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통합요금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도권 통합요금제는 수도권 대중교통 이용 시 여러 교통수단을 연계하여 이용할 때 요금 할인 혜택을 제공하는 제도이다. 2007년 서울, 경기, 코레일 간의 연계로 시작되었으며, 이후 인천, 신분당선, 용인 경전철, 의정부 경전철 등으로 확대되었다. 이 제도는 대중교통 이용 비용 절감, 승용차 이용 감소, 대중교통 이용객 증가 등의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시외버스, 고속버스, 일부 공항버스, 영종도 구간의 인천국제공항철도 등은 통합 요금제 적용 대상에서 제외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천광역시의 교통 - 계양 나들목
계양 나들목은 인천광역시 계양구에 위치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의 나들목으로, 1999년 박촌 나들목으로 개통 후 2003년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개량 공사를 통해 변형된 직결 램프 형태로 변경되었고 경명대로와 연결된다. - 인천광역시의 교통 - 능해 나들목
능해 나들목은 1994년 7월 7일 서해안고속도로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한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용현5동에 위치한 나들목으로, 아암대로와 축항대로를 통해 연결되며 간접적으로 제2경인고속도로 인천대교 구간, 인천대로, 인항로와 이어진다. - 경기도의 교통 - 문산역로
문산역로는 경기도 파주시 파주읍과 문산읍을 지나는 도로이며, 국도 제1호선과 지방도 제364호선 등과 연결되고 CU 문산경기북점, 도미노피자 문산점, 문산역 등이 이 도로에 위치해 있다. - 경기도의 교통 - 방촌로
방촌로는 경기도 파주시의 여러 읍, 면, 동을 지나며 다양한 도로와 교차하고 편의점, 주유소, 학교, 마트 등 여러 시설이 위치한 도로이다. - 서울특별시의 교통 - 남산1호터널
남산1호터널은 서울특별시 중구와 용산구를 잇는 터널로, 1970년 개통되어 유사시 시민 대피를 위한 목적으로 건설되었으며, 민간 자본으로 건설 후 서울특별시에서 인수, 확장되었고 현재는 혼잡 통행료를 징수하며 특정 조건에 따라 요금 감면 혜택을 제공한다. - 서울특별시의 교통 - 김포국제공항
김포국제공항은 서울 강서구에 위치한 국제공항으로, 과거 대한민국의 관문이었으나 현재는 국내선과 단거리 국제선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한국공항공사가 운영한다.
수도권 통합요금제 | |
---|---|
수도권 통합 요금제 | |
시행일 | 2004년 7월 1일 |
개요 | |
내용 | 수도권의 대중교통 요금 체계를 통합하여 환승 시 추가 요금을 할인해주는 제도 |
대상 지역 | 서울, 인천, 경기 |
적용 교통수단 | 지하철 서울 시내버스 서울 마을버스 경기 시외버스 경기 광역급행버스 인천 시내버스 인천 지하철 |
요금 체계 | |
기본 요금 | 교통카드 기준, 이동 거리에 비례하여 부과 |
환승 횟수 | 최대 4회 (총 5개 교통수단 이용 가능) |
환승 시간 | 하차 후 30분 이내 (오후 9시부터 다음날 오전 7시까지는 1시간 이내) |
추가 요금 | 환승 횟수 초과 시 또는 환승 시간 초과 시 기본 요금 부과 |
기타 | |
역사 | 2004년 7월 1일: 수도권 통합 요금제 시행 (서울, 경기) 2009년 10월: 인천 통합 환승 할인제 참여 |
문제점 | 수도권 일부 지역에서만 시행 광역버스 요금 추가 부담 환승 횟수 제한 |
2. 운임 체계
현행 수도권 통합요금제는 2015년 6월 27일부터 시행되었다. 수도권 통합 요금제는 크게 단독 통행과 환승 통행으로 구분되며, 이용하는 교통수단, 거리, 연령 등에 따라 요금이 달라진다.
'''단독 통행'''은 버스나 수도권 전철 등 하나의 교통수단만을 이용하여 이동하는 경우를 말하며, '''환승 통행'''은 여러 교통수단을 이용하여 이동하는 경우를 말한다. 환승 시에는 할인 혜택이 제공된다.
단독 통행과 환승 통행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각 하위 문서를 참고하면 된다.
2. 1. 단독 통행
단독 통행은 버스, 지하철 등 하나의 교통수단만을 이용하여 이동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서울특별시'''의 경우, 시내버스와 마을버스는 이용 거리에 관계없이 기본 요금만 내면 된다.
- '''경기도'''의 경우, 좌석형/직행좌석형 버스, 일부 단일운임제 일반형 버스, 마을버스는 기본 요금만 내면 된다. 일반형 시내버스는 거의 모든 노선에서 10km를 초과하면 5km마다 100KRW씩 추가 요금이 붙는다. 경기순환버스와 광역급행버스는 30km를 초과하면 5km마다 100KRW이 추가되며, 최대 700KRW까지 추가될 수 있다.
- '''인천광역시'''의 경우, 간선버스, 지선버스, 광역버스는 이용 거리에 관계없이 기본 요금만 내면 된다. 타 시도 및 인천국제공항 좌석버스는 10km까지 기본 요금, 이후 40km까지 5km당 100KRW이 추가되며, 40km를 넘으면 최대 700KRW이 추가된다. 광역급행버스는 30km까지 기본 요금, 이후 60km까지 5km마다 100KRW이 추가된다.
- '''수도권 전철'''은 최단 거리를 기준으로 요금이 계산된다. 기본 운임(10km 이하)은 일반(서울교통공사, 한국철도공사 등) 1400KRW, 용인 경전철 1600KRW, 의정부 경전철 1700KRW이다.[29] 10km를 넘으면 50km까지는 5km마다 100KRW, 50km를 넘으면 8km마다 100KRW이 추가된다.
- 신분당선은 이용 구간에 따라 추가 요금이 있다.[30]
- 용인 경전철과 의정부 경전철을 이용하면 일반 기본 운임과 차액이 추가된다.[29]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GTX-A)은 별도 요금 체계가 적용된다.[31]
- 인천국제공항철도 영종도 구간(영종역 - 인천공항2터미널역)은 별도 요금이 적용되며, 시내버스와 환승 할인이 안 된다.[29]
- 수도권 외 구간인 경부선(1호선) 평택역 - 신창역 구간, 경춘선 가평역 - 춘천역 구간도 별도 요금이 적용되어 4km당 100KRW이 부과된다.[29]
자세한 내용은 각 하위 문서를 참고하면 된다.
2. 1. 1.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마을버스는 단독 통행 시 이용 거리에 관계없이 기본운임만 부과한다.[24] 2023년 8월 12일 기준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요금은 다음과 같다.[25] 오전 6시 30분 이전에 교통카드를 이용하여 버스를 처음 승차할 때 기본 요금이 20% 할인된다 (\[\[심야버스]] 제외).[24]
2. 1. 2. 경기도
좌석형/직행좌석형 버스, 일부 단일운임제 일반형 버스, 마을버스는 단독 통행 시 기본운임만 부과된다. 일반형 시내버스는 거의 모든 노선이 10 km 초과 승차할 경우 5km마다 100원씩 거리비례형 운임이 추가 징수된다. 경기순환버스와 광역급행버스는 30 km 초과 승차 시 5km마다 100원의 운임이 추가되며 이 경우 거리비례 운임의 최고 운임은 700원이다.[26] 2015년 6월 27일부터 첫차 시간부터 오전 6시 30분까지 교통카드를 이용하여 직행좌석버스(광역급행버스)를 처음 승차할 때 기본 요금이 할인된다.종류 | 나이 | 현금 (원) | 카드 (원) | 조조요금 (원) |
---|---|---|---|---|
일반시내 (DRT) | 어른 (만 19세 이상) | 1,500 | 1,450 | 1,250 |
청소년 (만 12세 ~ 18세) | 1,100 | 1,010 | 870 | |
어린이 (만 6세 ~ 11세) | 800 | 730 | 630 | |
일반좌석 | 어른 (만 19세 이상) | 2,500 | 2,450 | 2,050 |
청소년 (만 12세 ~ 18세) | 1,900 | 1,820 | 1,520 | |
어린이 (만 6세 ~ 11세) | 1,700 | 1,640 | 1,370 | |
직행좌석 (간선급행) | 어른 (만 19세 이상) | 2,900 | 2,800 | 2,400 |
청소년 (만 12세 ~ 18세) | 2,000 | 1,960 | 1,680 | |
어린이 (만 6세 ~ 11세) | 2,000 | 1,960 | 1,680 | |
경기순환 | 어른 (만 19세 이상) | 3,100 | 3,050 | 2,600 |
청소년 (만 12세 ~ 18세) | 2,200 | 2,140 | 1,820 | |
어린이 (만 6세 ~ 11세) | 2,200 | 2,140 | 1,820 | |
광역급행(M버스) | 어른 (만 18세 이상) | 2,900 | 2,800 | 2,300 |
청소년 (만 12세 ~ 17세) | 2,100 | 2,000 | 1,600 | |
어린이 (만 6세 ~ 11세) | 1,600 | 1,600 | 1,300 |
마을버스는 지자체마다 마을버스 노선의 성격 및 특징이 달라 지자체 개별적으로 기본 요금이 적용된다.
지역 | 나이 | 카드 (원) | 현금 (원) |
---|---|---|---|
과천시 | 어른 (일반, 만 19세 이상) | 1,250 | 1,300 |
청소년 (중·고등학생, 만 13세 ~ 18세) | 880 | 1,000 | |
어린이 (초등학생, 만 7세 ~ 12세) | 630 | 700 | |
구리시 | 어른 (일반, 만 19세 이상) | 1,300 | 1,400 |
청소년 (중·고등학생, 만 13세 ~ 18세) | 910 | 1,000 | |
어린이 (초등학생, 만 7세 ~ 12세) | 650 | 700 | |
광주시, 군포시, 김포시, 성남시, 시흥시, 안양시, 양주시, 용인시, 파주시, 평택시 | 어른 (일반, 만 19세 이상) | 1,350 | 1,400 |
청소년 (중·고등학생, 만 13세 ~ 18세) | 950 | 1,000 | |
어린이 (초등학생, 만 7세 ~ 12세) | 680 | 700 | |
고양시, 광명시, 남양주시, 부천시, 수원시, 오산시, 의왕시, 의정부시, 하남시, 화성시 | 어른 (일반, 만 19세 이상) | 1,450 | 1,500 |
청소년 (중·고등학생, 만 13세 ~ 18세) | 1,010 | 1,100 | |
어린이 (초등학생, 만 7세 ~ 12세) | 730 | 800 |
2. 1. 3. 인천광역시
인천광역시의 간선버스, 지선버스, 광역버스는 단독으로 이용할 경우, 이용 거리에 관계없이 기본 요금만 부과된다. 타 시도 및 인천국제공항 좌석버스는 거리비례제에 따라 10km까지 기본요금, 이후 40km까지 5km당 100KRW이 부과되며, 40km 이상인 경우에는 거리비례 최대 요금인 700KRW이 부과된다. 광역급행버스는 30km까지 기본요금이며, 이후 60km까지 5km마다 100KRW이 부과된다.[28]
2. 1. 4. 수도권 전철
수도권 전철은 단독으로 이용할 때 최단 거리를 기준으로 운임이 부과된다. 기본 운임(10km 이하)은 일반(서울교통공사, 한국철도공사 등) 1400KRW, 용인 경전철 1600KRW, 의정부 경전철 1700KRW이다.[29] 10km를 초과하면 50km 이하까지는 5km마다 100KRW, 50km 초과 시에는 8km마다 100KRW이 추가된다. 청소년은 일반 요금에서 20%, 어린이는 50% 할인된 요금이 적용된다.[29]rowspan="2" | | 기본 운임: 10 km 이하 | 10 km 초과 50 km 이하 | 50 km 초과 | ||
---|---|---|---|---|---|
일반 (서울교통공사, 한국철도공사 등) | 용인 경전철 | 의정부 경전철 | |||
어른 | 1400KRW | 1600KRW | 1700KRW | 매 5km당 100KRW | 매 8km당 100KRW |
청소년 | 800KRW | 800KRW | 1160KRW | 매 5km당 80KRW | 매 8km당 80KRW |
어린이 | 500KRW | 500KRW | 800KRW | 매 5km당 50KRW | 매 8km당 50KRW |
신분당선은 이용 구간에 따라 하차 시 또는 다른 전철 노선으로 환승 시 추가 운임이 부과된다.[30] 용인 경전철과 의정부 경전철을 이용한 경우에도 일반 기본 운임과의 차액이 별도로 추가된다.[29]
신사~강남 | 강남~정자 | 정자~광교 | |
---|---|---|---|
신사~강남 | 700KRW | - | - |
강남~정자 | 1500KRW | 1000KRW | - |
정자~광교 | 2200KRW | 1500KRW | 1000KRW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GTX-A)은 별도 운임 체계가 적용되어, 10km 이내 기본 운임은 3200KRW, 이후 5km당 추가 운임은 250KRW이다. 주말에는 기본 운임의 10%가 할인된다.[31]
인천국제공항철도 영종도 구간(영종역 - 인천공항2터미널역)은 별도 운임 체계가 적용되며, 시내버스와의 환승 할인이 불가능하다.[29]
수도권 외 구간인 경부선(1호선) 평택역 - 신창역 구간, 경춘선 가평역 - 춘천역 구간도 별도 운임 체계가 적용되어 4km당 100KRW이 부과된다.[29]
2. 2. 환승 통행
환승 할인을 받으려면 버스를 하차할 때 교통카드를 단말기에 대고, 다음 교통수단으로 30분 안에 환승해야 한다. 밤 9시부터 다음 날 아침 7시까지는 60분 이내에 환승하면 된다. 같은 노선으로 환승하거나, 전철·지하철 개찰구를 나왔다가 다시 들어가는 경우에는 환승 할인이 적용되지 않는다. 단, 순환형 버스에서 차고지에서 차량을 환승하거나 사고 또는 차량 고장과 같은 상황일 때는 예외적으로 환승이 인정된다.[12]전철·지하철역에서 반대 방향 개찰구로 가기 위해 출구를 나가 5분 안에 다시 입장하면 환승으로 처리되어 추가 요금 없이 이용할 수 있다. 이 무료 환승은 1회만 가능하며, 같은 역이라도 다시 입장한 개찰구의 노선이 다르면 적용되지 않는다. 이 제도는 2012년 6월 16일부터 시행되었다.[13]
2. 2. 1. 통합거리비례제
기본요금은 가장 높은 기본요금을 가진 교통수단의 기본요금을 부과하며, 이용한 거리의 총합이 기본거리를 초과하는 경우 5km당 100KRW의 요금이 추가된다.(청소년 20%, 어린이 50% 할인)서울시 간선/지선버스, 자치구 버스 | 10km |
---|---|
경기도 일반형 시내버스, 자치구 버스 | |
인천시 시외좌석/영종좌석 | |
수도권 전철 | |
서울시 광역버스 | 30km |
경기도 좌석형/직행좌석형 | |
인천시 광역버스 |
2. 2. 2. 환승 할인 조건
버스에서 하차할 때 교통카드를 단말기에 대면해야 하고, 다음 교통수단으로 30분 안에 환승해야 환승 할인을 받을 수 있다. 밤 9시부터 다음 날 아침 7시까지는 60분 이내에 환승하면 된다.[12] 같은 노선으로 환승하거나, 전철·지하철 개찰구를 나왔다가 다시 들어가는 경우에는 환승 할인이 적용되지 않는다.[12]단, 다음과 같은 예외적인 경우에는 환승 할인이 적용된다.[12]
- 인천국제공항철도, 서울 지하철 1호선, 4호선 서울역↔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서울역 간 환승: 환승 통로가 없어서 지하철 개찰구를 나갔다 다시 들어와도 된다.
- 순환형 버스에서 차고지에서 차량을 환승하는 경우
- 사고나 차량 고장과 같은 상황
전철·지하철 역에서 5분 안에 다시 개표하면 환승으로 처리되어 추가 요금 없이 전철·지하철을 이용할 수 있다. 이 시스템은 2012년 6월 16일부터 시행되었다.[13]
2. 3. 통합 요금제 미적용 대상
통합 요금제가 적용되지 않는 대상은 다음과 같다.- 시외버스, 고속버스[12]
- 경기도 공항버스, 서울특별시 공항버스[12]
- 인천 6770·6777·6777-1번 버스, 고양시 3200·3300번, 김포시 9000번[12]
- 인천국제공항철도 영종도 구간, 직통열차[12]
- 경의선 도라산역[12]
- 충청남도, 충청북도, 강원도 차적의 시내버스와 농어촌버스[12]
- 경춘선 ITX-청춘, 경부선, 중앙선 등의 무궁화호, ITX-새마을, KTX, SRT[12]
- 현금 또는 1회용 교통카드 승차 시, 수도권 전철 정기권 사용 시[12]
3. 영향 및 효과
수도권 통합요금제 시행으로 대중교통 이용 비용이 절감되고, 대중교통 이용률이 증가하는 효과가 나타났다.[15]
2008년 12월 설문조사에 따르면, 승용차 이용자 중 7.5%가 광역버스로 이용 수단을 변경했으며, 실제 교통카드 이용 내역도 약 5만 7천 명 이상 증가했다. 서울특별시경찰청 자료에 따르면, 시내 유출입 차량은 2007년 대비 0.9% 감소했고, 특히 도심 교통량은 4.2% 감소했다.[15]
2009년 6월 경기도 버스 탑승객 수는 통합 요금제 시행 전보다 108만 명 증가하여 하루 환승객이 150만 명에 달했다.[16]
4. 연혁
- 2003년 11월 1일: 경기도에서 교통카드 이용 시 시내버스 간 50원 정액 할인을 실시했다. 이는 2시간 이내에 경기도 시내버스를 이용할 때 후불 요금을 50원 할인하는 방식이었다.[17]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 운행 체계 개편으로 서울시 시내버스(광역버스 제외)와 수도권 전철 간 환승이 가능해졌다. 요금 체계는 10km 초과 시 5km마다 100KRW이 추가되는 방식이었다.
- 2005년 6월 20일: 경기도는 시내버스 정액 할인의 환승 인정 시간을 70분 이내로 조정하고, 할인 금액을 400KRW으로 확대했다.[17]
- 2007년 7월 1일: 서울시, 경기도, 코레일의 연계로 서울 간선/지선/순환/마을버스, 경기 일반형 시내버스/자치체 버스, 수도권 전철 간 수도권 통합 요금제가 시행되었다.
- 2008년 9월 20일: 서울시 광역버스, 경기도 직행좌석형/좌석형 시내버스가 통합 요금제에 편입되었고, 간선급행버스 운행도 시작되었다.
- 2009년 10월 10일: 인천시 광역/좌석/간선/지선/급행간선버스가 통합 요금제에 편입되었다.[18]
- 2010년 12월 29일: 인천국제공항철도(서울역~청라국제도시역 구간)이 통합 요금제에 편입되었다.[19][20]
- 2011년 10월 28일: 신분당선이 개통과 동시에 통합 요금제에 편입되었다.
- 2014년 9월 20일: 용인 경전철이 통합 요금제에 편입되었다.
- 2014년 12월 6일: 의정부 경전철이 통합 요금제에 편입되었다.
- 2015년 3월 28일: 서울역의 환승 통로(인천국제공항철도~1, 4호선)가 개통되었다.
- 2015년 10월 31일: 노량진역의 환승 통로(서울메트로 9호선~1호선)가 개통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4번의 환승, 5개의 교통수단까지만 유효하다. 이를 초과할 경우 기본운임이 새로 부과된다
http://www.gg.go.kr/[...]
2010-09-07
[2]
뉴스
인천시 "수도권 통합환승할인제 7월 참여"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09-01-06
[3]
뉴스
인천시 수도권통합환승할인제 10월초로 연기될 듯
파이낸셜뉴스
2009-09-01
[4]
뉴스
내일부터 수도권 버스 150원·지하철 200원 일제 인상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5-06-26
[5]
웹사이트
서울 시내버스 체계 및 이용방법
https://news.seoul.g[...]
서울특별시청
2021-11-25
[6]
웹사이트
녹색순환버스 이용요금 변경적용 협조요청
https://opengov.seou[...]
서울특별시청 버스정책과
2021-08-25
[7]
일반
[8]
뉴스
도 대중교통 ‘조조할인제’… 일반형 버스는 제외
http://www.kyeonggi.[...]
경기일보
2015-06-26
[9]
웹사이트
요금정보안내
http://bus.incheon.g[...]
인천버스정보
2020-06-08
[10]
웹사이트
요금정보안내
http://bus.incheon.g[...]
인천버스정보
2020-06-08
[11]
웹사이트
http://seoulmetro.co[...]
[12]
뉴스
서울 전철-버스 환승 하차때 태그 않으면 미징수금액 부과
http://www.seoul.co.[...]
서울신문
2007-07-02
[13]
뉴스
[지하철·열차 승객 편의개선] 지하철 개찰구 잘못 진입때 5분 내로 재개표하면 ‘OK’
http://www.seoul.co.[...]
서울신문
2012-06-19
[14]
웹사이트
임진강~도라산역 셔틀 전동 열차 운행 알림
http://www.letskorai[...]
2021-12-10
[15]
웹사이트
서울시,수도권광역급행버스늘린다
http://spp.seoul.go.[...]
[16]
웹사이트
수도권 통합운임제 2년, 하루 150만명 환승할인
http://www2.gg.go.kr[...]
[17]
웹사이트
http://www.gg.go.kr/
[18]
뉴스
내달 10일부터 수도권 통합환승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09-09-21
[19]
뉴스
내달 10일부터 수도권 통합환승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09-09-21
[20]
뉴스
오늘부터 인천도 대중교통 통합 환승 할인
http://news.naver.co[...]
MBC
2009-10-10
[21]
웹인용
4번의 환승, 5개의 교통수단까지만 유효하다. 이를 초과할 경우 기본운임이 새로 부과된다
http://www.gg.go.kr/[...]
2010-09-07
[22]
뉴스
인천시 "수도권 통합환승할인제 7월 참여"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09-02-02
[23]
뉴스
인천시 수도권통합환승할인제 10월초로 연기될 듯
http://www.fnnews.co[...]
파이낸셜뉴스
2009-09-06
[24]
뉴스
내일부터 수도권 버스 150원·지하철 200원 일제 인상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5-06-26
[25]
웹사이트
교통 요금 안내
https://news.seoul.g[...]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청 교통정책과
2023-08-13
[26]
뉴스
도 대중교통 ‘조조할인제’… 일반형 버스는 제외
http://www.kyeonggi.[...]
경기일보
2015-06-26
[27]
웹사이트
마을버스요금표
http://gtownbus.or.k[...]
경기도마을버스조합
2024-03-31
[28]
웹사이트
요금정보안내
http://bus.incheon.g[...]
인천버스정보
2023-08-13
[29]
웹사이트
운임 제도 안내
http://seoulmetro.co[...]
서울교통공사
2023-10-07
[30]
웹사이트
운임안내
https://www.shinbund[...]
DX Line
2023-10-07
[31]
웹사이트
여객운송약관
https://www.gtx-a.co[...]
GTX-A
2024-03-30
[32]
뉴스
서울 전철-버스 환승 하차때 태그 않으면 미징수금액 부과
http://www.seoul.co.[...]
서울신문
2009-02-06
[33]
뉴스
[지하철·열차 승객 편의개선] 지하철 개찰구 잘못 진입때 5분 내로 재개표하면 ‘OK’
http://www.seoul.co.[...]
서울신문
2012-06-19
[34]
뉴스
지하철 하차 후 10분 이내 재승차 환승적용 시행
https://www.news1.kr[...]
뉴스1
2023-07-01
[35]
뉴스
서울지하철 15분 이내 재승차시 '무료'
https://www.sedaily.[...]
서울경제
2023-09-25
[36]
웹인용
임진강~도라산역 셔틀 전동 열차 운행 알림
http://www.letskorai[...]
2021-12-11
[37]
보도자료
서울시,수도권광역급행버스늘린다
http://spp.seoul.go.[...]
서울특별시 도시교통본부
[38]
보도자료
수도권 통합운임제 2년, 하루 150만명 환승할인
http://www2.gg.go.kr[...]
경기도 대중교통과
[39]
웹사이트
도정소식
http://www.gg.go.kr/
2008-12-12
[40]
보도자료
대중교통 통합요금제, 수도권 광역버스까지 9월중 확대 시행
http://www.seoul.go.[...]
서울특별시 도시교통본부
[41]
뉴스
내달 10일부터 수도권 통합환승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09-09-21
[42]
뉴스
오늘부터 인천도 대중교통 통합 환승 할인
https://news.naver.c[...]
MBC
2009-1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