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자크 르페브르 데타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크 르페브르 데타플은 15-16세기 프랑스의 인문주의자이자 신학자, 성경 번역가였다. 그는 파리 대학교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아리스토텔레스 철학 연구와 보에티우스 저작 편집, 성경 번역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 특히 프랑스어로 된 최초의 성경 완역본을 출판했으며, 종교 개혁에도 영향을 미쳤다. 그는 프랑수아 1세와 나바르의 마르그리트의 보호를 받았지만, 종교적 논쟁과 박해를 겪으며 망명 생활을 하다가 네라크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의 신학자 - 에마뉘엘 레비나스
    에마뉘엘 레비나스는 타자에 대한 윤리를 중심으로 현상학과 유대교 사상에 기반한 철학을 펼친 프랑스의 철학자이자 작가이다.
  • 프랑스의 신학자 - 모세 아미라우트
    모세 아미라우트는 17세기 프랑스 개신교 신학자이자 목사로, '가설적 보편주의' 구원론을 주장하며 칼뱅주의 예정론에 대한 독자적인 해석을 제시했고, 소뮈르 대학교 신학 교수로 활동하며 프랑스 개신교도들의 권리를 옹호했다.
  • 16세기 로마 가톨릭 신학자 - 베드로 가니시오
    베드로 가니시오는 종교 개혁 시기 가톨릭 신앙을 옹호하고 독일 가톨릭 재건에 헌신하여 '독일의 두 번째 사도'로 불리는 예수회 사제이자 신학자로서, 가톨릭 교리서 집필과 헌신으로 복자 선포 후 성인이자 교회 학자로 선언되었다.
  • 16세기 로마 가톨릭 신학자 - 요한 폰 스타우피츠
    요한 폰 스타우피츠는 1460년경에 태어나 1520년에 사망한 독일 아우구스티누스 수도사이자 신학자로, 종교 개혁의 선구자 중 한 명이며, 마르틴 루터에게 영향을 주었고 예정, 믿음, 사랑을 주요 신학적 주제로 다루었으나, 후에 루터의 급진적인 주장에 동의하지 않아 결별했고 그의 저술은 금서 목록에 등재되었으며 루터교 전례력에서 기념된다.
  • 1450년대 출생 - 하인리히 이자크
    하인리히 이자크는 15세기 후반~16세기 초 플랑드르 악파 작곡가로, 막시밀리안 1세 궁정 작곡가로서 미사, 모테트, 세속 가곡 등 다양한 작품을 남겼으며, 특히 《콘스탄티누스 합창곡》은 그의 대표작이자 독일어권에 네덜란드 다성 음악 양식을 전파하는 데 기여했다.
  • 1450년대 출생 - 소피아 팔레올로기나
    소피아 팔레올로기나는 모레아 전제군주국의 공주로, 러시아의 이반 3세와 결혼하여 모스크바 대공비가 되었고, 남편의 정치에 영향력을 행사하며 비잔틴 제국의 문화를 러시아에 도입하고 몽골에 대한 조공을 중단시키는 데 기여했다.
자크 르페브르 데타플
기본 정보
자크 르페브르 데타플의 초상화
자크 르페브르 데타플의 초상화
출생1455년경, 에타플
사망1536년, 네락
국적프랑스
학문 분야
관심 분야신학, 인문주의
영향에라스뮈스, 마르틴 루터, 기욤 브리송네
영향받음니콜라우스 쿠사누스, 요한네스 뤼디
주요 업적
업적성경 번역
교부 철학 연구
인문주의 신학 발전
종교적 견해
종교기독교 (로마 가톨릭교회)
참고
관련 인물마르그리트 드 나바르

2. 생애

자크 르페브르 데타플은 피카르디에타플에서 태어나 파리 대학교에서 고등 교육을 받기 전 이미 사제로 서품되었다. 스파르타의 헤르모니무스에게서 그리스어를 배웠다.[2]

1486년 이전에 이탈리아를 방문하여 요안네스 아르기로풀로스의 강의를 들었고, 베로나의 파울루스 에밀리우스와 친분을 쌓았다. 1492년 다시 이탈리아로 가 피렌체, 로마, 베네치아에서 공부하며 아리스토텔레스 저작에 익숙해졌지만, 플라톤 철학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2]

파리 대학교로 돌아온 후 카르디날 레모인 대학의 학장이 되었으며, 베아투스 레나누스,[2] 프랑수아 바타블, 샤를 드 보벨, 기욤 파렐 등을 가르쳤다. 파렐은 르페브르와 함께 모에서 설교자 양성을 도왔고, 이후 스위스로 가 개혁 교회의 창립자 중 한 명이 되었다.

1507년, 르페브르는 파리 근처 베네딕토회 생 제르맹 데 프레 수도원에 거주하며 성경 연구에 몰두했다. 1509년에는 "Quintuplex Psalterium"을 출판했는데, "Conciliatum"은 그의 독자적인 번역이었다. 1512년에는 "S. Pauli Epistolae xiv"를 출판했다.[2]

1517년, 그의 저서 ''De Maria Magdalena et triduo Christi disceptatio''는 라자로의 누이 마리아, 막달레나 마리아, 예수의 발에 향유를 부은 여인이 서로 다른 인물이라고 주장하여 논쟁을 일으켰고, 1521년 소르본 대학과 성 요한 피셔에 의해 비난받았다.[3][4]

1520년, 모로 이주한 그는 1523년 브리소네 주교의 총대리로 임명되었고, 신약성경의 프랑스어 번역본을 출판했다. 이 번역본은 루터의 독일어 번역본과 동시대에 이루어졌으며, 이후 프랑스어 번역의 기초가 되었다. 그는 성경이 교리의 유일한 규칙이며, 칭의는 오직 믿음으로만 가능하다는 견해를 밝혔다.

르페브르의 신약성경 프랑스어 번역본은 불태워지도록 명령되었고, 그는 망명해야 했다.[5] 프랑수아 1세와 나바르의 마르그리트가 그를 보호했다. 1525년 파비아 전투에서 프랑수아 1세가 포로로 잡히자, 르페브르는 의회에 의해 비난받았지만, 왕이 돌아오면서 조치는 무효가 되었다. 1526년, 블루아의 왕립 사서로 임명되었다.[6]

1531년, 나바르의 여왕 마르그리트는 르페브르가 네라크로 피신하도록 도왔다.[6] 1533년 프랑스를 탈출하던 장 칼뱅이 그를 방문했다고 전해진다.[6] 그는 1536년경 네라크에서 사망했다.[6]

2. 1. 초기 생애와 교육

피카르디 에타플에서 태어나, 파리 대학교에서 고등 교육을 받기 전 이미 사제로 서품되었다. 스파르타의 헤르모니무스에게서 그리스어를 배웠다.[2]

1486년 이전에 이탈리아를 방문하여 요안네스 아르기로풀로스의 강의를 들었고, 베로나의 파울루스 에밀리우스와 친분을 쌓았다. 1492년 다시 이탈리아로 가 피렌체, 로마, 베네치아에서 공부하며 아리스토텔레스 저작에 익숙해졌지만, 플라톤 철학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2] 파리 대학교로 돌아온 후에는 카르디날 르무안 대학 학장이 되었다.[2] 그의 제자로는 베아투스 레나누스,[2] 프랑수아 바타블, 샤를 드 보벨, 기욤 파렐 등이 있었다.[2]

2. 2. 파리 대학교 교수 활동

그는 고등 교육을 위해 파리 대학교에 입학했을 때 이미 사제로 서품을 받았다. 스파르타의 헤르모니무스는 그의 그리스어 스승이었다.[2] 1492년 파리 대학교로 돌아온 그는 카르디날 레모인 대학의 학장이 되었다.[2] 그의 유명한 제자로는 베아투스 레나누스,[2] 프랑수아 바타블, 샤를 드 보벨, 기욤 파렐 등이 있었으며, 기욤 파렐과의 관계는 그를 개혁 운동의 칼뱅주의 측면에 더 가깝게 만들었다.[2] 파렐은 설교자 양성을 돕기 위해 에서 르페브르와 합류했고, 이후 스위스로 떠나 개혁 교회의 창립자 중 한 명이 되었다.

1507년 그는 파리 근처의 베네딕토회 생 제르맹 데 프레 수도원에 거주하게 되었는데, 이는 브리소네 가문(그중 한 명이 원장이었음)과의 관계, 특히 생말로 주교의 추기경인 기욤 브리소네와 그의 아들 모 주교가 된 기욤 브리소네와의 관계 때문이었다. 그는 이제 성경 연구에 몰두하기 시작했고, 그 첫 결실은 그의 "Quintuplex Psalterium: Gallicum, Romanum, Hebraicum, Vetus, Conciliatum"(1509)이었다. "Conciliatum"은 그의 독자적인 번역본이었다. 이어서 "S. Pauli Epistolae xiv. ex vulgata editione, adjecta intelligentia ex Graeco cum commentariis"(1512)가 출판되었는데, 이는 매우 독립적이고 판단력이 뛰어난 작품이었다.[2]

1517년 그의 저서 ''De Maria Magdalena et triduo Christi disceptatio''는 라자로의 누이 마리아, 막달레나 마리아, 그리고 예수의 발에 향유를 부은 여인이 서로 다른 인물이라고 주장하여 격렬한 논쟁을 불러일으켰고, 1521년 소르본 대학과 성 요한 피셔에 의해 비난받았다.[3][4]

2. 3. 성경 연구와 종교 개혁

피카르디에타플에서 태어난 그는 파리 대학교에서 고등 교육을 받기 전 이미 사제로 서품을 받았다. 1507년 파리 근처 베네딕토회 생 제르맹 데 프레 수도원에 거주하며 성경 연구에 몰두하기 시작했다.[2]

그의 첫 성경 연구 결과물은 "Quintuplex Psalterium: Gallicum, Romanum, Hebraicum, Vetus, Conciliatum"(1509)이었는데, "Conciliatum"은 그의 독자적인 번역본이었다. 이어서 "S. Pauli Epistolae xiv. ex vulgata editione, adjecta intelligentia ex Graeco cum commentariis"(1512)를 출판했는데, 이는 매우 독립적이고 판단력이 뛰어난 작품이었다.[3]

1517년, 그의 저서 ''De Maria Magdalena et triduo Christi disceptatio''는 라자로의 누이 마리아, 막달레나 마리아, 예수의 발에 향유를 부은 여인이 서로 다른 인물이라고 주장하여 격렬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이 책은 1521년 소르본 대학과 성 요한 피셔에 의해 비난받았다.[3][4]

1520년 파리를 떠나 로 이주하여 1523년 5월 1일 브리소네 주교의 총대리로 임명되었고, 그해 말에 신약성경의 프랑스어 번역본을 출판했다. 이 번역본은 루터의 독일어 번역본과 동시대에 이루어졌으며, 이후 프랑스어로의 모든 번역본의 기초가 되었다. 같은 해 그는 복음서와 서신의 번역본을 "a l'usage du diocese de Meaux"에서 발췌했다. 이 두 책의 서문과 주석은 성경이 교리의 유일한 규칙이며, 칭의는 오직 믿음으로만 가능하다는 견해를 나타냈다.[5]

그의 신약성경 프랑스어 번역본은 모든 사본이 불태워지도록 명령되었고, 그는 망명해야 했다.[5]

많은 적대감에도 불구하고 그는 프랑수아 1세와 그의 누이 나바르의 마르그리트의 보호를 받았다. 1525년 파비아 전투에서 프랑수아 1세가 포로로 잡히자, 르페브르는 의회의 위원회에 의해 비난받고 그의 저서는 압수되었지만, 프랑수아 1세가 돌아오면서 이러한 조치는 무효가 되었다. 그는 1525년에 "르 프살티에 드 다비드(Le Psautier de David)"를 출판했고, 1526년에는 블루아의 왕립 사서로 임명되었으며, 2년 후 오경의 번역본이 출판되었다. 1530년 그의 완전한 성경 번역본은 예로니모의 불가타를 기반으로 했으며, 그의 신약성경 번역본과 동일한 위치를 차지했다. 1534년 안트베르펜에서 메르텐 드 케이저가 출판하고, 히브리어와 그리스어 텍스트를 기반으로 한 개정판이 인쇄되었다.[6]

2. 4. 모 주교좌에서의 활동과 망명

1507년, 르페브르는 파리 근처 베네딕토회 생 제르맹 데 프레 수도원에 거주했는데, 이는 생말로 주교 추기경 기욤 브리소네와 그의 아들 모 주교 기욤 브리소네와의 관계 덕분이었다.[2] 그는 성경 연구에 몰두하여 1509년에 "Quintuplex Psalterium: Gallicum, Romanum, Hebraicum, Vetus, Conciliatum"을 출판했는데, "Conciliatum"은 그의 독자적인 번역이었다. 1512년에는 "S. Pauli Epistolae xiv. ex vulgata editione, adjecta intelligentia ex Graeco cum commentariis"를 출판했는데, 이는 매우 독립적이고 판단력이 뛰어난 작품이었다.

1517년, 그의 저서 ''De Maria Magdalena et triduo Christi disceptatio''는 라자로의 누이 마리아, 막달레나 마리아, 예수의 발에 향유를 부은 여인이 서로 다른 인물이라고 주장하여 격렬한 논쟁을 불러일으켰고, 1521년 소르본 대학과 성 요한 피셔에 의해 비난받았다.[3][4] 1520년, 파리를 떠나 모로 이주한 그는 1523년 5월 1일 브리소네 주교의 총대리로 임명되었고, 그해 말 신약성경의 프랑스어 번역본을 출판했다. 이 번역본은 루터의 독일어 번역본과 동시대에 이루어졌으며, 이후 프랑스어 번역의 기초가 되었다. 같은 해 그는 복음서와 서신의 번역본을 "a l'usage du diocese de Meaux"에서 발췌했다. 이 두 책의 서문과 주석은 성경이 교리의 유일한 규칙이며, 칭의는 오직 믿음으로만 가능하다는 견해를 나타냈다.

르페브르가 신약성경을 프랑스어로 번역한 후 모든 사본이 불태워지도록 명령되자, 그는 망명했다.[5] 그는 프랑수아 1세와 그의 누이 나바르의 마르그리트의 보호를 받았다. 1525년 파비아 전투에서 프랑수아 1세가 포로로 잡히자, 르페브르는 의회에 의해 비난받고 그의 저서는 압수되었지만, 프랑수아 1세가 돌아오면서 이러한 조치는 무효가 되었다.

2. 5. 프랑수아 1세의 보호와 네라크 망명

프랑수아 1세와 그의 누이 나바르의 마르그리트는 르페브르를 보호했다.[5] 1525년 2월 25일 파비아 전투에서 프랑수아 1세가 포로로 잡히자, 르페브르는 의회의 위원회에 의해 비난받고 그의 저서는 압수되었지만, 몇 달 후 프랑수아 1세가 돌아오면서 이러한 조치는 무효가 되었다.[6] 그는 1526년 블루아의 왕립 사서로 임명되었다.[6]

나바르의 여왕이 된 마르그리트는 1531년에 르페브르가 박해를 피해 네라크로 피신하도록 이끌었다.[6] 1533년 프랑스를 탈출하던 장 칼뱅이 그를 방문했다고 전해진다.[6] 그는 1536년경 네라크에서 사망했다.[6]

3. 작품

르페브르는 성경 번역뿐만 아니라 철학, 신학, 수학, 음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저술을 남겼다. 그의 작품들은 당대 지식인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일부는 논쟁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분야제목출판 정보비고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 철학 전체의 의역(Paraphrases of the Whole of Aristotle's Natural Philosophy)[요하네스 히그만:] 파리, 1492[13]
아리스토텔레스 철학형이상학 입문(Introduction to the Metaphysics)1494
아리스토텔레스 철학니코마코스 윤리학 입문(Introduction to the Nicomachean Ethics)1494
아리스토텔레스 철학논리학 입문(Logical Introductions)1496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정치학(Politics)1506
보에티우스산수학에 관하여(De Arithmetica)파리: 요하네스 히그만과 볼프강 호필, 1496년 7월 22일보에티우스 저서, 비평 주석 포함
성경 번역오중 시편집; 갈리아어, 로마어, 히브리어, 고어, 조정된 시편집(Psalterium quintuplexla)앙리 에티엔, 1509년 및 1515년주석 포함
성경 번역성 바울에 대한 해설, 새로운 라틴어 번역과 함께(Commentaires sur saint Paulla)파리, 1512년 및 1531년에라스뮈스, 기욤 뷔데 비판
성경 번역복음서에 대한 해설(Commentaires sur les Évangilesla)뫼, 1525년신디크 베다 비판
성경 번역교회 서신에 대한 해설(Commentaires sur les épîtres canoniquesla)뫼, 1525년교황 클레멘스 8세 치하 로마 종교 재판소 금서 지정
성경 번역신약성경 프랑스어 번역(Traduction française du Nouveau Testamentla)파리, 콜린스, 1523년불가타 성경 기반, 앤트워프 판, 루뱅 학자 수정판 존재
성경 번역프랑스어로 된 복음서 및 주일 서신에 대한 권고(Exhortations en français프랑스어)뫼, 1525년의회 비난
음악 이론음악은 4권의 책으로 증명된다(Musica libris demonstrata quattuorla)파리: 요하네스 히그만과 볼프강 호필, 1496년 7월 22일[14]조르다누스 네모라리우스, 보에티우스 저서와 함께 출판
기타산수는 10권의 책으로 증명된다(Arithmetica decem libris demonstratala)파리: 요하네스 히그만과 볼프강 호필, 1496년 7월 22일조르다누스 네모라리우스 저서 주석 및 증명
기타요한 다마세누스의 정통 신앙에 관한 책의 라틴어 번역최초 번역
기타마리아 막달레나에 관하여(De Maria Magdalenala)1517년1519년 세 명의 막달레나와 한 명의 막달레나에 관하여(De tribus et unica Magdalenala) 출간
기타리트미마키에 루두스, 또는 숫자 싸움이라고도 불리는 게임(Rithmimachie ludusla)파리, 앙리 에티엔, 1514년피타고라스 게임 소개, 클로드 드 부아시에르 (수학자) 설명 참고
기타니콜라우스 쿠자누스오페라 옴니아(Opera omniala)파리, 1514[15]



''Introductorium astronomicum'', 1517년 첫 페이지

3. 1. 아리스토텔레스 저작 주석

르페브르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 저작에 대한 주석 작업을 활발히 진행했다. 1492년에는 《아리스토텔레스 자연 철학 전체의 의역》을 출판했고[13], 1494년에는 《형이상학 입문》과 《니코마코스 윤리학 입문》을, 1496년에는 《논리학 입문》을, 1506년에는 《정치학》을 출간했다. 그의 아리스토텔레스 저작 주석은 중세 시대 아리스토텔레스 철학 연구에 중요한 기여를 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3. 2. 보에티우스 저작 편집

보에티우스의 ''산수학에 관하여''(De Arithmetica)를 출판하면서 비평적 주석을 덧붙였다. 이 책은 1496년 7월 22일 파리에서 요하네스 히그만과 볼프강 호필이 출판했다.[13]

3. 3. 성경 번역

그는 성경 번역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1528년에 구약성경 번역을 완료했으며, 그의 초기 작품인 시편과 바울 서신의 프랑스어 번역으로 명성을 얻었다. 1530년에 출판된 그의 성경 전서프랑스어로 번역된 최초의 완역본이었다.[13]

  • ''오중 시편집; 갈리아어, 로마어, 히브리어, 고어, 조정된 시편집''(Psalterium quintuplex ; gallicum, romanum, hebraicum, vêtus, conciliatum), 1509년 및 1515년, 앙리 에티엔 출판, 주석 포함.
  • ''성 바울에 대한 해설, 새로운 라틴어 번역과 함께''(Commentaires sur saint Paul, avec une nouvelle traduction latine), 파리, 1512년 및 1531년. 에라스무스는 문법 부분에 대해, 기욤 뷔데는 신학 부분에 대해 비판했지만, 비평 면에서 진전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그 가치를 인정받아 연구되었다.
  • ''복음서에 대한 해설''(Commentaires sur les Évangiles), 뫼, 1525년. 그의 교리는 혁신가들이 논쟁하는 지점에 대해 매우 정통적으로 보였지만, 신디크 베다는 이와 관련한 오류를 지적하며 그를 비판했다.
  • ''교회 서신에 대한 해설''(Commentaires sur les épîtres canoniques), 뫼, 1525년. 신약성경에 대한 그의 모든 주석은 교황 클레멘스 8세 치하의 로마 종교 재판소에 의해 금서 목록에 올랐다. 그는 고대의 야만성에서 벗어났다.
  • ''신약성경 프랑스어 번역''(Traduction française du Nouveau Testament), 파리, 콜린스, 1523년, 5권 8보, 익명, 매우 희귀하며, 특히 마지막 권이 그렇다. 이 번역은 신자들을 위해 불가타 성경을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이후 그의 완전한 성경 번역본인 앤트워프 판(fol.)에 다시 등장했으며, 이후 1529년과 1532년(4권 4보), 1528년(4권 8보) 판으로 출판되었다. 루뱅 학자들이 수정한 판은 가장 정확하지만, 1511년 판처럼 금지되었기 때문에 가장 희귀하다. 뫼의 코르들리에회는 그의 번역을 이유로 르페브르를 공격했지만, 앤트워프의 코르들리에회는 1528년에 인쇄 및 판매를 승인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사실 그들은 파리의 학자들을 가장 불쾌하게 만든 ''권고 서신''(l'Épître exhortatoire)을 그들의 판본에 포함시키지 않았다.
  • ''프랑스어로 된 복음서 및 주일 서신에 대한 권고''(Exhortations en français sur les évangiles et les épîtres des dimanches), 뫼, 1525년, 의회에 의해 비난받음.

3. 4. 음악 이론

Musica libris demonstrata quattuorla(음악은 4권의 책으로 증명된다)는 조르다누스 네모라리우스의 Arithmetica decem libris demonstratala(산수는 10권의 책으로 증명된다)와 보에티우스의 De Arithmeticala(산수학에 관하여)와 함께 출판되었다. 1496년 7월 22일 파리에서 요하네스 히그만과 볼프강 호필이 출판했다.[14]

3. 5. 기타 저작

르페브르는 성경 번역 외에도 다양한 분야에 걸쳐 저술 활동을 했다.

  • '''음악 이론:''' 조르다누스 네모라리우스의 ''산수는 10권의 책으로 증명된다''(Arithmetica decem libris demonstrata)와 보에티우스의 ''산수학에 관하여''(De Arithmetica)와 함께 ''음악은 4권의 책으로 증명된다''(Musica libris demonstrata quattuor)를 출판했다. (파리: 요하네스 히그만과 볼프강 호필, 1496년 7월 22일)[14]
  • '''기타:'''
  • 조르다누스 네모라리우스의 ''산수의 기술의 원리''(De elementis arithmetice artis)에 대한 주석과 증명을 담은 ''산수는 10권의 책으로 증명된다''(Arithmetica decem libris demonstrata)를 ''음악은 4권의 책으로 증명된다''와 보에티우스의 ''산수학에 관하여''와 함께 출판했다. (파리: 요하네스 히그만과 볼프강 호필, 1496년 7월 22일)
  • 요한 다마세누스의 ''정통 신앙에 관한 책''을 최초로 라틴어로 번역했다.
  • ''마리아 막달레나에 관하여''(De Maria Magdalena, 1517)를 출간하고, 1519년에는 ''세 명의 막달레나와 한 명의 막달레나에 관하여''(De tribus et unica Magdalena)를 통해 이전 저작의 내용을 일부 수정했다.
  • ''리트미마키에 루두스, 또는 숫자 싸움이라고도 불리는 게임''(Rithmimachie ludus, qui et pugna numerorum appellatur, 파리, 앙리 에티엔, 1514)이라는 5페이지 분량의 소책자를 통해 고대 피타고라스 게임을 소개했다. 하지만 클로드 드 부아시에르 (수학자)의 설명을 참고해야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내용이 간략하다.
  • 니콜라우스 쿠자누스의 ''오페라 옴니아''(Opera omnia)를 편집하여 출판했다. (파리, 1514)[15]


4. 르페브르와 한국의 종교 개혁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참조

[1] 서적 The Reformation theologians: an introduction to theology in the early modern period https://books.google[...] Blackwell Publishing 2002
[2] 서적 Rhenanus, Beatus. Epistulae Beati Rhenani. La Correspondance latine et grecque de Beatus Rhenanus de Sélestat. Édition critique raisonnée, avec traduction et commentaire. Vol. 1 (1506–1517). Brepols
[3] 백과사전 Jacques Lefèvre d'Etaples
[4] 서적 The Making of the Magdalen: Preaching and Popular Devotion in the Later Middle Ag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1
[5] 웹사이트 Jacques Lefèvre d'Etaples (1450–1537) https://museeprotest[...] 2022-02-19
[6] 서적 Tyndale's Testament Brepols 2002
[7] 문서 Iacobi Fabri Stapulen̄: Philosophie Paraphrases ad grauissimū patrē: Ambrosiū de Cambray, etc.
[8] 문서 Lesure Volume 1 p. 492
[9] 서적 The Prefatory Epistles of Jacques Lefévre D'Etaples and Related Texts Columbia University Press 1972
[10] 서적 앙드레 모루아의 프랑스사 김영사
[11] 웹사이트 http://www.doopedia.[...]
[12] 문서 Chapter 1, p. 19 ff, of Lindberg, Carter.
[13] 문서 Iacobi Fabri Stapulen̄: Philosophie Paraphrases ad grauissimū patrē: Ambrosiū de Cambray, etc.
[14] 문서 Lesure Volume 1 p.492
[15] 서적 The Prefatory Epistles of Jacques Lefévre D'Etaples and Related Texts Columbia University Press 197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