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선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임선동은 휘문고등학교를 졸업하고 LG 트윈스의 1차 지명을 받았으나 연세대학교 사회체육학과에 진학한 전 야구 선수이다. LG 트윈스에서 선수 생활을 시작하여 현대 유니콘스로 이적, 2000년 다승왕과 탈삼진왕을 차지하며 활약했으나, 부상 등으로 인해 2007년 은퇴했다. 통산 10시즌 동안 52승 36패, 평균자책점 4.50을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5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야구 참가 선수 - 손민한
손민한은 롯데 자이언츠의 에이스로 활약하며 MVP를 수상하고 WBC에서도 뛰어난 활약을 보인 대한민국의 전직 프로 야구 선수이자 현재 부경고등학교 야구부 코치이다. - 1995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야구 참가 선수 - 백재호
백재호는 신일고, 동국대 시절 뛰어난 활약을 보인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이자 코치로, 롯데 자이언츠, 현대 유니콘스, 한화 이글스에서 선수 생활을 했으며 은퇴 후에는 여러 팀에서 코치로 활동했고, 한화 이글스에서 통산 타율 .245, 68홈런을 기록, 1998년 아시안 게임 야구 국가대표팀 금메달 획득에 기여했다. - 1993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야구 참가 선수 - 박찬호
박찬호는 한국인 최초로 메이저 리그에 진출하여 아시아 출신 투수 최다승 기록을 세운 전직 야구 선수로, 메이저 리그와 KBO 리그에서 활약했으며 국가대표로도 금메달을 획득했다. - 1993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야구 참가 선수 - 최기문 (야구인)
최기문은 OB 베어스와 롯데 자이언츠에서 선수 생활을 한 전 KBO 리그 포수이자 야구 코치로, 롯데 자이언츠 시절 주전 포수로 활약하며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으나 병역 비리 사건 이후 부진했고, 은퇴 후 코치를 거쳐 현재 파주 챌린저스 감독을 맡고 있다. - 서울사당초등학교 동문 - 강한울
강한울은 2루수, 유격수 등 내야수로 활약한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이며, 2014년 KIA 타이거즈에 입단하여 프로 생활을 시작, 삼성 라이온즈로 이적 후 3할 타율을 기록했으며, 통산 타율은 0.266이다. - 서울사당초등학교 동문 - 최원제
최원제는 장충고등학교 시절 MVP를 수상하고 삼성 라이온즈에 입단하여 투수로 활동하다 경찰 야구단 복무 후 타자로 전향, 방출된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이다.
임선동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선수 정보 | |
이름 | 임선동 |
원어명 | Lim Seon-Dong |
로마자 표기 | Im Seondong |
한자 표기 | 林仙東 |
포지션 | 투수 |
투구 | 우 |
타석 | 우 |
생년월일 | 1973년 8월 4일 |
출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신장 | 187cm |
체중 | 95kg |
선수 경력 | |
아마추어 | 현대 피닉스 (실업) (1995년 ~ 1996년) |
프로 | LG 트윈스 (1997년 ~ 1998년) 현대 유니콘스 (1999년 ~ 2007년) |
첫 출장 | KBO 리그 / 1997년 4월 15일 잠실 대 해태 타이거즈전 |
마지막 경기 | KBO 리그 / 2006년 6월 24일 잠실 대 두산 베어스전 |
코치 경력 | |
감독 경력 | |
수상 | |
주요 수상 | 골든 글러브 (2000년) 한국시리즈 우승 (2000년) |
획득 타이틀 | 2000년 다승왕 2000년 탈삼진왕 |
국가대표 경력 | |
올림픽 | 1996 애틀랜타 2000 시드니 |
아시안 게임 | 1994 히로시마 |
유니버시아드 | 1993 버펄로 |
올림픽 메달 | |
2000 시드니 | 동메달 |
아시안 게임 메달 | |
1994 히로시마 | 은메달 |
유니버시아드 메달 | |
1993 버펄로 | 은메달 |
1995 후쿠오카 | 은메달 |
KBO 리그 기록 | |
승-패 | 52–36 |
평균자책점 | 4.50 |
탈삼진 | 436 |
기타 정보 | |
드래프트 | 1992년 1차 지명 (LG 트윈스) |
계약금 | 7억 원 (피닉스 입단시) |
2. 프로 입단 이전
휘문고등학교를 졸업하고 LG 트윈스의 1차 지명을 받았으나, 연세대학교 사회체육학과에 입학했다. 휘문고등학교 시절부터 임선동은 여러 프로야구단으로부터 주목받을 만큼 대형 투수 유망주였다. 연세대학교 재학 중에는 야구 국가대표팀으로 선발되어 1996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했으나, 당시 대한민국 국가대표팀은 최하위를 기록했다. 연세대학교 4학년 때 현대 피닉스에 계약금 7억원의 조건으로 입단하기로 했지만, 이와 별개로 일본 프로 야구 팀 다이에 호크스 입단을 희망하였다.[2] 그러나 자신에 대한 지명권을 주장한 LG 트윈스와 마찰을 빚었다. 결국 2년간의 법정 공방 끝에 일본 진출은 무산되었고, 법원에서 제시한 조정안에 따라 LG 트윈스에 입단하게 되었다.[3]
휘문고등학교와 연세대학교를 졸업하고 1997년 1차 지명으로 LG 트윈스에 입단하며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입단 첫 해 선발 투수로 가능성을 보였으나, 다음 해에는 부진을 겪었다. 1999년 현대 유니콘스로 트레이드된 후 전성기를 맞이했다. 특히 2000년에는 18승을 거두며 정민태, 김수경과 함께 다승 공동 1위에 올랐고, 탈삼진 부문에서도 1위를 차지하며 투수 2관왕에 올랐다. 이러한 활약을 바탕으로 골든 글러브 투수 부문을 수상했으며, 시드니 올림픽에 참가하여 동메달 획득에도 기여했다. 이후 몇 년간 선발 로테이션의 한 축을 담당했으나, 부상 등으로 인해 2003년 이후 성적이 하락했고 2007년 시즌을 끝으로 은퇴했다.
3. 프로 선수 생활
3. 1. LG 트윈스 시절
입단 첫 해 11승 7패 평균자책 3.52로 LG 트윈스 선발진의 한 축으로 활약했다. 그러나 이듬해 1998년 시즌 프로 2년차 징크스를 겪으면서 크게 부진했다.
3. 2. 현대 유니콘스 시절
1999년 1월, 안병원을 상대로 현대 유니콘스로 현금 트레이드되었다. 현대 이적 첫 해에는 이렇다 할 성적을 내지 못했으나, 김시진 투수코치의 지도를 받은 후 이듬해 2000년 시즌에 잠재력이 크게 발휘되었다. 이 해에 그는 18승 4패, 평균자책점 3.36, 174개의 탈삼진을 기록하며 다승왕과 탈삼진왕을 동시에 차지했다. 당시 정민태, 김수경과 함께 다승 공동 1위(18승)를 기록했으며, 골든 글러브 투수 부문도 수상했다. 또한 애틀랜타 올림픽에 이어 시드니 올림픽에도 출전하여 동메달 획득에 기여했다.
이후 2001년에는 14승, 2002년에는 8승을 거두며 선발 투수로서의 역할을 수행했다. 하지만 부상과 부족한 재활 훈련 등으로 인해 2003년 이후로는 단 한 번의 승리도 추가하지 못했고, 결국 2007년 시즌 종료 후 팀에서 방출되어 은퇴했다.
4. 출신 학교
5. 통산 기록
wikitext
연도 | 소속 | 나이 | 승리 | 패전 | 승률 | 평균자책점 | 출장 | 선발 | 완투 | 완봉 | 세이브 | 홀드 | 이닝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고의4구 | 탈삼진 | 사구 | 보크 | 폭투 | 실점 | 자책점 | 타자수 | WHIP |
---|---|---|---|---|---|---|---|---|---|---|---|---|---|---|---|---|---|---|---|---|---|---|---|---|---|
1997 | LG | 25 | 11 | 7 | .611 | 3.52 | 22 | 22 | 0 | 0 | 0 | 0 | 135.2 | 129 | 10 | 34 | 2 | 77 | 13 | 0 | 0 | 55 | 53 | 564 | 1.20 |
1998 | 26 | 1 | 6 | .143 | 6.94 | 15 | 12 | 0 | 0 | 0 | 0 | 59.2 | 71 | 11 | 20 | 0 | 29 | 7 | 0 | 0 | 53 | 46 | 267 | 1.53 | |
1999 | 현대 | 27 | 0 | 1 | .000 | 8.05 | 9 | 2 | 0 | 0 | 0 | 0 | 19.0 | 33 | 3 | 5 | 0 | 10 | 2 | 0 | 0 | 19 | 17 | 90 | 2.00 |
2000 | 28 | 18 | 4 | .818 | 3.36 | 29 | 29 | 1 | 1 | 0 | 0 | 195.1 | 177 | 13 | 61 | 0 | 174 | 7 | 0 | 8 | 75 | 73 | 802 | 1.22 | |
2001 | 29 | 14 | 9 | .609 | 4.40 | 24 | 24 | 5 | 1 | 0 | 0 | 159.2 | 201 | 10 | 43 | 0 | 77 | 3 | 0 | 2 | 84 | 78 | 681 | 1.53 | |
2002 | 30 | 8 | 6 | .571 | 4.51 | 21 | 20 | 0 | 0 | 1 | 0 | 105.2 | 118 | 12 | 24 | 0 | 61 | 7 | 0 | 2 | 58 | 53 | 457 | 1.34 | |
2003 | 31 | 0 | 2 | .000 | 9.45 | 4 | 4 | 0 | 0 | 0 | 0 | 13.1 | 23 | 2 | 3 | 0 | 4 | 1 | 0 | 0 | 14 | 14 | 64 | 1.95 | |
2004 | 32 | 0 | 0 | ---- | 17.18 | 2 | 2 | 0 | 0 | 0 | 0 | 3.2 | 9 | 0 | 3 | 0 | 11 | 3 | 0 | 0 | 7 | 7 | 26 | 3.27 | |
2005 | 33 | 0 | 1 | .000 | 17.18 | 3 | 2 | 0 | 0 | 0 | 0 | 3.2 | 9 | 0 | 3 | 0 | 3 | 0 | 0 | 0 | 7 | 7 | 21 | 3.27 | |
2006 | 34 | 0 | 0 | ---- | 0.00 | 1 | 0 | 0 | 0 | 0 | 0 | 1.0 | 1 | 0 | 0 | 0 | 0 | 0 | 0 | 0 | 0 | 0 | 4 | 1.00 | |
KBO 통산 : 10년 | 52 | 36 | .591 | 4.50 | 130 | 117 | 6 | 2 | 1 | 0 | 696.2 | 771 | 61 | 196 | 2 | 436 | 43 | 0 | 12 | 372 | 348 | 2976 | 1.39 |
- 시즌 기록 중 '''굵은 글씨'''는 해당 시즌 리그 최고 기록
참조
[1]
뉴스
Sun Setting on Baseballs Golden Generation
https://www.koreatim[...]
The Korea Times
2007-08-30
[2]
뉴스
'은퇴' 임선동, "현대는 잊을 수 없는 친정 팀"
http://sports.news.n[...]
OSEN
[3]
뉴스
'원조 풍운아' 임선동은 뭐 하나
https://news.naver.c[...]
Osen
2005-08-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