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회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임회군은 기원전 117년 전한 무제가 광릉군과 패군의 일부를 합쳐 설치한 군이다. 서주에 속했으며, 현재의 장쑤성 쑤첸시, 화이안시, 옌청시, 타이저우시 일대와 쑤저우시 동부, 양저우시 서남부, 난징시 일부를 포함하는 지역을 관할했다. 왕망 때는 회평군으로 개칭되었다가 후한 건국 후 임회군으로 명칭이 복귀되었으며, 79년에 하비국에 편입되었다. 서진 시대에 다시 설치되었으나, 남북조 시대를 거치며 명칭과 관할 지역이 여러 번 바뀌었다. 수나라 때는 하비군으로 불리다가 당나라 때 사주로 개칭되었고, 742년에 임회군으로 잠시 바뀌었다가 758년에 다시 사주로 환원되면서 임회군이라는 명칭은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장쑤성의 군 - 회계군
회계군은 중국 고대 월나라의 중요 지역으로, 우와 관련이 깊으며 진시황에 의해 설치되어 여러 왕조를 거치며 경제, 군사, 문화적으로 번영을 누렸던 행정 구역이다. - 장쑤성의 군 - 오군
오군은 129년 후한 순제 시대에 설치되어 여러 왕조의 통치를 받았으며, 손책이 장악하여 오나라의 기반이 되었고, 경제적 번영과 군사적 중요성을 지녔으나, 당나라 때 소주로 개명되면서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 안후이성의 군 - 패군
패군은 중국의 옛 행정 구역으로, 진나라 시기 사수군에서 유래하여 한나라, 왕망 시대, 후한, 삼국 시대를 거치며 명칭과 관할 구역이 변경되다가 남북조 시대 북주에 의해 펑청군에 통합되어 소멸되었다. - 안후이성의 군 - 양군 (행정 구역)
양군은 기원전 225년 진나라가 위나라를 멸망시키고 설치한 탕군에서 유래한 중국의 옛 행정 구역으로, 전한 시대에는 양효왕의 아들 유매가 봉해지면서 양군 또는 양국으로 불렸으며, 왕조의 변화에 따라 명칭과 범위가 달라졌고 한국사와도 다양한 연관을 맺었다. - 산둥성의 군 - 태산군
태산군은 중국의 행정 구역으로, 진나라의 제북군을 전신으로 하여 전한 시대에 설치되어 예주에 속했으며, 후한, 서진, 남조 송, 북위 시대를 거치며 관할 현의 변화와 명칭 변경을 겪다가 북제 시대에 동평군으로 개칭되었다. - 산둥성의 군 - 제북군
제북군은 진나라가 제나라를 멸망시킨 후 설치된 군으로, 전한 시대에는 제북나라로 바뀌었으며, 유흥거의 반란으로 폐지되었다가 제북군과 제남군으로 분리되기도 했다.
임회군 | |
---|---|
개요 | |
이름 | 임회군 (臨淮郡) |
로마자 표기 | Linhuai Jun |
위치 | 중국 강소성과 안휘성 일대 |
존속 기간 | 진나라 ~ 남진 |
역사 | |
설치 시기 | 진나라 |
폐지 시기 | 남진 시기 |
변화 | 전한 시기: 29현 수나라 시기: 초주로 개칭 |
행정 구역 (전한) | |
속현 수 | 29현 |
주요 속현 | 회음현 사양현 부릉현 고울현 곡양현 오이현 개양현 염독현 동양현 여이현 평아현 여오현 종리현 음릉현 고평현 회포현 유구현 서이현 성양현 합향현 사시현 정양현 동성현 양주현 도량현 취려현 하비현 신도현 람향현 |
2. 전한
임회군은 서주에 속했으며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268,283호, 1,237,764명을 관할했다.[21] 대략 지금의 장쑤성 쑤첸시, 화이안시, 옌청시, 타이저우시 일대와 쑤저우시 동부, 양저우시 서남부, 난징시의 일부도 포함되었다. 《설문해자》는 이 군을 옛 한나라 한의 지역으로 기록하고 있다.[1]
임회군은 강도국 폐지와 광릉국 설치와 관련이 있다. 원래 강도국은 동양군과 장군을 봉토로 삼는 나라였는데, 유건이 죄를 지어 강도국이 폐지되었다. 이후 동양군을 광릉군으로 고쳤다가 일부를 유서에게 주어 광릉왕으로 삼고, 나머지 광릉군 지역과 패군 일부를 합쳐 임회군을 신설했다.[18][19]
2. 1. 설치 배경
임회군은 기원전 117년(원수 6년) 한나라 무제가 광릉군의 영역을 축소하고, 패군의 일부 영역을 합쳐 설치했다.[18][19]원래 강도국은 동양군과 장군을 봉토로 삼는 나라였는데, 유건이 죄를 지어 강도국이 폐지되었다. 기원전 120년(원수 3년) 동양군의 이름을 광릉군으로 고쳤다가, 기원전 117년 무제가 광릉군의 영역 일부만을 아들 유서에게 주어 광릉왕으로 삼았다. 임회군은 나머지 광릉군의 영역과 패군의 일부 영역을 합쳐서 새롭게 만들어졌다.[18][19]
이전에는 광릉군이 화이허 강 동쪽만을 관할했지만, 패군의 일부 영역이 들어오면서 임회군은 화이허 강의 양안에 걸쳐 관할 구역을 가지게 되었다.[20]
2. 2. 관할 지역 및 인구
臨淮郡중국어은 전한 시대 군으로, 대략 오늘날의 장쑤성 일대에 해당한다.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268,283호, 1,237,764명이 임회군에 거주했다.[21]《한서》 지리지에 따르면, 임회군은 다음 현들을 관할했다.[21]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서현 | 徐縣 | 쑤첸시 쓰훙현 호태촌(胡台村) 일대 | 옛 나라로 영성이다. 춘추 시대에 서자 장우가 초나라에 멸망했다.[22] |
취려현 | 取慮縣 | 쉬저우시 쑤이닝 현 위와촌(魏洼村) 남부 일대 | |
회포현 | 淮浦縣 | 화이안시 롄수이현 | 유수(游水)가 북으로 바다로 들어간다. |
우이현 | 盱眙縣 | 화이안시 쉬이현 관탄진(官灘鎭) 일대 | 도위의 치소가 있다. |
구윤현 | 厹狁縣 | 쑤첸시 남동 | |
동현 | 僮縣 | 쑤저우시 쓰 현 북동 송우촌(宋圩村) 일대 | 광형의 봉국인 악안향(樂安鄕)이 있었다.[23] |
사양현 | 射陽縣 | 양저우시 바오잉현 사양호진(陽湖鎭) | 응소에 따르면 사수(射水)의 북쪽[陽]이다. 항백의 봉국이었다. |
개양현 | 開陽縣 | 모름 | 동해군의 개양현과는 다른 곳이다. |
췌기현 | 贅其縣 | 화이안시 쉬이현 서남? | 여승의 봉국이었다. |
고산현 | 高山縣 | 화이안시 쉬이현 남? | 고산(高山)이 남동쪽에 있다. |
수릉현 | 睢陵縣 | 쑤첸시 쓰훙현 동남 훙쩌호 안? | |
염독현 | 鹽瀆縣 | 옌청시 | 철관이 있다. |
회음현 | 淮陰縣 | 화이안시 화이인구 마두진(馬頭鎭) 동 1리 | 한신의 봉국이었다. |
회릉현 | 淮陵縣 | 벙부시 밍광시 산동촌(山東村) 일대 | |
하상현 | 下相縣 | 쑤첸시 쑤청구 고성가도(古城街道) | 응소에 따르면 상수가 패국에서 나오기에 하를 붙였다고 한다. 영이의 봉국이었다. |
부릉현 | 富陵縣 | 쑤첸시 훙쩌구 서북 훙쩌호 안 | |
동양현 | 東陽縣 | 화이안시 쉬이현 동양촌(東陽村) | |
파정현 | 播旌縣 | 모름 | |
서평현 | 西平縣 | 모름 | 우정국의 봉국이다. |
고평현 | 高平縣 | 쑤첸시 쓰훙현 남동 성두향(城頭鄕) 일대 | 위상과 왕봉시의 봉국이다. |
개릉현 | 開陵縣 | 모름 | 건성후 오(建成侯 敖)와 성만의 봉국이다. |
창양현 | 昌陽縣 | 모름 | 사수여왕의 아들 유패의 봉국(곧 사수국에서 편입된 지역)이다. |
광평현 | 廣平縣 | 모름 | 설구와 광릉효왕의 아들 유덕의 봉국(곧 광릉국에서 편입된 지역)이다. |
난양현 | 蘭陽縣 | 모름 | 광릉효왕의 아들 유의의 봉국 난릉후국이다. |
양평현 | 襄平縣 | 모름 | 기통과 광릉여왕의 아들 유미의 봉국(곧 광릉국에서 편입된 지역)이다. |
해릉현 | 海陵縣 | 타이저우시 하이링구 해릉고성 | 강해회사(江海會祠)가 있다. |
여현 | 輿縣 | 양저우시 이정시 용하집(龍河集) 부근 | |
당읍현 | 堂邑縣 | 난징시 루허구 서북 신화촌(新華村) 일대 | 철관이 있다. |
낙릉현 | 樂陵縣 | 모름 | 사고의 봉국이다. |
2. 3. 주요 속현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서현 | 徐縣 | 쑤첸시 쓰훙현 호태촌(胡台村) 일대 | 옛 나라로 영성이다. 춘추 시대에 서자 장우가 초나라[22]에 멸망했다. |
취려현 | 取慮縣 | 쉬저우시 쑤이닝현 위와촌(魏洼村) 남부 일대 | |
회포현 | 淮浦縣 | 화이안시 롄수이현 | 유수(游水)가 북으로 바다로 들어간다. |
우이현 | 盱眙縣 | 화이안시 쉬이현 관탄진(官灘鎭) 일대 | 도위의 치소가 있다. |
구윤현 | 厹狁縣 | 쑤첸 시 남동 | |
동현 | 僮縣 | 쑤저우시 쓰현 북동 송우촌(宋圩村) 일대 | 광형의 봉국인 악안향(樂安鄕)이 있었다.[23] |
사양현 | 射陽縣 | 양저우시 바오잉현 사양호진(陽湖鎭) | 응소에 따르면 사수(射水)의 북쪽[陽]이다. 항백의 봉국이었다. |
개양현 | 開陽縣 | 모름 | 동해군의 개양현과는 다른 곳이다. |
췌기현 | 贅其縣 | 화이안 시 쉬이 현 서남? | 여승의 봉국이었다. |
고산현 | 高山縣 | 화이안 시 쉬이 현 남? | 고산(高山)이 남동쪽에 있다. |
수릉현 | 睢陵縣 | 쑤첸시 쓰훙현 동남 훙쩌호 안? | |
염독현 | 鹽瀆縣 | 옌청시 | 철관이 있다. |
회음현 | 淮陰縣 | 화이안시 화이인구 마두진(馬頭鎭) 동 1리 | 한신의 봉국이었다. |
회릉현 | 淮陵縣 | 벙부시 밍광시 산동촌(山東村) 일대 | |
하상현 | 下相縣 | 쑤첸시 쑤청구 고성가도(古城街道) | 응소에 따르면 상수가 패국에서 나오기에 하를 붙였다고 한다. 영이의 봉국이었다. |
부릉현 | 富陵縣 | 쑤첸시 훙쩌구 서북 훙쩌호 안 | |
동양현 | 東陽縣 | 화이안시 쉬이현 동양촌(東陽村) | |
파정현 | 播旌縣 | 모름 | |
서평현 | 西平縣 | 모름 | 우정국의 봉국이다. |
고평현 | 高平縣 | 쑤첸시 쓰훙현 남동 성두향(城頭鄕) 일대 | 위상과 왕봉시의 봉국이다. |
개릉현 | 開陵縣 | 모름 | 건성후 오(建成侯 敖)와 성만의 봉국이다. |
창양현 | 昌陽縣 | 모름 | 사수여왕의 아들 유패의 봉국(곧 사수국에서 편입된 지역)이다. |
광평현 | 廣平縣 | 모름 | 설구와 광릉효왕의 아들 유덕의 봉국(곧 광릉국에서 편입된 지역)이다. |
난양현 | 蘭陽縣 | 모름 | 광릉효왕의 아들 유의의 봉국 난릉후국이다. |
양평현 | 襄平縣 | 모름 | 기통과 광릉여왕의 아들 유미의 봉국(곧 광릉국에서 편입된 지역)이다. |
해릉현 | 海陵縣 | 타이저우시 하이링구 해릉고성 | 강해회사(江海會祠)가 있다. |
여현 | 輿縣 | 양저우시 이정시 용하집(龍河集) 부근 | |
당읍현 | 堂邑縣 | 난징시 루허구 서북 신화촌(新華村) 일대 | 철관이 있다. |
낙릉현 | 樂陵縣 | 모름 | 사고의 봉국이다. |
왕망이 신나라를 건국하면서, 임회군은 회평(淮平)군으로 이름이 바뀌었다.[1] 또한, 임회군에 속해 있던 현들의 이름도 아래 표와 같이 변경되었다.[1]
3. 신나라
전한 신 서 서조(徐調) 회포 회경(淮敬) 우이 무광(武匡) 구윤 병의(秉義) 동 성신(成信) 사양 임회정(臨淮亭) 수릉 수륙(睢陸) 회음 가신(嘉信) 회릉 회륙(淮陸) 하상 종덕(從德) 부릉 삭로(𣝇虜) 서평 영취(永聚) 고평 성구(成丘) 개릉 성향(成鄕) 광평 평녕(平寧) 난양 건절(建節) 양평 상평(相平) 해릉 정간(亭間) 여 미덕(美德)
3. 1. 명칭 변경
왕망이 신나라를 세운 후, 임회군은 회평(淮平)군으로 이름이 바뀌었다.[1] 또한, 임회군에 속해 있던 현들의 이름도 아래와 같이 변경되었다.[1]
전한 | 신 |
---|---|
서 | 서조(徐調) |
회포 | 회경(淮敬) |
우이 | 무광(武匡) |
구윤 | 병의(秉義) |
동 | 성신(成信) |
사양 | 임회정(臨淮亭) |
수릉 | 수륙(睢陸) |
회음 | 가신(嘉信) |
회릉 | 회륙(淮陸) |
하상 | 종덕(從德) |
부릉 | 삭로(𣝇虜) |
서평 | 영취(永聚) |
고평 | 성구(成丘) |
개릉 | 성향(成鄕) |
광평 | 평녕(平寧) |
난양 | 건절(建節) |
양평 | 상평(相平) |
해릉 | 정간(亭間) |
여 | 미덕(美德) |
3. 2. 속현 명칭 변경
전한 | 신 |
---|---|
서 | 서조(徐調) |
회포 | 회경(淮敬) |
우이 | 무광(武匡) |
구윤 | 병의(秉義) |
동 | 성신(成信) |
사양 | 임회정(臨淮亭) |
수릉 | 수륙(睢陸) |
회음 | 가신(嘉信) |
회릉 | 회륙(淮陸) |
하상 | 종덕(從德) |
부릉 | 삭로(𣝇虜) |
서평 | 영취(永聚) |
고평 | 성구(成丘) |
개릉 | 성향(成鄕) |
광평 | 평녕(平寧) |
난양 | 건절(建節) |
양평 | 상평(相平) |
해릉 | 정간(亭間) |
여 | 미덕(美德) |
4. 후한
후한 건국 후 임회군은 원래 이름을 되찾았다. 72년(후한 명제 영평 15년), 유연이 하비왕이 되면서 동해군하비현에 '''하비국'''이 설치되었다.[25] 79년(건초 4년), 임회군은 하비국에 편입되었다. 하비국은 하비, 서, 동, 유릉, 하상, 회음, 회포, 우이, 고산, 반정, 회릉, 취려, 동성, 곡양, 사오, 양성, 하구의 17개 현을 관할했다.[4]
4. 1. 임회국으로의 승격
39년(후한 광무제 건무 15년), 후한 광무제의 아홉 번째 아들인 '''유형(劉衡)'''이 임회회공(臨淮懷公)으로 임명되면서 '''임회국(臨淮國)'''으로 승격되었다.[24]4. 2. 하비국으로의 통합
72년(후한 명제 영평 15년) 명제의 여섯 번째 아들인 유연(劉衍)이 '''하비혜왕(下邳惠王)'''으로 봉해지면서 임회군이 하비국으로 승격되었다.[25]5. 진
서진 건국 후, 사마황이 하비왕이 되면서 하비국이 설치되었다. 280년(서진 무제 태강 원년), 하비국에서 회수 남쪽의 여러 현을 분리하여 임회군을 설치했다. 임회군은 우이, 동양, 고산, 췌기, 반정, 고우, 회릉, 사오, 하상, 서의 12개 현을 관할했다.
남조 송 시대에 임회군은 남서주에 속했으며, 해서, 사양, 능, 회포, 회음, 동양, 장락의 7개 현을 관할했다. 남조 제 시대에는 해서, 사양, 능, 회음, 동양, 회포의 6개 현을 관할하기로 정해졌지만, 실제 관할하는 토지는 없었다.
동위가 남조 양의 인주를 빼앗자 임회군이 설치되었고, 기오, 의성의 2개 현을 관할했다. 한편, 북위에 의해 설치된 남서주는 남조 양에 의해 동서주, 동위에 의해 동초주, 남조 진에 의해 안주, 북주에 의해 사주로 개칭되었다.
5. 1. 임회군 재설치
280년(서진 무제 태강 원년), 하비군에서 회수 남부 지역 현들이 분리되면서 임회군이 다시 설치되었다. 서진대 임회군은 10현 10,000호를 거느렸다.[26] 297년(진 혜제 원강 7년) 군의 일부 지역이 회릉군으로 분리되었으며, 영가의 난 이후 석륵의 후조가 회릉군과 함께 점령했다.[26]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우이현 | 盱眙縣 | 화이안시 쉬이현 관탄진(官灘鎭) 일대 | 진 안제 시기 옛 우이현 지역에 우이군이 신설되었다.[28] |
동양현 | 東陽縣 | 화이안시 쉬이현 동양촌(東陽村) | |
고산현 | 高山縣 | 화이안시 쉬이현 장항촌(長港村) 일대? | |
췌기현 | 贅其縣 | 화이안시 쉬이현 하교진(河橋鎭) 서 일대? | |
반정현 | 潘旌縣 | ||
고우현 | 高郵縣 | 양저우시 가오유시 | |
회릉현 | 淮陵縣 | 벙부시 밍광시 산동촌(山東村) 일대 | |
사오현 | 司吾縣 | 쉬저우시 신이시 남 마릉산진(馬陵山鎭) 일대 | |
하상현 | 下相縣 | 쑤첸시 쑤청구 고성가도(古城街道) | 회릉군으로 분리되었다. |
서현 | 徐縣 | 쑤첸시 쓰훙현 호태촌(胡台村) 일대 | |
당읍현 | 堂邑縣 | 난징시 루허구 서북 신화촌(新華村) 일대 | 《진서》 지리지에는 임회군의 속현으로 기록되어있지 않으나, 297년경 당읍군으로 분리되었다. |
5. 2. 관할 지역 및 인구
280년(서진 무제 태강 원년), 하비군에서 회수 남부 지역의 현들이 임회군으로 분리되면서 임회군이 다시 설치되었다. 서진 시대 임회군은 10개 현, 10,000호를 거느렸다.[26] 297년(진 혜제 원강 7년) 군의 일부 지역이 회릉군으로 분리되었다.[26]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우이현 | 盱眙縣 | 화이안시 쉬이현 관탄진(官灘鎭) 일대 | 진 안제 시기 옛 우이현 지역에 우이군이 신설되었다.[28] |
동양현 | 東陽縣 | 화이안시 쉬이현 동양촌(東陽村) | |
고산현 | 高山縣 | 화이안시 쉬이현 장항촌(長港村) 일대? | |
췌기현 | 贅其縣 | 화이안시 쉬이현 하교진(河橋鎭) 서쪽 일대? | |
반정현 | 潘旌縣 | ||
고우현 | 高郵縣 | 양저우시 가오유시 | |
회릉현 | 淮陵縣 | 벙부시 밍광시 산동촌(山東村) 일대 | |
사오현 | 司吾縣 | 쉬저우시 신이시 남쪽 마릉산진(馬陵山鎭) 일대 | |
하상현 | 下相縣 | 쑤첸시 쑤청구 고성가도(古城街道) | 회릉군으로 분리되었다. |
서현 | 徐縣 | 쑤첸시 쓰훙현 호태촌(胡台村) 일대 |
5. 3. 영가의 난과 이후 상황
영가의 난 이후 석륵의 후조가 임회군을 점령했다.[26] 이후 서주가 경구(京口) 일대에서 교치되면서 전장시, 창저우시 일대로 교치되었다.[27]411년 진나라에 의해 회복되었을 때, 서이군으로 개명되었다.[5]
5. 4. 속현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우이현 | 盱眙縣 | 화이안시 쉬이현 관탄진(官灘鎭) 일대 | 진 안제 시기 옛 우이현 지역에 우이군이 신설되었다.[28] |
동양현 | 東陽縣 | 화이안시 쉬이현 동양촌(東陽村) | |
고산현 | 高山縣 | 화이안시 쉬이현 장항촌(長港村) 일대 | |
췌기현 | 贅其縣 | 화이안시 쉬이현 하교진(河橋鎭) 서쪽 | |
반정현 | 潘旌縣 | ||
고우현 | 高郵縣 | 양저우시 가오유시 | |
회릉현 | 淮陵縣 | 벙부시 밍광시 산동촌(山東村) 일대 | |
사오현 | 司吾縣 | 쉬저우시 신이시 남쪽 마릉산진(馬陵山鎭) 일대 | |
하상현 | 下相縣 | 쑤첸시 쑤청구 고성가도(古城街道) | 회릉군으로 분리되었다. |
서현 | 徐縣 | 쑤첸시 쓰훙현 호태촌(胡台村) 일대 | |
당읍현 | 堂邑縣 | 난징시 루허구 서북쪽 신화촌(新華村) 일대 | 《진서》 지리지에는 임회군의 속현으로 기록되어있지 않으나, 297년경 당읍군으로 분리되었다. |
6. 남북조 시대
남조 송 시대에 임회군은 남서주에 속했으며, 해서, 사양, 능, 회포, 회음, 동양, 장락의 7개 현을 관할했다.
남조 제 시대에 임회군은 해서, 사양, 능, 회음, 동양, 회포의 6개 현을 관할하기로 정해졌지만, 실제로 관할하는 토지는 없었다.[1]
7. 수
수나라 대업 3년(607년)에 주(州)가 폐지되고 군(郡)이 설치되면서, 사주가 '''하비군'''으로 개칭되었다.[5]
당나라 건국 이후, 621년(무덕 4년) 수나라의 하비군은 사주로 개칭되었다. 742년(천보 원년)에는 사주가 임회군으로 개칭되었다가, 758년(건원 원년) 다시 사주로 바뀌면서 임회군이라는 명칭은 사라졌다.[6]
7. 1. 하비군으로 개칭
북주에 의해 설치된 남서주는 여러 차례 명칭이 변경되었다. 607년 (대업 3년) 주가 폐지되고 군이 설치되면서 사주가 하비군으로 개칭되었다.[5]7. 2. 하비군의 속현
下邳|하비중국어군은 한나라 말기 29개 현과 제후국을 관리했다. 75년, 臨淮|임회중국어군은 명제의 아들 유연(劉衍)이 통치하는 하비국에 합병되었다.[4]29개 현과 제후국은 다음과 같다:
현/제후국 이름 | 한자 표기 | 비고 |
---|---|---|
서 | 徐 | |
취려 | 取慮 | |
회포 | 淮浦 | |
서이 | 盱眙 | |
유유 | 厹猶 | |
동 | 僮 | |
사양 | 射陽 | |
개양 | 開陽 | |
추이기 | 贅其 | |
고산 | 高山 | |
수릉 | 睢陵 | |
염독 | 鹽瀆 | |
회음 | 淮陰 | |
회릉 | 淮陵 | |
하상 | 下相 | |
부릉 | 富陵 | |
동양 | 東陽 | |
파정 | 播旌 | |
서평 | 西平 | |
고평 | 高平 | |
개릉 | 開陵 | |
창양 | 昌陽 | |
광평 | 廣平 | |
란양 | 蘭陽 | |
상평 | 襄平 | |
해릉 | 海陵 | |
여 | 輿 | |
당읍 | 堂邑 | |
락릉 | 樂陵 |
8. 당
당나라 때 임회군은 사주의 다른 이름이었다. 741년에 임회군은 연수, 서이, 서성(徐城) 4개의 현으로 구성되었으며, 인구는 205,959명(37,526호)이었다.[6]
8. 1. 사주로 개칭
621년(무덕 4년), 당나라가 수나라의 하비군을 사주로 개칭했다.[6]8. 2. 임회군으로 재개칭
742년(천보 원년), 사주가 임회군으로 개칭되었다.[6] 당시 임회군은 연수, 서이, 서성(徐城) 4개의 현으로 구성되었으며, 인구는 205,959명 또는 37,526호였다.[6]8. 3. 사주로 최종 개칭
758년(건원 원년), 임회군은 다시 사주로 개칭되면서 임회군의 명칭은 사라졌다.[6]참조
[1]
서적
Shuowen Jiezi
[2]
서적
Book of Han
https://zh.wikisourc[...]
[3]
서적
Book of Later Han
https://zh.wikisourc[...]
[4]
서적
Book of Later Han
https://zh.wikisourc[...]
[5]
서적
Book of Jin
https://zh.wikisourc[...]
[6]
서적
New Book of Tang
https://zh.wikisourc[...]
[7]
서적
漢書地理志上
[8]
서적
後漢書顕宗紀
[9]
서적
後漢書孝明八王列伝
[10]
서적
後漢書郡国志三
[11]
서적
晋書世祖紀
[12]
서적
晋書地理志下
[13]
서적
宋書州郡志一
[14]
서적
南斉書州郡志上
[15]
서적
魏書地形志二中
[16]
서적
隋書地理志下
[17]
서적
旧唐書地理志一
[18]
서적
한서》28권下 지 제8下 지리 광릉국
[19]
서적
진서》 권15 지 제5 지리 하 서주
[20]
서적
西汉政区地理
人民出版社
1987-08
[21]
서적
한서》28권上 지리지 제8上
[22]
문서
오나라의 오기로 보인다
[23]
서적
한서》 권81 광장공마전
[24]
서적
후한서》 42권 열전 제32 광무십왕열전 임회회공 형
https://zh.wikisourc[...]
[25]
서적
후한서》 50권 열전 제40 효명팔왕열전 하비혜왕 연
https://zh.wikisourc[...]
[26]
서적
진서》 15권 지 제5 지리지 下 서주 임회군
https://zh.wikisourc[...]
[27]
서적
송서》 35권 지 제25 주군지 1 남서주 임회태수
https://zh.wikisourc[...]
[28]
서적
송서》 35권 지 제25 주군지 1 남연주 우이태수
https://zh.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