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역급행버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 1. 개요
- 2. 역사
- 2.1. 1차 선정 노선 (2008년 ~ 2009년)
- 2.2. 2차 선정 노선 (2010년 ~ 2011년)
- 2.3. 3차 선정 노선 (2011년 ~ 2013년)
- 2.4. 4차 선정 노선 (2013년 ~ 2014년)
- 2.5. 광역버스 입석금지 관련 선정 노선 (2014년)
- 2.6. 5차 선정 노선 (2015년 ~ 2017년)
- 2.7. 6차 선정 노선 (2016년 ~ 2017년)
- 2.8. 7차 선정 노선 (2017년)
- 2.9. 8차 선정 노선 (2017년 ~ 2019년)
- 2.10. 9차 선정 노선 (2018년 ~ 2019년)
- 2.11. 10차, 11차 선정 노선 (2018년 ~ 2019년)
- 2.12. 12차 선정 노선 (2019년)
- 2.13. 13차 선정 노선 (2019년 ~ 2020년)
- 2.14. 14차 선정 노선 (2019년 ~ 2021년)
- 2.15. 15차 선정 노선 (2020년 ~ 2021년)
- 2.16. 16차 선정 노선 (2021년 ~ 2022년)
- 3. 운임 체계
- 4. 권역 체계
- 5. 관련 규정
- 6. 노선 목록
- 7. 문제점 및 논란
- 8. 개선 노력 및 향후 과제
- 참조
1. 개요
광역급행버스(M버스)는 수도권 지역에서 운행되는 급행 버스 노선으로, 2008년 M4101번 노선 개통을 시작으로 1차, 2차, 3차, 4차, 5차, 6차, 7차, 8차, 9차, 10차, 11차, 12차, 13차, 14차, 15차, 16차에 걸쳐 노선이 신설되었다. 국토교통부의 입찰을 통해 사업자가 선정되며, 39석 또는 45석의 좌석, 압축천연가스(CNG) 차량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2012년 10월 27일부터 이동거리에 따른 구간 운임제가 시행되며, 수도권 대중교통 통합운임제를 적용받아 환승 할인이 가능하다. 서울특별시 시내버스와 유사한 권역 체계를 사용하며, 안전 문제와 졸음운전 사고, 노선 선정 및 운영 관련 문제, 운행 관련 문제, 기타 문제 등의 문제점이 있다.
광역급행버스는 초기에는 운수회사가 소유한 면허 차적 지역의 광역버스, 직행좌석버스 운임을 징수했다.[26][27] 2012년 10월 27일부터 이동거리에 따른 구간운임제를 시행하고 있으며, 환승 이용 시 총 운임의 합은 변하지 않는다. 교통카드 단말기는 해당 자치단체 단말기를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2. 역사
종류 나이 카드 (원) 현금 (원) 요금 어른 (만 19세 이상) 2800KRW 2,900 청소년 (만 13세 ~ 18세) 2000KRW 2,100 어린이 (만 7세 ~ 12세) 1600KRW 1,600
광역급행버스는 서울특별시와 경기도에서 시내버스와 지하철 운임은 수도권 대중교통 통합운임제를 적용받으며, 환승할인혜택도 이 기준에 맞추어 적용된다. 교통카드 사용 시 최초 탑승한 이동수단을 포함하여 5번까지 환승할 수 있다. 개통 초기 3개월간은 해당 면허 차적의 광역버스, 직행좌석버스 운임 체계를 따르다가 통합 운임으로 변경되었다.
거가대교 개통 이후 부산과 거제도를 잇는 시내버스 신설 및 시외버스 노선 문제로 부산시와 경상남도, 그리고 양 지역 버스 업체 간 갈등이 발생하면서 비수도권 최초로 광역급행버스 도입이 논의되었으나, 국토교통부 직권조정으로 직행좌석형 버스가 신설되었다.[28] 이 노선은 2014년 1월 22일에 개통되었다.
부산과 울산 간 광역급행버스 노선도 추진되었지만,[29][30] 울산시는 기존 시내버스 노선으로 충분하다는 입장을 보여 협의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31]
2014년 하반기부터 광역급행버스를 수도권 외 대도시로 확대하는 방안이 검토되었으나,[32] 부산시와 거제시의 시내버스 2000번 개통 합의로 무산되었다.
2. 1. 1차 선정 노선 (2008년 ~ 2009년)
M영어4101번은 경기고속에서 운행하는 광역급행버스로, 용인시 광교와 숭례문을 잇는다. 2008년 9월 20일에 신설되었으며, 2009년 8월 10일에 번호가 변경되었다. 주요 경로는 대왕판교로, 경부고속도로, 한남대교를 지나간다. 초기에는 공급량 부족과 천연가스 충전 문제[2]가 있었으나, 광교신도시 차고지에 충전소가 설치되면서 해결되었다. 2011년 10월 5일 동천동을 경유하는 직행좌석버스 노선 변경으로 인해 2011년 11월 4일부터 동천동 현대홈타운 2차 정류장에 추가 정차한다. 2018년 8월 6일부터는 상현역까지 연장되었다. 원래 서울특별시 업체인 동성교통이 사업자로 선정되었으나, 수익 감소를 우려하여 사업을 포기하였고, 이후 경기고속이 선정되어 운행하고 있다.
M영어4102번은 경기고속이 운행하는 광역급행버스로, 성남시 미금역과 숭례문을 잇는다. 평일 출근시간대에는 이매촌한신아파트에서 출발하는 차량이 있다. 2009년 10월 17일에 운행을 시작하였다. 동성교통이 최초 낙찰받았으나 인건비 문제로 포기하였고, 재입찰을 통해 경기고속이 선정되었다.
M영어4403번은 대원고속에서 운행하는 광역급행버스로, 화성시 동탄과 강남역을 잇는다. 2009년 8월 10일에 개통되었다. 경부고속도로를 경유한다. 초기에는 동탄신도시 정류장 문제로 민원이 발생하기도 했으나, 이후 정류장 추가 및 노선 변경을 통해 개선되었다. 2017년 9월 28일에는 M영어4403번과 동일한 노선으로 직행좌석버스 4403번(2층 버스)이 운행을 시작하였다.
M영어2104번은 대원운수에서 운행했던 광역급행버스로, 남양주시 평내동과 동대문역을 이었다. 2009년 8월 10일에 개통되었으나, 2010년 11월 15일 직행좌석버스 766번으로 전환되었고, 2011년 3월 2일에 폐선되었다.
M영어6405번은 신동아교통이 운행하는 광역급행버스로, 인천광역시 송도국제도시와 강남역을 잇는다. 2009년 8월 10일에 개통되었다. 제3경인고속화도로,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과천봉담도시고속화도로, 과천우면산도시고속화도로를 경유한다. 초기에는 정류장 설치 제한 문제로 어려움을 겪었으나, 노선 분할을 통해 해결하였다. 2010년 10월 22일에는 A영어/B영어 노선으로 분리되었으며, B영어 노선은 2011년 1월 31일부터 9201번 광역버스로 운행 중이다.
M영어7106번은 가온누리엠이 운행했던 광역급행버스로, 고양시 대화역과 서울역 (YTN)을 이었다. 2009년 8월 10일에 개통되었으며, 2023년 12월 31일에 폐선되었다. 개통 초기에는 연세대학교 앞을 정차하지 않았으나, 2011년 1월 3일부터 일산 방향에 한하여 정차하기 시작했고, 2011년 8월 4일부터 양방향 모두 정차하게 되었다. 서울특별시 면허로 운행 당시 차량 증차 문제가 있었으나, 경기도 면허로 이관하면서 해결되었다.
다음은 2009년 8월부터 2010년 4월까지 1차 선정 노선들의 월별 이용객 수를 나타낸 표이다.
노선 번호 | 2009. 8. 10. | 2009. 10. 16. | 2009. 10. 23. | 2009. 12. 24. | 2010. 1. 29. | 2010. 2. 26. | 2010. 3. 26. | 2010. 4. 30. |
---|---|---|---|---|---|---|---|---|
M영어2104 | 364 | 1330 | 1498 | 1419 | 1389 | 1391 | 1238 | 1290 |
M영어4101 | 3020 | 4779 | 4868 | 4947 | 5144 | 5361 | 5371 | 5521 |
M영어4102 | 없음 | 없음 | 3113 | 4509 | 3917 | 4339 | 5138 | 5232 |
M영어4403 | 2113 | 3964 | 4228 | 4188 | 4663 | 4521 | 4293 | 4653 |
M영어6405 | 481 | 1085 | 1245 | 1306 | 1343 | 1487 | 1592 | 1753 |
M영어7106 | 2250 | 4707 | 4963 | 5602 | 4881 | 5096 | 5244 | 5313 |
2. 2. 2차 선정 노선 (2010년 ~ 2011년)
2010년 6월 국토해양부는 10개 노선의 사업자를 모집하였으나,[3] 3개 노선은 운송사업자가 없어 운행을 개시하지 못했다.노선 번호 | 운행 구간 | 주요 경유지 | 신설 일자 | 비고 |
---|---|---|---|---|
M5107 | 수원시 (경희대학교) ↔ 서울역 버스 환승센터 | 영통역, 청명역, 한남대교 | 2010년 12월 13일 | |
M4108 | 동탄 (메타폴리스) ↔ 서울역 버스 환승센터 | 한빛마을, 경부고속도로, 한남대교 | 2011년 2월 11일 | 화성여객에서 운행하는 경기도 직행좌석버스 4108번과 동일 노선, 2층 버스 운행 |
M5609 | 안산시 (자유센터) ↔ 여의도 버스 환승센터 | 월피동, 서해안고속도로, 여의도역 | 2011년 2월 21일 | 2016년 7월 15일 경기도 직행좌석버스 5609번으로 전환 |
M6410 | 인천광역시 (한화·논현지구) ↔ 강남역 | 미추홀외고, 서초역, 교대역 | 2011년 1월 31일 | 인천광역시 단말기 사용 |
M7111 | 파주 운정 ↔ 서울역 (YTN) | 제2자유로, 연세대학교, 광화문역 | 2011년 1월 29일 | 2017년 3월부터 2층 버스 운행 |
M7412 | 고양시 (중산동) ↔ 강남역 | 정발산역, 일산경찰서, 신사역 | 2010년 11월 29일 | 2011년 9월 16일 기점 연장 |
M7613 | 고양시 (중산동) ↔ 여의도 (여의도역) | 풍산역, 국립암센터, 여의나루역 | 2010년 11월 29일 | 2016년 5월 1일 운행 중단 |
- M5107 (경기고속): 영통 주민들의 서울 도심 노선 신설 요구로 신설되었다. 그러나 경희대학교 통학 수요와 겹쳐 공급이 부족하고, 경희대학교 내 무료 탑승 문제, 영통회차장에서의 연료 충전, 흥덕지구 무정차 통과 등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 M4108 (대원고속): 동탄신도시 주민들의 도심행 노선 신설 요구로 신설되었다. M4403번과의 정류소 차이로 민원이 제기되어 정류소가 추가되고 노선이 변경되었다. 화성여객 4108번(직행좌석)과 동일 노선이며, 2층 버스도 운행한다.
- M5609 (경원여객): 좌석버스 5601번의 적자로 운행에 어려움을 겪었다. 배차 간격 미준수, 불법 승·하차 등 문제점이 있었고, 2016년 경기도 직행좌석버스 5609번으로 전환되었다.
- M7111 (신성교통): 서울시와 운송업체 간 환승할인 문제로 초기 운행에 차질이 있었으나, 경기도 면허 이관 후 증차되었다. 연세대, 이대후문 정류소 추가, 행선지 표기 변경(파주(교하)→운정신도시) 등 변화가 있었다. 2017년부터 2층 버스가 운행 중이다.
2. 3. 3차 선정 노선 (2011년 ~ 2013년)
2011년 9월 국토해양부는 9개 노선의 광역급행버스 사업자를 모집하였으나,[8] 이 중 3개 노선은 운송사업자가 없어 운행을 개시하지 못했다.노선 | 운행 구간 | 비고 |
---|---|---|
M5414 | 광교상현 (경기도청) ↔ 강남역 | 2016년 10월 31일 운행 중단 |
M5115 | 광교상현 (경기도청) ↔ 서울역 버스환승센터 | |
M2316 | 남양주 (화도읍 차산리) ↔ 잠실역 | |
남양주(진접) ↔ 서울역 | 운송사업자 없음 | |
M6118 | 인천 (청라국제도시) ↔ 서울역 (우체국) | 2018년 4월 2일 광역버스 1800번으로 전환 |
김포(한강) ↔ 강남 | 운송사업자 없음 | |
M6117 | 김포 (한강신도시) ↔ 서울역 (우체국) | |
M7119 | 고양 (식사동) ↔ 서울역 (YTN) | |
파주(교하)-고양(가좌) ↔ 서울역 | 운송사업자 없음 |
3차 광역급행버스 노선들은 대부분 2012년 3월 중 개통 예정이었으나, 국토교통부가 차고지 건설 지연을 이유로 M2316번을 제외한 5개 노선의 개통 시기를 4월 이후로 연기했다.[9] M2316번은 최초 개통일에서 2주 지연된 2012년 3월 21일 개통 예정이었으나, 간선급행버스 8002번 감차 문제로 또다시 개통이 지연되었다.
- M5414 (수원 광교 - 강남역): 광교 웰빙타운 주민들의 요구로 웰빙타운을 경유하는 형태로 개통되었다. CNG 충전과 주박을 위해 광교신도시 차고지까지 공차 회송을 했다. 신분당선이 광교역까지 연장 개통하면서 수요가 급감하여 2016년 10월 31일 운행을 중단했다.
- M5115 (수원 광교 - 서울역): 광교 웰빙타운 주민들의 요구로 웰빙타운을 경유하는 형태로 개통되었다. CNG 충전과 주박을 위해 광교신도시 차고지까지 공차 회송을 했다. 대원고속이 입찰하여 낙찰받았으나 경기운수를 거쳐 경기고속으로 이관되었다.
- M2316 (남양주 화도 - 잠실역): 입찰 당시 남양주공업고등학교가 기점이었으나, 간선급행버스 8002번과의 노선 중복 등의 이유로 차산리로 변경되었다.[10] 평내동, 호평동 주민들이 평내호평역 추가 정차를 요구하고 있다.[11] 8002번 버스 감차 문제로 개통이 지연되다가, 합의점을 찾아 2012년 6월 8일 감차 없이 개통하였다.
- M6117 (김포 한강신도시 - 서울역): 신동아교통이 입찰하여 낙찰받았으나, 운임 징수 및 환승 운임 정산 문제로 김포운수로 노선을 양도하였다. 민영제 노선이다. 운행 수익 확보를 위해 추가된 정류장이 존재하며, 임시 우회 노선으로 인해 아파트 단지 간 분쟁이 있었다. 2층 버스를 시범 운행하기도 했다. 한 이용고객이 비공개 민원을 제기했으나, 운행 업체에서 민원인의 실명을 거론하며 공지문을 부착하여 논란이 되었다.[12]
- M6118 (인천 청라국제도시 - 서울역): 최초 인가 당시 봉오대로(오정대로)를 지나도록 되어 있었으나, 중앙버스전용차로 개통 문제로 경인고속도로를 통해 합정역으로 진입하는 것으로 운행했다. 2018년 4월 2일부터 광역버스로 형간 전환되어 1800번으로 변경되었고, 청라복합환승센터 ~ 힐데스하임 구간이 연장되었다.
- M7119 (고양 식사동 - 서울역): 신동아교통이 입찰하여 낙찰받았으나, 가스 보조금 문제로 일산엠버스를 설립하여 운영하게 되었다. 최근 선진버스에서 양수받아 운행 중이다. 최초 인가 당시 제2자유로를 통해 진입하였으나, 명성운수 및 서울 신성교통, 신성운수, 경기 신성교통(현재의 신성여객)과의 경쟁을 이유로 중앙로 - 수색로 구간 직통으로 변경되었다.[7]
- M5121 (수원 영통구청 - 서울역): 삼성전자의 요구가 반영되어 노선 분리로 개통되었다.
- M5422 (수원 영통구청 - 강남역): 개통 당일 용남고속에서 반발하여 차량 운행 및 영업을 방해하는 시위를 벌였다.[13] CNG 충전과 주박을 위해 광교신도시 차고지까지 공차 회송을 한다.
2. 4. 4차 선정 노선 (2013년 ~ 2014년)
M2323영어, M6724영어, M6427영어번 (이후 굿모닝 급행버스로 전환된 M7625영어, M7426영어번 포함) 노선이 4차 선정 노선에 해당한다.노선번호 | 운행업체 | 운행구간 | 기점부 정류장 | 무정차 구간 | 종점부 정류장 | 배차간격(분) | 차적 | 신설일자 | 기타사항 |
---|---|---|---|---|---|---|---|---|---|
M2323영어 | 경기고속 | 남양주시 (호평동) ↔ 잠실역 | 호평중흥S클래스, 호평도서관, 호만마을, 판곡초교, 호평상업지구, 두산알프하임입구 | 수석호평도시고속화도로, 강변북로, 잠실대교 | 잠실역 | 10~17 | 경기도 광주시 | 2013년 10월 14일 | |
M6724영어 | 청룡교통 | 송도국제도시 (연세대학교) ↔ 서울역 | 더샵퍼스트월드, 자이하버뷰, 더샵엑스포빌리지, 풍림아이원2단지, 동춘역 | 제2경인고속도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경인고속도로, 양화대교 | 선유고등학교, 합정역, 홍대입구역, 연세대학교(송도행), 신촌오거리 | 15~25 | 인천광역시 | 2013년 9월 2일 | |
M7625영어 | 파주여객 | 운정신도시 ↔ 여의도역 | 가람 3·4단지, 한길육교, 운정행복센터, 해솔 2·5단지, 산내 11단지, 새암공원 | 자유로, 강변북로, 성산대교 | 당산역, 국회의사당역, 증권거래소, KBS 별관, 대한지적공사 | 25~30 | 경기도 파주시 | 2013년 12월 23일 | 2018년 3월 9일 굿모닝 급행버스 G7625번으로 전환 |
M7426영어 | 파주여객 | 운정신도시 ↔ 양재역 | 가람 3·4단지, 한길육교, 야당역, 한빛 4·8단지, 한빛3·6단지, 새암공원 | 자유로, 강변북로, 올림픽대로, 한남대교 | 신사역, 논현역, 신논현역, 강남역, 뱅뱅사거리 | 20~25 | 경기도 파주시 | 2013년 12월 23일 | 2018년 3월 9일 굿모닝 급행버스 G7426번으로 전환 |
M6427영어 | 김포운수 | 김포시 ↔ 강남역 | 복합환승센터, 힐스테이트, 뉴고려병원, 초당마을, 반도유보라2차, 풍경마을 | 김포한강로, 올림픽대로 | 고속터미널, 반포역, 논현역, 신논현역, 강남역 | 30~50 | 경기도 김포시 | 2014년 4월 1일 | 회차시 흑석역 정차 |
[14]
M2323번은 평내동 차고지에 충전소가 설치되지 않아 차산리 차고지까지 공차 회송하여 충전하며, 이때 충전소행 차량은 승객을 태우지 않는다. M2323번과 동일한 노선으로 운행하는 직행좌석버스 1000-1번은 2층 버스를 운행하며, M2323번의 광주시가 아닌 남양주시 차적으로 운행한다는 차이가 있다.
M6724번은 기존 유사 노선(광역버스 1300번, 1301번, 1302번, 1601번 등)과 달리 부천시 지역을 거치지 않아 운행시간이 20~30분 정도 단축되었다. 이를 통해 송도국제도시 주민과 유치된 기업(포스코, 대우, 코오롱 등)의 출퇴근 및 연세대학교 국제캠퍼스 학생들의 등하교가 편리해졌다. 그러나 M6118번과 달리 서울역까지 운행하지 않고 신촌역까지만 운행한다.[15] 초기에는 현대자동차 파업으로 인가대수 10대 중 5대만 출고되어 배차간격이 40분가량으로 길었으나, 나머지 5대가 증차되어 해결되었다. 2013년 11월 16일 노선이 일부 변경되었다.
M7625번과 M7426번은 현대자동차 차량 부족과 경기 신성교통(현재의 신성여객)의 재정 문제로 개통이 늦어졌다. 2014년 1월 이후 각각 배차간격 30~40분, 20~30분 이내로 정상 운행할 계획이었다. 국토교통부 승인은 운정신도시가 기점이었으나, 파주시 교하지구 주민들의 대규모 민원으로 파주시와 신성여객이 교하지구의 정류장을 출발지로 선정했었다. 운정신도시 주민들의 역민원과 국토교통부의 기점 변경 불가 방침에 따라 기점은 운정신도시(가람마을 3, 4, 6단지)로 원복되었다. 2013년 12월 7일 개통 예정이었지만 신성여객의 노사문제로 개통이 연기되어 2013년 12월 23일 운행이 개시되었다. 신성여객의 경영 상태 악화로 2014년 3월 8일부터 평일 출근 시간에만 각각 2회, 4회 운행하다가 3월 22일 운행을 중단했으며, 파주시에서는 전세버스를 투입하여 출퇴근 시간대에 대체 운행하였다. 2014년 5월 24일 파주여객이 노선을 인수하여 다시 운행을 시작하였다. 시내버스 신규 면허 문제로 7월 19일부터 운행을 중단한다고 예고했으나 파주시와 합의하고 정상 운행하고 있다. 2018년 3월 9일부터 경기도 굿모닝 급행버스로 형간 전환되면서 각각 G7625번, G7426번으로 운행한다.
M6427번과 유사한 노선으로 2015년 7월 21일 직행좌석버스 9502번(삼화고속 시외버스 9502번의 형간 전환)이 개통되었으며, 2015년 11월 노선 번호가 6427번으로 변경되었다.
2. 5. 광역버스 입석금지 관련 선정 노선 (2014년)
광역버스 입석 금지 시행으로 인한 승객의 포화를 해소하기 위해 광역급행버스로 신설한 노선이다.[16] 인천광역시 광역버스 1000번과 유사한 노선이다. 운행 초기에는 합정역을 종점으로 운행하였으나, 2014년 11월 19일 연세대학교까지 노선을 연장하였다. 현재는 출퇴근 시간대에만 운행하는 노선에서 정규 노선으로 변경되었다. 민영제 노선이다.2. 6. 5차 선정 노선 (2015년 ~ 2017년)
2015년 12월, 다음 4개 노선의 운송사업자를 모집하였고,[17] 2016년 1월 운송사업자 선정 결과가 발표되었다.- 고양(능곡초교) - 서울역 : 명성운수
- 동탄역(화성 동탄 2신도시) - 서울역 : 경기고속 -> 화성여객
- 동탄역(화성 동탄 2신도시) - 강남역 : 경기고속
- 인천(청라) - 시민의숲·양재꽃시장 : 신동아교통이 낙찰받았으나, 노선 선정 문제로 운행을 포기하여 무산되었다.
노선 번호 | 운행 업체 | 운행구간 | 기점부 정류장 | 무정차 구간 | 종점부 정류장 | 배차 간격 (분) | 차적 | 신설 일자 | 기타 사항 | ||
---|---|---|---|---|---|---|---|---|---|---|---|
M7129 | 명성운수 | 고양 (능곡초교) | ↔ | 서울역(YTN) | 고양경찰서 행신초교 행신동 소만마을 서정마을 | 중앙로 수색로 성산로 (중앙차로) | 연세대학교 경복궁역 광화문역 신한은행 서대문역 | 15~30 | 경기도 고양시 | 2016년 3월 28일 | 광역급행버스 최단거리 노선 |
M4130 | 화성여객 | 동탄 동탄역 | ↔ | 서울역(환승센터) | 부영.우미린 의료시설부지 한화꿈에그린 동탄역.포스코 센트럴자이 | 경부고속도로 한남대교 남산1호터널 | 서울백병원 서울시청 신한은행 명동국민은행 | 20~40 | 경기도 화성시 | 2016년 6월 27일 | 경기고속으로부터 이관 |
M4434 | 경기고속 | 동탄 자이파밀리에 | ↔ | 강남역 | 부영.우미린 의료시설부지 한화꿈에그린 동탄역.포스코 센트럴자이 | 경부고속도로 | KCC 신논현역 뱅뱅사거리 양재역 시민의숲 | 20~40 | 경기도 광주시 | 2017년 11월 13일 |
M4434번은 화성시 동탄2신도시에서 강남역을 잇는 노선으로, 당초 다른 5차 선정 노선들과 함께 2016년에 신설될 계획이었으나, 넓은 동탄 2신도시에서 기존 자사 노선 6001번과 노선이 겹친다는 이유(6001번 운행사 화성여객은 KD 계열사)로 계획보다 늦은 2017년 11월에 신설되었다.
2. 7. 6차 선정 노선 (2016년 ~ 2017년)
2016년 8월, 국토교통부는 인천 송도국제도시 - 여의도, 송도국제도시 - 잠실역, 오산시 - 사당역, 고양시 덕이지구 - 공덕역, 안양시 평촌 - 잠실역 등 5개 노선의 운송사업자를 모집하였다.[18] 이 중 M5532, M5333, M7731 노선이 선정되었으며, 각 노선의 운행 정보는 다음과 같다.노선 번호 | 운행 업체 | 운행 구간 | 기점부 정류장 | 무정차 구간 | 종점부 정류장 | 배차 간격 (분) | 차적 | 신설 일자 | 기타 사항 | ||
---|---|---|---|---|---|---|---|---|---|---|---|
M7731 | 명성 | 고양 덕이지구 | ↔ | 공덕역 | 하이파크시티 탄현큰마을 경남아너스빌 성저마을14단지 대화역 킨텍스 | 자유로 | 합정역 홍대입구역 신촌오거리 이대역 서강대후문 | 17 | 경기도 고양시 | 2017년 3월 10일 | |
M5532 | 용남고속 | 오산 갈곶동 | ↔ | 사당역 | 원동초교 오산역 U-City센터 세교13단지 죽미마을입구 | 경부고속도로 | 남부터미널 예술의 전당 방배동 | 15~35 | 경기도 수원시 | 2017년 3월 20일 | 오산교통으로부터 이관 |
M5333 | 삼영운수 | 안양 범계역 | ↔ | 잠실역 | 진흥아파트 남부시장 안양1번가 대동문고 석수역 | 강남순환로 양재대로 | 삼성서울병원 수서역 가락시장 송파역 석촌호수 | 12~25 | 경기도 안양시 | 2017년 3월 6일 |
M5532번은 본래 오산교통에서 운행했으나, 2018년 4월 1일 용남고속버스라인에 매각되었다. 이후 2021년 1월 1일 경진여객으로 이관되었다가 다시 용남고속으로 운행 회사가 변경되었다.
M7731번은 한때 민영제로 운행했으나, 가온누리엠의 업체 적격성 탈락으로 재입찰 후 2024년 10월 14일에 준공영제로 전환되었고 운행업체도 명성으로 이관되었다.
2017년 7월 9일, 경부고속도로 양재 나들목 인근에서 M5532번 버스 기사의 졸음운전으로 인해 버스와 승용차 6대가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했다.[19] 이 사고로 2명이 사망하고 16명이 부상을 입었으며, 경찰 조사 결과 버스 기사가 법에 규정된 휴식 시간을 지키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20] 이 사고는 운전자의 졸음운전을 막기 위한 근로기준법 개정의 계기가 되었다.[21]
2. 8. 7차 선정 노선 (2017년)
2017년 2월, 국토교통부는 다음 4개 노선의 운송사업자를 모집하였다.[22] 입찰 결과, 하남-청량리 노선을 제외한 3개 노선의 운송사업자가 결정되었다.- 화성 동탄2신도시(테크노밸리) - 서울역 (M4137): 경기고속→화성여객
- 인천 송도국제도시 - 여의도 (M6635): 이삼화관광
- 인천 송도국제도시 - 잠실역 (M6336): 이삼화관광
이 중 M6635번과 M6336번은 출퇴근 전용 노선으로, 2017년 10월 16일에 개통되었으나 2019년 4월 16일에 폐선되었다. M4137번은 2017년 12월 11일에 신설되었으며, 2019년 3월 4일에 화성여객으로 이관되었다. M4137번은 M4108, M4130번과 노선이 중복되지 않으며, 경부고속도로 기흥IC의 정체 시에는 예당마을을 경유하기도 하지만, 예당마을에는 정차하지 않는다.
노선번호 | 운행업체 | 운행구간 | 기점부 정류장 | 무정차 구간 | 종점부 정류장 | 배차간격(분) | 차적 | 신설일자 | 기타사항 |
---|---|---|---|---|---|---|---|---|---|
M6635 | 이삼화관광 | 인천 송도국제도시 ↔ 여의도 | 캠퍼스타운역, 지식정보단지역, 인천대입구역, 해양경찰청, 더샵엑스포9단지 | 아암대로, 제3경인고속화도로, 시흥대로 | 구로디지털단지역, 보라매역, 여의도자이, 여의도역, 여의도환승센터, 농협재단 | - | 인천광역시 | 2017년 10월 16일 | 출퇴근 전용, 2019년 4월 16일 폐선 |
M6336 | 이삼화관광 | 인천 송도국제도시 ↔ 잠실역 | 캠퍼스타운역, 지식정보단지역, 인천대입구역, 해양경찰청, 더샵엑스포9단지 | 아암대로, 제3경인고속화도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 복정역, 장지역, 문정역, 가락시장역, 석촌호수 | - | 인천광역시 | 2017년 10월 16일 | 출퇴근 전용, 2019년 4월 16일 폐선 |
M4137 | 화성여객 | 동탄 (동탄 테크노밸리) ↔ 서울역(환승센터) | 신안인스빌2차, 상록.경남아파트 | 경부고속도로, 한남대교, 남산1호터널 | 서울백병원, 서울시청, 신한은행, 명동국민은행 | 15~40 | 경기도 화성시 | 2017년 12월 11일 | 2019년 3월 4일에 화성여객으로 이관 |
2. 9. 8차 선정 노선 (2017년 ~ 2019년)
2017년 11월, 국토교통부는 4개 노선에 대한 운송사업자를 모집하였다.[23] M5438번은 대원고속이 운행하며, 평택지제역과 강남역을 잇는다. 이 노선은 경기도 평택시를 경유하는 최초의 광역급행버스 노선이며, 2019년 M6336번 폐선 이후 광역급행버스 최장거리 노선이 되었다. 또한 M버스 최초로 2층버스 운행을 시작했다. M6439번은 신동아교통이 운행하며, 인천종합버스터미널과 강남역을 연결한다. 이 노선은 인천종합버스터미널에서 출발하는 광역급행버스 노선이다.노선번호 | 운행업체 | 운행구간 | 기점부 정류장 | 무정차 구간 | 종점부 정류장 | 배차간격(분) | 차적 | 신설일자 | 기타사항 |
---|---|---|---|---|---|---|---|---|---|
M5438 | 대원고속 | 평택지제역 ↔ 강남역 | 광동제약, 평택고용센터, 송탄출장소, 미주아파트, 동부아파트 | 경부고속도로 | KCC, 신논현역, 뱅뱅사거리, 양재역, 시민의숲 | 20~60 | 경기도 광주시 | 2018년 6월 1일 | 광역급행버스 최장거리 노선, 2층버스 운행 |
M6439 | 신동아교통 | 인천종합버스터미널 ↔ 강남역 | 선수촌사거리, 서창도서관, 서창센트럴푸르지오, 센타빌딩, 서창퍼스트뷰후문 | 제3경인고속화도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봉담과천로 | 서초역, 교대역, 강남역, 역삼역 | 20~25 | 인천광역시 | 2019년 10월 23일 |
2. 10. 9차 선정 노선 (2018년 ~ 2019년)
2018년 3월, 국토교통부는 4개 노선에 대한 운송사업자를 모집하였다.[24]노선번호 | 운행업체 | 운행구간 | 기점부 정류장 | 무정차 구간 | 종점부 정류장 | 배차간격(분) | 차적 | 신설일자 | 기타사항 |
---|---|---|---|---|---|---|---|---|---|
M2341 | 대원운수 | 월산지구 ↔ 잠실역 | 화광중학교, 마석역, 청소년도움센터, 마석주공, 창현택지지구 | 서울양양고속도로, 올림픽대로 | 잠실광역환승센터 | 15~25 | 경기도 남양주시 | 2019년 3월 4일 | 간선급행버스 8002번 보조 노선 |
M5342 | 대원고속 | 수원종합버스터미널 ↔ 잠실광역환승센터 | 수원선일초등학교, 영통아이파크.영통래미안, 망포역, 영통역, 황골벽산아파트 | 경부고속도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 장지역, 문정역, 가락시장역, 석촌역 | 20~40 | 경기도 광주시 | 2019년 4월 29일 | 직행좌석버스 1112번 보조 노선, 2021년 8월 2일 운휴, 2024년 11월 19일 폐선 |
M5443 | 경진여객 | 호매실동 능실마을 ↔ 강남역 | 수원은혜교회, 휴먼시아5단지, 칠보마을8단지, 홈플러스서수원점, 서수원버스터미널 | 봉담과천로 | 서초자이아파트, 서초역, 교대역, 강남역, 양재역, 양재시민의숲역 | 25~35 | 경기도 수원시 | 2019년 3월 12일 | 2021년 1월 1일 경진여객으로 이관 |
M2341번은 M2104번 이후 대원운수가 운행하는 광역급행버스 노선이다. 동사의 간선급행버스 8002번을 보조하지만, 8002번과 달리 2층 버스는 운행하지 않으며, 광역급행버스 정류장 개수 제한으로 대성리에는 정차하지 않는다. 본래 2019년 2월 11일에 개통 예정이었으나, 노선 승인 문제로 2019년 3월 4일에 개통했다.
M5342번은 수원종합버스터미널에서 이용 가능한 광역버스 노선 중 유일하게 대원고속이 운행하는 노선이었다. 기존 경희대학교 수원캠퍼스~강변역 간을 운행하는 동사의 직행좌석버스 1112번을 보조하는 노선이었다. 코로나19 및 4차 대유행으로 인한 수요 감소로 2021년 8월 2일 운행이 한시적으로 중단되었다가, 2022년 12월 12일 운행을 재개했으나, 2024년 11월 19일 폐선되었다.
M5443번은 M5532번과 달리 처음부터 용남고속이 운행했으나, 2021년 1월 1일 경진여객으로 이관되었다. 광역급행버스 정류장 개수 문제로 의왕요금소와 선바위역에는 정차하지 않는다.
2. 11. 10차, 11차 선정 노선 (2018년 ~ 2019년)
2018년 7월, 국토교통부는 다음 2개 노선에 대한 운송사업자를 모집하였다.[25]노선 번호 | 운행 업체 | 운행구간 | 기점부 정류장 | 무정차 구간 | 종점부 정류장 | 배차 간격 (분) | 차적 | 신설 일자 | 기타 사항 | ||
---|---|---|---|---|---|---|---|---|---|---|---|
M2344 | 대원운수 | 별내하우스토리.중말사거리 | ↔ | 잠실역 | 별가람고등학교 KCC스위첸아파트 별내고등학교 신일유토빌아파트 미리내마을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강변북로 | 잠실광역환승센터 | 15~25 | 경기도 남양주시 | 2019년 10월 7일 | |
M7145 | 선진버스 | 원당대림아파트 | ↔ | 서대문역 | 신원당마을입구 원당역 원흥역 도래울마을 | 자유로 강변북로 | 합정역 홍대입구역 연세대학교 이화여대 | 30 | 경기도 김포시 | 2019년 10월 18일 | 2020년 11월 23일 운휴 |
- M2344번과 M7145번은 민영제 노선이다.
- M2344번은 2024년 9월 1일부로 휴업 중단됐다.
- M7145번은 2022년 12월 22일 폐선되었다.
2. 12. 12차 선정 노선 (2019년)
2019년 1월, 국토교통부는 2개 노선에 대한 운송사업자를 모집하였다. 이 중 M7646번은 가온누리엠이 선정되었으나, 이후 명성운수로 사업자가 변경되었다.노선번호 | 운행업체 | 운행구간 | 기점 | 무정차 구간 | 종점 | 배차간격(분) | 차적 | 신설일자 | 기타사항 |
---|---|---|---|---|---|---|---|---|---|
M7646 | 명성 | 송포초교 ↔ 영등포소방서 | 대송중학교 킨텍스 원시티1단지 일산동구청 | 자유로 강변북로 | 당산역 영등포시장 | 60 | 경기도 고양시 | 2019년 12월 13일 | 민영제 노선 |
2. 13. 13차 선정 노선 (2019년 ~ 2020년)
호수부영1차창의고교
동탄테크노밸리
강남역
양재역
시민의숲
송화초교
병점초교
능리교차로
강남역
양재역
시민의숲
센트럴파크역
인천대입구역
테크노파크역
캠퍼스타운역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봉담과천로
양재역
강남역
선릉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