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손민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손민한은 고려대학교 졸업 후 롯데 자이언츠에서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한 전 야구 선수이다. 2000년 시드니 올림픽 동메달로 병역을 면제받았으며, 2001년 다승왕을 차지했다. 2005년에는 다승왕, 평균자책점 1위, MVP를 수상하며 최고의 활약을 펼쳤다. 2008년부터 한국 프로야구 선수협회 회장을 역임하며 선수 권익 보호에 힘썼고, 이후 NC 다이노스에서 선수 생활을 이어가다 2015년 은퇴했다. 은퇴 후 NC 유소년 야구 육성에 기여했으며, 코치로 활동하다 2023년부터 부경고등학교 야구부 코치로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5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야구 참가 선수 - 백재호
    백재호는 신일고, 동국대 시절 뛰어난 활약을 보인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이자 코치로, 롯데 자이언츠, 현대 유니콘스, 한화 이글스에서 선수 생활을 했으며 은퇴 후에는 여러 팀에서 코치로 활동했고, 한화 이글스에서 통산 타율 .245, 68홈런을 기록, 1998년 아시안 게임 야구 국가대표팀 금메달 획득에 기여했다.
  • 1995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야구 참가 선수 - 진갑용
    진갑용은 전 KBO 리그 삼성 라이온즈의 포수이자 현 KIA 타이거즈의 수석코치로, 삼성 라이온즈의 주전 포수로서 한국시리즈 우승을 이끌었으며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야구 국가대표팀 주장을 맡아 금메달 획득에 기여했다.
  • 남구 (부산광역시) 출신 - 아린
    아린(본명 최예원)은 오마이걸 및 오마이걸 반하나의 서브보컬을 맡고 있는 대한민국의 가수로, 뮤직뱅크 MC, 웹 드라마 《소녀의 세계》 주인공, 드라마 《환혼》 시리즈와 영화 《도시괴담》 등에 출연하며 연기 활동도 병행하고 있다.
  • 남구 (부산광역시) 출신 - 조진웅
    조진웅은 2004년 영화 《말죽거리 잔혹사》로 데뷔하여 다양한 영화와 드라마에 출연하며 연기력을 인정받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1994년 아시안 게임 야구 참가 선수 - 조성민 (야구인)
    조성민은 일본 프로 야구 요미우리 자이언츠에서 투수로 활동했으나 부상 후 한국 프로 야구 한화 이글스에서 선수 생활을 했고, 은퇴 후 야구 해설가와 코치로 활동했으며, 배우 최진실과의 결혼과 이혼, 사망 후 사회적 논란을 겪다 사망했다.
  • 1994년 아시안 게임 야구 참가 선수 - 최기문 (야구인)
    최기문은 OB 베어스와 롯데 자이언츠에서 선수 생활을 한 전 KBO 리그 포수이자 야구 코치로, 롯데 자이언츠 시절 주전 포수로 활약하며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으나 병역 비리 사건 이후 부진했고, 은퇴 후 코치를 거쳐 현재 파주 챌린저스 감독을 맡고 있다.
손민한
기본 정보
이름손민한
출생일1975년 1월 2일
출생지부산광역시
신장179cm
체중84kg
포지션투수
타석
투구
프로 입단 연도1997년
드래프트 순위1차 지명
첫 출장1997년 4월 12일
최종 출장2015년 9월 30일
선수 경력
소속 팀롯데 자이언츠 (1997년–2009년)
NC 다이노스 (2013년–2015년)
코치 경력
소속 팀NC 다이노스 (2019년-2022년)
경력NC 다이노스 유소년팀 코치(2016년~2018년)
NC 다이노스 수석/투수코치(2019년)
NC 다이노스 투수코치(2020년~2022년)
부경고등학교 야구부 투수코치(2023년~)
수상 내역
수상 내역KBO MVP (2005년)
KBO 리그 골든글러브 (2005년)
KBO 리그 다승왕 (2001년, 2005년)
KBO 리그 승률왕 (2001년)
KBO 리그 최우수 평균자책점 (2005년)
국가대표 경력
대표팀대한민국
올림픽1996년
2000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2006년
2009년
아시안 게임1994년
2006년
야구 월드컵1994년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1995년
올림픽 메달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메달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아시안 게임 메달
아시안 게임
야구 월드컵 메달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메달
유니버시아드 메달
KBO 리그 통계
승패 기록123승 88패
평균자책점3.55
탈삼진968
기타 정보
로마자 표기Son Min-han
한자 표기孫敏漢
계약금5억원
외부 링크
공식 홈페이지나우루 공식 홈페이지

2. 선수 경력

1997년 신인 드래프트에서 롯데 자이언츠의 1차 지명을 받아 입단했다. 롯데는 부산고등학교 동기이자 고려대학교 배터리였던 진갑용 대신 손민한을 선택했다. 계약금은 5억원으로, 당시 임선동(7억)에 이어 차명주와 함께 역대 두 번째로 많은 금액이었다.[3] 입단 초기에는 동기 문동환과 함께 에이스 후보로 주목받았으나, 첫 3년간 부상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2000년 12승을 기록하며 가능성을 보였고, 시드니 올림픽 대표팀에 발탁되어 동메달 획득에 기여하며 병역 혜택을 받았다. 2001년 신윤호와 함께 15승(손민한은 선발로만 15승)으로 다승왕 타이틀을 획득했다. 그러나 2002년2003년에는 다시 부진에 빠졌다.

2004년 전반기에는 마무리 투수로 활약했으나, 8세이브에 그쳤다. 2004년 7월 12일 박석진, 김대익과의 트레이드로 노장진, 김승관이 입단해 노장진이 마무리를 맡게 되자, 후반기부터 선발로 전환하여 9승을 기록했다.

2005년 18승, 평균자책점 2.46으로 다승왕, 평균자책점 1위를 기록하며 MVP를 수상했다. KBO 리그 최초로 포스트시즌 진출 실패팀에서 MVP가 나온 사례였다. 이때부터 '전국구 에이스'라는 별명을 얻었다. 2006 WBC 국가대표로 선발되어 미국전 승리 투수가 되었다.

2008년 시즌에는 리그 최다 QS(21회)와 QS+(18회)를 기록하고도 12승에 그치는 불운을 겪었다. 2008년 시즌 후 FA 자격을 얻어 롯데에 잔류했다. 2009 WBC 대표팀 주장으로 선발되었으나, 컨디션 난조로 결승전까지 한 경기도 등판하지 못했다.[7] 2009년 6월 7일 두산 베어스전에서 6이닝 무실점으로 팀의 승리를 이끌었고,[8] 6월 26일 한화 이글스전에서 통산 100승을 달성했다.

2009년 WBC 때부터 어깨가 좋지 않아, 2009년 10월 2일 미국에서 수술을 받았다. 2010년2011년 재활 훈련을 했으나, 통증 재발로 복귀하지 못하고 방출되었다.[9]

2011년을 끝으로 한국프로야구선수협회 회장직에서 물러났지만, 선수협 사무총장과 함께 부정 거래 등으로 선수회에 막대한 손실을 입혔다는 배임죄 혐의로 2012년 1월, 박재홍 중심의 선수회 새 집행부로부터 고소당했다. 이후 혐의는 벗겨졌고, 2012년 무소속으로 시즌을 마쳤다. 2013년 1월 25일 박재홍의 은퇴 기자회견에서 과거 혐의에 대해 사과했다.

2013년 NC 다이노스의 입단 테스트를 거쳐 신고 선수로 계약했다. 이후 정식 계약을 맺고 2013년 6월 5일 SK 와이번스와의 경기에서 3년 9개월 만에 1군에 등판하여 승리 투수가 되었다. 2014년에는 구원 투수로 자기 최다인 52경기에 등판했다. 2015년에는 한국 프로야구 사상 최초로 40대에 두 자릿수 승리를 기록했지만, 같은 해 은퇴했다. 은퇴 후에는 NC 유소년 야구 육성 부문에 종사했다.

2018년 10월부터 NC 코치를 역임했으나 2022년 시즌 종료 후 사임했다. 2023년부터 부경고등학교 야구부 코치가 되었다.

연도등판선발완투완봉무사구승리패전세이브홀드승률타자투구이닝피안타피홈런사사구고의사구피사구탈삼진폭투보크실점자책점평균자책점WHIP
1997년롯데 자이언츠9400--1310.25012830.02322001173017164.801.43
1999년10200--0010----8419.119260190113125.591.29
2000년282841--12700.632707174.11531655061171068623.201.19
2001년292900--15600.714760173.11841869041109089814.211.46
2002년232221--4900.308586142.1144193014825068583.671.22
2003년181810--31100.214473109.1115173815542067594.861.40
2004년421100--9280.818433108.29082932884036332.731.10
2005년282610--18710.720678168.1149938221054054462.461.11
2006년252421--10810.556664161.214743969963054502.781.15
2007년303000--131000.565797194.0191174842954074723.341.23
2008년262610--12400.750733179.0183124041805066592.971.25
2009년141400--6500.54531169.18732804201041405.191.66
통산: 12년262232113010372110.58963241523.1150512944021408634116476073.591.28


  • 각 연도의 '''굵은 글씨'''는 리그 최고 기록입니다.

2. 1. 아마추어 시절

부산고등학교 2학년 때인 1991년 제43회 화랑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에서 염종석, 주형광 등과 함께 부산고등학교의 우승을 이끌었다.[2] 3학년이던 1992년에는 세계청소년야구선수권대회에 국가대표팀으로 선발되었으나[2] 메달을 획득하지 못했다. 이후 1993년 고려대학교 체육교육학과에 진학했다. 1995년에는 아마야구 최우수선수상을 수상했다.

2. 2. 롯데 자이언츠 시절

1997년 신인 드래프트에서 롯데 자이언츠의 지명을 받아 입단했다. 부산고등학교 동기이자 고려대학교 체육교육학과 시절까지 배터리로 함께한 포수 진갑용 대신 투수인 손민한을 선택했다. 계약금은 5억원으로, 당시 임선동(7억)에 이어 차명주와 함께 역대 두 번째로 많은 금액이었다.[3] 입단 초기에는 문동환과 함께 에이스 후보로 주목받았다.

그러나 입단 첫 해 개막전에서 끝내기 폭투로 패전 투수가 되는 등, 이후 3년간 부상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2000년에 12승을 기록하며 가능성을 보였고, 시드니 올림픽 대표팀에 발탁되어 동메달 획득에 기여하며 병역 혜택을 받았다.

2001년에는 신윤호와 함께 15승(손민한은 선발로만 15승)으로 다승왕 타이틀을 획득했다. 그러나 2002년2003년에는 다시 부진에 빠졌다.

2004년 전반기에는 마무리 투수로 활약했으나, 8세이브에 그쳤다. 2004년 7월 12일 박석진, 김대익과의 트레이드로 노장진, 김승관이 입단해 노장진이 마무리를 맡게 되자, 후반기부터 선발로 전환하여 9승을 기록했다.

2005년에는 18승, 평균자책점 2.46으로 다승왕, 평균자책점 1위를 기록하며 MVP를 수상했다. KBO 리그 최초로 포스트시즌 진출 실패팀에서 MVP가 나온 사례였다. 이때부터 '전국구 에이스'라는 별명을 얻었다.

2006년 WBC 국가대표로 선발되어 미국전 승리 투수가 되었다.

2008년 시즌에는 리그 최다 QS(21회)와 QS+(18회)를 기록하고도 12승에 그치는 불운을 겪었다. 2008년 시즌 후 FA 자격을 얻어 롯데에 잔류했다.

2009년 WBC 대표팀 주장으로 선발되었으나, 컨디션 난조로 결승전까지 한 경기도 등판하지 못했다.[7] 2009년 6월 7일 두산 베어스전에서 6이닝 무실점으로 팀의 승리를 이끌었고,[8] 6월 26일 한화 이글스전에서 통산 100승을 달성했다.

그러나 2009년 WBC 때부터 어깨가 좋지 않아, 2009년 10월 2일 미국에서 수술을 받았다. 2010년2011년 재활 훈련을 했으나, 통증 재발로 복귀하지 못하고 방출되었다.[9]

연도등판선발완투완봉무사구승리패전세이브홀드승률타자투구이닝피안타피홈런사사구고의사구피사구탈삼진폭투보크실점자책점평균자책점WHIP
1997년롯데 자이언츠9400--1310.25012830.02322001173017164.801.43
1999년10200--0010----8419.119260190113125.591.29
2000년282841--12700.632707174.11531655061171068623.201.19
2001년292900--15600.714760173.11841869041109089814.211.46
2002년232221--4900.308586142.1144193014825068583.671.22
2003년181810--31100.214473109.1115173815542067594.861.40
2004년421100--9280.818433108.29082932884036332.731.10
2005년282610--18710.720678168.1149938221054054462.461.11
2006년252421--10810.556664161.214743969963054502.781.15
2007년303000--131000.565797194.0191174842954074723.341.23
2008년262610--12400.750733179.0183124041805066592.971.25
2009년141400--6500.54531169.18732804201041405.191.66
통산: 12년262232113010372110.58963241523.1150512944021408634116476073.591.28


  • 각 연도의 '''굵은 글씨'''는 리그 최고 기록입니다.

2. 3. NC 다이노스 시절

2013년 1월 25일, NC 다이노스의 입단 테스트를 거쳐 신고 선수로 계약했다. 이후 정식 계약을 맺고 6월 5일 SK 와이번스와의 경기에서 3년 9개월 만에 1군에 등판하여 승리 투수가 되었다. 2014년에는 구원 투수로 자기 최다인 52경기에 등판했다. 2015년에는 한국 프로야구 사상 최초로 40대에 두 자릿수 승리를 기록했지만, 같은 해 은퇴했다. 은퇴 후에는 NC 유소년 야구 육성 부문에 종사했다.

3. 은퇴 후

은퇴 선언 직후 2016년부터 NC 다이노스의 유소년팀 코치로 활동했다.[10] 2017년에는 김해대곡초등학교에 티볼을 코치하러 갔다. 2018년 시즌 후 당시 수비코치였던 이동욱이 감독으로 승격되자 NC 다이노스의 수석코치 겸 투수코치로 활동했으며, 2019년 시즌 후 강인권이 수석코치로 영입되면서 투수코치로만 활동했다. 2020년 팀이 창단 첫 한국시리즈 우승을 하면서 선수 때는 껴 보지 못한 우승반지를 코치로서 끼게 되었다.[18] 2023년부터 부경고등학교 야구부 코치로 활동 중이다.

4. 선수협회 회장 시절

2007년 12월 16일에 열린 한국프로야구선수협회 정기총회에서 2008년~2009년 선수협회 회장으로 선출되었다.[29] 현대 유니콘스 해체를 막기 위해 10억 원을 기탁하는 등 적극적으로 선수협 활동을 이끌었다.[30] 2008년 5월 7일 나진균 총장 후임으로 권시형 서울대 스포츠과학연구소 책임연구원을 선임했고,[30] 7월 8일에는 정기 이사회를 열어 도핑테스트를 수용하기로 합의하였다.[31] 11월에는 넥센 히어로즈의 장원삼 트레이드 사건을 비판하며 선수에게 트레이드 거부권을 달라고 요구했다.[32] 하지만 2011년 말 선수협 간부가 온라인 게임업체와 선수 초상권 사용 계약을 맺는 과정에서 브로커로부터 뇌물을 받아, 8개 구단 고참급 선수들이 그의 퇴진을 요구했고 결국 선수협 회장직에서 물러났다.[33]

5. 플레이 스타일

아마추어 시절에는 150km/h의 강속구를 던졌으나, 프로 입단 후 혹사로 인한 부상으로 인해 빠른 공보다는 코너웍을 바탕으로 하는 스타일로 전환했다. 그럼에도 전력 투구 시 최고 148km/h의 강속구를 던질 수 있었다.[1] 2009년에 어깨 부상을 당한 이후 구속이 하락했지만, NC 다이노스에서 불펜으로 활약하던 시절에도 140km/h대 초중반의 직구 평균 속도는 기록했다.[1]

투구 패턴이 정반대로 바뀐 유형의 투수이다.[1] 아마추어 때의 활약을 본 사람들의 증언에 따르면 140km/h 후반대의 직구와 커브, 슬라이더 위주의 투구를 펼쳤다고 한다.[1] 실제로 프로 초창기 및 2001년에만 해도 어느 정도는 직구에 의존하는 투구 패턴을 보이기도 했다.[1] 다만 파워 피칭이라고 할지라도 탈삼진 능력이 빼어나지는 않았다.[1] 투구 스타일을 바꾼 후엔 포크볼을 장착해 다양한 구종으로 맞춰 잡았다.[1] 포크볼의 구위는 매우 뛰어났으며 그가 삼진을 잡을 때 주로 던지는 결정구이다.[1] 삼진을 잡아내기보단 내야 땅볼 유도를 더 많이 하는 편이다.[1] 투구 폼으로 봐도 와인드업을 거의 하지 않은 채 던지기 일쑤라 모르는 사람이 보면 참 성의 없이 설렁설렁 던지는 것처럼 보이지만, 이를 통해 빠른 타이밍으로 주자의 움직임을 최소화하고 볼 판별 시간을 줄이는 등 많은 효과를 보고 있다.[1] 와인드업 시 전력 투구를 할 때는 147~148km/h 정도의 공을 던질 수 있는 듯하다.[1] 하지만 대개 와인드업을 생략하고 빠른 타이밍으로 던지면서 140km/h 초반대의 직구와 변화구로 맞춰 잡는 투구를 구사한다.[1]

최고의 강점은 소위 습관이 분명한 편인데도 불구하고, 원하는 곳에 원하는 구질을 찔러 넣어 상대 타자를 잡아내는 데 있다.[1] 원하는 곳, 원하는 구질임에도 공략이 어려운 이유는 대략 타자가 정확히 노린 곳과 2%의 차이로 요약할 수 있을 그의 로케이션 능력이다.[1] 역대 투수 중 최고의 수비 실력을 가지고 있다는 평도 있다.[1]

제구력을 무기로 최고 149km/h, 평균 140km/h대 중반의 직구와 다양한 변화구를 낮게 집중시키는 기교파 투수였다.[1] 또한, 대한민국투수로서는 드물게 포크를 구사했다.[1]

타구 판단도 빨라, 대부분의 직구성 타구는 뜬공이든 땅볼이든 관계없이 거의 스스로 커버하는 뛰어난 수비 능력을 겸비했다.[1]

6. 수상 경력

연도수상 내역
1995년대통령기 전국대학야구대회 최우수 선수, 아마야구 최우수선수상
2001년한국프로야구 다승왕 (15승, 최다 선발승), 승률 1위(0.714)[34]
2005년한국프로야구 다승왕 (18승, 1986년 선동열과 당시 정규시즌 MVP 최다 선발승 타이), 평균자책점 1위 (2.46), 최우수선수, 골든 글러브 투수상
2013년한국프로야구 6월 MVP


7. 국가대표 경력

8. 등번호


  • 2006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국가대표 당시 등번호는 '1'번이었다.
  • 1997년부터 2015년까지 선수 시절 등번호는 '61'번이었다. 2013년에는 '54'번을 사용하다가, 같은 해 중반부터 다시 '61'번을 사용했다.[1]
  • 2019년부터 2022년까지 코치 시절 등번호는 '81'번이었다.

9. 출신 학교

10. 통산 기록

연도소속나이승리패전승률평균자책점출장선발완투완봉세이브홀드이닝피안타피홈런볼넷고의4구탈삼진몸맞는 공보크폭투실점자책점타자수WHIP
1997롯데2313.2504.8094001030.02322001710317161281.43
19992500----5.59102001019.11926091101312841.29
200026127.6323.2028284100174.11531655011760168627071.19
200127156.7144.2129290000173.11841869011040989817601.46
20022849.3083.6723222100142.1144193018240568585861.22
200329311.2144.8618181000109.1115173815450267594731.40
20043092.8182.7342110080108.29082938820436334331.10
200531187.7202.4628261010168.1149938210520454466781.11
200632108.5562.7825242110161.214743969690354506641.15
2007331310.5653.3430300000194.0191174849520474727971.23
200834124.7502.9726261000179.0183124048010566597331.25
20093565.5455.191414000069.18732802040141403111.66
2013NC3956.4553.43286009360.15642342230124232501.31
20144044.5003.54521001948.15651412330320192101.45
201541116.6474.8926190000105.012281505050365574441.31
KBO 통산 : 15년12388.5833.5538826011322121743.11719144492269685214875668772581.27



년도타율경기수타수득점안타2루타3루타홈런타점도루도루실패볼넷사구삼진병살타장타율출루율실책비고
2004삼성-50000000000000--0
2005-10000000000000--0
2013NC0.000210000000000100.0000.0000
2014-10000000000000--0
2015-10000000000000--0
통산5시즌0.0001010000000000100.0000.0000


  • 시즌 기록 중 '''굵은 글씨'''는 해당 시즌 최고 기록

11. 주요 기록

패전 투수 : 정민철통산 100선발승2009년 7월 21일롯데두산잠실2008년 5월 4일 김수경역대 11번째
패전 투수 : 크리스 니코스키통산 110승2014년 5월 13일NCKIA마산2013년 7월 26일 배영수역대 15번째(통산 104선발승)
패전 투수 : 심동섭통산 110선발승2015년 5월 28일NC두산마산역대 최초패전 투수 : 유희관통산 120승2015년 6월 24일NCKIA마산2014년 6월 25일 배영수역대 13번째
패전 투수 : 서재응최고령 10승 투수2015년 9월 11일NC넥센마산2005년 9월 14일 송진우40세 8개월 9일
패전 투수 : 금민철최고령 포스트시즌 선발 승리투수2015년 10월 21일NC두산잠실2006년 10월 17일 송진우40세 9개월 19일
패전 투수 : 유희관통산 1600이닝2014년 4월 24일NCSK문학2013년 5월 25일 배영수역대 18번째통산 1700이닝2015년 6월 18일NCkt수원역대 19번째통산 7000타자 상대2015년 5월 28일NC두산마산김현수역대 17번째


참조

[1] 뉴스 한국,日.대만과 자존심 대결-아시아 야구선수권대회 17일 http://news.joins.co[...] 중앙일보 1995-09-13
[2] 뉴스 야구협,청소년야구대표선발 http://sports.news.n[...] 연합뉴스
[3] 뉴스 5억원에 롯데 입단한 손민한 http://sports.news.n[...] 연합뉴스
[4] 뉴스 개인 성적 https://www.koreabas[...] 한국야구위원회 2015-04-01
[5] 뉴스 20승 달성한 니퍼트, 박철순과 이상훈 기록 넘었다 https://sports.news.[...] 노컷뉴스 2016-09-13
[6] 뉴스 이제는 기록…니퍼트, 리오스 넘어 MVP 향한다 https://sports.news.[...] MK스포츠 2016-09-27
[7] 뉴스 다섯 번째 한국전을 남겨둔 일본 '손민한은 누구?' http://www.asiatoday[...] 글로벌 종합일간지 2009-03-25
[8] 뉴스 '손민한 무실점 쾌투' 롯데, 두산 꺾고 2연승 http://osen.freechal[...] OSEN 2009-06-07
[9] 뉴스 손민한, 롯데 떠난다…자유계약 공시 신청 https://news.naver.c[...] OSEN
[10] 뉴스 선수등록 마감일을 넘긴 손민한…6월에는 돌아올까 http://www.sportswor[...] 스포츠월드
[11] 뉴스 NC, 손민한과 연봉 5,000만원에 입단 계약 http://osen.mt.co.kr[...] OSEN
[12] 문서 이재학은 마무리로 보직을 바꿨으나 난조를 보여 다시 선발 투수로 보직이 변경됐다.
[13] 뉴스 ‘살아 있네’ 손민한, 화려한 귀환 알리다 http://sports.news.n[...] OSEN
[14] 뉴스 '6월 MVP' 손민한 "앞으로도 좋은 모습으로 야구할 것" http://xportsnews.ha[...] 엑스포츠뉴스
[15] 뉴스 불펜 전환 손민한, “선발로 이기기 쉽지 않더라” http://sports.news.n[...] 일간스포츠
[16] 뉴스 역전패에 빛 바랜 손민한의 생애 첫 홀드 http://sports.news.n[...] 마이데일리
[17] 뉴스 NC 손민한, 프로 데뷔 17년 만에 첫 타석 '삼진' http://sports.news.n[...] OSEN
[18] 뉴스 NC 손민한 통산 1600이닝 기록 달성 http://www.idomin.co[...] 경남도민일보
[19] 뉴스 NC 손민한, "110승은 지금 내게 큰 의미 없다" http://sports.chosun[...] 스포츠조선
[20] 뉴스 NC의 손민한 투입 승부수…결과는 ‘실패’ http://www.mydaily.c[...] 마이데일리
[21] 뉴스 '40세 선발승' 손민한, 송진우-박철순 이어 역대 3위 http://www.mydaily.c[...] 마이데일리
[22] 뉴스 NC 손민한, 개인 통산 7000타자 상대 달성…역대 17번째 http://sports.khan.c[...] 스포츠경향
[23] 뉴스 NC 손민한, 1700이닝 출장 달성…통산 19번째 http://www.xportsnew[...] 엑스포츠뉴스
[24] 뉴스 ‘120승’ 손민한, NC이기에 가능했다 http://sports.khan.c[...] 스포츠경향
[25] 뉴스 안지만-유희관 등 올스타전 감독 추천선수 확정 http://osen.mt.co.kr[...] OSEN
[26] 뉴스 40세6개월22일…손민한, 우완투수 최고령 선발 신기록 http://news.kmib.co.[...] 국민일보
[27] 뉴스 '손민한 10승' NC, 넥센에 9-3 대승.. 화끈한 설욕 http://star.mt.co.kr[...] 스타뉴스
[28] 뉴스 ‘민한神은 살아있다’ NC 손민한 플레이오프 최고령 선발승 http://hooc.heraldco[...] 헤럴드경제 2015-10-22
[29] 뉴스 손민한, ''회장님''으로 선출 http://www.nocutnews[...] 노컷뉴스
[30] 뉴스 프로야구선수협 새 사무총장 선임 http://joynews.inews[...] 조이뉴스
[31] 뉴스 프로야구선수협, 전원 도핑테스트 수용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32] 뉴스 선수협 "트레이드 거부권 달라"..`장원삼 사태' http://sports.news.n[...] 연합뉴스
[33] 뉴스 비리혐의 얼룩진 선수협 쇄신 위해 이종범-홍성흔 등 선수들 나서 http://joynews.inews[...] 조이뉴스
[34] 뉴스 20승 달성한 니퍼트, 박철순과 이상훈 기록 넘었다 https://sports.news.[...] 노컷뉴스 2016-09-13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