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전문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문직은 이론적 지식, 훈련, 시험, 윤리 강령, 공공 복리에 대한 봉사, 조직화를 요건으로 하는 직업군을 의미한다. 전문직은 자율성을 바탕으로 업무를 수행하며, 사회적 통제를 받는다. 전문직은 기능론적 관점과 권력 중심적 관점에서 논의되며, 전문직화 과정을 통해 발전해 왔다. 전문직은 높은 사회적 지위와 권력을 가지며, 사회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대한민국에서는 근로기준법, 은행 대출, 정부 부처 등에서 전문직을 정의하고 있으며, 현대 사회에서 전문직의 사회적 책임이 강조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직업 - 형사
    형사는 범죄 해결을 위해 단서와 기록을 조사 및 평가하며, 경찰 소속으로 범죄 수사, 범인 검거, 증거 수집 등의 업무를 담당하고, 일부는 사립탐정으로 활동하기도 한다.
  • 직업 - 법관
    법관은 법원에 소속되어 소송 사건을 심판하고 당사자 간의 갈등을 법적으로 해결하는 헌법기관인 공무원이며, 대통령이 임명하고 대법관회의의 동의를 거쳐 대법원장이 임명하며, 법 적용 과정에서 법 해석을 통해 법의 흠결을 보충하고 법을 창조하기도 한다.
전문직
직업 개요
정의특별한 교육을 통해 습득한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활용하여 사회에 기여하고 보수를 받는 활동
특징
전문성특정 분야에 대한 깊이 있는 지식과 숙련된 기술을 요구함
윤리성높은 수준의 윤리적 기준과 책임을 강조함
자율성업무 수행에 있어 상당한 자율성을 가짐
사회적 기여사회 전체의 이익을 위해 봉사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김
예시
전통적인 전문직의사
변호사
교사
성직자
현대의 전문직엔지니어
회계사
약사
건축가
간호사
IT 전문가
전문직의 역사
기원중세 시대의 길드에서 유래
발전산업 혁명과 근대화 과정을 거치면서 더욱 전문화되고 체계화됨
전문직의 요건
교육 및 훈련특정 분야의 전문 교육 과정을 이수하고 자격증 또는 면허를 취득해야 함
자격 요건전문적인 지식과 기술
윤리적인 책임감
지속적인 자기 개발 노력
전문직 단체
역할전문직의 표준 설정 및 관리
회원들의 교육 및 훈련 지원
전문직의 이익 옹호
전문직의 사회적 역할
역할사회의 발전과 복지 증진에 기여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활용하여 사회 문제 해결에 참여
윤리적인 기준을 제시하고 사회의 신뢰를 유지

2. 전문직의 정의 및 요건

밀러슨(Millerson)은 전문직의 특징으로 다음 6가지를 제시했다.

순서내용
첫째이론적 지식에 기초한 기능을 필요로 함
둘째훈련과 교육을 필요로 함
셋째시험 합격 등으로 능력을 입증해야 함
넷째행동규범을 준수하여 청렴성을 보여야 함
다섯째공공의 복리에 도움이 되는 봉사를 해야 함
여섯째조직화를 이루고 있음



이 중 다섯 번째 요건(봉사)은 많은 직업이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13]

유럽 연합의 직업 자격 인정 지침(2005/36/EC)에서는 "자유 전문직"을 "고객과 대중의 이익을 위해 지적이고 개념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람들이 관련 전문 자격을 바탕으로 개인적이고 책임감 있으며 전문적으로 독립적인 자격으로 수행하는 직업"으로 정의한다.

어떤 직업이 전문직으로 인정받는 주요 과정은 다음과 같다.[6]

# 직업이 전업 직업이 됨

# 교육 기관 학교의 설립

# 대학교 학교의 설립

# 지역 자율 단체의 설립

# 직업 윤리에 대한 전국 협회의 설립

# 주 면허법의 제정

후생노동성 고시[34]는 "근로기준법 제14조 제1항 제1호에 의거, 후생노동대신이 정하는 고도의 전문 지식을 가진 자"의 기준으로 다음을 제시한다.[35]


  • 박사 학위 소지자
  • 공인회계사, 의사, 치과의사, 수의사, 변호사, 1급 건축사, 세무사, 약사, 사회보험노무사, 부동산 감정사, 기술사 또는 변리사 자격 소지자
  • IT 스트래티지스트 시험 (구 시스템 분석사 시험) 또는 보험계리사 시험 합격자
  • 특허법상 특허 발명자, 의장법상 등록 의장 창작자, 종묘법상 등록 품종 육성자
  • 대학교 졸업 후 실무 경험 5년 이상, 단대·전문대 졸업 후 실무 경험 6년 이상, 고교 졸업 후 실무 경험 7년 이상인 농림수산업, 광공업, 기계·전기, 토목·건축 기술자, 시스템 엔지니어 또는 디자이너 (연봉 10.75억 이상)
  • 시스템 엔지니어로서 실무 경험 5년 이상인 시스템 컨설턴트 (연봉 10.75억 이상)
  • 국가 등으로부터 지식이 우수하다고 인정받아, 위에 열거된 자에 준하는 자로 후생노동성 노동기준국장이 인정하는 자


위에 해당하는 사람은 기간제 근로 계약의 계약 기간 상한이 원칙적으로 3년이지만, 예외적으로 5년까지 연장된다.[36]

3. 전문직 자율성과 사회적 통제

전문직은 고도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업무를 수행하면서 자율성을 보장받는다. 이러한 자율성은 전문적인 판단을 내리고 외부 간섭 없이 최선의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필수적이다.[20][21] 그러나 전문직 자율성은 무제한적인 것이 아니며, 사회적 통제와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전문직 단체는 윤리 강령을 제정하고 자체 징계 절차를 마련하는 등 자율 규제를 수행한다.[22] 예를 들어, 대한의사협회대한변호사협회와 같은 단체는 소속 회원의 비윤리적 행위를 규제하기 위한 자체적인 윤리 강령과 징계 절차를 갖추고 있다.

국가는 법률을 제정하고 감독 기관을 설치하여 전문직을 규제한다.[18][19] 예를 들어, 대한민국 정부는 보건복지부와 법무부 등의 감독 기관을 통해 의료인과 변호사의 활동을 규제하는 의료법, 변호사법 등을 제정 및 관리한다.

규제 기관은 특정 산업을 감독하며, 산업 내 기준을 만들고 검토하며, 수정하는 역할을 한다.[18] 또한, 규제 대상 개인이나 조직이 직업 윤리를 준수하지 않을 경우 개입한다.[19]

전문직 규제는 초기에는 의사 협회나 법학원과 같은 단체를 통한 자율 규제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정부 역할이 커지면서 법정 기관이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다. 법정 규제 도입 또는 강화 제안은 전문직에서 고객 보호, 품질 및 평판 향상, 전문직 접근 제한, 수수료 인상 등의 이유로 환영받거나, 혁신 또는 전문적 판단에 따른 활동 자유를 제한한다는 이유로 저항을 받을 수 있다.

2008년 영국 정부는 정신 요법 분야의 여러 문제에서 비롯하여 심리학자에 대한 광범위한 법정 규제를 제안했다. 그러나 임상적 역할이 없는 사람들을 포함하여 다양한 종류의 심리학자가 있어 규제 근거가 명확하지 않았다. 산업 및 조직 심리학은 특히 영국 심리학회와 비즈니스 심리학자 협회 간의 이견을 가져왔다.

전문직 단체는 시험을 통해 자격을 설정하고 윤리 강령 준수를 강제할 수 있다. 한 국가에 여러 전문직 단체가 있을 수 있는데, 영국의 공인 회계사 협회 등이 그 예시이다. 홍콩 전문 교원 연합은 홍콩 교육 기관 교사의 행동, 권리, 의무 및 책임을 관리하는 규제 기관의 또 다른 예시이다.

공학 전문직은 일부 국가에서 전문 엔지니어에 대한 엄격한 면허 시스템으로 실무를 통제하지만, 다른 국가에서는 왕립 엔지니어 자격 및 자격은 규제되지만 실무는 규제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개인은 해당 전문직에서 활동하기 전에 현지 전문 기관의 자격을 법적으로 갖추어야 한다. 그러나 일부 국가에서는 그러한 자격 없이 활동할 수 있지만, 대부분의 고용주와 고객은 자격을 갖추도록 요구하기 때문에 여전히 활동 전제 조건으로 간주된다. 예를 들어, 홍콩에서 정식 자격을 갖춘 교육 전문가가 되기 위해서는 교직 대학원 교육 수료증 또는 교육 학사 학위를 이수해야 하며, 이는 홍콩 교육부에서 정한 요구 사항이다.

전문직 자율성과 사회적 통제 간의 관계는 국가별, 시대별로 다르게 나타난다. 한국 사회에서도 전문직의 자율성 보장과 사회적 책임 강화 간의 균형점을 찾기 위한 논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3. 1. 기능론적 관점과 권력 중심적 관점

전문가집단의 자율성에 대한 기존 논의는 크게 기능론적 접근과 권력 중심적 접근으로 나눌 수 있다. 에밀 뒤르켐탤컷 파슨스로 대표되는 기능론적 관점은 전문직이 사회 안정에 기여하며, 사회 변화에 따라 그 기능이 변한다고 보았다.[26][27] 에스터 루실 브라운은 여러 전문직을 연구하여 기능론적 관점을 뒷받침했다.[28]

반면, 마르크스와 베버의 영향을 받은 갈등 이론은 전문직이 자신의 집단 이익을 추구하며, 서비스 공급을 제한함으로써 금전적 이익을 얻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존슨(Johnso, ''전문직과 권력'', 1972)과 라슨(Larson, ''전문직의 부상'', 1977)이 이러한 관점을 옹호했다.[26]

전문직은 자체 업무에 대한 높은 수준의 통제력을 갖는다는 점에서 자율성을 띤다.[20] 이는 "전문적인 판단을 행사할 자유"를 의미하며,[21] 자기 이익뿐만 아니라 전문직 내부의 윤리 및 절차에 대한 지속적인 비판적 평가 과정도 포함한다.[22]

이러한 전문직 자율성은 회계, 건축, 엔지니어링, 의학 및 법률 분야에서 기업 형태의 운영을 금지하는 주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전문직 종사자는 일반 영리 법인을 통해 사업을 운영하거나 기업공개를 통해 자본을 조달하기 어렵다. 대신 파트너십이나 전문 법인과 같은 특수 사업체를 형성해야 하는데, 이는 전문직 과실에 대한 책임 보호 감소와 비전문가의 소유 제한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비전문가 소유주가 전문직 종사자에게 업무 방식을 지시하는 것을 막아 전문적 자율성을 보호하기 위함이다. 전문직은 윤리 규칙을 준수하도록 자율성을 사용해야 하며, 전문 사업체는 주식 시장에서 배제되어 성장 속도가 느린 경향이 있다.

3. 2. 비교역사적 접근

비교역사적 접근은 전문직과 전문직에 대한 규제를 제도화하는 과정과 형식에서 개별 사회가 가지는 차이와 다양성에 주목하며, 개별 사회의 역사적 환경 변화와 전문직 서비스 규제를 둘러싼 다양한 사회 집단 간의 상호 관계에 분석의 초점을 맞춘다.[37]

비교역사적 접근은 전문직 자율성을 이해하는 데 다음과 같은 이론적 함의를 갖는다.[37]

  • 첫째, 전문직 자율성과 그 제도화는 전문직과 전문직 서비스 시장 내부에 국한된 문제로 이해할 것이 아니라 거시적인 사회 구조 및 사회 변화와 연관하여 이해해야 하며, 전문직 자율성의 특정한 형식을 조건짓는 개별 사회의 역사적 환경과 변화에 주목해야 한다.
  • 둘째, 전문직의 자율성이 제도화되는 과정에서 개별 사회의 전문직과 국가, 시장과의 관계는 서로 대립적인 것이 아니라 상호 의존적이며, 그렇기 때문에 전문직의 자율성을 국가나 시장의 간섭과 서로 대응되는 개념으로 이해할 수 없다.
  • 셋째, 전문직 자율성은 하나의 고정 불변하는 제도적 형태가 아니라 특정한 사회 조건의 변화 안에서 다양한 사회 집단들 간의 갈등과 연대 과정을 통해서 끊임없이 새로 정립되는 역사적 산물로 이해해야 한다.

4. 전문직의 형성과 발전

전문직은 특정 분야에 대한 깊이 있는 이론적 지식을 바탕으로 업무를 수행하며, 이러한 지식은 오랜 훈련과 교육을 통해 습득된다. 전문직 종사자는 자신의 능력을 입증하기 위해 시험에 합격해야 하며, 높은 수준의 윤리 의식과 책임감을 가지고 공공의 이익을 위해 봉사해야 한다. 또한, 전문직은 자체적인 조직을 갖추고 규율을 확립한다.[6]

본래 "전문직(profession)"이라는 용어는 "자유 전문직(liberal profession)"을 줄인 말로, 프랑스어 "profession libérale"에서 유래했다. 유럽 연합의 직업 자격 인정 지침(2005/36/EC)에서는 자유 전문직을 "고객과 대중의 이익을 위해 지적이고 개념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람들이 관련 전문 자격을 바탕으로 개인적이고 책임감 있으며 전문적으로 독립적인 자격으로 수행하는 직업"으로 정의한다.

특정 직업이 전문직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전문직화(Professionalization)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 과정에는 다음이 포함된다.[13]


  • 전업 직업으로의 전환
  • 교육 기관 및 대학교 설립
  • 지역 자율 단체 및 전국 협회 설립
  • 직업 윤리 확립
  • 면허법 제정


미국에서는 측량이 가장 먼저 전문직 지위를 획득했고, 이후 의학, 보험계리학, 법학, 치과, 토목 공학, 물류, 건축, 회계 등이 전문직으로 발전했다.[6] 19세기에는 기술 발전과 직업 전문화에 따라 기계 공학, 약학, 수의학, 심리학, 간호학, 교직, 사서직, 검안 및 사회 복지 등도 전문직으로 인정받게 되었다.[17]

에밀 뒤르켐은 전문직이 안정적인 사회를 만드는 데 기여한다고 보았으며, 탤컷 파슨스는 사회 변화에 따라 전문직의 기능이 어떻게 변하는지 연구했다.[26][27] 마르크스와 베버갈등 이론에 따르면, 전문직은 사회적, 금전적 이익을 위해 집단적으로 행동할 수 있다.[26] 미드의 영향을 받은 담론 기반 이론은 개인의 현실 이해가 전문직 역할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한다.[26]

앤드루 애보트는 전문직들이 특정 과제를 수행할 권한, 즉 '관할권'을 두고 경쟁한다고 보았다.[29] 전문직은 '전문 지식 시스템'을 통해 다른 전문직에 도전하고 관할권을 획득하려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920년대 정신 의학은 범죄 행위에 대한 사회적 대응 통제권을 두고 법조계에 도전했다. 전문직은 일반 대중 교육('공적 관할권')이나 법적 독점('법적 관할권') 등 다양한 수단을 통해 관할권을 확장할 수 있다.

5. 전문직의 사회적 지위와 권력

전문직은 일반적으로 높은 사회적 지위와 명성을 누린다.[23] 이는 전문직이 수행하는 업무가 기술적이고, 전문화되었으며, 고도로 숙련된 업무를 포함하고, 사회적으로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이다.[23] 이러한 기술과 경험은 "전문적인 전문 지식"이라고 불린다.[23] 현대 사회에서 전문직이 되기 위해서는 학위와 자격증을 취득하고, 면허를 취득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23] 전문직은 평생 교육을 통해 새로운 기술을 습득하며, 국가와 협회는 전문직의 기준을 정한다.[23] 선도적인 전문가는 협회 등을 통해 자신의 전문 분야를 관리하고 보호하며, 동료 전문가들의 행동을 감시하고, 관련 직종에 대한 지침과 기준을 설정하는 등 지배적인 영향력을 행사한다.[24] 사회적으로 강력한 전문가는 특정 목표를 위해 조직 내에서 권력을 강화하고, 관료적인 얽매임을 줄이며, 변화하는 세계 조건에 대한 전문직의 적응력을 높일 수 있다.[25]

6. 대한민국 법률 및 제도상의 전문직

대한민국 법률 및 제도에서 전문직은 일반적으로 높은 수준의 교육, 훈련, 자격을 요구하며, 특정 직업 분야에서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활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직업을 의미한다. 관련 법률에 따라 전문직의 자격 요건, 업무 범위, 책임 등이 규정된다.

전문직은 "전문직 협회, 인지 기반, 제도화된 훈련, 면허, 업무 자율성, 동료 통제, 윤리 강령"[30]을 가지며, "높은 수준의 전문적 및 지적 우수성"과 "특별한 권력과 명성"을 가지고 모든 사회에서 "배타적인 엘리트 집단"을 구성한다.[31] 전문직 종사자는 "고도의 체계적인 지식, 강력한 공동체 지향 및 충성심, 자기 규제, 근로자 커뮤니티에 의해 정의되고 관리되는 보상 시스템"을 가진다.[31]

또한 전문직은 "추상적인 지식 체계에 대한 장기간의 전문화된 훈련, 집단 또는 서비스 지향성, 암묵적인 행동 강령, 동료 의식, 특정 직업적 이점을 보장하는 직업 하위 문화, 특정 유형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관료적 구조 및 독점적 특권"을 가진다.[32]

전문직의 중요한 특징은 전문적인 ''재량''을 육성하고 행사하는 것이다. 즉, 사례별 ''판단''을 내릴 수 있는 능력이다.[33]

6. 1. 근로기준법상 전문직

근로기준법은 고도의 전문 지식을 가진 자에 대해 계약 기간 등에서 예외를 인정하고 있다. 후생노동성 고시[34]에 따른 전문직 요건은 다음과 같다.[35]

자격 요건
박사 학위 소지자
공인회계사, 의사, 치과의사, 수의사, 변호사, 1급 건축사, 세무사, 약사, 사회보험노무사, 부동산 감정사, 기술사 또는 변리사 자격 소지자
IT 스트래티지스트 시험 (구 시스템 분석사 시험) 또는 보험계리사 시험 합격자
특허법에 규정하는 특허 발명자, 의장법에 규정하는 등록 의장 창작자 또는 종묘법에 규정하는 등록 품종 육성자
대학교 졸업 후 실무 경험 5년 이상, 단기대학·고등전문학교 졸업 후 실무 경험 6년 이상 또는 고등학교 졸업 후 실무 경험 7년 이상의 농림수산업 기술자, 광공업 기술자, 기계·전기 기술자, 토목·건축 기술자, 시스템 엔지니어 또는 디자이너로, 연봉이 1075만 이상인 자
시스템 엔지니어로서 실무 경험 5년 이상을 가진 시스템 컨설턴트로, 연봉이 1075만 이상인 자
국가 등에 의해 그 지식이 우수하다고 인정받아, 위에 열거된 것에 준하는 자로서 후생노동성 노동기준국장이 인정하는 자



위에 해당하는 자는 기간제 근로 계약의 계약 기간 상한이 원칙적으로 3년인 곳에서 예외적으로 5년으로 연장된다.[36]

6. 2. 은행에서 인정하는 고소득 전문직

은행 등 금융기관에서는 대출 심사 시 전문직 종사자에게 우대 혜택을 제공하는 경우가 많다. 은행에서 인정하는 고소득 전문직은 다음과 같다.

6. 3. 정부 부처 및 공공기관의 전문직

관청에서는 원래부터 직책 명칭으로 "전문직"을 사용하고 있다. 인사나 예산 관련 사무를 담당하는 자는 관리직에 해당하기도 한다. 2005년에는 낙하산 인사를 시정하기 위해 성청에 "전문 스태프직"을 신설하여, 캐리어 직원이 전문직으로 관청에 남을 수 있도록 하였다.[32]

표준적인 관직을 정하는 정령에서는 계장급 관직에 "전문직", 과장 보좌관급 관직에 "전문관"을 예시로 제시하고 있다.

관리직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기관명전문직 종류
오키나와 종합 사무국직원 관리 전문직
소비자청, 총무성, 문부과학성전문직
법무성교정 전문직
경제산업성관리 심사 전문직, 인사 전문직, 예산 결산 전문직, 후생 전문직
자원에너지청기술 총괄 전문직, 인사 전문직, 회계 전문직, 예산 결산 전문직
특허청인사 전문직, 회계 전문직
중소기업청인사 전문직, 회계 전문직
홋카이도 개발국개발 전문직 (인사 또는 직원 단체 관련 사무 담당)
원자력규제위원회인사 전문직, 회계 전문직 (인사 또는 예산 관련 사무 담당)


참조

[1] 서적 The Rise of Professional Society: England Since 1880 Routledge
[2] 웹사이트 What is a Profession https://www.professi[...] Australian Council of Professions 2020-02-19
[3] 웹사이트 What is a Profession https://www.psc.gov.[...] Professional Standards Council 2018-08-09
[4] 뉴스 Architects Services http://webarchive.na[...] New Statesman 1917-04-21
[5] 서적 Introduction to Accounting https://books.google[...] Lulu.com 2016-02-18
[6] 서적 Accounting and Society Chapman & Hall
[7] 간행물 Statistics of the State of New-York https://books.google[...] 1846-08
[8] 간행물 A Profession Not a Skilled Trade https://heinonline.o[...] 1955-1956
[9] 문서 The Industrial and Labour Law Digest, 1926-1959, Annotated https://books.google[...] 1961
[10] 학술지 The stability of longitudinal and cross-sectional occupational prestige rankings https://doi.org/10.1[...] 1975-12
[11] 서적 Ideas and Beliefs in Architecture and Industrial design: How attitudes, orientations and underlying assumptions shape the built environment Oslo School of Architecture and Design
[12] 웹사이트 Liberal professions https://ec.europa.eu[...] European Commission 2018-05-03
[13] 서적 The New Fontana Dictionary of Modern Thought HarperCollins
[14] 웹사이트 Washington as Public Land Surveyor https://www.loc.gov/[...] Library of Congress 2020-09-17
[15] 웹사이트 Surveying https://www.monticel[...] 2020-09-17
[16] 웹사이트 Lincoln's New Salem 1830–1837 https://www.nps.gov/[...] 2020-09-17
[17] 서적 The Accounting Profession Melville, Los Angeles
[18] 웹사이트 Good Governance And Regulatory Management https://www.oecd.org[...] 2023-11-06
[19] 웹사이트 "They set standards, hold a register, quality assure education and investigate complaints." https://www.professi[...] 2023-11-06
[20] 서적 Professional Ethics Wadsworth
[21] 웹사이트 The World Medical Association Declaration of Madrid on Professional Autonomy and Self-Regulation http://www.wma.net/e[...] 1987
[22] 학술지 Professional autonomy and the normative structure of medical practice https://ris.utwente.[...]
[23] 학술지 Faculty pressures and professional self-esteem: Life in Texas teacher education
[24] 서적 Health, Illness, and the Social Body: A Critical Sociology Prentice Hall
[25] 서적 Professionalizing the Organization https://archive.org/[...] Jossey-Bass
[26] 서적 The Routledge Companion to the Professions and Professionalism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1-05-04
[27] 학술지 The Professions and Social Structure https://www.jstor.or[...] 1939
[28] 서적 The Word as Scalpel: A History of Medical Sociolog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1-12-04
[29] 서적 The System of Professions: An Essay on the Division of Expert Labor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21-05-04
[30] 문서 The Rise of Professionalism: a Sociological Analysi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1] 문서 The Definition of a Profession: the Authority of Metaphor in the History of Intelligence Testing, 1890-1930 Princeton University Press
[32] 서적 Professions and Professionalization https://archive.org/[...]
[33] 학술지 Developing professional judgment
[34] 웹사이트 労働基準法第十四条第一項第一号の規定に基づき厚生労働大臣が定める基準(厚生労働省告示第356号。平成15年10月22日) https://www.mhlw.go.[...] 2021-11-01
[35] 웹사이트 改正労働基準法の概要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2003-11
[36] 웹사이트 労働基準法 https://laws.e-gov.g[...] e-Gov 法令検索 2019-02-10
[37] 웹인용 전문직 자율성의 사회경제적 토대 :이론적 접근 https://www.dbpia.co[...] 2021-05-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