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광역시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천광역시장은 인천광역시의 행정 수반으로, 1945년부터 1995년까지는 대통령이 임명했고, 1995년 지방자치제도 개편 이후부터는 직선제로 선출된다. 역대 시장은 경기도 인천부윤, 경기도 인천시장, 인천직할시장, 인천광역시장으로 구분되며, 각 시기별로 관선과 민선 시장이 있었다. 최근 선거 결과는 2022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유정복 후보가 당선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천광역시장 - 박남춘
박남춘은 행정고시 합격 후 공직 생활을 거쳐 국회의원과 인천광역시장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인천광역시장 - 안상수 (인천 출신 정치인)
안상수는 인천 출신의 정치인으로, 동양종합금융증권 부사장, 인천광역시장, 국회의원을 역임했으며, 인천광역시장 재임 기간 동안 송도국제도시를 조성했으나,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 - 대한민국의 지방자치단체장 - 충청남도지사
충청남도지사는 충청남도의 행정 수반으로, 1945년 미군정 시기부터 존재했으며, 1995년 지방자치제 부활 이후 도민들의 직접 선거로 선출되는 민선 도지사 체제로 운영된다. - 대한민국의 지방자치단체장 - 대전광역시장
대전광역시장은 대전광역시의 행정을 책임지는 최고 책임자로, 1949년 충청남도 대전시장으로 시작하여 명칭 변경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며, 1995년부터 주민 직선으로 선출되는 민선 시장이 운영되고 있다. - 인천광역시청 - 인천교통공사
인천교통공사는 인천광역시의 대중교통 운영을 담당하는 지방공기업으로, 지하철 건설본부 설립을 시작으로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운영을 위해 인천광역시 지하철공사로 출범하여 인천메트로와 합병 후 현재의 모습으로 재편되었으며, 도시철도 운영과 더불어 버스 정보 시스템, 장애인 콜택시, 터미널 운영 등 다양한 대중교통 서비스를 제공하며 '아이로'라는 캐릭터를 사용한다. - 인천광역시청 - 인천광역시경제자유구역청
인천광역시경제자유구역청은 2003년 개청하여 인천경제자유구역의 개발 및 운영을 담당하며, 윤원석이 2024년 2월부터 청장으로 재임 중이다.
인천광역시장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직책 | 인천광역시장 |
관할 지역 | 인천광역시 |
현직 | 유정복 |
현직 취임일 | 2022년 7월 1일 |
임기 | 4년 |
초대 시장 | 池田淸吉 |
설립일 | 1945년 10월 8일 |
이미지 | |
![]() | |
![]() | |
웹사이트 | |
공식 웹사이트 | 인천광역시장 공식 웹사이트 |
2. 역대 시장
선출 방법 | 역대 | 성명 | 임기 |
---|---|---|---|
관선 | 초대 | 표양문 | 1949년 8월 15일 - 1950년 5월 |
관선 (직무대행) | 조승환 | 1950년 5월 - 1950년 6월 12일 | |
관선 | 2대 | 이중세 | 1950년 6월 12일 - 1951년 9월 |
관선 | 3대 | 박학전 | 1951년 10월 - 1952년 5월 |
민선 | 4대 | 표양문 | 1952년 5월 - 1954년 2월 |
민선 | 5대 | 김정렬 | 1954년 2월 - 1958년 2월 6일 |
관선 | 6대 | 김정렬 | 1958년 2월 7일 - 1960년 6월 |
관선 | 7대 | 오원근 | 1960년 7월 - 1960년 12월 27일 |
민선 | 8대 | 김진두 | 1960년 12월 28일 - 1961년 5월 24일 |
관선 | 9대 | 류승원 | 1961년 5월 24일 - 1963년 2월 25일 |
관선 | 10대 | 장수영 | 1963년 6월 11일 - 1965년 1월 |
관선 | 11대 | 윤갑로 | 1965년 2월 1일 - 1966년 7월 7일 |
관선 | 12대 | 신충선 | 1966년 7월 7일 - 1966년 9월 5일 |
관선 | 13대 | 김해두 | 1966년 9월 13일 - 1969년 5월 16일 |
관선 | 14대 | 유병택 | 1969년 5월 16일 - 1971년 7월 23일 |
관선 | 15대 | 홍승순 | 1971년 8월 7일 - 1973년 7월 9일 |
관선 | 16대 | 정규남 | 1973년 7월 9일 - 1975년 11월 11일 |
관선 | 17대 | 김재연 | 1975년 11월 11일 - 1976년 7월 24일 |
관선 | 18대 | 김태호 | 1976년 7월 24일 - 1978년 2월 18일 |
관선 | 19대 | 원병의 | 1978년 2월 18일 - 1980년 5월 8일 |
관선 | 20대 | 전영춘 | 1980년 5월 8일 - 1981년 6월 30일 |
선출 방법 | 역대 | 성명 | 재임 기간 |
---|---|---|---|
관선 | 21대 | 김찬회 | 1981년 7월 1일 - 1985년 2월 27일 |
관선 | 22대 | 안찬희 | 1985년 2월 28일 - 1986년 1월 8일 |
관선 | 23대 | 박배근 | 1986년 1월 9일 - 1987년 5월 29일 |
관선 | 24대 | 이재창 | 1987년 5월 30일 - 1989년 7월 20일 |
관선 | 25대 | 심재홍 | 1989년 7월 21일 - 1992년 4월 20일 |
관선 | 26대 | 박종우 | 1992년 4월 21일 - 1993년 3월 3일 |
관선 | 27대 | 최기선 | 1993년 3월 4일 - 1994년 9월 23일 |
관선 | 28대 | 이영래 | 1994년 9월 24일 - 1994년 12월 31일 |
선출 방법 | 역대 | 성명 | 임기 |
---|---|---|---|
관선 | 28대 | 이영래 | 1995년 1월 1일 - 1995년 6월 30일 |
민선 | 29대 | 최기선 | 1995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 |
민선 | 31대 | 안상수 | 2002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 |
민선 | 33대 | 송영길 | 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 |
민선 | 34대 | 유정복 | 2014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 |
민선 | 35대 | 박남춘 | 2018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 |
민선 | 36대 | 유정복 | 2022년 7월 1일 - |
2. 1. 경기도 인천부윤 (1945~1949)
선출 방식 | 대수 | 이름 | 임기 | 비고 |
---|---|---|---|---|
관선 | 초대 | 이케다 세이기(池田清義) | 1945년 8월 16일~1945년 9월 2일 | 조선총독부 최후의 인천부윤 |
관선 | 2대 | 스틸먼(Stilman) 미군 중좌[3] | 1945년 9월 2일~1946년 10월 8일 | |
민선 | 3대 | 임홍재(任鴻宰) | 1946년 10월 8일~1946년 11월 13일 | |
관선 | 4대 | 1946년 11월 13일~1947년 1월 18일 | ||
관선 (권한대행) | 조승환(曹勝煥) | 1947년 1월 19일~1947년 2월 21일 | ||
관선 | 5대 | 표양문(表良文) | 1947년 2월 22일~1949년 8월 14일 |
2. 2. 경기도 인천시장 (1949~1981)
1949년부터 1981년까지 경기도 인천시장을 역임한 인물들의 목록이다. 이 시기 인천시장은 대통령이 임명하는 관선과 시민들이 직접 선출하는 민선으로 번갈아 임명되었다.선출 방식 | 대수 | 이름 | 임기 | 비고 |
---|---|---|---|---|
관선 | 초대 | 표양문 | 1949년 8월 15일~1950년 4월 23일[5] | 2대 총선 출마를 위해 사퇴 |
서리 | 조승환(曺勝煥) | 1950년 4월 24일[5]~1950년 5월 17일 | ||
서리[6] | 노윤모(盧潤模) | 1950년 5월 18일[6]~1950년 5월 25일 | ||
권한대행 | 조승환 | 1950년 5월 26일~1950년 6월 12일 | ||
2대 | 지중세 | 1950년 6월 12일~1950년 9월 | ||
임시 | 강해승 | 1950년 9월 26일~1950년 10월 8일 | ||
3대 | 박학전 | 1950년 10월 8일~1952년 5월 8일 | ||
민선 | 4대 | 표양문 | 1952년 5월 8일~1954년 2월 | |
5대 | 김정렬 | 1954년 2월~1958년 2월 6일 | ||
관선 | 6대 | 1958년 2월 7일~1960년 6월 | ||
7대 | 오원근 | 1960년 7월~1960년 12월 27일 | ||
민선 | 8대 | 김진두 | 1960년 12월 28일~1961년 5월 24일 | |
관선 | 9대 | 류승원 | 1961년 5월 24일~1963년 2월 25일 | |
권한대행 | 오윤영 | 1963년 2월 26일~1963년 6월 10일 | ||
10대 | 장수영 | 1963년 6월 11일~1965년 1월 31일 | ||
11대 | 윤갑로 | 1965년 2월 1일~1966년 7월 7일 | ||
12대 | 신충선 | 1966년 7월 7일~1966년 9월 5일 | ||
권한대행 | 오윤영 | 1966년 9월 6일~1966년 9월 12일 | ||
13대 | 김해두 | 1966년 9월 13일~1969년 5월 16일 | ||
14대 | 유병택 | 1969년 5월 16일~1971년 7월 23일[7] | ||
15대 | 홍승순 | 1971년 8월 7일~1973년 7월 9일[8] | ||
16대 | 정규남 | 1973년 7월 9일~1975년 11월 11일[9][10] | ||
17대 | 김재연 | 1975년 11월 11일~1976년 7월 24일[11][12] | ||
18대 | 김태호 | 1976년 7월 24일~1978년 2월 18일[13][14] | ||
19대 | 원병의 | 1978년 2월 18일~1980년 5월 8일[15][16] | ||
20대 | 전영춘 | 1980년 5월 8일~1981년 6월 30일[17][18] |
2. 3. 인천직할시장 (1981~1994)
선출 방식 | 대수 | 이름 | 임기 | |
---|---|---|---|---|
관선 | 초대 | 김찬회 | 1981년 7월 1일~1985년 2월 27일 | [19][20] |
2대 | 안찬희 | 1985년 2월 28일~1986년 1월 8일 | [21][22] | |
3대 | 박배근 | 1986년 1월 9일~1987년 5월 29일 | [23][24] | |
4대 | 이재창 | 1987년 5월 30일~1989년 7월 20일 | [25][26] | |
5대 | 심재홍 | 1989년 7월 21일~1992년 4월 20일 | [27][28] | |
6대 | 박종우 | 1992년 4월 21일~1993년 3월 3일 | [29] | |
7대 | 최기선 | 1993년 3월 4일~1994년 9월 23일 | [30][31] | |
8대 | 이영래 | 1994년 9월 24일~1994년 12월 31일 |
1981년부터 1994년까지 인천직할시장은 대통령이 임명하였다.
2. 4. 인천광역시장 (1995~현재)
1995년부터 개정된 지방자치법 조항에 따라 인천광역시장은 직선제로 선출된다.[1]선출 방식 | 대수 | 이름 | 임기 | 정당 | 비고 |
---|---|---|---|---|---|
민선 | 2대 | 최기선 | 1995년 7월 1일~1998년 6월 30일 | 민주자유당(1995) 신한국당(1995~1997) 한나라당(1997~1998) 자유민주연합(1998~2002) 무소속(2002) | [32] |
3대 | 1998년 7월 1일~2002년 6월 30일 | [33] 재선 | |||
4대 | 안상수 | 2002년 7월 1일~2006년 6월 30일 | 한나라당 | [34] | |
5대 | 2006년 7월 1일~2010년 6월 30일 | [35] 재선 | |||
6대 | 송영길 | 2010년 7월 1일~2014년 6월 30일 | 민주당(2010~2011) 민주통합당(2011~2013) 민주당(2013~2014) 새정치민주연합(2014) | [36] | |
7대 | 유정복 | 2014년 7월 1일~2018년 6월 30일 | 새누리당(2014~2017) 자유한국당(2017~2018) | [37] | |
8대 | 박남춘 | 2018년 7월 1일~2022년 6월 30일 | 더불어민주당 | [38] | |
9대 | 유정복 | 2022년 7월 1일~ | 국민의힘 | [39] 재선 |
역대 인천광역시장 선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3. 역대 선거 결과
각 선거별 자세한 득표 결과는 하위 문단을 참조하면 된다.
3. 1. 1995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1995년 인천광역시장 선거 | ||||||
---|---|---|---|---|---|---|
정당 | 번호 | 후보자 | 득표수 | 득표율 | ||
신한국당 | 1 | 최기선 | 383,965 | 40.81% | ||
새정치국민회의 | 2 | 신용석 | 298,544 | 31.73% | ||
자유민주연합 | 3 | 강우혁 | 258,175 | 27.44% | ||
합계 | 940,684 | 100.00% | ||||
투표율 | 62.02% |
3. 2. 1998년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1998년 인천광역시장 선거 | ||||||
---|---|---|---|---|---|---|
정당 | 번호 | 후보자 | 득표수 | 득표율 | ||
자유민주연합 | 3 | 최기선 | 375,051 | 53.49% | ||
한나라당 | 1 | 안상수 | 238,708 | 34.04% | ||
새정치국민회의 | 4 | 김기재 | 87,327 | 12.45% | ||
합계 | 701,086 | 100.00% | ||||
투표율 | 43.19% |
3. 3. 2002년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002년 인천광역시장 선거 | ||||||
---|---|---|---|---|---|---|
정당 | 번호 | 후보자 | 득표수 | 득표율 | ||
한나라당 | 1 | 안상수 | 393,932 | 56.17% | ||
새천년민주당 | 2 | 박상은 | 225,210 | 32.11% | ||
민주노동당 | 4 | 김창한 | 35,234 | 5.02% | ||
녹색평화당 | 3 | 신맹순 | 29,473 | 4.20% | ||
사회당 | 5 | 김영규 | 17,404 | 2.48% | ||
합계 | 701,253 | 100.00% | ||||
투표율 | 39.32% |
3. 4. 2006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006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인천광역시장 선거 | ||||||
---|---|---|---|---|---|---|
정당 | 번호 | 후보자 | 득표수 | 득표율 | ||
한나라당 | 2 | 안상수 | 526,932 | 61.93% | ||
열린우리당 | 1 | 최기선 | 200,650 | 23.58% | ||
민주노동당 | 4 | 김성진 | 78,898 | 9.27% | ||
민주당 | 3 | 신경철 | 44,339 | 5.21% | ||
합계 | 850,819 | 100.00% | ||||
투표율 | 44.30% |
3. 5. 2010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The 5th Nationwide Local Elections영어인 2010년 인천광역시장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
민주당 | 송영길 | 556,902 | 52.69% |
한나라당 | 안상수 | 469,040 | 44.38% |
새진보당 | 김상하 | 19,580 | 1.85% |
평화민주당 | 백석두 | 11,258 | 1.06% |
합계 | 1,056,780 | ||
투표율 | 50.91% |
민주당 송영길 후보가 52.69%의 득표율로 당선되었으며, 한나라당 안상수 후보는 44.38%를 득표하여 낙선하였다.
3. 6.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014년 인천광역시장 선거 | ||||||
---|---|---|---|---|---|---|
정당 | 순위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
새누리당 | 1 | 유정복 | 615,077 | 49.95% | ||
새정치민주연합 | 2 | 송영길 | 593,555 | 48.20% | ||
통합진보당 | 3 | 신창현 | 22,651 | 1.83% | ||
합계 | 1,231,283 | 100.00% | ||||
투표율 | 53.66% |
3. 7.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018년 인천광역시장 선거 | ||||||
---|---|---|---|---|---|---|
정당 | 순위 | 후보자 | 득표수 | 득표율 | ||
더불어민주당 | 1 | 박남춘 | 766,186 | 57.66% | ||
자유한국당 | 2 | 유정복 | 470,937 | 35.44% | ||
바른미래당 | 3 | 문병호 | 54,054 | 4.06% | ||
정의당 | 5 | 김응호 | 37,472 | 2.82% | ||
합계 | 1,328,649 | 100.00% | ||||
투표율 | 55.27% |
3. 8. 2022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022년 인천광역시장 선거 | ||||||
---|---|---|---|---|---|---|
정당 | 번호 | 후보자 | 득표수 | 득표율 | ||
국민의힘 | 2 | 유정복 | 634,250 | 51.76% | ||
더불어민주당 | 1 | 박남춘 | 545,885 | 44.55% | ||
정의당 | 3 | 이정미 | 38,921 | 3.17% | ||
기본소득당 | 4 | 김한별 | 6,079 | 0.49% | ||
합계 | 1,225,135 | 100.00% | ||||
투표율 | 48.95% |
참조
[1]
웹사이트
Previous Mayors - City Government - Introducing Incheon
http://english.inche[...]
[2]
웹사이트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통계시스템
http://info.nec.go.k[...]
2019-10-05
[3]
뉴스
생산하는 이백공장 스틸맨인천시장의 보고
동아일보
1946-02-21
[4]
웹사이트
인천광역시청 홈페이지
https://www.incheon.[...]
[5]
뉴스
표인천시장사임
상공일보
1950-04-23
[6]
뉴스
대중일보
1950-05-26
[7]
문서
능률 행정, 책임 행정, 봉사 행정
[8]
문서
새마을운동의 지속화, 책임있는 마무리, 성격있는 지역개발
[9]
문서
생산과 생활의 조화된 도시
[10]
문서
신뢰받는 행정, 실익있는 행정, 앞서가는 행정
[11]
문서
새롭게 푸르게 깨끗하게
[12]
문서
품격있는 도시건설, 시민생활의 소득화, 행정자세의 생활화
[13]
문서
알찬 건설, 밝은 시정
[14]
문서
새마을로 시민총화, 질서있는 도시건설, 신뢰받는 책임행정
[15]
문서
알찬 건설, 밝은 시정
[16]
문서
새마을로 시민총화, 질서있는 도시건설, 봉사하는 위민행정
[17]
문서
활기차고 건강한 인천을 건설하자
[18]
문서
화합하는 행정, 활기찬 도시건설, 성실한 봉사행정
[19]
문서
활기찬 시민 약진 새인천
[20]
문서
신뢰받는 시정, 도시환경 정비, 시민생활 안정
[21]
문서
깨끗한 항도 인천건설
[22]
문서
시민참여의 행정, 생활환경의 정비, 복지수준의 향상, 지역안보의 강화
[23]
문서
푸른도시 활기찬 새인천
[24]
문서
화합안정의 정착, 시민복지의 증진, 봉사행정의 실천, 도시기반의 확충
[25]
문서
알찬 건설 밝은 시정
[26]
문서
신뢰시정의 구현, 시민복지의 향상, 도시개발의 촉진, 지역안정의 정착
[27]
문서
화합, 안정, 약진
[28]
문서
신뢰받는 시민시정, 균형있는 복지행정, 활기찬 도시건설, 수준높은 문화창달, 화합으로 지역안정
[29]
문서
사랑으로 친절봉사, 믿음속에 화합안정, 정성다해 도시건설, 슬기모아 경제발전
[30]
문서
봉사는 크게 규제는 작게
[31]
문서
의식·제도·관행의 일대 쇄신, 가계와 기업의 성장 활력 회복
[32]
문서
깨끗한 인천을 만듭시다
[33]
문서
하늘·바다·정보화로 새천년을 가꾸어 갑시다
[34]
문서
동북아의 관문도시 인천
[35]
문서
세계 일류 명품도시 인천
[36]
문서
대한민국의 심장, 경제수도 인천!
[37]
문서
인천의 꿈, 대한민국의 미래
[38]
문서
살고 싶은 도시, 함께 만드는 인천
[39]
문서
시민이 행복한 세계 초일류도시 인천
[40]
문서
유정복 당선 경력
http://info.nec.go.k[...]
[41]
뉴스
국힘 12·민주 5 승리…초접전 경기, 野 막판 역전승(종합3보)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22-06-02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경찰, '선거법 위반 혐의' 유정복 인천시장 소환 조사
경찰 ‘공직선거법’ 위반 유정복 인천시장 피의자 신분 소환, 조사
‘적폐·내란 관련 인사’ 고위직에 임명한 유정복 인천시장
김용태, 오늘 유정복 시장 만찬 회동…쇄신안 논의 전망
인천선관위, ‘유정복 경선캠프 활동’ 공무원 3명 포함 6명 고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