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인 이회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유인 이회영은 독립운동가 이회영의 생애를 다룬 5부작 특별 기획 드라마이다. 일제강점기, 이회영은 전 재산을 기증하고 만주로 이주하여 학교를 설립, 군인과 학자를 훈련시켰으며, 상하이에서 비밀 아나키스트 운동에 참여하여 일본군에 맞서 싸웠다. 드라마는 일본 종군 기자 기무라 준페이가 이회영을 '테러리스트'로 보고서를 작성하는 시점에서 시작되지만, 그의 삶을 파고들면서 한국 독립 운동을 이끈 자유 투사로 이해하고 존경하게 된다. 주요 출연진으로는 정동환, 안재모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만주를 배경으로 한 작품 - 붉은 산
붉은 산은 만주를 배경으로 만주인 지주에게 죽임당한 김 첨지의 복수를 위해 나선 삵, 정익호의 죽음을 통해 민족의식을 드러내는 소설이다. - 한국방송공사 주말 특별기획 드라마 - 전우 (2010년 드라마)
《전우》는 2010년 한국 전쟁을 배경으로 한 드라마로, 최수종, 이태란 등이 출연하여 이현중 상사 부대를 중심으로 전쟁의 참혹함과 인물들의 비극적인 운명을 그리며, 최고 시청률 17.9%를 기록했으나 표절 논란과 음향 효과 등으로 비판을 받았다. - 한국방송공사 주말 특별기획 드라마 - 열혈 장사꾼
《열혈 장사꾼》은 자동차 세일즈맨의 일과 인생, 사랑을 그린 드라마로, 주인공 하류가 100억 원을 벌겠다는 목표를 가지고 자동차 판매에 매진하며 주변 인물들과의 관계를 다루며 9%대의 시청률을 기록했다. - 정현민 시나리오 작품 - 정도전 (드라마)
《정도전》은 고려 말 조선 초를 배경으로 정도전의 삶을 다룬 2014년 KBS 대하드라마이며, 조선 건국 과정을 정치인의 시각으로 조명하여 호평을 받았다. - 정현민 시나리오 작품 - 녹두꽃 (드라마)
《녹두꽃》은 2019년 SBS에서 방영된 드라마로, 동학 농민 운동을 배경으로 조정석, 윤시윤 등이 출연하여 민초들의 삶과 항쟁을 다루며 제32회 한국방송작가상 드라마 부문을 수상했다.
자유인 이회영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장르 | 사극, 역사 |
방송 시간 | 토요일, 일요일 오후 9시 05분 (KST) |
연출 | 신창석 |
극본 | 곽인행, 정현민, 이미호 |
프로듀서 | 이재영, 전우성 |
출연 | 정동환 안재모 이아이 홍일권 권오중 |
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방송사 | KBS1 |
첫 방송 | 2010년 8월 29일 |
마지막 방송 | 2010년 9월 12일 |
방송 횟수 | 5부작 |
제작 정보 | |
촬영 방식 | 다중 카메라 |
관련 정보 | |
자유인 이회영 (한글) | 자유인 이회영 |
자유인 이회영 (한자) | 自由人 李會榮 |
자유인 이회영 (로마자 표기) | Jayuin I Hoeyeong |
자유인 이회영 (매큔-라이샤워 표기) | Chayuin Yi Hoe-yŏng |
2. 프로그램 소개
독립운동가 우당 이회영의 생애를 조명한 특별 기획 5부작 드라마이다.[5][6] 일제강점기에 이회영은 전 재산을 기증하고 만주로 이주하여 학교를 설립했다. 그곳에서 그는 20세기 초 여러 전투에서 승리한 군인과 학자들을 훈련시켰다. 이회영은 또한 일본군에 맞서 싸우기 위해 상하이에서 비밀 아나키스트 운동에 참여했다. 그는 나중에 일본군에 체포되어 고문을 받은 후 감옥에서 사망했다. 이 드라마는 일본 종군 기자 기무라 준페이가 "테러리스트 이회영"이라는 보고서를 작성하는 시점에서 시작된다. 그러나 그는 이회영의 삶을 파고들면서 이회영을 한국 독립 운동을 이끈 자유 투사로 이해하고 존경하게 된다.[2]
- [http://www.kbsworld.ne.jp/drama/detail.php?cno=366 KBSWorld 자유인 이회영]
3. 제작진
(내용 없음)
3. 1. 제작 자문·촬영 협조
- 우당 이회영 기념관
3. 2. 해설
- 김종성 (5회)
3. 3. 극본
- 곽인행
- 정현민
- 이민호
- 윤영수 (다큐멘터리)
3. 4. 연출
- 신창석
- 류지열 (다큐멘터리)
4. 등장 인물
- 정동환 - '''"우당" 이회영''' 역
- 안재모 - 기무라 준페이 역
- 이아이 - 홍정화 역
- 홍일권 - '''"화암" 정현섭''' 역
- 권오중 - '''"구파" 백정기''' 역
- 최익준 - 이용준 역
- 정승우 - 유기문 역
- 김강일 - 사노 역
- 이정환 - 화균실 역
- 이대로 - '''이석영''' 역
- 김종찬 - '''이규창''' 역
- 전광진 - '''이규서''' 역
- 정종렬 - 홍흥순 역
- 조영진 - '''"성재" 이시영''' 역
- 최일화 - 기무라 엔도 장군 역
- 김규철 - 아사히 신문 상하이 지국 지국장 역
- 김하균 - 옥관빈 역
- 장준호 - 스즈키 역
- 이정길 - 영사관 직원 역
- 김응수 - 미쓰와 대위 / 김판철 역
- 김병기 - 포병 대위 오쿠마 역
- 고인범 - 왕아초 역
- 정흥채 - 왕정위 역
- 김경룡 - 담엽 역
- 이영후 - '''"백범" 김구''' 역
4. 1. 주요 인물
- '''"우당" 이회영''' (1867–1932): 정동환 분.
- : 1931년 상하이에서 조직된 국제 아나키스트들의 비밀 결사 항일구국연맹의 지도자이다. 산하 행동대 흑색공포단을 지휘하며 기관 파괴, 요인 암살 등 과감한 항일 무장 투쟁을 주도한다. 조선 최고의 명문가 출신으로 1910년 국권 피탈 이후 전 가족을 이끌고 만주로 망명하였다. 일제의 회유를 거부하고 배후에서 독립운동을 이끈 지도자이다.
- 기무라 준페이: 안재모 분.
- : 게이오기주쿠 대학 문학부를 졸업한 제국신문 상하이 종군기자이다. 진실 보도를 소명으로 여기는 언론인이다. 톈진에서 흑색공포단의 활동을 목격하고 이회영의 사진을 찍은 후 그의 삶에 깊은 관심을 갖게 된다. 그러나 취재 과정에서 감당하기 어려운 현실과 마주한다.
- 홍정화: 이아이 분.
- '''"화암" 정현섭''' (1896–1981): 홍일권 분. 독립운동가.
- '''"구파" 백정기''' (1896–1934): 권오중 분. 독립운동가.
- 이용준: 최익준 분.
- 유기문: 정승우 분.
- 사노: 김강일 분.
- 화균실: 이정환 분.
- '''이석영''' (1855–1934): 이대로 분. 이회영의 형. 독립운동가.
- '''이규창''' (1913–2005): 김종찬 분. 이회영의 장남. 독립운동가.
- '''이규서''' (1912–1933): 전광진 분. 이회영의 조카, 이석영의 아들. 독립운동가.
- 홍흥순: 정종렬 분.
- '''"성재" 이시영''' (1868–1953): 조영진 분. 이회영의 동생, 훗날 대한민국 부통령. 독립운동가.
- 기무라 엔도: 최일화 분. 준페이의 아버지, 일본군 장군.
- 아사히 신문 상하이 지국장: 김규철 분.
- 옥관빈: 김하균 분. 상하이 제약 회사 사장.
- 스즈키: 장준호 분.
- 일본 영사관 직원: 이정길 분.
- 미쓰와 / 김판철: 김응수 분. 일본 방첩대 장교 (대위에서 소령으로 진급).
- 오쿠마: 김병기 분. 일본군 포병 대위.
- 왕아초: 고인범 분.
- 왕정위: 정흥채 분. 중화민국의 정치인.
- 담엽: 김경룡 분.
- '''"백범" 김구''' (1876–1949): 이영후 분. 대한민국 임시 정부 주석. 독립운동가.
4. 2. 아나키스트
이회영은 여러 동지들과 함께 아나키스트 활동을 전개했으며, 특히 흑색공포단의 조직 및 활동에 깊이 관여하였다. 드라마 '자유인 이회영'에서는 이러한 활동과 관련된 인물들이 다음과 같이 묘사된다.- '''정현섭''' (홍일권 분): 흑색공포단의 기획 및 연락책을 담당했으며, 폭약 전문가로서 이회영의 책사 역할을 수행한 것으로 그려진다. 그의 호는 '화암'이다.
- '''백정기''' (권오중 분): 흑색공포단의 행동대장으로, 사격과 전투에 능한 인물로 묘사된다. 그의 호는 '구파'이다.
- '''홍정화''' (이아이 분): 흑색공포단의 일원으로 활동하는 모습이 그려진다.
4. 3. 이회영의 가족
이름 | 관계 | 설명 |
---|---|---|
이석영 | 둘째 형 | 백부 이유원의 양자로 입적되었다. |
성재 이시영 | 동생 (다섯째) | 독립운동가, 정치인.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활동했으며, 해방 후 대한민국 초대 부통령을 지냈다. |
이규창 | 아들 | 독립운동가. 흑색공포단 단원으로 활동했다. |
이규서 | 조카 (이석영의 아들) | 숙부인 이회영의 체포에 관련된 인물로 알려져 있다. |
'''주석'''
4. 4. 기무라 준페이의 주변 인물
- 최일화 : 기무라 엔도 역 - 기무라 준페이의 아버지. 조선총독부 정보참모장이자 실세로 묘사된다.
- 김규철 : 지국장 역 - 아사히 신문 상하이 지국장. 기무라 준페이의 취재 활동을 돕는 인물이다.
- 김하균 : 옥관빈 역 - 상하이에서 제약 회사를 운영하는 사장. 과거 신민회에서 활동했으며 105인 사건으로 투옥된 경험이 있다.
- 장준호 : 스즈키 역 - 천진 주재 일본 영사관 직원이다.
- 이정길 : 영사관 직원 역 - 상하이 주재 일본 총영사관 공안과 소속 직원이다.
- 김응수 : 미쓰와 역 - 일본 방첩대 장교. 처음에는 대위였으나 후에 소령으로 진급한다. 김판철이라는 이름도 사용한다.
- 김병기 : 오쿠마 역 - 일본군 포병 대위이다.
4. 5. 일본인 & 중국인
wikitext배우 | 역할 | 설명 |
---|---|---|
김응수 | 미쓰와 (김판출) / 김판철 | 조선인 출신 일본군 특무대 소좌이자 방첩대 장교. 이회영 체포를 위해 상하이로 파견된다. |
김병기 | 오꾸마 / 오쿠마 | 조선총독부 특무대장 겸 포병 대위. 미쓰와를 상하이로 보낸다. (특별출연) |
안재모 | 기무라 준페이 | 아사히 신문 기자. 기무라 엔도 장군의 아들이다. |
최일화 | 기무라 엔도 장군 | 준페이의 아버지. |
김규철 | 아사히 신문 상하이 지국장 | |
장준호 | 스즈키 | |
이정길 | 일본 영사관 직원 | |
김강일 | 사노 | |
고인범 | 왕아초 | 중국 상하이 주둔 19로군의 핵심 인물. 흑색공포단을 이용하여 정적인 왕정위 제거를 시도하며, 제1차 상하이 사변 이후 홍콩으로 망명한다. |
정흥채 | 왕정위 | 국민당 외교부장. 친일적인 행보를 보이는 인물이다. (특별출연) |
김경룡 | 담엽 | 왕정위의 부관. |
4. 6. 그 외 인물
배역 | 배우 | 비고 |
---|---|---|
"우당" 이회영 | 정동환 | 독립운동가 (1867–1932) |
기무라 준페이 | 안재모 | 아사히 신문 기자, 기무라 엔도 장군의 아들 |
홍정화 | 이아이 | |
"화암" 정현섭 | 홍일권 | 독립운동가 (1896–1981) |
"구파" 백정기 | 권오중 | 독립운동가 (1896–1934) |
이용준 | 최익준 | |
유기문 | 정승우 | |
사노 | 김강일 | |
화균실 | 이정환 | |
이석영 | 이대로 | 이회영의 형 (1855–1934) |
이규창 | 김종찬 | 이회영의 장남 (1913–2005) |
이규서 | 전광진 | 이회영의 조카, 이석영의 아들 (1912–1933) |
홍흥순 | 정종렬 | |
"성재" 이시영 | 조영진 | 이회영의 동생, 훗날 대한민국 부통령 (1868–1953) |
기무라 엔도 장군 | 최일화 | 준페이의 아버지 |
아사히 신문 상하이 지국장 | 김규철 | |
옥관빈 | 김하균 | 상하이 제약 회사 사장 |
스즈키 | 장준호 | |
영사관 직원 | 이정길 | |
미쓰와 대위 / 김판철 | 김응수 | 일본 방첩대 장교 (후에 소령) |
포병 대위 오쿠마 | 김병기 | |
왕아초 | 고인범 | |
왕정위 | 정흥채 | |
담엽 | 김경룡 | |
"백범" 김구 | 이영후 | 대한민국 임시 정부 주석 (1876–1949) |
고종 황제 | 송용태 | |
이건영 | 한태일 | 이회영의 첫째 형 |
중국 노인 | 유순철 | |
일본 고위관료 | 김태영 | |
일본 특무대원 | 허맹호 | |
일본 형사 | 서성하 | |
술집 기생 1 | 장소연 | |
술집 기생 2 | 김견혜 | |
동북의용군 사령부 요원 1 | 김현수 | |
동북의용군 사령부 요원 2 | 안훈 | |
동북의용군 사령부 요원 3 | 진홍재 | |
동북의용군 사령부 요원 4 | 이민호 | |
중국 소년 | 박승아 |
5. 시놉시스
일본 종군 기자 기무라 준페이가 '테러리스트 이회영'에 대한 보고서를 작성하려 하면서 드라마는 시작된다. 일제강점기에 이회영은 전 재산을 바쳐 만주로 망명, 학교를 세워 20세기 초 여러 전투에서 활약한 독립군과 학자들을 길러냈다. 또한 상하이에서 일제에 맞서 싸우기 위한 비밀 아나키스트 운동에도 참여했다. 이후 일본군에 체포되어 고문을 당한 끝에 감옥에서 순국했다. 기무라 준페이는 이러한 이회영의 삶을 취재하면서 그가 한국 독립운동을 이끈 진정한 자유 투사였음을 깨닫고 존경하게 된다.[2]
6. OST
- 들꽃 - 강신주
7. 시청률
wikitext
2010년 | |||
---|---|---|---|
회차 | 방송일 | TNmS 시청률[7] | AGB 시청률[8] |
대한민국(전국) | 대한민국(전국) | ||
제1회 | 8월 29일 | 7.8% | 8.0% |
제2회 | 9월 4일 | 7.1% | 7.5% |
제3회 | 9월 5일 | 7.4% | 7.7% |
제4회 | 9월 11일 | 6.1% | 6.8% |
제5회 | 9월 12일 | 6.5% | 7.6% |
평균 시청률 | 7% | 7.6% |
- 아래의 표는 TNmS와 닐슨코리아가 공개한 시청률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되었다.[7][8] 빨간색 수치는 최고 시청률, 파란색 수치는 최저 시청률을 나타낸다.
8. 참고 사항
- 정동환, 안재모는 SBS 월화 드라마 《야인시대》 이후 8년 만에 재회하여 캐스팅 되었다.[9][10]
- KBS 1TV 주말 특별 기획 드라마는 해당 프로그램을 마지막으로 폐지됐다.
- [http://www.kbsworld.ne.jp/drama/detail.php?cno=366 KBSWorld 자유인 이회영]
참조
[1]
웹사이트
TV Dramas to Look Forward to in 2010
https://www.koreatim[...]
2013-03-30
[2]
웹사이트
Freedom Fighter, Lee Hoe-young
http://english.kbs.c[...]
2013-07-01
[3]
뉴스
감우성, KBS 대하 사극 '근초고왕'으로 4년 만에 안방 복귀
http://entertain.nav[...]
스포츠경향
2018-01-30
[4]
뉴스
'전우' 후속 '자유인 이회영' 저조한 시청률로 출발. 왜?
http://entertain.nav[...]
아시아경제
2017-05-24
[5]
뉴스
배우 정동환, KBS ‘자유인 이회영’주인공 낙점
http://news.tvreport[...]
TV리포트
[6]
뉴스
'이회영' 제작 지연에 '전우' 스페셜 방송 긴급 편성
http://star.mt.co.kr[...]
스타뉴스
[7]
웹사이트
TNmS 홈페이지
http://www.tnms.tv/
[8]
웹사이트
AGB닐슨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
http://www.agbnielse[...]
2014-06-19
[9]
뉴스
‘자유인 이회영’ 정동환-안재모 ‘캐릭터 맞바꿔’
http://www.tvreport.[...]
TV리포트
[10]
뉴스
‘자유인 이회영’, ‘야인시대’ 명콤비 부활 예고
http://www.mdtoday.c[...]
메디컬투데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