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일마리 유틸라이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마리 유틸라이넨은 1932년 핀란드 방위군에 입대하여 핀란드 공군 조종사로 복무한 군인이자,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핀란드 공군의 에이스 전투기 조종사였다. 겨울전쟁, 계속전쟁에 참전하여 총 94 1/6기의 적기를 격추했으며, 핀란드 공군 최초의 만네르헤임 십자장 수훈자이다. 전쟁 이후 1947년까지 공군에 복무했으며, 1956년까지 프로 비행사로 활동했다. 1999년 85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급 자유십자포장 수훈자 - 시모 해위해
    시모 해위해는 겨울 전쟁에서 500명 이상의 적군 사상자를 기록한 핀란드의 저격수로, "흰 죽음"이라 불리며 공포의 대상이었고, 그의 전술과 전과는 전설적인 영웅담으로 남아 여러 작품에 영감을 주었으나 과장된 기록에 대한 의혹과 전쟁의 기억으로 고독한 삶을 살았다.
  • 리엑사 출신 - 쓰루넨 마루테이
    핀란드 출신으로 일본에 귀화한 쓰루넨 마루테이는 기독교 선교사로 일본 사회에 헌신하며 지방 의원과 참의원 의원을 역임, 유기농업 옹호 및 배외주의 반대 등 진보적 행보를 보였고 핀란드와 일본 문학 번역에도 기여했다.
  • 4급 자유십자장 수훈자 - 시모 해위해
    시모 해위해는 겨울 전쟁에서 500명 이상의 적군 사상자를 기록한 핀란드의 저격수로, "흰 죽음"이라 불리며 공포의 대상이었고, 그의 전술과 전과는 전설적인 영웅담으로 남아 여러 작품에 영감을 주었으나 과장된 기록에 대한 의혹과 전쟁의 기억으로 고독한 삶을 살았다.
  • 4급 자유십자장 수훈자 - 아르네 유틸라이넨
    아르네 유틸라이넨은 1904년 핀란드에서 태어나 프랑스 외인부대와 겨울 전쟁에 참전하여 콜라 전투에서 활약했으며, 전쟁 후 알코올 중독으로 고생하다 1976년 사망한 핀란드의 군인이다.
일마리 유틸라이넨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에이노 일마리 유틸라이넨
에이노 일마리 유틸라이넨
본명에이노 일마리 유틸라이넨
별칭일루
출생1914년 2월 21일
출생지리에ksa, 핀란드 대공국, 러시아 제국
사망1999년 2월 21일
사망지투술라, 핀란드
묘지알 수 없음
군사 경력
소속핀란드 공군
복무 기간1932년–1947년
최종 계급준위
소속 부대제24비행대대
제34비행대대
주요 참전제2차 세계 대전
겨울 전쟁
계속 전쟁
수상 내역
훈장만네르헤임 십자장 2급 (2회)
자유 십자장 3급, 곡엽과 검장
자유 십자장 4급, 곡엽과 검장 (2회)
자유 훈장 2급
철십자 훈장 1급 (독일)
철십자 훈장 2급 (독일)
기타 이력전문 조종사
가족 관계
형제자매아르네 유틸라이넨 (형)

2. 생애

200x200px


일마리 유틸라이넨은 핀란드 공군의 전설적인 전투기 조종사로, 겨울전쟁과 계속전쟁에 참전하여 총 94대의 적기를 격추하는 경이로운 기록을 세웠다.[19] 그는 포커 D.XXI, 브루스터 B-239 버팔로, 메서슈미트 Bf 109 등 다양한 전투기를 조종했으며, 특히 브루스터 버팔로로 34기,[19] 메서슈미트 Bf 109로는 58기를 격추했다.

그의 뛰어난 전공은 핀란드 최고 무공훈장인 만네르헤임 십자장을 두 차례 수훈하는 영예로 이어졌다. 첫 번째 십자장은 1942년 4월 26일에,[24] 두 번째 십자장은 1944년 6월 28일에 수여받았다. 이는 핀란드 역사상 단 네 명만이 달성한 기록이다.

유틸라이넨은 비행 임무를 계속 수행하기 위해 장교 임관을 거부한 일화로도 유명하다. 그의 비행 경력은 놀라운 기록들로 가득 차 있는데, 적 전투기의 공격으로 자신의 전투기가 단 한 번도 격추되지 않았으며(아군 대공포 오인 사격으로 인한 비상 착륙 제외), 전투 중 자신의 편대원을 단 한 명도 잃지 않았다. 또한 1943년 3월 24일에는 핀란드 공군 최초로 레이더 유도를 통해 소련의 페틀랴코프 Pe-2 폭격기를 격추하는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그의 마지막 공식 격추는 1944년 9월 3일 카렐리야 지협 상공에서 리수노프 Li-2(더글러스 C-47을 소련에서 개조 생산한 기종) 수송기를 격추한 것이다.[26]

전쟁이 끝난 후에도 1947년까지 공군에 복무했으며, 이후 1956년까지 민간 조종사로 활동했다. 1997년에는 핀란드 공군의 F/A-18 호넷 복좌기에 탑승하여 마지막 비행을 경험했다. 유틸라이넨은 1999년 2월 21일, 85세 생일에 투술라의 자택에서 영면했다.

2. 1. 초기 생애 및 군 복무

유틸라이넨은 1932년 9월 9일 핀란드 방위군에 입대했고, 1935년부터 핀란드 공군에서 조종사로 복무했다. 1935년 5월 1일 중사(Kersantti) 계급을 달았다. 1939년 3월 3일 우티의 제24비행대대(LeLv 24)로 발령받았다. 1939년 10월 상황이 악화되면서 대대는 핀란드-소련 국경에 가까운 임몰라로 이동했다.

2차대전 당시 핀란드 공군의 포커 D.XXI. 유틸라이넨은 이 기체로 2회 격추 및 1회 공동 격추를 기록했다.


1939년 11월 30일 겨울전쟁이 발발하자 유틸라이넨은 포커 D.XXI 전투기에 탑승했다. 1939년 12월 19일, 그는 일류신 DB-3 폭격기 한 대를 격추하고 두 대에 손상을 입혀 첫 공중전 승리를 기록했다.[5] 겨울전쟁이 끝날 무렵까지 유틸라이넨은 총 2건의 개인 격추와 1건의 공동 격추를 달성했다.[6]

계속전쟁이 시작되자 유틸라이넨은 제24비행대대 제3편대 소속으로 브루스터 B-239 버팔로에 탑승했다. 1941년 7월 21일, 유틸라이넨과 다른 버팔로 조종사 다섯 명은 캐키살미 근처에서 핀란드군에게 기총소사를 가하던 소련군 제65저공강습항공연대(65 ShAP) 소속 전투기들을 요격하기 위해 출격했다. 이 전투에서 유틸라이넨은 폴리카르포프 I-153 '차이카' 한 대를 격추하며 브루스터 버팔로 탑승 "에이스"가 되었다.[7]

며칠 뒤인 8월 1일, 요르마 카르후넨 상위의 지휘 아래 핀란드 전투기 7기가 출격하여 라우탸르비 근교에서 폴리카르포프 I-16 6대를 격추했다. 이 무렵 준위(Sotilasmestari)로 진급한 유틸라이넨은 자신이 6기 중 2기를 격추했다고 주장했다.[8]

1942년 2월 6일 새벽, 유틸라이넨은 제24비행대대 동료들과 함께 페트로프키-얌 지역 정찰 임무 중 MiG-3 12기의 호위를 받는 투폴레프 SB 폭격기 7기와 조우하여 교전했다. 유틸라이넨은 이 전투에서 SB 폭격기 2대를 격추했다고 주장했다.[9] 그는 나중에 당시 상황을 다음과 같이 회상했다.

나는 3000m 상공에서 폭격기들을 발견하고 그들에 대해 무전을 보냈다. 우리가 소련 항공기들을 요격했을 때, 나는 근처 철로를 향해 가고 있는 세 대의 SB 편대를 발견하고 그들을 향해 급강하했다. 편대 왼쪽의 항공기를 목표로 삼아 발사한 나의 사격으로 그 항공기의 왼쪽 날개에 불이 붙었다. SB는 철로 옆에 추락했다. 내가 선두 폭격기를 따라가기 시작했을 때, 나는 나에게 접근하는 MiG 전투기를 발견했다. 후자로부터의 위협에도 불구하고, 나는 엔진에서 검은 연기와 기름을 뿜어내는 폭격기를 명중시켰다. 잠시 후 그 비행기는 오른쪽으로 굴러 철로 근처의 숲으로 추락했다. 나의 관심을 나 위에 있던 MiG로 돌리자, 나는 서로를 향해 질주하면서 그를 향해 발사할 수 있었다. 나의 조준은 정확했고 그 전투기는 엔진에서 검은 연기를 내뿜기 시작했다. 그는 고도를 잃으면서 동쪽으로 기울었다.
[9]



1942년 3월 27일에서 28일 사이, 제24비행대대 제3편대는 핀란드 육군의 핀란드만 수르사리 섬 공세를 지원하기 위해 임몰라로 이동했다. 핀란드 만 상공에서 핀란드 공군은 소련 발트 함대 항공대에 비해 수적으로 열세였으나, 제24비행대대 조종사들은 소련 조종사들보다 경험이 풍부했다. 핀란드 조종사들이 기습 공격이나 고고도 점유 같은 유리한 전술을 사용하지 않았을 때조차 소련 조종사들은 핀란드 전투기를 격추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10]

3월 28일, 유틸라이넨 준위는 후오타리 중사와 함께 정찰 비행 중 고글란드 섬 수르퀼라 해안 상공에서 소련 제11항공연대 소속의 폴리카르포프 I-153 여러 대를 발견하고 공격하여 그중 2대를 격추했다. 이 공중전 승리로 유틸라이넨의 총 격추 기록은 22기가 되었다. 한 달 뒤인 4월 26일, 그는 부대 최초로 만네르헤임 십자장을 수훈했다.[12]

1942년 9월 20일, 유틸라이넨은 카르후넨 대위 및 제24비행대대 제3편대 조종사들과 함께 크론시타트-톨부힌-세이스카리 지역 정찰 임무에 나섰다. 에스토니아 해안 근처에서 소련 전투기 10대의 기습을 받았으나, 핀란드 조종사들은 신속하게 대응하여 오히려 소련 전투기 3대를 격추했다. 이 중 2대는 유틸라이넨 준위가 격추한 것이었다.[10]

유틸라이넨은 브루스터 B-239에서 총 34회의 공중전 승리를 거두었고, 그 중 28승(3차례 트리플 킬 포함)은 1941년 7월 9일부터 1942년 11월 22일까지 그의 애기 BW-364 "오렌지 4호"에서 기록했다.

1943년, 유틸라이넨은 신형 메서슈미트 Bf 109G-2를 사용하는 제34비행대대(LeLv 34)로 전속되었다.[13] Bf 109를 사용하여 그는 58대의 적기를 추가로 격추했다. 그는 1944년 6월 30일에 소련 항공기 6대를 격추하여 (소련 손실 기록에서 모두 확인됨) 하루 에이스가 되었고, 겨울 전쟁 당시 1940년 1월 6일에 요르마 사르반토의 기록과 비슷했다.

유틸라이넨은 비행을 계속하기 위해 장교 임명을 거부했다.

그의 94번째이자 마지막 승리는 1944년 9월 3일 카렐리야 지협에서 격추된 리수노프 Li-2로, 러시아 버전의 더글러스 C-47이었다.[14]

2. 2. 겨울 전쟁 (1939-1940)



일마리 유틸라이넨은 1932년 9월 9일 핀란드 방위군에 입대하여 1935년부터 핀란드 공군에서 조종사로 복무하기 시작했다. 1939년 3월 3일, 그는 우티에 주둔한 제24비행대대(LeLv 24)로 발령받았다. 같은 해 10월, 전쟁의 기운이 감돌자 대대는 소련과의 국경에 가까운 임몰라 비행장으로 이동했다.

1939년 11월 30일 겨울전쟁이 발발하자 유틸라이넨은 포커 D.XXI 전투기에 탑승하여 전투에 나섰다. 그는 1939년 12월 19일 자신의 첫 공중전 승리를 기록했는데, 소련의 일류신 DB-3 폭격기 한 대를 격추하고 다른 두 대에 손상을 입혔다.[18] 겨울 전쟁 기간 동안 유틸라이넨은 총 2대의 적기를 단독으로 격추하고 1대의 공동 격추를 달성했다.[6]

2. 3. 계속 전쟁 (1941-1944)

계속 전쟁 당시 유틸라이넨은 제24비행대대 제3중대 소속으로 브루스터 B-239 버팔로를 조종했다. 1941년 3월에는 준위(Sotilasmestari)로 승진했다.[17] 핀란드에서는 버팔로를 제조사 이름을 따 '브루스텔(Brewster)'이라고 불렀으며, 유틸라이넨은 주로 BW-364 "오렌지 4호"를 애기로 사용했다.[19][17]

계속전쟁 당시 핀란드 공군의 브루스터 B-239 버팔로. 유틸라이넨은 이 기종으로 34기를 격추했다.


1941년 7월 21일, 유틸라이넨과 다른 버팔로 5기는 캐키살미 근처에서 핀란드군을 공격하던 소련 제65저공소사항공대 소속 폴리카르포프 I-153 '차이카'를 요격하여 1기를 격추했다. 이 전투로 그는 브루스터 버팔로 '에이스'가 되었다.[20][7] 며칠 뒤인 8월 1일, 요르마 카르후넨 상위가 이끄는 7기의 핀란드 전투기가 라우탸르비 근교에서 소련군 폴리카르포프 I-16 6기를 격추했는데, 유틸라이넨은 이 중 2기를 격추했다.[21][8]

1942년 2월 6일 새벽, 페트로키비-얌 지역 정찰 중 12대의 MiG-3의 호위를 받는 7대의 투폴레프 SB 폭격기 편대를 요격하여 그중 2기를 격추했다.[22][9] 당시 상황에 대해 유틸라이넨은 "3,000미터 상공에서 폭격기를 발견하고 무전으로 알렸다. 소련기를 요격했을 때, 철로 쪽으로 향하는 SB 3기 편대를 보고 급강하했다. 편대 왼쪽 기체를 조준해 사격하니 왼쪽 날개에 불이 붙었고, SB는 철로 옆에 추락했다. 선두 폭격기를 쫓기 시작하자 MiG 전투기가 접근해 오는 것을 봤다. 위협에도 불구하고 폭격기를 명중시키자 엔진에서 검은 연기와 기름이 뿜어져 나왔다. 잠시 후 기체는 오른쪽으로 기울어 철로 근처 숲으로 추락했다. 내 위쪽의 MiG로 관심을 돌려 서로 마주보며 접근할 때 발사할 수 있었다. 조준이 정확했고 전투기는 엔진에서 검은 연기를 내뿜기 시작했다. 고도를 잃으며 동쪽으로 향했다."라고 회상했다.[9]

1942년 3월 27일에서 28일 사이, 제24비행대대는 핀란드만의 수르사리 섬에 대한 핀란드 육군의 공세를 지원하기 위해 임몰라로 이동했다. 핀란드만 상공에서 핀란드 공군은 소련 발트 함대 항공대에 비해 수적으로 크게 열세였지만, 제24비행대대 조종사들은 소련 조종사들보다 훨씬 경험이 많았다. 핀란드 조종사들이 기습이나 고도 우위를 점하지 못한 상황에서도 소련 조종사들은 핀란드 전투기를 격추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23][10] 3월 28일, 유틸라이넨 준위는 후오타리 중사와 함께 정찰 임무 중 고글란드 수르퀼라 해안 상공에서 소련 제11항공연대의 폴리카르포프 I-153 여러 대를 발견하고 공격하여 그중 2기를 격추했다. 이 공중전 승리로 유틸라이넨의 총 격추 기록은 22기가 되었다.[24][12] 이 공로를 인정받아 한 달 뒤인 4월 26일, 그는 소속 부대에서 처음으로 만네르헤임 십자장을 수여받았다.[24][12]

1942년 9월 20일, 유틸라이넨은 카르후넨 대위 및 다른 제24비행대대 조종사들과 함께 크론시타트-톨부힌-세이스카리 지역 정찰 임무에 나섰다. 에스토니아 해안 근처에서 소련 전투기 10대의 기습을 받았으나, 핀란드 조종사들은 신속하게 대응하여 오히려 소련 전투기 3대를 격추했다. 이 중 2대는 유틸라이넨 준위가 격추한 것이었다.[23][10]

유틸라이넨은 브루스터 버팔로를 조종하며 총 34기의 적기를 격추했다. 이 중 28기는 1941년 7월 9일부터 1942년 11월 22일 사이에 자신의 애기인 BW-364 "오렌지 4호"에 탑승하여 기록한 것으로, 이 기간 동안 세 차례의 단일 출격 3기 격추(트리플 킬)를 달성했다.[19][17]

1943년, 유틸라이넨은 에이스 조종사들을 모아 창설된 엘리트 부대인 제34비행대대로 전속되어 독일에서 도입된 신형 전투기 메서슈미트 Bf 109G-2를 조종하게 되었다.[25][13][17] 그는 주로 MT-212호기와 이후 MT-222호기를 탑승하며 격추 기록을 이어갔다.[17] 1943년 3월 24일에는 핀란드 공군 최초로 레이더 유도에 의한 격추를 기록했는데, 당시 시험 운용 중이던 독일 레이더 운영자의 유도를 받아 소련의 페틀랴코프 Pe-2 폭격기를 격추했다. 이 레이더는 3일 후에 공식적으로 운용되기 시작했다.

1944년 5월에는 더 개선된 메서슈미트 Bf 109G-6로 기체를 변경하여 처음에는 MT-426호기, 6월 말부터는 MT-457호기를 주로 사용했다.[17] 이 시기에도 그의 격추 행진은 계속되어, 6월 20일에는 하루 동안 세 번의 출격에서 총 5기를 격추했다.[17] 1944년 6월 30일에는 단 한 번의 출격으로 6기(Yak-9 2기, P-39 에어라코브라 2기, La-5 1기, Il-2 1기)를 격추하여 하루 에이스가 되었다. 이는 겨울 전쟁 중 요르마 사르반토가 세운 기록과 같은 것이었다.[17] 이 무렵 총 격추 수가 75기에 달하자 6월 28일, 두 번째 만네르헤임 십자장을 수여받았다.[17]

유틸라이넨은 메서슈미트 Bf 109(핀란드에서는 '메르스(Mersu)'라고 불림)를 조종하며 총 58기의 적기를 격추했다.[17] 그는 비행 임무를 계속하기 위해 장교 임관을 거부했다. 그의 94번째이자 마지막 격추는 1944년 9월 3일, 카렐리야 지협 상공에서 리수노프 Li-2 수송기(더글러스 C-47의 소련판)를 격추한 것이었다. 이는 핀란드와 소련 간의 정전협정 발효를 불과 24시간 앞둔 시점이었으며, 제34비행대대의 345번째 격추이자 핀란드 공군의 대소련전 마지막 전과이기도 했다.[26][14][17]

2. 4. 전후

전쟁 이후 유틸라이넨은 1947년까지 핀란드 공군에서 복무했다. 그는 1956년까지 전문 조종사로 일하며 자신의 드 하빌랜드 모스 비행기로 사람들을 수송했다. 그의 마지막 비행은 1997년, 83세의 나이에 핀란드 공군의 2인승 F/A-18 호넷을 조종한 것이었다.

유틸라이넨은 1999년 2월 21일, 85번째 생일에 투술라 자택에서 사망했다.

3. 격추 기록



겨울전쟁 (1939년 11월 30일 발발) 동안 유틸라이넨은 포커 D.XXI를 조종했다. 1939년 12월 19일, 일류신 DB-3 폭격기 한 대를 격추시키고 두 대에 손상을 입혀 첫 공중전 승리를 거두었다.[18][5][17] 겨울 전쟁 동안 유틸라이넨은 총 115회 출격했으며, 2건의 개인 격추와 1건의 공동 격추(총 2 1/6기)를 기록했다.[19][6]

계속전쟁 때는 브루스터 B-239 버팔로에 탑승했다. 1941년 7월 21일, 유틸라이넨과 다른 버팔로 다섯 기는 캐키살미 근처에서 핀란드군에게 기총소사를 가하던 소련군 제65저공소사항공대를 요격했다. 이 전투에서 유틸라이넨은 폴리카르포프 I-153 '차이카' 한 대를 격추했으며, 브루스터 버팔로 "에이스"로 인정받았다.[20][7] 며칠 뒤인 8월 1일, 요르마 카르후넨 상위의 지휘 아래 핀란드 전투기 7기가 라우탸르비 근교에서 폴리카르포프 I-16 6대를 격추했다. 당시 준위(Sotilasmestari)였던 유틸라이넨은 이 전투에서 자신이 6기 중 2기를 격추했다고 주장했다.[21][8]

1942년 2월 6일 새벽, 제24비행대대 대원들과 함께 페트로키비-얌 지역을 정찰하다가 미코얀-구레비치 MiG-3 12기의 호위를 받는 투폴레프 SB 폭격기 7기와 조우하여 요격했다. 유틸라이넨은 SB 7기 중 2기를 자신이 격추했다고 주장했다.[22] 유틸라이넨은 당시 상황을 다음과 같이 회상했다.

"나는 3000m 상공에서 폭격기를 발견하고 그들에 대해 무전을 보냈다. 우리가 소련 항공기를 요격했을 때, 나는 근처 철로를 향해 가고 있는 세 대의 SB 편대를 발견하고 그들을 향해 급강하했다. 편대 왼쪽의 항공기를 목표로 삼아 발사한 나의 사격으로 그 항공기의 왼쪽 날개에 불이 붙었다. SB는 철로 옆에 추락했다. 내가 선두 폭격기를 따라가기 시작했을 때, 나는 나에게 접근하는 MiG 전투기를 발견했다. 후자로부터의 위협에도 불구하고, 나는 엔진에서 검은 연기와 기름을 뿜어내는 폭격기를 명중시켰다. 잠시 후 그 비행기는 오른쪽으로 굴러 철로 근처의 숲으로 추락했다. 나의 관심을 나 위에 있던 MiG로 돌리자, 나는 서로를 향해 질주하면서 그를 향해 발사할 수 있었다. 나의 조준은 정확했고 그 전투기는 엔진에서 검은 연기를 내뿜기 시작했다. 그는 고도를 잃으면서 동쪽으로 기울었다."[9]

1942년 3월 27일에서 28일 사이, ''3/LLv 24''는 핀란드만의 수르사리에 대한 핀란드 육군의 공세를 준비하기 위해 임몰라로 이동했다. 핀란드 만 상공 전투에서 핀란드 공군은 소련군 발트 함대 항공대에 비해 수적으로 열세였으나, ''LeLv 24'' 조종사들은 소련 조종사들보다 훨씬 숙련되어 있었다. 핀란드 조종사들이 기습하거나 고도에서 우위를 점하는 등의 유리한 상황이 아닐 때도, 소련 조종사들은 핀란드 전투기를 격추하지 못했다.[23][10] 3월 28일, 유틸라이넨 준위는 후오타리 상사와 함께 정찰 도중 고글란드 수르퀼라 해변 상공에서 소련군 제11항공연대의 폴리카르포프 I-153 "차이카" 여러 대를 발견해 공격하여 그중 2대를 격추시켰다. 이 공중전으로 유틸라이넨의 격추 수는 22기를 기록했고, 한 달 후인 4월 26일 대대 최초의 만네르헤임 십자장 수훈자가 되었다.[24][12]

1942년 9월 20일, 유틸라이넨 준위는 요르마 카르후넨 대위와 ''3/LeLv 24'' 조종사들과 함께 출격하여 크론시타트-톨부힌-세이스카리 지역을 정찰했다. 에스토니아 해안 근처에서 소련 전투기 10대의 기습을 받았으나, 핀란드군은 신속하게 대응하여 오히려 적 3대를 격추했다. 유틸라이넨 준위가 이 중 2기를 격추했다.[10]

전체적으로, 유틸라이넨은 브루스터 B-239에서 34승을 거두었으며, 그중 28승(3차례 트리플 킬 포함)은 1941년 7월 9일부터 1942년 11월 22일까지 자신의 BW-364 "오렌지 4"에서 기록했다.

핀란드 공군의 메서슈미트 Bf 109G-2. 이 유형의 비행기를 조종하며 유틸라이넨은 58번의 공중전을 승리했다.


1943년, 유틸라이넨은 새로운 메서슈미트 Bf 109G-2를 사용하는 ''LeLv 34''로 전출되었다.[25][13] Bf 109를 사용하여 그는 58대의 적기를 추가로 격추했다. 그는 1944년 6월 30일에 소련 항공기 6대(Yak-9 2기, P-39 2기, La-5 1기, Il-2 1기)를 격추하여 하루 에이스가 되었는데, 이는 겨울 전쟁 당시 1940년 1월 6일 요르마 사르반토가 세운 기록과 맞먹는 것이었다.

유틸라이넨은 비행 임무를 계속하기 위해 장교 임관을 거부하였다.

그의 94번째이자 마지막 승리는 1944년 9월 3일 카렐리야 지협 상공에서 격추시킨 리수노프 Li-2(러시아 버전의 더글러스 C-47)였다. 이는 제34 전투기대 전체의 345번째 격추이자, 핀란드 공군의 대소련전 마지막 전과이기도 했다.[26][14]

유틸라이넨은 적 전투기의 공격으로 자신의 비행기가 단 한 번도 피격되지 않은 채 전쟁을 마쳤다(한 번은 아군 대공포의 오인 사격으로 Bf 109에 비상 착륙해야 했다). 또한 전투에서 자신의 편대원을 잃은 적이 없었다. 그는 1943년 3월 24일 핀란드 공군 최초의 레이더 유도 격추를 기록했는데, 당시 그는 갓 인도된 레이더 세트를 시험하던 독일 레이더 운영자의 유도를 받아 페틀랴코프 Pe-2를 격추했다. 이 레이더는 3일 후에 공식적으로 운용되기 시작했다.

항공기격추 수
포커 D.XXI2 1/6
브루스터 B-23934
메서슈미트 Bf 109G58
합계94 1/6


참조

[1] 간행물 Keskinen 1978
[2] 간행물 Stenman and Thomas 2010
[3] 서적 Marokon Kauhu W. Söderström
[4] 웹사이트 Lentomestari Juutilainen, Mannerheim-ristin ritari koneineen. https://www.finna.fi[...] 2020-01-19
[5] 간행물 Jackson 2003
[6] 간행물 Stenman and Thomas 2010
[7] 간행물 Stenman and Thomas 2010
[8] 간행물 Stenman and Thomas 2010
[9] 간행물 Stenman and Thomas 2010
[10] 간행물 Stenman and Thomas 2010
[11] 웹사이트 lentomestari Ilmari Juutilaisen Brewster BW-364 hävittäjäkone Tiiksjärven kentällä https://www.finna.fi[...] 2020-01-19
[12] 간행물 Stenman and Thomas 2010
[13] 간행물 Jackson 2003
[14] 간행물 Jackson 2003
[15] 기사 1997年1月、航空専門誌「Suomen Ilmailuhistoriallinen lehti」掲載のカリ・ステンマン氏の記事による。ユーティライネン「フィンランド空軍戦闘機隊」あとがき、p344
[16] 기타 ただし自伝を読むと、フィンランド陸軍部隊からの見境のない対空射撃で数発被弾したことがある。ユーティライネン「フィンランド空軍戦闘機隊」pp12-14
[17] 기타 Keskinen, Stenman, Niska, "FINNISH FIGHTER ACES" p4、およびユーティライネン「フィンランド空軍戦闘機隊」pp14-16
[18] 간행물 Jackson 2003
[19] 간행물 Stenman and Thomas 2010
[20] 간행물 Stenman and Thomas 2010
[21] 간행물 Stenman and Thomas 2010
[22] 간행물 Stenman and Thomas 2010
[23] 간행물 Stenman and Thomas 2010
[24] 간행물 Stenman and Thomas 2010
[25] 간행물 Jackson 2003
[26] 간행물 Jackson 2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