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 (경제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임금은 노동의 대가로 사용자(고용주)가 노동자에게 지급하는 모든 금품을 의미하며, 대한민국 노동기준법은 임금의 정의와 지급 원칙을 규정한다. 임금은 정기적, 직접적, 현금, 전액, 매월 1회 이상 지급되어야 하며, 예외적인 상황도 존재한다. 임금 결정은 개별 근로 계약, 노사 합의, 최저 임금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이루어지며, 임금 체계는 정액제(시급제, 월급제 등)와 성과급으로 나뉜다. 대한민국 내에서는 직종, 기업 규모, 성별, 고용 형태에 따라 임금 격차가 존재하며, 외국인 노동자의 임금은 국적, 체류 자격 등에 따라 차이가 있다. 또한 통상임금과 최저임금에 대한 개념과 함께 임금 관련 통계와 법규 위반에 대한 내용도 포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민 계정 - 경상수지
경상수지는 한 국가의 대외 거래를 종합적으로 나타내는 지표로서, 상품 및 서비스 수출입, 해외 순소득, 순경상이전을 합산하여 계산되며, 흑자는 순대출, 적자는 순차입을 의미하고, 국제수지의 일부로서 순외자산 변화와 동일하며, 불균형은 경제에 다양한 영향을 미친다. - 국민 계정 - 제1차 산업
제1차 산업은 농업, 임업, 어업 등 자연에 직접 의존하는 산업 활동으로, 식량 및 원자재 공급, 환경 보전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국가별 분류 기준에 차이가 있고 세계적으로 GDP 및 고용 비중이 감소하는 추세 속에서 지속 가능한 생산 및 일자리 창출이 과제로 남아있다. - 노동경제학 - 최저임금
최저임금은 저임금 노동자의 생활 안정과 소득 격차 완화 등을 목표로 법으로 정한 임금의 최저 수준을 의미하며, 고용 감소나 물가 상승 등의 논쟁이 있지만 전 세계 대부분의 국가에서 시행되고 있다. - 노동경제학 - 임노동
임노동은 노동자가 고용주에게 노동력을 제공하고 임금을 받는 형태로, OECD 국가에서 가장 흔한 고용 형태이며 자본주의 체제의 기반이 되지만, 잉여가치 착취, 열악한 노동 환경, 고용 불안정 등의 문제점을 야기하기도 한다. - 보수 - 최저임금
최저임금은 저임금 노동자의 생활 안정과 소득 격차 완화 등을 목표로 법으로 정한 임금의 최저 수준을 의미하며, 고용 감소나 물가 상승 등의 논쟁이 있지만 전 세계 대부분의 국가에서 시행되고 있다. - 보수 - 음의 소득세
음의 소득세는 소득이 일정 수준 이하인 사람들에게 정부가 현금을 지급하여 빈곤층 소득을 보충하는 제도로, 시장 경제의 효율성과 소득 분배의 불균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논의되어 왔다.
임금 (경제학) | |
---|---|
개요 | |
정의 | 고용주가 노동의 대가로 직원에게 지불하는 금액 |
관련 용어 | 급여 임금 |
특징 | |
지급 방식 | 시간제 일당제 월급제 성과급제 |
관련 법규 | 최저임금법 등 노동 관계 법규의 적용을 받음 |
경제학적 관점 | |
노동 시장 | 노동의 수요와 공급에 따라 결정 |
생산 비용 | 기업의 생산 비용 중 중요한 요소 |
기타 | |
참고 | 과거에는 '賃銀 (침은)'이라는 용어가 사용되었으나, 1950년 이후 '賃金 (임금)'으로 표기하는 것이 일반화됨 |
2. 임금의 정의 및 지급 원칙
임금은 표준 작업 시간 단위(또는 성과급으로 정의된 표준량의 완료된 작업)에 해당하는 통화 측정치이다. 이러한 가장 초기의 시간 단위는 여전히 자주 사용되는 작업일이다. 시계의 발명은 작업 시간의 세분화와 일치했으며, 그 중 시간이 가장 일반적인 것이 되었고 시간당 임금의 개념을 뒷받침했다.[2][3]
모세 I. 핀리는 ''고대 경제''에서 임금 노동의 개념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 임금 노동이라는 개념 자체는 두 가지 어려운 개념적 단계를 필요로 한다. 첫째, 한 인간의 노동을 그의 인격과 그의 노동의 결과물로부터 추상화하는 것이다. 독립적인 장인에게서 물건을 구매할 때 당신은 그의 노동을 산 것이 아니라 그가 자신의 시간과 자신의 노동 조건 하에 생산한 물건을 산 것이다. 그러나 노동을 고용할 때는 추상적인 노동력, 즉 구매자가 구매한 노동력을 구매하며, 구매자는 노동력의 "소유자"가 아닌 그가 결정하는 시간과 조건 하에서 이를 사용한다(그리고 일반적으로 이를 소모한 후에 지불한다). 둘째, 임금 노동 시스템은 지불 목적으로 구매한 노동을 측정하는 방법을 확립해야 하며, 일반적으로 두 번째 추상, 즉 노동 시간을 도입함으로써 이루어진다.[1]
고대 이집트의 중왕국,[4] 고대 그리스,[5] 고대 로마에서[5] 임금이 지급되었다. 사르곤이 아시리아와 수메르의 도시 국가들을 기원전 2334년경 단일 제국으로 통일한 후, 그의 손자인 나람신에 의해 길이, 면적, 부피, 무게, 시간에 대한 일반적인 메소포타미아 표준이 장인 길드에 의해 공포되었으며, 여기에는 세겔도 포함되었다.[6]
''함무라비 법전'' 234조(기원전 1755-1750년경)는 고용 계약에서 조선공과 선주 사이의 60-구르 (300-부셸) 상선 건조에 대해 각 2 세겔의 일반적인 임금을 규정했다.[7][8][9] 법 275조는 선박 임대와 선장 간의 용선 계약에서 하루 3-게라의 요금을, 법 276조는 용선자와 선장 간의 운송 계약에서 하루 2½-게라의 운임을, 법 277조는 60-구르 선박에 대한 하루 ⅙-세겔의 운임을 규정했다.[10][11][9]
노동기준법 제24조 제1항은 임금 지급에 관하여 '''통화 지불''', '''직접 지불''', '''전액 지불'''의 원칙을, 제24조 제2항은 '''매월 1회 이상''', '''일정 기일 지불'''의 원칙을 규정한다. 이를 '''임금 지급 5원칙'''이라고 한다.
- '''통화 지불의 원칙''': 임금은 통화(현금)로 지급해야 한다. 단, 법령이나 노동협약에 다른 규정이 있거나, 확실한 지급 방법이 있는 경우에는 통화 이외의 것으로 지급할 수 있다.
- '''직접 지불의 원칙''': 임금은 노동자에게 직접 지급해야 한다.
- '''전액 지불의 원칙''': 임금은 전액 지급해야 한다. 단, 법령에 다른 규정이 있거나, 노동조합 또는 노동자 과반수를 대표하는 자와의 서면 협의가 있는 경우에는 임금의 일부를 공제할 수 있다.
- '''매월 1회 이상 지급의 원칙''': 임금은 매월 1회 이상 지급해야 한다.
- '''일정 기일 지급의 원칙''': 임금은 일정한 기일을 정하여 지급해야 한다. 단, 임시로 지급되는 임금, 상여금 등은 예외이다.
노동기준법 제11조는 임금을 "임금, 급료, 수당, 상여 그 외 명칭에 관계없이, 노동의 대가로 사용자가 노동자에게 지급하는 모든 것"으로 정의한다.
2. 1. 한국 노동기준법 상 임금
노동기준법에서는 임금을 "사용자가 노동의 대가로 노동자에게 지급하는 모든 금품"으로 정의하며, 여기에는 임금, 급료, 수당, 상여 등이 포함된다.[23] 명칭에 관계없이 노동의 대가로 지급되는 모든 것이 임금에 해당한다.임금으로 간주되는 것:
- 소정 화폐 임금 대신 지급되는 것 (단, 화폐 임금의 감액을 수반해야 함)
- 노동 계약에서 지급이 미리 명확하게 정해져 있는 것
- 휴업수당
- 통근 수당 (통근용 정기 승차권 포함. 6개월 정기 승차권은 각 월분 임금의 선불로 간주되어 평균 임금 산정 기초에 포함)
- 파업 타결 일시금
- 세금, 사회 보험료 보조 (사용자가 세금 등을 보조 또는 대납하는 경우)
임금으로 간주되지 않는 것:
- 은혜적·임의적 급부: 퇴직금 (사망 퇴직금은 유족에게 지급되므로 임금으로 보지 않음), 결혼 축하금, 병문안금, 사망 위로금, 재해 위문금 등 (단, 노동 계약, 취업 규칙, 노동 협약 등에 지급 조건이 명시된 경우는 임금으로 간주)
- 복리 후생적 급부·기업 설비 (현물 급부): 주택 대여 (주택 미대여자에게 균형 수당을 지급하는 경우는 그 균형 급여 상당액은 임금), 식사 제공, 제복이나 작업복, 작업 용품 등의 현물 급부 (노동 협약 없이 제공되는 물품/이익은 실물 급여 관련 법 취지 및 실정을 고려하여 신중하게 판단. 노동자의 자가 소비 목적이 아닌 전매 목적, 노동 협약 없이 관습적으로 지급되는 화폐 임금 대신 지급되는 것은 임금으로 취급)
- 스톡옵션 부여 (단, 소득세법상으로는 급여 소득으로 해석)
- 해고 예고 수당 (해고 통고와 동시에 통화로 직접 지불해야 함)
- 휴업 보상 (법정 초과액 포함. 단, 휴업 수당은 법정 초과액 포함 전액 임금)
- 출장여비, 숙박비
- 생명 보험료 보조, 재산 형성 저축 장려금
- 고객으로부터 받는 팁 (단, 사용자가 서비스료 명목으로 일정 비율을 정해 고객에게 청구하고 수납한 것을 노동자에게 분배하는 경우는 임금)
대금을 징수하는 경우, 그 대금이 지나치게 저액(실제 비용의 3분의 1 이하)이면 징수 금액과 실제 비용의 3분의 1과의 차액은 임금으로 간주된다.
2. 2. 임금이 아닌 금전
사용자가 노동자의 복지를 위해 지급하는 급식비, 교통비 등은 임금으로 보지 않는다.[37]3. 임금의 결정
임금은 개별 근로 계약, 노동조합과의 단체 교섭, 취업 규칙 등에 의해 결정된다. 공공 직업 안정소의 구인표에 기재된 임금액은 개별 근로 계약을 체결해야만 근로기준법상 지불 의무가 발생한다.[12] 노동조합이 있는 기업에서는 노사 간 교섭으로 임금 협약 및 취업 규칙이 정해지고, 임금 인상과 상여금도 교섭 대상이다. 노동조합이 없는 기업은 사용자가 취업 규칙을 정하고 시장 동향에 따라 임금 인상 등을 결정한다. 어느 경우든 임금 계산 방법 등은 사용자가 취업 규칙에 명시해야 한다.
근로 조건은 노동자와 사용자가 '''대등한 입장'''에서 결정해야 하며(근로기준법 제2조 1항), 국적, 신조, 사회적 신분을 이유로 한 차별은 금지된다.(제3조) 여성에 대한 임금 차별 역시 금지된다.(제4조)
후생 노동성의 2016년 조사에 따르면, 임금 결정에 가장 중요한 요소는 "'''기업의 업적'''"(51.4%)이며, "'''노동력 확보·정착'''"(11.0%), "모회사 또는 관련 회사 동향"(5.9%) 순으로 나타났다. 2017년 임금 구조 기본 통계 조사에서는 일반 노동자 임금이 남녀 합계 304.3천 엔, 남성 335.5천 엔, 여성 246.1천 엔으로, 여성 임금은 과거 최고치를, 남녀 임금 격차는 과거 최소(73.4)를 기록했다.
최저 임금 적용 노동자에게는 '''최저 임금액 이상을 지급해야 하며''', 미달하는 임금 계약은 무효이다.
3. 1. 노사 관계와 임금
노동자는 임금으로 자신의 생계를 유지하므로 임금은 종업원에게 협력 의식을 유인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노동자는 항상 많은 임금을 받아 윤택한 생활을 하기를 바란다. 그러나 임금은 자본가 또는 사용자에게는 생산비의 중요한 일부를 구성하므로 자본가는 경영 목적 달성을 위하여 가급적 임금을 인하하려고 한다. 그 결과 임금 문제를 중심으로 항상 노사 간의 충돌이 일어나고, 복잡한 사회 문제가 야기되며, 따라서 문제의 적절한 처리는 항상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임금을 어떻게 체계화하여 합리적으로 지급하느냐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관리 문제이다.북유럽의 스웨덴에서는 1952년부터 연대임금제( 동일노동 동일임금)를 시행하고 있다. 자본가 단체와 노동조합이 최저임금과 평균 임금 상승률을 같이 결정하여 동일 업종 내 저임금 기업의 임금 상승을 촉진하고, 고임금 기업의 임금 상승을 억제해 노동자 간 임금 격차를 줄였다. 비정규직 노동자는 정규직 노동자가 받는 임금의 75% 이상을 받고 있으며, 최저임금도 2011년 기준으로 평균 임금의 62% 수준이다. (유럽연합에서는 평균 임금의 60% 미만을 저임금이라고 이해한다. 한국의 최저임금은 평균 임금의 28.7%이다.) (한겨레 2011년 5월 18일 자)
3. 2. 직무급
직무급은 특정 직무의 가치에 따라 임금이 결정되는 방식이다. 이는 '동일 노동, 동일 임금' 원칙을 따르는 것으로, 같은 일을 하면 학력, 연령, 근속 연수와 관계없이 같은 임금을 받는다. 직무급은 개인의 특성이 아니라, 그가 하는 일의 종류에 따라 임금을 지급하는 제도이므로 연공서열급과 반대된다.[38]직무급은 직무 분석과 직무 평가를 통해 직무의 중요도와 난이도에 따른 등급을 매기고, 이에 맞춰 임금을 체계적으로 결정한다. 직무급은 업무 내용에 따라 임금을 지급하므로 합리적이고 공정한 것처럼 보이지만, 직무 평가 요소나 비중 결정 방식, 평가 결과와 임금 연결 방식에 객관적인 기준이 없어 기업이 자의적으로 결정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직무별 정해진 인원 설정은 승진 경쟁과 기업의 차별 관리를 초래하여 불공정성을 확대할 수 있다는 문제점도 있어 노동조합에서는 강하게 반대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1940년대부터 직무급 제도가 형성되어 현재 구미 임금 체계의 중심이 되고 있으며, 한국에서도 점차 확대되는 추세이다. 영업이나 연구 등 직종별로 임금 체계가 다른 형태로, 인사고과에서 "획일적인 기준으로는 직종별 특성을 반영할 수 없다"는 불만을 해소하거나, 경쟁력 있는 직종의 임금을 올려 우수 인재 확보에 용이하다. 미국이나 유럽 등에서는 일반적인 제도이며, 일본에서도 가오와 후지 전기 등이 도입하고 있다.
4. 임금 체계
임금 형태(임금의 산출·지급 방법)는 크게 '''정액제'''와 '''성과급'''으로 나뉜다. 정액제는 노동 시간을 단위로 임금을 지급하는 방식이며, 성과급제는 노동의 성과를 기준으로 임금을 지급하는 방식이다.[39]
정액제는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종류 | 설명 | 사용 예시 |
---|---|---|
시급제 | 시간 단위 임금 | 일본의 단시간 고용자 |
일급제 | 하루 단위 임금 | 일급, 주급으로 지급하거나 한 달 분을 모아서 지급 |
일급 월급제 | 하루 단위 임금을 한 달 분을 모아서 일정 시기에 지급 | 지역에 따라 해석이 다를 수 있음 |
주급제 | 주 단위 임금 또는 일주일 분을 모아서 지급 | 미국의 공장 노동자 |
월급제 | 월 단위 임금 | 일본 기업의 정규직 |
완전 월급제 | 월 단위 임금, 결근 공제 없음 | 이론상의 개념 |
연봉제 | 1년의 임금액을 설정, 12회 이상 분할 지급 | 프로 야구 선수, 최근 대기업 정규직 |
성과급은 노동일, 주, 월 단위로 지급될 수 있으며, 각각 단기 노동(일용직 등), 단기 노동, 장기 노동(연봉제 포함)에 사용된다.
4. 1. 정액제
정액제는 노동 시간을 기준으로 임금을 지급하는 방식이다.4. 2. 성과급제
성과급제는 노동의 성과를 기준으로 임금을 지급하는 방식이다. 일본 노동기준법 제27조는 고정급이 없는 '완전 성과급제'를 금지하고 있다.[39] 이는 노동자의 귀책 사유가 아닌 이유로 실제 수령 임금이 감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노동자에게 항상 통상적인 실제 수령 임금과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 정도의 수입이 보장되도록 보장 급여액을 정해야 한다.[41]5. 대한민국 임금 현황
대한민국의 임금 수준은 직종, 기업 규모, 성별, 고용 형태 등에 따라 차이가 있다.
회사명 | 연봉(만원) | 직위 | 비고 |
---|---|---|---|
SK건설 | 614.7억원 | 부회장 | 건설업계, 2013년 기준 |
공무원 | 19.25억원 | 대통령 | 2014년 기준 |
공무원 | 17.14억원 | 국무총리 | 2014년 기준 |
㈜EG | 67억원 | 회장 | 2014년 기준 |
한국방송공사(KBS) | 13.22억원 | 국장급 | 25년차, 2012년 기준 |
현대차 | 9.4억원 | 평균 | 2013년 기준 |
공무원 | 6.4억원 | 보좌진 4급 | 2010년 기준 |
공무원 | 5.36억원 | 평균(경찰, 교사, 국가, 지방, 대통령, 국무총리 포함) | 2014년 기준 |
도시근로자 | 3.67억원 | 평균 | 2013년 기준 |
공무원 | 1.87억원 | 9급 초봉(평균) | 2013년 기준 |
일반적으로 대기업의 임금이 중소기업보다 높고, 전문직이나 기술직의 임금이 단순 노무직보다 높다. 또한,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의 임금 격차도 존재한다.
5. 1. 통상임금
통상임금은 정상 근로시간을 근로한 경우에 지급되는 일반적인 임금이다. 이는 기본급료는 물론 근로자에게 지급해야 할 임금의 전부를 포함시킨 개념(임시로 지급하는 상여금은 제외)으로서, 각종 수당 등 근로자에게 지급되는 것은 모두 포함된다.5. 2. 대한민국 내 외국인 임금
대한민국에서 일하는 외국인 노동자의 임금은 국적, 체류 자격, 업종 등에 따라 차이가 있다.
5. 3. 최저임금

대한민국은 최저임금 제도를 통해 노동자의 기본적인 생활을 보장하고 있다. 최저임금은 매년 최저임금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결정된다. 더불어민주당은 최저임금 인상을 통해 저임금 노동자의 소득 증대를 주장해왔다.
미국에서 대부분의 근로자에 대한 임금은 시장 원리에 의해 결정되거나, 노동 조합이 근로자를 대신하여 협상하는 단체 교섭에 의해 결정된다. 공정 근로 기준법은 연방 수준에서 모든 주가 준수해야 하는 최저 임금을 설정하는 것을 포함한 여러 조항을 설정한다.[16] 14개 주와 여러 도시가 연방 수준보다 높은 자체 최저 임금률을 설정했다. 특정 연방 또는 주 정부 계약의 경우, 고용주는 데이비스-베이컨 법 또는 이에 상응하는 주 법률에 따라 결정된 소위 통상 임금을 지급해야 한다. 활동가들은 생활비와 기타 기본적인 필수품을 고려하여 현재의 최저 임금법이 요구하는 것보다 훨씬 높은 생활 임금률의 아이디어를 홍보하는 데 착수했다. 최저 임금률은 노동 계층의 복지를 보호하기 위해 존재한다.[17]

2022년 2분기에 미국의 전체 노동 비용은 전년 대비 5.2% 증가했는데, 이는 2001년 이래 가장 높은 성장률이다.[19]
6. 임금 관련 통계
한국에서는 다양한 임금 관련 통계가 작성되어 임금 수준, 격차, 변화 추이 등을 파악하는 데 활용된다. 일본의 주요 임금 관련 통계는 다음과 같다.
기관 | 통계명 | 설명 |
---|---|---|
총무성 | 가계 조사 | 전국 약 9,000가구를 대상으로 가계 수입, 지출, 저축, 부채 등을 매월 조사[49] |
총무성 | 취업 구조 기본 조사 | 국민의 취업 및 미취업 상태를 조사하여 전국 및 지역별 취업 구조에 관한 기초 자료를 얻는 것을 목적[50] |
후생노동성 | 매월 근로 통계 조사 | 급여액, 노동 시간, 출근 일수, 노동자 수 등에 관한 통계 (상용 종업원 5인 이상 사업소 대상 매월 조사 및 4인 이하 사업소 대상 연 1회 특별 조사)[51] |
후생노동성 | 임금 구조 기본 통계 조사 (임금 센서스) | 직종별, 산업별, 사업소 규모별 임금 등 가장 대규모이며 대표적인 지표 |
후생노동성 | 국민 생활 기초 조사 | 가구 소득 등 조사[55] |
후생노동성 | 임금 인상 등의 실태에 관한 조사 | 임금 인상 수준 조사[56] |
후생노동성 사회 보장 심의회 연금 수리부회 | 공적 연금 재정 상황 보고 | 표준 보수 월액의 계산 기초[57] |
전국 건강 보험 협회 | 사업 연보 | 표준 보수 월액별, 연간 표준 상여액별 피보험자 수[58] |
국세청 | 민간 급여 실태 통계 조사 | 개인 대상 조사[59] |
후생노동성 중앙 노동 위원회 | 임금 사정 등 종합 조사 | 대기업 노사 관련 노동 쟁의 조정 사건 해결을 위한 정보 수집 목적 (원칙적으로 노동자 수 1,000명 이상 대기업 대상)[60] |
인사원 | 직종별 민간 급여 실태 조사 | 인사원 권고의 기초 자료[61] |
인사원 | 국가 공무원 급여 등 실태 조사 | 국가 공무원의 급여 조사[62] |
산로 종합 연구소 | 모델 임금·모델 연간 임금 조사 | 춘계 임금 교섭 후 임금 실태 파악 및 차기 임금 교섭 기초 자료, 임금 곡선 분석[63] |
노동 정책 연구·연수 기구 | 유스풀 노동 통계 | 노동 통계 가공 지표집 (복수 통계 조합, 고용·임금 등 노동 시장 동향 파악)[64][65] |
도쿄도 | 중소기업의 임금·퇴직금 사정 | 도내 중소기업 임금 등 실태 조사 (초임, 평균 임금 등 매년 조사, 노동 시간, 휴일·휴가 등 격년 조사)[66] |
DODA | 평균 연봉 랭킹 | DODA 에이전트 서비스 등록자 데이터 기반, 정규직 취업 20~59세 비즈니스맨 평균 연봉과 생애 임금 (직종, 업종, 연령, 도도부현, 성별 정리)[67] |
Wealth-X | The World Ultra Wealth Report | 세계 부유층 보고서[68] |
이들 통계는 통계법에 의거하여 실시되는 간행 통계 조사이므로, 조사 대상 사업소는 보고 의무가 있으며 위반 시 벌칙이 있다. 개인 정보 보호를 이유로 한 답변 거부도 인정되지 않는다.[52][53][54]
국세청의 2020년 민간 급여 실태 통계 조사(2019년)에 따르면, 1년간 근무한 급여 소득자 55,255,0597명의 평균 연령은 약 46.7세, 평균 근속 연수는 약 12.4년이었다. 급여 계급별 분포는 400만 엔 이하가 16.9%로 가장 많았고, 중앙값도 이 범위에 포함되었다. 남성은 500만 엔 이하(16.9%), 여성은 200만 엔 이하(23.7%)가 가장 많았다.[69][70]
후생노동성의 2020년 국민생활 기초조사(2019년)에 따르면, 소득 금액 계급별 세대수 상대도수 분포는 '200~300만 엔 미만'이 13.6%로 가장 많았고, 중앙값은 437만 엔이었다. 평균 소득 금액은 5523000JPY이었으며, 이 이하 비율은 61.1%였다.[55][71]
후생노동성의 2020년 임금 구조 기본 통계 조사(2019년)에 따르면, 도도부현별 임금 수준은 도쿄도가 379000JPY으로 가장 높았고, 아오모리현이 239000JPY으로 가장 낮았다. 전국 평균(307700JPY)보다 높은 곳은 도쿄도, 가나가와현, 아이치현, 오사카부 4곳이었다.[72][73]
6. 1. 임금 관련 법규 위반
賃金일본어 체불은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으며, 위반 시 처벌을 받는다.사용자는 근로자가 출산, 질병, 재해 등 비상시적인 경우에 비용 충당을 위해 청구하는 경우, 지급일 전이라도 이미 제공된 근로에 대한 임금을 지급해야 한다.[1] "비상의 경우"는 근로자 또는 생계를 같이하는 자가 출산, 질병, 재해, 결혼, 사망, 부득이한 사유로 1주일 이상 귀향하는 경우이다.[1] 최소 생활비는 "비상의 경우의 비용"에 포함되지 않으며, 임금은 지체 없이 지급해야 한다.[1]
임금 지급 관련 법규(일본 노동기준법 제24조~제27조) 위반 시 30만 엔 이하의 벌금에 처해진다.[1] 임금 체불이 발생하면 노동기준감독서가 지급을 지도할 수 있지만, 기업에 지불 능력이 없으면 강제가 어렵다.[1]
기업(개인 기업 포함)이 도산한 경우, 미지급된 임금의 일부는 산업재해보상보험에 의한 사회 복귀 촉진 사업의 일환으로, 독립행정법인근로자재해보상·복지기구에 대위 변제를 청구할 수 있다.[1]
임금 지급 지연(미지급) 시, 근로자는 사용자에게 원래 지급일 다음 날부터 지연된 기간의 이자에 해당하는 지연 손해금을 청구할 수 있다.[1] 지연 손해금은 영리 기업의 경우 연 6%, 비영리 기업의 경우 연 5%이다.[1]
근로자가 퇴직한 경우, 지급 기일까지 지급되지 않은 임금(퇴직금 제외)에 대해서는 임금 채권 보장법에 따라 연 14.6%의 지연 손해금을 사용자에게 청구할 수 있다.[1]
7. 기타 국가
각 나라는 역사적, 문화적, 경제적 요인에 따라 고유한 임금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미국에서 wage영어(pay영어)는 일반적으로 "페이(pay)"라고 불린다. 급여 계산 업무 및 그 부서를 "페이롤(payroll)"이라고 부르는 것은, 역사적으로 임금 지급 대장이 두루마리(roll)였던 것에서 유래한다.
미국에서는 전통적으로 회사에서 발행한 수표(paycheck, 페이체크)를 통해 임금을 지급했다. 급여 수표를 현금화하려면, 근로자가 자신의 예금 계좌가 있는 은행에 추심을 의뢰해야 했다. 이 때문에 수표를 받은 후 은행에 가져가기까지 분실 위험이나 시간 지연이 발생했고, 은행이나 예금자의 신용 상황에 따라 수표 액면가의 처음 몇 백 달러만 현금으로 인출할 수 있고 나머지는 며칠 기다려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은행 계좌가 없는 근로자는 시중 금융업자에게 수수료를 지불하고 대신 추심을 맡겨야 했다.
최근에는 급여 지급 업무의 효율화를 위해 은행 계좌 이체(direct deposit)가 증가하고 있다. 은행 측도 이러한 자금을 확보하기 위해, 통상 월 5~10USD를 징수하는 계좌 유지 수수료를 급여 송금 계약을 하면 계좌 잔고와 관계없이 면제해주는 등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은행 송금으로 바뀌어도 급여 명세서는 이전과 같이 지급되었지만, 최근에는 급여 명세서를 웹에서 열람하게 하여 완전한 페이퍼리스화를 달성하는 곳이 많다.
미국에서는 연말 정산이 없으며, 각 개인이 다음 해 4월 15일(당일이 토요일 또는 일요일인 경우에는 그 다음 가장 빠른 월요일)까지 확정 신고를 해야 한다.[1] 급여 지급자(회사)의 의무는 노동자가 제출하는 W-4라는 국세청 서식에 기재된 부양 가족 수 등의 숫자를 기반으로 세금을 원천 징수하여 국세청 및 주의 징세 기관에 납부하고, 다음 해 1월 말까지 W-2라는 서식의 원천 징수 증명서(노동자가 확정 신고서에 첨부)를 발행하는 것이다.[1]
7. 1. 일본
일본 노동기준법은 임금을 "임금, 급료, 수당, 상여 그 외 명칭에 관계없이, 노동의 대가로 사용자가 노동자에게 지급하는 모든 것"으로 정의한다.[23] 소정 화폐 임금 대신 지급되는 것, 노동 계약에서 그 지급이 미리 명확하게 정해져 있는 것은 "임금"으로 간주된다.[23] 휴업수당, 통근 수당,[23] 파업 타결 일시금, 세금이나 사회 보험료의 보조는 "임금"에 포함된다.[24]반면, 퇴직금,[25] 결혼 축하금, 병문안금, 사망 위로금, 재해 위문금, 주택의 대여, 식사의 제공,[26] 지급되는 제복이나 작업복,[27] 작업 용품,[28] 스톡옵션의 부여,[31] 해고 예고 수당, 출장여비, 숙박비, 생명 보험료의 보조, 재산 형성 저축 장려금, 고객으로부터 받는 팁[35] 등은 "임금"에 포함되지 않는다.
7. 1. 1. 일본의 임금 정의
일본 노동기준법은 임금을 "임금, 급료, 수당, 상여 그 외 명칭에 관계없이, 노동의 대가로 사용자가 노동자에게 지급하는 모든 것"으로 정의한다(제11조).[23]소정 화폐 임금 대신 지급되는 것(그 지급으로 화폐 임금의 감액을 수반하는 것), 노동 계약에서 그 지급이 미리 명확하게 정해져 있는 것은 "임금"으로 간주된다.[23] 예를 들어, 휴업수당, 통근 수당,[23] 파업 타결 일시금, 세금이나 사회 보험료의 보조는 "임금"에 포함된다.[24]
반면, 다음은 "임금"에 포함되지 않는다.
- 은혜적·임의적 급부: 퇴직금,[25] 결혼 축하금, 병문안금, 사망 위로금, 재해 위문금 등은 임금에 포함되지 않는다. 다만, 노동 계약, 취업 규칙, 노동 협약 등에서 미리 지급 조건이 명확하게 정해져 있는 것은 임금으로 간주된다.[25]
- 복리 후생적 급부·기업 설비(현물 급부): 주택의 대여, 식사의 제공,[26] 지급되는 제복이나 작업복,[27] 작업 용품[28] 등의 현물 급부는 원칙적으로 임금에 해당하지 않는다.[29]
- 스톡옵션의 부여[31]
- 해고 예고 수당 (단, 해고 통고와 동시에 통화로 직접 지불해야 함)
- 휴업 보상 (법정 초과액 포함)[33] (단, 휴업 수당(제26조)은 법정 초과액을 포함한 전액이 임금이 됨)
- 출장여비, 숙박비
- 생명 보험료의 보조, 재산 형성 저축 장려금[34]
- 고객으로부터 받는 팁 등[35] (단, 사용자가 서비스료로서 일정 비율을 정해 고객에게 청구하고, 수납한 것을 집계하여 노동자에게 분배하는 경우는 임금이 됨)[36]
7. 2. 미국
미국에서 wage영어(pay영어)는 일반적으로 "페이(pay)"라고 불린다. 급여 계산 업무 및 그 부서를 "페이롤(payroll)"이라고 부르는 것은, 역사적으로 임금 지급 대장이 두루마리(roll)였던 것에서 유래한다.
7. 2. 1. 미국의 임금 정의
미국에서 임금은 일반적으로 "pay"라고 불리며, 급여 계산 업무는 "payroll"이라고 한다. 연방 소득세 원천 징수 목적상, 내국세법 26 U.S.C. § 3401(a)는 "임금"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본 장의 목적상, "임금"은 공무원에게 지급되는 수수료를 제외하고, 피고용인이 고용주를 위해 수행한 서비스에 대한 모든 보수(cash value), 현금 외의 매체로 지급된 모든 보수(혜택 포함)를 포함합니다."[20]
이는 피고용인이 고용주를 위해 수행한 서비스에 대한 보수여야 한다는 요구 사항 외에, 23가지 제외 사항 또한 적용된다는 것을 의미한다.[20]
7. 2. 2. 미국의 임금 지급 방식
미국에서는 전통적으로 회사에서 발행한 수표(paycheck, 페이체크)를 통해 임금을 지급했다. 급여 수표를 현금화하려면, 근로자가 자신의 예금 계좌가 있는 은행에 추심을 의뢰해야 했다. 이 때문에 수표를 받은 후 은행에 가져가기까지 분실 위험이나 시간 지연이 발생했고, 은행이나 예금자의 신용 상황에 따라 수표 액면가의 처음 몇 백 달러만 현금으로 인출할 수 있고 나머지는 며칠 기다려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은행 계좌가 없는 근로자는 시중 금융업자에게 수수료를 지불하고 대신 추심을 맡겨야 했다.최근에는 급여 지급 업무의 효율화를 위해 은행 계좌 이체(direct deposit)가 증가하고 있다. 은행 측도 이러한 자금을 확보하기 위해, 통상 월 5USD~10USD를 징수하는 계좌 유지 수수료를 급여 송금 계약을 하면 계좌 잔고와 관계없이 면제해주는 등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은행 송금으로 바뀌어도 급여 명세서는 이전과 같이 지급되었지만, 최근에는 급여 명세서를 웹에서 열람하게 하여 완전한 페이퍼리스화를 달성하는 곳이 많다.
7. 2. 3. 미국의 임금 관련 세금
미국에서는 연말 정산이 없으며, 각 개인이 다음 해 4월 15일(당일이 토요일 또는 일요일인 경우에는 그 다음 가장 빠른 월요일)까지 확정 신고를 해야 한다.[1] 급여 지급자(회사)의 의무는 노동자가 제출하는 W-4라는 국세청 서식에 기재된 부양 가족 수 등의 숫자를 기반으로 세금을 원천 징수하여 국세청 및 주의 징세 기관에 납부하고, 다음 해 1월 말까지 W-2라는 서식의 원천 징수 증명서(노동자가 확정 신고서에 첨부)를 발행하는 것이다.[1]참조
[1]
서적
The ancient econom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
논문
Time, Work-Discipline, and Industrial Capitalism
[3]
서적
History of the hour: Clocks and modern temporal order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4]
논문
Work Organization in the Middle Kingdom, Ancient Egypt
2004-07
[5]
서적
The ancient econom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6]
서적
Civilizations of the Ancient Near East
https://archive.org/[...]
Charles Scribner's Sons
[7]
논문
Code of Hammurabi, King of Babylon
https://archive.org/[...]
Records of the Past Exploration Society
2021-06-20
[8]
웹사이트
Code of Hammurabi, King of Babylon
https://oll-resourc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21-06-20
[9]
웹사이트
Code of Hammurabi, King of Babylon
https://avalon.law.y[...]
Yale Law School
2021-06-20
[10]
논문
Code of Hammurabi, King of Babylon
https://archive.org/[...]
Records of the Past Exploration Society
2021-06-20
[11]
웹사이트
Code of Hammurabi, King of Babylon
https://oll-resourc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21-06-20
[12]
웹사이트
Student Login
http://student.educa[...]
[13]
간행물
Why Is There A Gender Wage Gap According To Occupational Prestige?.
Sage Publications, Ltd.
2015-02-26
[14]
웹사이트
Earnings of Women and Men by Race and Ethnicity, 2007
http://www.saylor.or[...]
U.S. Bureau of Labor Statistics
2012-06-29
[15]
논문
Effects of public sector wages on corruption: Wage inequality matters
https://www.scienced[...]
2023-04-08
[16]
Citation
Characteristics of Minimum Wage Workers: 2012
2013-02-26
[17]
간행물
Minimum Wage The Ups & Downs.
2015-02-26
[18]
웹사이트
Living Wage Calculator
https://livingwage.m[...]
2023-10-02
[19]
뉴스
North American companies send in the robots, even as productivity slumps
https://www.reuters.[...]
2022-08-29
[20]
법률
USC 26 § 3401(a)
[21]
서적
新明解国語辞典 第六版
三省堂
[22]
웹사이트
岩波 国語辞典 第六版
https://www.iwanami.[...]
[23]
문서
昭和22年9月13日発基17号
[24]
문서
昭和63年3月14日基発150号
[25]
문서
労働基準法の施行に関する件(昭和22年9月13日付け発基第17号、都道府県労働基準局長あて労働次官通達)
[26]
문서
昭和30年10月10日基発644号
[27]
문서
昭和23年2月20日基発297号
[28]
문서
昭和27年5月10日基収2162号
[29]
문서
労働基準法解釈例規について(昭和63年3月14日付け基発第150号・婦発第47号、都道府県労働基準局長あて労働基準局長・婦人局長通達)
[30]
문서
昭和22年12月9日基発452号
[31]
문서
改正商法に係るストツク・オプションの取扱いについて、平成9年6月1日基発第412号、道府県労働基準局長宛て、労働省労働基準局長通達
[32]
법률
荒川税務署長事件、最判平成17年1月25日)
[33]
문서
休業補償として第76条に定める「平均賃金の60%」は最低の基準であるから、事業場で休業補償として平均賃金の60%を上回る制度を設けている場合には、その全額が休業補償であり、賃金とはならない:昭和25年12月27日基収3432号
[34]
문서
労働者が自己を被保険者として生命保険会社と任意に保険契約を締結したときに企業がその保険料の補助を行う場合、その保険料補助金は、労働者の福利厚生のために使用者が負担するものであるから、「賃金」とは認められない:昭和63年3月14日基発150号
[35]
문서
チップは旅館従業員等が客から受け取るものであって、「賃金」ではない:昭和23年2月3日基発164号
[36]
간행물
昭和39年5月21日基収3343号
[37]
문서
最低賃金法第2条、賃金の支払の確保等に関する法律第2条では「賃金」を「労働基準法第11条に規定する賃金をいう。」と定め、また労働契約法においては通達において「賃金」を「労働基準法第11条でいう「賃金」と同義である」と定め(平成24年8月10日基発0810第2号)、勤労者財産形成促進法においては通達において「賃金」の範囲を「労働基準法上の賃金の範囲とおおむね同様であること」(昭和47年1月22日発基第3号)とし、いずれも労働基準法と同様の解釈となる
[38]
웹사이트
資金移動業者の口座への賃金支払(賃金のデジタル払い)について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39]
웹사이트
給料日が休日に当たる場合、支払日を繰り下げてもいいのですか?
https://www.rosei.jp[...]
[40]
웹사이트
time card calculator
https://timecard-cal[...]
[41]
서적
厚生労働省労働基準局編平成22年版労働基準法上巻p.378
[42]
웹사이트
福岡労働局 監督課:Q&A
http://www.fukuoka-p[...]
[43]
문서
ユニデンホールディングス事件(東京地裁平成28年7月20日)
[44]
문서
横浜地方裁判所判決 昭和51年3月4日 大瀬工業事件
[45]
웹사이트
不払い残業(サービス残業)を撲滅しよう
http://www.jtuc-reng[...]
日本労働組合総連合会
2011-11-07
[46]
서적
わかりやすい賃金の法律実務
厚生労働省労働基準局賃金時間課編著
[47]
웹사이트
日本的人事制度の変容に関する調査
http://activity.jpc-[...]
財団法人 社会経済生産性本部
[48]
서적
競争と公平感-市場経済の本当のメリット
中央公論新社
2010
[49]
웹사이트
統計局ホームページ/家計調査
https://www.stat.go.[...]
[50]
웹사이트
統計局ホームページ/平成29年就業構造基本調査
https://www.stat.go.[...]
[51]
웹사이트
毎月勤労統計調査(全国調査・地方調査)|厚生労働省
https://www.mhlw.go.[...]
[52]
웹사이트
賃金構造基本統計調査|厚生労働省
https://www.mhlw.go.[...]
[53]
웹사이트
賃金構造基本統計調査(初任給)|厚生労働省
https://www.mhlw.go.[...]
[54]
웹사이트
図5 賃金カーブ/早わかり グラフでみる長期労働統計|労働政策研究・研修機構(JILPT)
http://www.jil.go.jp[...]
[55]
웹사이트
国民生活基礎調査|厚生労働省
https://www.mhlw.go.[...]
[56]
웹사이트
賃金引上げ等の実態に関する調査|厚生労働省
https://www.mhlw.go.[...]
[57]
웹사이트
社会保障審議会 (年金数理部会) |厚生労働省
http://www.mhlw.go.j[...]
[58]
웹사이트
事業年報 | 協会けんぽについて | 全国健康保険協会
https://www.kyoukaik[...]
[59]
웹사이트
民間給与実態統計調査|統計情報|国税庁
https://www.nta.go.j[...]
[60]
웹사이트
中央労働委員会:賃金事情等総合調査の概要
https://www.mhlw.go.[...]
[61]
웹사이트
職種別民間給与実態調査
https://www.jinji.go[...]
[62]
웹사이트
国家公務員給与等実態調査
https://www.jinji.go[...]
[63]
웹사이트
2015年度 モデル賃金・モデル年間賃金の実態 – 賃金 - 産労調査 - 人事・労務に関する情報 - 産労総合研究所
http://www.e-sanro.n[...]
[64]
웹사이트
統計情報|労働政策研究・研修機構(JILPT)
http://www.jil.go.jp[...]
[65]
웹사이트
ユースフル労働統計2015 ―労働統計加工指標集―|労働政策研究・研修機構(JILPT)
http://www.jil.go.jp[...]
[66]
웹사이트
中小企業の賃金・退職金事情|統計・調査|東京都産業労働局
http://www.sangyo-ro[...]
[67]
웹사이트
平均年収ランキング2016(平均年収/生涯賃金) |転職ならDODA(デューダ)
https://doda.jp/guid[...]
[68]
웹사이트
Exclusive UHNWI Analysis: World Ultra Wealth Report 2017 - Wealth-X
https://www.wealthx.[...]
[69]
웹사이트
国税庁統計情報|国税庁
https://www.nta.go.j[...]
[70]
웹사이트
標本調査結果|国税庁
https://www.nta.go.j[...]
[71]
간행물
平成30年 国民生活基礎調査の概況|厚生労働省
https://www.mhlw.go.[...]
[72]
간행물
平成30年賃金構造基本統計調査 結果の概況|厚生労働省
https://www.mhlw.go.[...]
[73]
간행물
賃金構造基本統計調査 | ファイルから探す | 統計データを探す | 政府統計の総合窓口
http://www.e-stat.go[...]
[74]
뉴스
건설업계 직원 평균연봉 1위는 '삼성물산'
https://news.naver.c[...]
[75]
뉴스
일당 5억원 노역 논란, '일반인 1만배-대통령의 31배'
https://news.naver.c[...]
[76]
뉴스
일당 5억원 노역 논란, '일반인 1만배-대통령의 31배'
https://news.naver.c[...]
[77]
뉴스
박지만 EG 회장, 연봉 6.7억원..직원보다 17.4배 많아
https://news.naver.c[...]
[78]
뉴스
KBS 직원 57%는 '억대 연봉자'…"380명, 국회의원보다 더 받어"
https://news.naver.c[...]
[79]
뉴스
여성 연봉 1위 기업 현대차 7,800만원
http://www.hankyung.[...]
[80]
뉴스
불꽃쇼·의원 자녀과외… 보좌진은 괴로워
https://news.naver.c[...]
[81]
뉴스
2014년 공무원 전체 월급평균 관고 고시
http://go.seoul.co.k[...]
[82]
웹인용
생활임금제 도입필요
http://www.newsis.co[...]
2014-04-27
[83]
뉴스
공무원정보 더 개방해야 한다
http://www.munhwa.co[...]
[84]
웹인용
(2014국감)외국인노동자 월급, 한국인 절반 수준
https://news.v.daum.[...]
2015-02-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