며, 1868년에는 크로아티아-헝가리 협정에 따라 슬라보니아 왕국이 크로아티아 왕국과 통합되어 새로 형성된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 이 왕국은 합스부르크 헝가리 왕국 및 오스트리아-헝가리 내에서 자치권을 가졌다.
19세기 초 인지야에서는 처음으로 박람회가 열리기 시작했고, 국영 우편 서비스가 설립되었다. 1850년에는 전신 서비스가 운영되기 시작했으며, 1886년에는 우편 환어음 제도가 도입되었다. 최초의 은행은 1897년에 설립되었고, 같은 해 최초의 상업 학교도 문을 열었다. 1911년에는 최초의 발전소가 가동을 시작했다.
인지야의 산업 발전은 19세기 중반 제분소 설립과 함께 시작되었다. 특히 1890년에는 부다페스트의 한 회사가 하루에 밀 10대 분량을 처리할 수 있는 최초의 대규모 증기 제분소를 건설했다. 제분소 이후 벽돌 공장이 들어섰고, 1876년부터는 목공 전통과 가구 생산이 시작되었다. 20세기 초에는 유명한 모피 공장이 설립되었고, 1912년에는 주류 공장이 건설되었다.
산업 발전에 있어 철도 인프라 구축은 중요한 역할을 했다. 1883년, 북쪽의 수보티차와 서쪽의 자그레브에서 베오그라드로 향하는 두 개의 철도 노선이 인지야에서 교차하게 되었다. 이로써 인지야는 발칸 지역의 주요 철도 교통 요충지가 되었다.
3. 3. 근현대
19세기 초, 합스부르크 군주국 통치 하에서 독일인과 체코인이 인지야에 정착하기 시작했으며, 세기 말에는 헝가리인도 이주해 왔다. 이 시기 독일인이 마을의 주요 민족 집단으로 부상했다. 인프라 측면에서도 발전이 이루어져, 19세기 초에는 처음으로 박람회가 열리고 국영 우편 서비스가 도입되었다. 1850년에는 전신 서비스가 시작되었고, 1886년에는 우편 환어음 제도가 도입되었다. 최초의 은행과 상업(직업 전문) 학교는 1897년에 설립되었으며, 1911년에는 최초의 발전소가 가동을 시작했다.
산업 발전은 19세기 중반 제분소 설립과 함께 시작되었다. 1890년에는 부다페스트의 한 회사가 하루에 밀 10대 분량을 처리할 수 있는 최초의 대규모 증기 제분소를 건설했다. 이후 벽돌 공장이 들어섰고, 1876년부터는 목공 전통을 바탕으로 가구 생산이 시작되었다. 20세기 초에는 유명한 모피 공장이 설립되었고, 1912년에는 주류 공장이 건설되었다.
인지야의 산업 발전은 철도 인프라 구축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1883년, 북쪽의 수보티차와 서쪽의 자그레브에서 출발하여 베오그라드로 향하는 두 개의 철도 노선이 인지야에서 교차하게 되었다. 이로써 인지야는 발칸 반도의 주요 철도 두 노선이 만나는 중요한 교통 요충지가 되었다.
1918년, 인지야는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및 슬로베니아인 왕국(1929년 유고슬라비아 왕국으로 개칭)의 일부가 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유모차, 못, 잼, 분유, 낙하산, 섬유 등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는 공장들이 설립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직후에는 금속 가공 산업도 들어섰다. 20세기 전반에 걸쳐 인지야는 전통적인 무역 중심지이자 성공적인 무역 회사들의 본거지로 자리 잡았다. 1939년에는 세르비아 최초의 현대식 도로 중 하나인 소위 "국제 도로"(노비사드–베오그라드)가 인지야를 통과하게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직전, 인지야의 총인구 7,900명 중 약 5,900명이 민족 독일인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당시 이 마을은 보이보디나 지역에서 가장 발전된 정착지 중 하나였으며, 시르미아 지역 독일인들의 정신적, 문화적 중심지 역할을 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1941–1944) 인지야는 추축국의 괴뢰국인 크로아티아 독립국의 통제 하에 있었다.
1944년 추축국이 패배하자 상황은 급변했다. 유고슬라비아를 장악한 세력은 독일군 협력자 및 민족 독일인에 대한 보복을 단행했다. 많은 독일인이 추방되었고, 유고슬라비아에 남아 있던 독일인들은 강제 수용소로 보내졌다. 1948년 수용소가 폐지된 후에도 남은 독일인 대부분은 독일로 추방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새로운 인구 유입이 시작되었고, 1953년 인구 조사 결과 인지야는 주로 세르비아인이 거주하는 마을로 변모했다. 마을 인구는 1948년 7,758명에서 2002년 26,247명으로 크게 증가했다.
2002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마을 인구의 87.61%가 세르비아인이다. 오늘날 인지야는 세르비아에서 경제적으로 가장 발전한 지자체 중 하나로 평가받으며, 국내외 투자를 적극적으로 유치하고 있다. 과거 여러 민족이 공존했던 역사를 바탕으로, 민족 간의 평화로운 공존 정신을 이어가려는 노력이 존재한다. 2020년 12월 15일에는 일본의 타이어 제조사 도요타이어(Toyo Tires)가 인지야에 세르비아 공장을 건설하는 기공식을 열었으며, 이 행사에는 알렉산다르 부치치 세르비아 대통령도 참석했다.[12]
3. 4. 현대
1918년 인지야는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및 슬로베니아인 왕국(1929년에 유고슬라비아 왕국으로 개명)의 일부가 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산업 발전이 이어져 유모차, 못, 잼, 분유, 낙하산, 천 등을 생산하는 공장이 설립되었고, 제2차 세계 대전 직후에는 금속 가공 공장도 들어섰다. 여러 무역 회사가 본사를 두면서 상업의 중심지로도 번성했다. 1939년에는 세르비아 최초의 현대식 도로 중 하나인 소위 "국제 도로"(노비사드–베오그라드)가 인지야를 통과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마을 총 인구 7,900명 중 약 5,900명이 민족 독일인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당시 인지야는 보이보디나에서 가장 발달된 정착지 중 하나였으며, 시르미아 지역에 거주하는 독일인의 정신적, 문화적 중심지 역할을 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1941–1944) 이 마을은 추축국의 괴뢰국인 크로아티아 독립국의 일부였다. 1944년 추축국이 패배한 후, 독일군은 추방되었고, 유고슬라비아 내 독일인 대다수도 강제로 국외 추방되었다. 유고슬라비아에 남았던 독일인들은 수용소로 보내졌고, 1948년 수용소가 폐지된 후 남은 이들 대부분 역시 독일로 추방되었다. 1944년 이후 새로운 주민 유입이 활발해지면서 마을의 민족 구성은 크게 변화했다.
1953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인지야는 주로 세르비아인이 거주하는 지역이 되었다. 마을 인구는 1948년 7,758명에서 2002년 26,247명으로 크게 증가했다. 2002년 인구 조사 기준으로 마을 인구의 87.61%가 세르비아인이다. 오늘날 인지야는 세르비아에서 경제적으로 가장 발전한 지방 자치 단체 중 하나이며, 주요 투자 유치 지역으로 평가받는다.
2020년 12월 15일, 일본의 타이어 제조사 도요타이어가 인지야에서 세르비아 공장 기공식을 열었다. 이 행사에는 알렉산다르 부치치 세르비아 대통령도 참석했다.[12]
4. 인구
2011년 인구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인지야 시에는 47,433명의 인구가 거주하고 있다.
연도 | 인구 |
---|---|
1948 | 27,600 |
1953 | 29,287 |
1961 | 36,484 |
1971 | 40,530 |
1981 | 44,151 |
1991 | 44,185 |
2002 | 49,609 |
2011 | 47,433 |
4. 1. 민족 구성 (2011년 기준)
대부분의 인지야 시정촌 거주지는 세르비아인이 다수를 차지한다. 슬로바키아인이 다수를 차지하는 거주지는 슬란카메나치 비노그라디이다.시정촌의 민족 구성:[4]
민족 | 인구 |
---|---|
세르비아인 | 40,871 |
크로아티아인 | 1,569 |
헝가리인 | 829 |
로마니 | 426 |
우크라이나인 | 391 |
슬로바키아인 | 380 |
유고슬라비아인 | 210 |
몬테네그로인 | 117 |
마케도니아인 | 71 |
슬로베니아인 | 46 |
러시아인 | 39 |
독일인 | 34 |
무슬림 | 19 |
기타 | 2,431 |
합계 | 47,433 |
5. 경제
다음 표는 2018년 기준 인지야의 주요 산업별 고용 인력 현황이다.[5]
활동 | 총계 |
---|---|
농업, 임업 및 어업 | 297 |
광업 및 채석업 | - |
제조업 | 5,609 |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 | 74 |
수도 공급; 하수도, 폐기물 관리 및 복구 활동 | 283 |
건설업 | 380 |
도매업 및 소매업, 자동차 및 오토바이 수리 | 2,289 |
운송 및 보관 | 601 |
숙박 및 음식 서비스 | 358 |
정보 및 통신 | 116 |
금융 및 보험 활동 | 143 |
부동산 활동 | 15 |
전문, 과학 및 기술 활동 | 328 |
행정 및 지원 서비스 활동 | 263 |
공공 행정 및 국방; 의무 사회 보장 | 375 |
교육 | 612 |
인간 보건 및 사회 사업 활동 | 792 |
예술, 엔터테인먼트 및 레크리에이션 | 102 |
기타 서비스 활동 | 198 |
개별 농업 종사자 | 371 |
총계 | 13,207 |
6. 사회 및 문화
6. 1. 문화 유산
이 지역에는 선사 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격동적인 역사를 보여주는 수많은 문화유산과 유적이 남아 있다. 로마 시대와 중세 시대 요새의 흔적, 그리고 슬랑카멘 전투 기념비는 과거 여러 제국의 경계선이었던 다뉴브강 유역의 전략적 중요성을 잘 보여준다.18세기에 지어진 '바베데냐 프레스베테 보고로디체' 교회는 아름다운 비율을 자랑하며, 스렘 지역에 보존된 동시대 건축물 중 가장 뛰어난 사례 중 하나로 꼽힌다. 인지야의 도심은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 산업이 발전하고 독일계 주민들이 정착하면서 형성되었다. 이 시기에 시청, 보이노비치 가옥,[6] 성 베드로 로마 가톨릭 교회, 사제관 건물 등이 세워졌으며, 바로크, 고전주의, 르네상스, 아르누보 양식이 혼합된 절충주의 양식의 타운하우스들도 건설되었다.
기념비적인 광장, 현대적인 문화 센터 건물,[7] 잘 가꾸어진 꽃 장식과 거리 가구, 그리고 새로 조성된 보행자 구역은 인지야가 현대적인 유럽 도시의 면모를 갖추고 있음을 보여준다.
2007년 6월 26일에는 세계적인 밴드 레드 핫 칠리 페퍼스가 인지야에서 콘서트를 열었다. 이 공연은 그린 페스트의 일환으로 약 1시간 20분 동안 진행되었으며, 주변 국가에서 약 9만에서 10만 명의 관객이 모여들었다.
6. 2. 행사
2007년 6월 26일, 인지야에서는 음악 축제인 그린 페스트(Green Fest)의 일환으로 레드 핫 칠리 페퍼스의 콘서트가 열렸다. 콘서트는 약 1시간 20분 동안 진행되었으며, 세계적으로 인기 있는 이 밴드를 보기 위해 인근 국가 등에서 약 9만 명에서 10만 명의 관객이 모였다.6. 3. 스포츠
인지야는 여러 스포츠 클럽의 연고지이다. 축구 클럽으로는 세르비아 2부 리그에서 활동하는 FK 인지야가 있으며, 미식축구 클럽으로는 SAAF 리그에서 경쟁하는 Inđija Indians|인지야 인디언스eng가 있다. 여자 핸드볼 클럽인 ŽRK Železničar Inđija|젤레즈니차르 인지야hbs는 세르비아 여자 핸드볼 슈퍼 리그에서 6위를 기록한 바 있다.[8] 남자 농구 클럽인 KK Železničar Inđija|젤레즈니차르 인지야hbs는 현재 3부 리그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2011-2012 시즌에는 세르비아 농구 리그에 참가하기도 했다.또한 인지야는 2009년 7월 세르비아에서 열린 2009년 하계 유니버시아드의 개최 도시 중 하나였다.
7. 교육
인지에는 초등학교 10개, 중학교 3개가 있다.[9] 또한 노비사드 기술과학부 소프트웨어 공학과가 위치해 있다.[10]
'''초등학교'''
학교 이름 | 소재지 (해당하는 경우) |
---|---|
두산 예르코비치 | |
페타르 코치치 | |
요반 포포비치 | |
브라차 그루로비치 | 베슈카 |
브랑코 라디체비치 | 마라디크 |
드 조르제 나토셰비치 | 노비 슬랑카멘 |
루자 쥬르제비치 크르나 | 초르타노브치 |
슬로보단 바이치 파야 | 노비 카를로브치 |
22. 율 | 크르체딘 |
페타르 코치치 | 류코보 |
'''중학교'''
학교 이름 |
---|
미하일로 푸핀 기술학교 |
조르제 나토셰비치 학교 |
인지야 김나지움 |
8. 종교
인지야에는 두 개의 주요 교회가 있다. 1756년에 지어진 세르비아 정교회 교회와 1867년부터 1872년 사이에 지어진 로마 가톨릭 교회가 있다. 또한 새로운 정교회 교회도 있다. 소규모의 가정 기반 개신교 신도들도 존재한다.
9. 자매 도시
인지야는 다음의 자매 도시를 두고 있다.[11]
참조
[1]
문서
Serbian municipalities 2006
[2]
웹사이트
Census 2022: Total population, by municipalities and cities
https://popis2022.st[...]
[3]
웹사이트
2011 Census of Population, Households and Dwellings in the Republic of Serbia
http://pod2.stat.gov[...]
Statistical Office of the Republic of Serbia
2017-08-19
[4]
웹사이트
ETHNICITY Data by municipalities and cities
http://pod2.stat.gov[...]
Statistical Office of the Republic of Serbia
2018-02-22
[5]
웹사이트
MUNICIPALITIES AND REGIONS OF THE REPUBLIC OF SERBIA, 2019.
https://publikacije.[...]
Statistical Office of the Republic of Serbia
2019-12-25
[6]
웹사이트
Turistička organizacija opštine Inđija - Kuća Vojnovića
http://indjija-touri[...]
2017-08-28
[7]
웹사이트
KC Indjija | Početna
http://www.kcindjija[...]
2013-05-28
[8]
웹사이트
Табела: СРЛС Жене 2012/13
http://www.super-lig[...]
2013-05-28
[9]
웹사이트
Obrazovanje u Indjiji | Indjija
http://www.indjija.o[...]
2012-08-15
[10]
웹사이트
U Inđiji prva generacija studenata na budžetu
http://www.blic.rs/V[...]
2015-11-28
[11]
웹사이트
Братски градови и општине
https://indjija.net/[...]
Inđija
2020-01-07
[12]
서적
TOYO TIRE、セルビア工場の起工式開催
https://www.jetro.go[...]
JETRO
2020-12-21
[13]
문서
Stalna konferencija gradova i opština
http://www.skgo.org/[...]
2007-06-18
[14]
웹인용
2011 Census of Population, Households and Dwellings in the Republic of Serbia
http://pod2.stat.gov[...]
Statistical Office of the Republic of Serbia
2017-08-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