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자이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이펑은 청나라 말기의 황족으로, 순친왕 이훤의 아들이자 광서제의 이복 동생이다. 그는 서태후의 신임을 받아 독일 사죄사로 파견되었고, 광서제 사후에는 어린 조카 푸이를 대신하여 섭정왕이 되어 개혁을 추진했으나 신해혁명으로 청나라가 멸망하면서 권력을 잃었다. 청나라 멸망 후에도 만주국을 반대하며 베이징에서 은퇴 생활을 하다가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후 1951년에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순친왕 - 혁현
    이혁현은 도광제의 아들이자 함풍제의 동생으로, 서태후의 매부로서 신유정변과 광서제 즉위에 관여하며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으나 서태후의 영향력 아래 놓였고, 해군 아문 대신으로 북양함대 육성에는 소홀했다는 비판을 받지만 보수파와 혁신파 사이에서 중재자 역할을 수행한 청나라 황족이다.
  • 중화인민공화국 사람 - 이화림
    이화림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에 헌신하고 해방 후 중국 공산당에 입당하여 의사로 활동했으며 한국 전쟁에 참전한 조선인민군 군인이다.
  • 중화인민공화국 사람 - 거핑
  • 만주 양백기인 - 혁현
    이혁현은 도광제의 아들이자 함풍제의 동생으로, 서태후의 매부로서 신유정변과 광서제 즉위에 관여하며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으나 서태후의 영향력 아래 놓였고, 해군 아문 대신으로 북양함대 육성에는 소홀했다는 비판을 받지만 보수파와 혁신파 사이에서 중재자 역할을 수행한 청나라 황족이다.
  • 만주 양백기인 - 산치
    청나라 말기의 황족 산치는 광서제와 서태후의 시안 피난을 수행하고 근대화 개혁을 추진했으나, 신해혁명 이후 청조 복벽 운동을 주도하며 일본 제국주의 세력과 결탁한 인물이다.
자이펑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청나라 정장을 입은 순친왕 재풍
청나라 정장을 입은 순친왕 재풍
작위순친왕
아이신 교로 자이펑 (愛新覺羅 載灃)
다른 이름Prince Chun
출생1883년 2월 12일 (음력 광서 9년 1월 5일)
출생지청나라 순천부 베이징 태평호 순친왕부
사망1951년 2월 3일
사망지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
매장지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시 스징산구 푸톈촌 동푸톈 공묘
아버지혁현
어머니측복진 유가씨
배우자구왈기야 여우란
자녀선통제
푸제
윤잉
윤허
윤잉
윤셴
윤신
윤위
푸런
윤환
직책
섭정감국
대청 제국의 의정대신재임
대청 제국의 육군부 대신재임
가문
가문아이신 교로

2. 생애

푸이 (오른쪽)와 순친왕 자이펑에게 안긴 푸제 (1909년)


순친왕 이훤의 다섯째 아들이자 청나라 제11대 황제 광서제의 이복동생이다. 아버지 사후 세습을 허락받아 순친왕 작위를 계승했다. 아버지처럼 서태후의 신임을 얻었으며, 1900년 의화단의 난 이후에는 독일 공사 살해 사건에 대한 사죄 사절로 독일에 파견되기도 했다.

1908년 형인 광서제가 사망하고, 그의 장남 푸이가 제12대 황제(선통제)로 즉위하자 감국섭정왕(監國攝政王)에 올라 실권을 장악했다. 섭정왕이 된 후, 과거 무술 변법을 좌절시키고 광서제를 배신했던 위안스카이를 실각시켰다. 형 광서제에게 협력하며 개혁적인 입장을 보였던 자이펑은 청나라 말기의 위기 속에서 기존의 군기처를 폐지하고 내각 제도를 도입하는 등 개혁을 시도했으나 시대적 흐름을 바꾸기에는 역부족이었다. 결국 1911년 신해 혁명이 발발하자, 황실의 최고 어른이었던 륭유 태후의 명에 따라 실권자 위안스카이에게 모든 권한을 넘겨주게 되었다.

청나라 멸망 후에도 푸이는 황제의 존호를 유지하며 자금성에 거주하는 것이 허용되었고, 자이펑은 계속해서 그의 후견인 역할을 했다. 그러나 1931년 만주 사변 이후 일본만주국이라는 괴뢰 국가를 세우고 푸이를 그 수장으로 내세우려 하자, 자이펑은 아들의 앞날을 우려하며 이를 반대했다. 그는 이후 푸이를 따르지 않고 베이징의 자택(순친왕부)에 머물며 만주국과는 거리를 두었다. 이러한 처신 덕분에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푸이와 달리 한간(친일 부역자)으로 비난받지 않았다.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에도 조용한 은퇴 생활을 보장받았으며, 1951년 베이징에서 생을 마감했다. 그는 황제의 아버지로서 잠시 권력을 잡았지만, 실제로는 정치에 큰 관심이 없었다고 평가받는다. 청나라 멸망 후 가족들에게 "이제 집에 가서 아이들을 돌볼 수 있게 되었다"고 말했다는 일화가 전해진다.

과거 그의 저택이었던 순친왕부의 서쪽 정원은 훗날 쑹칭링의 공관이 되었고, 현재는 "쑹칭링 고거"로 일반에 공개되어 있다.[8] 동쪽 저택 부분은 국가종교사무국, 마구간 등은 베이징시 제2농아학교로 사용되고 있어, 청나라 황족의 대규모 저택이 비교적 온전히 남아있는 드문 사례로 꼽힌다.

재풍의 초상이 사용된 대청은행 환전 10위안권


과거 저택이었던 순친왕부 (쑹칭링 고거의 정문)

2. 1. 어린 시절

이후완의 서자이자 다섯째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어머니 소복진 유가씨(劉佳氏)는 원래 순친왕부의 시녀였으며, 팔기의 한군 기인(漢軍 旗人) 가문 출신이었다. 본래 성씨는 유(劉)였으나, 이후완의 후궁이 된 후 만주족 방식으로 성씨를 고쳐 유가씨가 되었다.

자이펑의 이복형은 청나라의 제11대 황제인 광서제(光緖帝) 載湉|자이탼mnc이다. 1875년, 자녀가 없던 동치제가 사망하자, 자이펑의 이복형 자이탼은 당시 섭정을 맡고 있던 서태후와 자안태후에 의해 새로운 황제로 선택되었다. 자이탼은 황태후들의 아들로 입양되어 광서제로 즉위했으며, 이로 인해 법적으로는 더 이상 순친왕 이후완의 아들이 아니게 되었다.

이복 형 재한, 어려서 죽은 형, 형 재광(載洸)이 차례대로 요절하여 그가 순친왕부의 계승자가 되었다. 1891년 아버지 이후완이 사망하자, 여덟 살의 나이로 순친왕 작위를 세습하여 제2대 순친왕이 되었다.

1900년 의화단 운동 당시 8개국 연합군이 베이징을 점령했을 때, 그의 약혼녀는 외국 침략자들에게 강간과 굴욕을 당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고 전해진다.

2. 2. 정치 활동

자이펑과 그의 두 아들 푸이(서 있는 아이), 푸제(안겨 있는 아이)


1901년 1월 관병대신(閱兵大臣)에 임명되었고, 같은 해 2월 말에서 3월 초 사이에는 시안으로 임시 천도한 청나라 군대의 감찰관을 맡았다. 그해 5월, 의화단 운동 당시 독일 공사 폰 케텔러 남작 살해 사건에 대한 사죄 사절인 두등전사(頭等專使)로 임명되어 독일에 파견되었다. 7월, 그는 독일 포츠담에서 황제 빌헬름 2세를 만났다.[2] 이때 자이펑은 외국의 군주에게 무릎을 꿇을 수 없다고 주장하며 거부했다고 알려졌으나, 이는 그의 고문 량청의 조언에 따라 독일 황실에 막대한 금품을 제공한 결과이기도 했다.[3]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일은 청나라 내에서 그의 명성을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 독일에 머무는 동안 그는 빌헬름 2세 및 그의 동생 하인리히 왕자와 함께 군대 사열에 참석하기도 했다.[4] 당초 유럽을 순방하며 벨기에와 런던 방문을 계획했으나, 서태후의 건강 문제로 일정을 단축하고 1901년 9월에 조기 귀국했다.

귀국 후 서태후는 독일에서의 외교 활동에 만족하면서도, 열강의 지지를 받는 그를 경계하기 시작했다. 서태후는 자신의 권력 기반을 다지기 위해, 1902년 자이펑에게 자신의 충실한 지지자이자 보수파 핵심 인물인 룽루의 딸 여우란(幼蘭)과 결혼하라고 명령했다. 자이펑은 1898년 무술변법을 좌절시키고 형 광서제를 유폐하는 데 핵심 역할을 한 룽루를 매우 싫어했지만, 서태후의 명령을 거역하는 것이 현명하지 않다고 판단하여 결국 결혼을 받아들였다. 이 결혼으로 서태후는 자이펑이 자신의 통제 하에 있다고 판단하고 더 이상 위협적인 인물로 여기지 않게 되었다. 그러나 자이펑과 여우란의 결혼 생활은 불행했다.

이후 자이펑은 조정에서 여러 요직을 맡게 되었다. 1907년 5월 군기대신상학습행도(軍機大臣上學習行走)에 임명되었고, 1908년 1월에는 군기대신(軍機大臣)이 되었다.

2. 3. 푸이의 섭정

자이펑과 자녀들 (1923년)


1908년 11월 14일, 광서제가 사망하고 다음 날 서태후마저 세상을 떠나자, 서태후는 임종 직전 자이펑의 아들 푸이를 황제로 지명했다. 푸이는 광서제의 양자로 입적되어 황위를 계승했고, 자이펑은 '''감국섭정왕'''(監國攝政王)에 임명되었다.[2] 그는 베이징의 중남해(中南海)에 감국섭정왕부를 설치하고, 융유황태후와 함께 어린 푸이를 대신해 섭정을 시작했다.

섭정왕이 된 자이펑의 첫 조치는 선대의 권신 위안스카이(袁世凱)를 축출하는 것이었다. 그는 위안스카이가 광서제를 배신하고 무술 변법을 방해했다는 이유로 그를 처벌하고자 했다. 위안스카이 암살 시도는 실패했지만, 결국 그를 면직시키고 "발 질환 치료"를 핑계로 허난 성 고향으로 돌려보내는 데 성공했다.[5] 그러나 자이펑은 조정 내 만주족 보수파와 한족 중심의 개혁파, 입헌파 사이의 깊어지는 갈등을 효과적으로 중재하지 못했다. 그는 권력에 대한 의지가 약하고 다소 우유부단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청나라 말기의 위기가 고조되면서 자이펑은 개혁을 추진했다. 기존의 군기처를 폐지하고 내각제 도입을 시도했으며, 1916년까지 헌법 제정을 약속하고 1913년 신설 예정이던 의회를 조기에 설치하려 했으나 지식인층의 지지를 얻는 데는 실패했다. 훗날 그는 푸이의 가정교사였던 영국인 레지날드 존스턴에게 당시의 거대한 시대적 흐름을 바꾸기에는 역부족이었음을 토로하기도 했다.[6]

1909년 2월 5일, 자이펑은 황제 푸이를 대신하여 포고령을 내려 중국 역사상 첫 지방 의회 선거를 실시했다. 21개 (省)에서 의원들이 선출되어 10월 14일 의석을 차지했다. 그러나 당선자 대부분은 입헌군주주의자나 급진주의자들이었고, 이들은 의회를 청나라 조정에 반대하는 세력의 중심지로 만들었다. 1910년 10월 3일 베이징에서 소집된 전국 의회 역시 절반이 지방 의회에서 선출된 인물들로 구성되었으며, 이들은 헌법 제정 절차를 가속화하고 진정한 의회를 만들 것을 요구했다. 자이펑은 이에 헌법 제정 완료 시기를 1913년으로 앞당기는 것으로 대응했다.

1910년, 자이펑은 인도에 머물며 돌아오지 않던 제13대 달라이 라마티베트에서 공식 추방하는 명령을 내렸다. 이에 13대 달라이 라마는 즉시 티베트의 독립을 선언했으며, 이는 이후 티베트 문제의 복잡성을 더하는 요인이 되었다. 같은 해 2월, 혁명당원 왕징웨이(汪精衛)와 진벽군(陳璧君) 등이 자이펑 암살을 시도했으나 사전에 발각되어 실패로 돌아갔다(은청교안(銀錠橋案)).

1911년 5월 8일, 기존의 군기처를 대체하는 내각이 출범했다. 그러나 총 13명의 각료 중 만주족 황족이 7명이나 포함되고 한족은 4명에 불과하여, 만주족과 한족에게 동등한 수를 배분하던 오랜 관례를 깨뜨렸다. 이는 입헌주의자들을 크게 실망시켰고, 왕조 초기 이후 그 어느 때보다 만주족 소수에게 권력이 집중되었다는 비판을 받았다. 다음 날인 5월 9일, 자이펑은 주요 철도의 국유화를 선언했다. 이 정책은 철도 건설에 많은 투자를 했던 기업인, 상인, 지주 계층의 격렬한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투자금의 일부만 보상받을 것이라는 소식에 분노한 이들은 철도 보호 운동을 일으키며 공화파 혁명 세력에 가담하게 되었다.

1911년 10월 10일, 우창 봉기가 일어나 신해혁명이 발발했다. 청나라 조정은 혁명을 진압할 유일한 인물로 위안스카이를 다시 불러들일 수밖에 없었다. 위안스카이는 11월 16일 제국 내각의 총리로 임명되었고, 실권을 잃은 자이펑은 12월 6일 융유태후의 압력과 위안스카이의 요구에 따라 섭정왕 자리에서 물러났다. 모든 권력은 위안스카이에게 넘어갔다. 집으로 돌아온 자이펑은 가족들에게 "이제 나는 가족으로 돌아왔고, 마침내 내 아이들을 돌볼 수 있다"고 말하며 안도감을 표했다고 전해진다.

섭정에서 물러난 후 자이펑은 정치에서 손을 뗐다. 1912년 쑨원이 베이징으로 찾아와 그와 면담했을 때, 자이펑은 공식적으로 중화민국 지지를 선언했다. 그는 평화롭게 권력을 내려놓고 공화국으로의 전환을 받아들인 점 때문에 훗날 국민당과 공산당 모두에게 비교적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2. 4. 청 멸망 이후

1911년 그는 정처 여우란 외에 당시 18세이던 측복진 등가씨를 후궁으로 맞이하여 몇 명의 자녀를 더 두었다. 1921년 그의 적처 여우란단강황귀비로부터 아들 푸이의 교육 문제를 이유로 공개적인 질책을 당한 뒤 아편을 먹고 자살했는데, 그녀가 수년간 아편에 중독되었다는 설도 있다. 자이펑은 1928년까지 베이징 북쪽의 저택에 거주하며, 도서관을 방문하여 역사책과 새로 발간된 잡지를 읽는 것으로 대부분의 시간을 보냈다.

1931년 만주사변 이후 아들 푸이일본의 괴뢰 국가인 만주국 수립에 협력했지만, 자이펑은 이를 지지하지 않았다. 푸이가 만주국의 형식상 국가원수인 집정(후일 황제)으로 옹립되자 자이펑은 이를 강하게 반대하며 만주국과 거리를 두었다. 그는 이후에도 베이징시 내의 순친왕부 자택에 머물며 만주국과의 관계를 단절했다. 이러한 입장 덕분에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일본이 패망한 후에도 그는 한간(친일 부역자)으로 몰리지 않았다.

1934년 잠시 만주국을 방문했으나, 몇 달 만에 병을 핑계로 다시 북평으로 돌아왔다.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재정난으로 인해 베이징 시 북쪽에 있던 자신의 관저를 정부에 매각했다. 그는 소장하고 있던 책들과 미술품을 북경대학에 기증했으며, 1950년에는 화이허 범람으로 피해를 입은 이재민들을 위해 구호품을 제공하기도 했다. 여러 해 동안 병을 앓다가 1951년 풍한(風寒)병으로 사망했다.

묘소는 베이징시 서쪽에 있는 푸젠공묘(福田公墓)에 안장되었다.

3. 가족 관계

1902년 독일에서 외교 임무를 마치고 돌아온 자이펑에게 서태후는 조정의 보수적인 인물이자 자신의 충실한 지지자인 룽루의 딸 유란( 瓜爾佳 幼蘭중국어 )과 결혼할 것을 명령했다. 자이펑은 1898년 무술변법을 실패로 돌아가게 하고 광서제를 유폐시키는 데 앞장섰던 룽루를 탐탁지 않게 여겼으나, 서태후의 명령을 거스를 수 없어 유란과 결혼했다. 이들의 결혼 생활은 순탄치 않았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11년 자이펑은 정실 부인 유란 외에 당시 18세였던 등가씨( 鄧佳氏중국어 )를 측실로 맞이하여 여러 자녀를 더 두었다.

1921년 정실 부인 유란은 단강황귀비에게 아들 푸이의 교육 문제 등으로 공개적인 질책을 받은 후 아편을 먹고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그녀가 오랫동안 아편에 중독되어 있었다는 설도 있다.

자이펑은 정실 부인 유란과 측실 부인 등가씨 사이에서 총 4명의 아들과 7명의 딸을 두었다.

'''자녀 목록'''
구분이름원어 이름생몰년비고
정실 유란 ( 瓜爾佳氏중국어 ) 소생장남푸이溥儀중국어1906년 2월 7일 ~ 1967년 10월 17일청나라 마지막 황제 선통제
차남푸제溥傑중국어1907년 4월 16일 ~ 1994년 2월 28일
장녀윈잉韞瑛중국어1909년 ~ 1925년다우르족 고부로( 郭布羅중국어 )씨 룬량( 潤良중국어 )과 결혼
차녀윈허韞和중국어1911년 ~ 2001년정광위안( 鄭廣元중국어 )과 결혼, 슬하 1남 3녀
3녀윈잉韞穎중국어1913년 ~ 1992년다우르족 고부로( 郭布羅중국어 )씨 룬치( 潤麒중국어 )와 결혼, 슬하 2남 1녀
측실 등가씨 ( 鄧佳氏중국어 ) 소생4녀윈셴韞嫻중국어1914년 ~ 2003년하르친( 喀喇沁중국어 ) 조( 趙중국어 )씨 치판( 琪璠중국어 )과 결혼, 슬하 1남 1녀
3남푸치溥倛중국어1916년 10월 14일 ~ 1918년 9월 25일요절
5녀윈신韞馨중국어1917년 ~ 1998년완자시( 萬嘉熙중국어 )와 결혼, 슬하 3남 1녀
4남푸런溥任중국어1918년 9월 21일 ~ 2015년 4월 10일
6녀윈위韞娛중국어1919년 ~ 1982년만주족 왕(完顔)씨 아이란( 愛蘭중국어 )과 결혼, 슬하 1남 4녀
7녀윈환韞歡중국어1921년 9월 11일 ~ 2004년 8월 9일챠오 홍즈( 喬宏志중국어 )와 결혼, 슬하 2남 1녀


4. 평가

광서제에게 협력하며 진보·개혁파 입장에 섰던[8] 자이펑은 1908년 장남 푸이가 선통제로 즉위하자 감국섭정왕에 올라 실권을 잡았다. 그는 과거 광서제를 배신하고 무술 변법을 좌절시킨 위안스카이를 실각시켰다. 기존의 군기처를 폐지하고 내각 제도를 도입하는 등 개혁을 시도했지만, 혁명의 기운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역부족이었다.[8] 결국 1911년 신해 혁명이 발발하자, 륭유 태후의 명에 따라 위안스카이에게 전권을 위임할 수밖에 없었다.[8]

섭정에서 물러난 후 자이펑은 정치에 큰 관심을 보이지 않았고, "오늘부터 집에 가서 아이들을 돌볼 수 있습니다"라고 말했다고 전해진다. 그는 평화롭게 권력을 이양하고 중국의 공화정 전환을 받아들인 태도로 국민당과 이후 공산당 모두에게 존경받는 인물이 되었다. 쑨원은 1912년 9월 베이징에서 그를 직접 방문하여 축하했고, 자이펑은 공식적으로 중화민국 지지를 선언했다.

1931년 만주 사변으로 일본이 괴뢰 국가 만주국을 세우고 아들 푸이를 수장으로 옹립하자, 자이펑은 앞날을 우려하여 이를 반대했다.[8] 푸이가 만주국 황제가 된 후에도 그를 따르지 않고, 주로 베이징 시내의 자택(순친왕부)에 거주하며 만주국과는 끝까지 선을 그었다.[8] 이 때문에 중일 전쟁에서 중국이 승리한 후에도 푸이처럼 한간으로 규탄받는 일은 없었다. 국민혁명군이 일본으로부터 베이징을 회복했을 때, 일본 점령 기간 동안의 그의 태도를 인정하여 베이징 시정부로부터 위로 서한이 전달되었다.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후, 자이펑은 공산당 당원들에게 높은 존경을 받았다. 그는 재정적인 어려움으로 북부 저택을 정부에 매각했다. 또한 소장하던 책들과 미술 소장품을 베이징 대학에 기증했고, 1950년 화이허 강 홍수 피해자들을 위해 구호 물품을 제공했다.

5. 기타

자는 '''보한'''(伯涵|보한중국어) 또는 '''이윈'''(亦雲|이윈중국어)이며, 별호는 '''징윈'''(靜雲|징윈중국어)이다. 만년에는 '''수피'''(書癖|수피중국어)라는 새로운 별호를 사용했다. '''자이징윈'''(載靜雲|자이징윈중국어)이라고도 불렸다.

대청은행에서 발행한 10위안 지폐에는 그의 초상이 사용되기도 했다.

과거 그의 저택이었던 순친왕부는 현재 여러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서쪽 정원(명주화원)은 쑹칭링의 공저가 되었으며, 현재는 "쑹칭링 고거"로 일반에 공개되어 있다.[8] 동쪽 저택 부분은 국가종교사무국이 사용하고 있으며, 마구간과 마장은 베이징시 제2농아학교로 전용되었다. 이 덕분에 청나라 황족의 대규모 저택이 거의 완전한 형태로 남아있는 드문 사례가 되었다.

황제의 생부로서 일시적으로 권력을 잡았지만, 실제로는 정치에 큰 관심이 없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청나라 멸망 후 가족들에게 "이제 집에 가서 아이들을 돌볼 수 있게 되었다"고 말했다는 일화가 전해진다.

참조

[1] 문서 BOXER PROTOCOL PEKING 1901-09-07
[2] 웹사이트 MIT Visualizing Cultures https://visualizingc[...] 2021-05-19
[3] 웹사이트 Liang Cheng, The "Diplomatic Hero" http://history.cultu[...] Shanghai News and Press Bureau 2015-11-22
[4] 서적 Manchus and Han: Ethnic Relations and Political Power in Late Qing and Early Republican China, 1861–1928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5] 서적 Manchus and Han: ethnic relations and political power in late Qing and early Republican China, 1861-1928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00
[6] 서적 Twilight in the Forbidden C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웹사이트 内務府檔冊 https://curiosity.li[...]
[8] 웹사이트 宋慶齢故居 http://japan.visitbe[...] 北京観光 2020-02-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