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드로 가니시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드로 가니시오는 1521년 오늘날 네덜란드에 해당하는 지역에서 태어난 예수회 사제이자, 신학자이다. 그는 독일에서 가톨릭 신앙을 부흥시키고 종교 개혁에 대응하는 데 헌신하여 '독일의 두 번째 사도'로 불렸다. 그는 1543년 예수회에 입회하여 사제로 서품받았으며, 설교와 저술 활동을 통해 가톨릭 교리를 옹호했다. 그는 독일어 교리문답서를 저술하여 가톨릭 신앙을 널리 알렸으며, 신성 로마 제국 황제에게 프로테스탄트교도에게 더 많은 권한을 양보하는 것을 경고하기도 했다. 가니시오는 트리엔트 공의회에 참석하여 가톨릭 교회의 입장을 옹호했으며, 마리아 숭배를 강조했다. 그는 1925년 성인으로 시성되었으며, 교육 기관 설립에도 기여하여 그의 이름을 딴 학교들이 설립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교황 비오 9세가 시복한 복자 - 일본 26위 성인
1597년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기독교 박해로 나가사키에서 십자가형을 받은 26명의 가톨릭 신자들은 프란치스코회와 예수회 선교사, 일본인과 외국인 신자들로 구성되었으며, 후에 성인으로 시성되어 일본 내 기독교 박해와 쇄국 정책의 배경이 되었다. - 네덜란드의 로마 가톨릭 성인 - 윌리브로드
윌리브로드는 7세기 후반에서 8세기 초반에 활동하며 프리슬란트 지역에서 기독교를 전파하고 위트레흐트의 초대 주교가 된 잉글랜드 출신의 선교사이자 성인으로, 위트레흐트 대성당 건립과 에히터나흐 수도원 창설 등 선교 활동의 기반을 마련했으며 가톨릭교회에서 11월 7일에 기념하고 헌팅턴병과 경련성 질환의 수호 성인으로 공경받는다. - 네덜란드의 로마 가톨릭 성인 - 크산텐의 노르베르토
크산텐의 노르베르토는 독일 크산텐 출신으로 낙마 후 금욕적인 삶을 살며 사회 개혁을 주창하고 프레몽트레회를 창설하여 수도원 개혁 운동을 이끌었으며 마그데부르크 대주교를 역임한 후 시성되어 프레몽트레회와 세인트 노르베르트 칼리지에 영향을 주었다. - 16세기 로마 가톨릭 신학자 - 자크 르페브르 데타플
자크 르페브르 데타플은 15-16세기 프랑스의 인문주의자, 신학자, 성경 번역가로, 프랑스어 성경 완역본을 출판하고 종교 개혁에 영향을 미쳤다. - 16세기 로마 가톨릭 신학자 - 요한 폰 스타우피츠
요한 폰 스타우피츠는 1460년경에 태어나 1520년에 사망한 독일 아우구스티누스 수도사이자 신학자로, 종교 개혁의 선구자 중 한 명이며, 마르틴 루터에게 영향을 주었고 예정, 믿음, 사랑을 주요 신학적 주제로 다루었으나, 후에 루터의 급진적인 주장에 동의하지 않아 결별했고 그의 저술은 금서 목록에 등재되었으며 루터교 전례력에서 기념된다.
베드로 가니시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존칭 접두사 | 성 |
이름 | 베드로 가니시오 |
존칭 접미사 | SJ |
출생일 | 1521년 5월 8일 |
사망일 | 1597년 12월 21일 (향년 76세) |
축일 | 12월 21일; 4월 27일 (1926–1969 일반 로마력; 현재 SJ 달력) |
공경 대상 | 가톨릭교회 |
출생지 | 네이메헌, 겔데른 공국, 합스부르크 네덜란드 |
사망지 | 프리부르, 스위스 |
칭호 | 교회학자 독일 제2의 사도 |
시복일 | 1864년 |
시복 장소 | 로마 |
시복자 | 교황 비오 9세 |
시성일 | 1925년 5월 21일 |
시성 장소 | 로마 |
시성자 | 교황 비오 11세 |
수호 성인 | 가톨릭 언론, 독일 |
주요 성지 | 성 미카엘 대학 프리부르, 스위스 |
![]() | |
생애 | |
국적 | 네덜란드 |
직업 | 가톨릭 사제 신학자 교사 |
활동 | |
주요 활동 | 반종교개혁 |
소속 수도회 | 예수회 |
2. 생애
베드로 가니시오는 설교와 저술을 통해 당대 가장 영향력 있는 가톨릭 신자 가운데 한 사람이었다. 그는 자원이 거의 없는 상황에서도 독일에 여러 예수회 대학을 설립하고, 대학 강단을 순회하면서 강의하고 설교하였다. 30년 동안 도보나 말을 타고 2만 마일 이상을 여행하면서 전국을 돌아다니며 개신교에 맞서 가톨릭 신앙을 부흥시켰다. 이러한 공헌으로 '독일의 두 번째 사도'라고 불린다.
1549년 교황 바오로 3세는 가니시오를 독일에 파견하여 종교 개혁자들로부터 가톨릭 교회를 보호하도록 명하였다. 그는 독일에서 설교, 강의, 출판 등을 통해 오랫동안 교회에서 떨어져 있던 사람들이 다시 교회로 돌아올 수 있도록 힘썼다. 특히 1555년에 독일어권 국가 사람들을 위해 가톨릭 교회의 기본 교리를 독일어로 쉽게 풀어 쓴 『그리스도교 교리대전(German Catechism)』을 집필하여 큰 인기를 얻었으며, 이 책은 즉시 15개의 언어로 번역되었다. 1558년에는 세계적으로 유명해진 『소 교리문답집』을 출판하였다.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 페르디난트 1세에게도 큰 영향을 끼쳤다. 그는 페르디난트 1세에게 군사 지원을 얻는 대가로 프로테스탄트교도들에게 더 많은 권리를 양보하는 것은 장차 큰 화를 불러올 것이라고 경고하였다.
1590년 독일을 떠날 무렵, 예수회는 독일에서 거의 빈손으로 시작했다가 가톨릭 개혁의 강력한 도구로 크게 성장하였다. 가니시오는 칼뱅파가 득세한 스위스의 프리부르에서 선교사로서 여생을 보내면서 수년 후에는 그곳 시민 대부분을 개종시키는 데 성공했다. 그는 프리부르에 생 미셸 대학이라는 이름의 예수회 소학교를 설립하였다.
1591년 70세의 나이에 뇌졸중을 겪어 부분적인 마비가 왔지만, 프리부르에서 사망할 때까지 비서를 통해 설교하고 글을 쓰는 것을 계속했다.[9]
2. 1. 초기 생애와 교육
베드로 가니시오는 1521년 신성 로마 제국 겔더스 공국(현재의 네덜란드 네이메헌)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야콥 카니스는 네이메헌에서 아홉 번이나 시장을 역임한 부유한 귀족이었다.[2] 어머니 아기디아 반 호우에닝겐은 베드로가 태어난 직후 사망했다.
어려서부터 학문에 재능을 보인 그는 쾰른 대학교에서 법학을 공부하여 1540년 19세의 나이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2] 쾰른 대학교에서 예수회 창립자 중 한 명인 베드로 파브르를 만나 큰 감화를 받고 신학으로 전향하였다. 1543년 예수회에 입회하여 최초의 네덜란드인 예수회원이 되었고, 1546년에는 사제로 서품받았다. 그는 가난한 이들에게 재산을 나눠주고 사제가 되었으며, 여덟 번째 예수회 회원이자 최초의 네덜란드인 예수회 사제였다. 공교롭게도 그가 서품받은 날은 그의 생일이었다.[3]
2. 2. 예수회 사제로서의 활동
베드로 가니시오는 1543년 예수회에 입회하여 1546년에 사제 서품을 받았다. 그는 최초의 네덜란드인 예수회 사제였다.[2] 그는 설교와 저술을 통해 가톨릭 신앙을 전파하는 데 힘썼다. 특히 독일 지역에서 예수회 대학을 설립하고 운영하며 가톨릭 교회 재건에 큰 영향을 주었다.[2]가니시오는 30년 동안 도보나 말을 이용하여 2만 마일 이상을 여행하며 개신교에 맞서 가톨릭 신앙을 부흥시켰다. 이러한 노력으로 그는 '독일의 두 번째 사도'로 불리기도 한다.[2]
1549년, 교황 바오로 3세는 가니시오를 독일에 파견하여 종교 개혁에 맞서 가톨릭 교회를 보호하도록 하였다. 그는 독일에서 설교, 강의, 출판 등을 통해 가톨릭 신앙을 전파하였다. 1555년에는 독일어권 사람들을 위해 독일어로 된 교리문답서인 『그리스도교 교리대전(German Catechism)』을 집필하여 큰 인기를 얻었으며, 이 책은 15개 언어로 번역되었다.[2] 1558년에는 『소 교리문답집』을 출판하였다.
그는 1554년 빈 교구장 주교직을 제의받았으나, 이를 거절하고 11년 동안 빈 교구의 관리자직을 맡았다. 1556년에는 프라하로 파견되어 대학교 설립을 위해 일했으며, 남부 독일, 보헤미아, 오스트리아로 구성된 새 관구의 순회 관구장으로 임명되었다. 1559년부터 1568년까지 아우크스부르크 주교좌 대성당의 주요 설교자로 활동하며 복음을 전파하였다. 그의 설교는 많은 개신교 신자들을 가톨릭 신앙으로 돌아오게 할 정도로 설득력이 있었다고 전해진다.[4]
가니시오는 트리엔트 공의회에 참석하여 가톨릭교회의 입장을 옹호했으며, 대학에서 교편을 잡으면서 신앙에 관한 저서를 집필, 출판했다. 특히 『가톨릭 소교리 문답』은 15개 국어로 출판되었다.[27]
2. 3. 종교 개혁에 대한 대응
베드로 가니시오는 트리엔트 공의회에 여러 차례 참석하여 가톨릭 교회의 입장을 옹호했다.[4] 그는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 페르디난트 1세에게 큰 영향을 끼쳤다. 페르디난트 1세에게 군사 지원을 얻는 대가로 프로테스탄트교도들에게 더 많은 권리를 양보하는 것은 장차 큰 화를 불러올 것이라고 경고하였다.[2] 베드로 가니시오는 페르디난트 황제의 장자이자 공개적으로 프로테스탄트 신봉자임을 천명한 막시밀리안에게서 실제적인 위험을 감지하고, 페르디난트 황제에게 막시밀리안이 가톨릭 신앙을 저버린다면 그의 왕위 계승권을 박탈하겠다는 으름장을 놓을 것을 종용하였다. 특히 막시밀리안이 기혼 사제인 파우저를 궁정 설교자로 임명하자, 가니시오는 페르디난트 1세에게 경고하고 파우저를 공개적으로 반대했다. 결국 막시밀리안은 파우저를 해고해야 했고, 이 일로 인해 평생 가니시오에게 원한을 품었다.[2]1554년 빈 교구장 주교직을 제의받았지만, 여러 곳을 돌아다니며 가르치는 일을 계속하기 위해서 거절하였다. 대신에 그는 새로운 주교가 임명되기 전까지 1년 동안 빈 교구의 관리자직을 맡았다.[4]
2. 4. 후기 활동과 죽음
베드로 가니시오는 1559년부터 1568년까지 아우크스부르크 주교좌 대성당의 주요 설교자로 봉사하며 매주 세 번 또는 네 번 그의 신앙을 강력하게 증언했다. 그의 강론은 설득력이 대단하여 수백 명의 개신교 신자들이 가톨릭 신앙으로 돌아왔다고 전해진다.[4]1591년, 70세의 나이에 뇌졸중을 겪어 부분적인 마비가 왔지만, 그는 프리부르에서 사망할 때까지 비서를 통해 설교하고 글을 쓰는 것을 계속했다.[9] 그는 칼뱅파가 득세한 스위스의 프리부르에서 선교사로서 여생을 보내면서 수년 후에는 그곳 시민 대부분을 개종시키는 데 성공했다. 그리고 그는 프리부르에 생 미셸 대학이라는 이름의 예수회 소학교를 설립하였다. 성 미셸 소학교는 젊은이들로 하여금 장래의 대학 진학을 대비하기 위한 교육을 목적으로 세운 학교로, 오늘날까지 주 행정부 관리 아래 남녀 공용 대학교육 준비기관으로 명맥을 이어나가고 있다.[6]
1597년 12월 21일, 부임지인 스위스 프리부르에서 사망했다. 그는 처음에 프리부르 대성당 성 니콜라스 교회에 묻혔다. 그의 유해는 나중에 그가 설립했고, 그의 생애 마지막 해를 보낸 생 미셸 대학의 교회로 옮겨져 교회의 주 제단 앞에 안치되었다. 마지막 몇 달 동안 그가 사용했던 방은 현재 신자들이 경배할 수 있는 예배당으로 사용되고 있다.[10]
3. 베드로 가니시오의 사목 전략
베드로 가니시오는 프로테스탄티즘에 맞서 가톨릭 신앙을 지키고 강화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였다. 그는 30년 동안 도보나 말을 타고 20,000마일을 여행하며 독일 전역을 순회했다. 그는 페르디난트 1세에게 프로테스탄트교도들에게 군사 지원을 대가로 더 많은 권리를 양보하는 것은 큰 화를 불러올 것이라고 경고했다.[4] 또한 페르디난트 1세에게 그의 아들 막시밀리안이 가톨릭 신앙을 저버릴 경우 왕위 계승권을 박탈하겠다고 으름장을 놓을 것을 종용했다.
그는 설교와 저술을 통해 당대 가장 영향력 있는 가톨릭 신자 중 한 명으로 꼽힌다. 그는 자금이 거의 없는 상태에서도 독일에 여러 개의 예수회 대학을 설립하고, 대학 강단을 순회하면서 강의하고 설교하였다. 1549년 9월, 교황 바오로 3세는 가니시오를 독일로 파견하여 종교 개혁자들로부터 가톨릭 교회를 보호하도록 명하였다. 그는 1556년에 프라하(Prague)로 파견되어 남부 독일과 보헤미아(Bohemia) 그리고 오스트리아로 구성된 새 관구의 순회 관구장으로 임명되었다. 1559년부터 1568년까지 아우크스부르크 주교좌 대성당의 대표적인 설교자로 활동했다. 그의 강론은 설득력이 뛰어나 수백 명의 프로테스탄트교도들이 가톨릭 신앙으로 돌아왔다고 전해진다. 그는 트렌토 공의회의 두 회기에 참석했고, 1557년에는 보름스 대화에 주요 신학자 중 한 명으로 참석했다.[4]
가니시오는 1590년 독일을 떠날 무렵, 예수회는 독일에서 가톨릭 개혁의 강력한 도구로 성장했다. 그는 칼뱅파가 득세한 스위스의 프리부르에서 선교사로 여생을 보내며, 수년 후에는 그곳 시민 대부분을 개종시키는 데 성공했다. 또한 프리부르에 성 미카엘 학교라는 예수회 소학교를 설립하여 젊은이들의 대학 진학을 위한 교육을 제공했다.
3. 1. 교리 교육 강화
베드로 가니시오는 종교 개혁 시기에 가톨릭 교회 신앙을 명확히 하고 강화하는 데 큰 노력을 기울였다. 특히 그는 세 권의 교리문답서를 저술하여 가톨릭 교리를 널리 알리는 데 기여했다.[4]1555년, 가니시오는 독일어권 사람들을 위해 가톨릭 교회의 기본 교리를 독일어로 쉽게 풀어 쓴 『그리스도교 교리대전(German Catechism)』을 집필했다.[4] 이 책은 큰 인기를 얻어 즉시 15개 언어로 번역되었다. 1558년에는 『소 교리문답집』을 출판하여 더욱 널리 알려졌다.[4]
가니시오는 이 교리문답서들을 통해 가톨릭 교리를 명확하게 제시하고, 프로테스탄트 교리에 대응했다. 그는 독일 프로테스탄티즘에 맞서 싸우면서도, 로마 교황청에는 독일인들을 제대로 대우해 줄 것을 요청하며 유연한 태도를 보였다.[11]
그는 "독일인들을 제대로 대하면 그들은 당신에게 모든 것을 줄 것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신앙 문제에서 오류를 범하지만, 오만하지 않습니다. 그들은 독일식으로 오류를 범하며, 대부분 정직하고 약간 단순하지만, 루터교에 대해 매우 열려 있습니다. 신앙에 대한 정직한 설명은 개혁가들에 대한 논쟁적인 공격보다 훨씬 더 효과적일 것입니다."라고 주장했다.[11]
또한, 가니시오는 장 칼뱅과 필리프 멜란히톤에 대한 직접적인 공격을 거부하며, "이런 말로는 환자를 치료할 수 없고, 불치병으로 만들 뿐이다."라고 말했다.[12] 이는 그의 온건하고 포용적인 태도를 보여준다.
3. 2. 온건한 대화 시도
베드로 가니시오는 종교 개혁 시기에 활동하면서 프로테스탄트 교리에 맞서 가톨릭 신앙을 명확히 하는 데 힘썼다. 그는 독일 프로테스탄티즘과 싸우면서도, 로마에는 독일에 대해 보다 융통성 있게 대처할 것을 요청했다. 그는 "독일인들을 제대로 대하면 그들은 당신에게 모든 것을 줄 것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신앙 문제에서 오류를 범하지만, 오만하지 않습니다. ... 신앙에 대한 정직한 설명은 개혁가들에 대한 논쟁적인 공격보다 훨씬 더 효과적일 것입니다."라고 주장했다.[11]가니시오는 장 칼뱅과 필리프 멜란히톤에 대한 비판을 자제하며, "이런 말로는 환자를 치료할 수 없고, 불치병으로 만들 뿐입니다."라고 말했다.[12]
4. 마리아론
베드로 가니시오는 복되신 동정 마리아에 대한 공경을 중요하게 여겼으며, 그의 마리아 관련 저술과 기도문, 묵상집 등은 이러한 신심을 잘 보여준다.[13] 그의 마리아 저서에는 기도문과 묵상적인 글이 실려 있다.[14]
그는 1577년 저서 《마리아, 비할 데 없는 동정녀이자 하느님의 지극히 거룩한 어머니에 관하여》(De Maria Virgine Incomparabili et Dei Genitrice Sacrosancta Libri Quinque)에서 가톨릭 마리아론을 옹호했다.[17] 이 책은 교황 비오 5세의 명에 따라 쓰였으며, 성경, 초기 기독교인, 교부, 현대 신학의 자료를 바탕으로 가톨릭 마리아 교리를 사실적으로 설명한다.[17]
4. 1. 성모 마리아 공경 강조
베드로 가니시오는 예수 그리스도께 이르는 길은 많지만, 그에게 있어서 복되신 동정 마리아에 대한 공경이 최선이라고 가르쳤다.[13] 그의 설교와 서한은 마리아 공경에 대한 명확한 몰두를 보여준다.[13] "기도"라는 제목 아래에서 그는 성모송 기도를 가톨릭 마리아 경건의 기초로 설명한다.[14] 그는 성모송에 "거룩하신 마리아, 하느님의 어머니, 죄인을 위하여 빌어주소서"라는 문구를 추가했는데, 당시에는 천사의 인사에 이어서 일반적으로 낭송되지 않았다.[15] 11년 후 이 문구는 1566년 트리엔트 공의회 교리서에 포함되었다.가니시우스는 설교자들을 위해 적용된 마리아론을 출판했는데, 여기에서 마리아는 부드럽고 따뜻한 표현으로 묘사된다.[16] 그는 성모회와 묵주 단체를 적극적으로 장려했다.
4. 2. 가톨릭 마리아론 옹호
베드로 가니시오는 예수 그리스도께 이르는 길은 많지만, 그에게 있어서 복되신 동정 마리아에 대한 공경이 최선이라고 가르쳤다.[13] 그의 설교와 서한은 마리아 공경에 대한 명확한 몰두를 보여주었다.[13] 그는 성모송에 "거룩하신 마리아, 하느님의 어머니, 죄인을 위하여 빌어주소서"라는 문구를 추가했는데, 11년 후 이 문구는 1566년 트리엔트 공의회 교리서에 포함되었다.[15]가니시우스는 1577년 저서인 《마리아, 비할 데 없는 동정녀이자 하느님의 지극히 거룩한 어머니에 관하여》(De Maria Virgine Incomparabili et Dei Genitrice Sacrosancta Libri Quinque)에서 가톨릭 마리아론을 옹호했다. 이 책은 교황 비오 5세의 명에 따라 성경, 초기 기독교인, 교부, 현대 신학에서 가톨릭 마리아 교리의 사실적 설명을 제시하기 위해 쓰였다. 가니시우스는 마리아의 인격과 성품, 그녀의 덕과 젊음에 관해 시대를 통틀어 교회의 가르침을 설명하고 기록했다.[17] 그는 마리아의 평생 동정성과 죄로부터의 자유에 대한 역사적 문서를 추적했다.[18] 그는 에페소 공의회 이후 교부들의 수많은 인용구를 통해 "하느님의 어머니" 교리를 설명했다. 그는 교회의 가르침이 변하지 않았음을 보여주었다.[19] 그는 마리아론에 대한 성경적 근거를 분석함으로써 개신교의 ''오직 성경'' 주장에 답했다.[20] 책 5권은 가장 저명한 교회 저술가들이 지지한 수 세기 동안의 살아있는 신앙으로서의 가톨릭의 몽소승천론을 설명한다.
오늘날의 관점에서 볼 때, 가니시우스는 그의 일부 자료에서 명백히 오류를 범했지만, 원자료에 대한 그의 사실적 분석으로 인해 16세기의 최고의 신학적 업적 중 하나로 간주된다.[21]
5. 유산 및 평가
베드로 가니시오는 당대 가장 영향력 있는 가톨릭 신자 중 한 명으로, 프로테스탄트 종교개혁에 맞서 가톨릭 교회를 수호하고 가톨릭 개혁을 이끄는 데 큰 역할을 했다. 특히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페르디난트 1세에게 큰 영향을 주었으며, 황제에게 프로테스탄트교도들에게 더 많은 권리를 양보하는 것은 위험하다고 경고했다. 또한 페르디난트 황제의 장남 막시밀리안이 가톨릭 신앙을 저버릴 경우 왕위 계승권을 박탈하라고 종용하기도 했다.
그는 거의 빈손으로 시작한 독일 예수회를 가톨릭 개혁의 강력한 도구로 성장시키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1590년 그가 독일을 떠날 무렵, 예수회는 크게 성장해 있었다. 칼뱅파가 득세한 스위스 프리부르에서 선교사로 여생을 보내면서 수년 후에는 그곳 시민 대부분을 개종시키는 데 성공했다. 그리고 프리부르에 성 미카엘 학교를 설립하여 젊은이들의 대학 진학을 위한 교육에 힘썼다. 이 학교는 오늘날까지 주 행정부 관리 아래 남녀 공용 대학교육 준비기관으로 명맥을 잇고 있다.
1904년 네덜란드에서는 변증학을 위한 "성 베드로 카니시오 변증 협회"(Apologetisch Vereniging St. Petrus Canisius)가 설립되어 사회주의와 자유주의에 맞서 가톨릭 교회를 옹호했다.
시드니 노스 쇼어의 핌블에는 피터 카니시우스 하우스가 있는데, 5에이커의 아름다운 정원과 덤불 속에 위치하며, 학교, 비영리 단체 및 개인 사업 부문을 위한 개인 및 그룹 수련회와 모임을 전문으로 한다.
5. 1. 시성 및 교회학자 선포
가니시오는 1864년 교황 비오 9세에 의해 복자로 선포되었고, 1925년 5월 21일 교황 비오 11세에 의해 성인으로 시성되었으며 교회 학자로 선언되었다.[22] 1897년에는 레오 13세에 의해 "독일의 두 번째 사도"라는 칭호를 받았다.[27] 그의 축일은 1926년 로마 일반 전례력에 4월 27일로 추가되었다. 1969년 전례 개혁에서 성인의 천국 입성을 기념하는 일반적인 날짜인 12월 21일로 변경되었는데, 예수회에서는 여전히 4월 27일에 기념한다.5. 2. 교육 기관 설립
베드로 가니시오의 교육 설립 기여를 기리기 위해 여러 교육 기관이 그의 이름을 따서 설립되었다. 오스트리아 빈에는 신학생들을 위한 카니시오 대학교가 있는데, 이는 그를 기리기 위해 처음 설립된 기관이다.[23] 그의 고향인 네덜란드 네이메헌에는 예수회 중등학교인 카니시우스 대학이 있으며, 이곳은 페터 한스 콜벤바흐 예수회 총장의 모교이기도 하다. 뉴욕주 버팔로에는 카니시우스 대학교와 카니시우스 고등학교가 있다.[23]독일 베를린에는 예수회가 운영하는 카니시우스 콜레히가 있다.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의 콜레세 카니시우스((''Collegium Canisianum'' 또는 ''Canisius College''))와 아프리카 나미비아 오무사티 지역의 카니시아눔 로마 가톨릭 고등학교도 카니시우스의 이름을 딴 중등학교이다.[24]
네덜란드 림뷔르흐의 푸스에는 바시스숄 페트루스 카니시우스 초등학교가 있다. 1850년에는 네이메헌에 카니시우스 병원이 설립되었고, 1974년에 빌헬미나 병원과 합병하여 카니시우스-빌헬미나 병원이 되었다.[25]
5. 3. "독일의 두 번째 사도"
베드로 가니시오는 30년 동안 도보나 말을 타고 2만 마일을 여행하면서 프로테스탄트에 맞서고 가톨릭 신앙을 부흥시킨 공로로 '독일의 두 번째 사도'라고 불린다.[26] 19세기 중반부터 독일 성직자들은 그를 성 보니파시오의 후계자이자 새로운 "독일의 사도"로 여겼다.그는 설교, 강의, 출판 등을 통해 오랫동안 교회에서 멀어졌던 사람들이 다시 교회로 돌아올 수 있도록 힘썼다. 특히 1555년에 출간한 그리스도교 교리대전(German Catechism)de은 독일어로 가톨릭교회의 기본 교리를 쉽게 설명하여 큰 인기를 얻었고, 15개 언어로 번역되었다. 1558년에는 『소 교리문답집』을 출판하여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다. 그의 강론은 설득력이 뛰어나 수백 명의 프로테스탄트교도들이 가톨릭 신앙으로 돌아왔다고 전해진다.[27]
1897년, 레오 13세는 그에게 "독일의 두 번째 사도"라는 칭호를 부여했다.[27]
참조
[1]
논문
Peter Canisius and the Protestants
https://brill.com/vi[...]
2014-04
[2]
웹사이트
Blessed Peter Canisius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1911
[3]
웹사이트
Peter Canisius
https://www.jesuits.[...]
Jesuits Global
[4]
웹사이트
Saint Peter Canisius
https://www.francisc[...]
2018-08-20
[5]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University of Innsbruck
http://www.newadvent[...]
2017-06-28
[6]
문서
[7]
서적
Catholic Tractes of the Sixteenth Century 1573-1600
http://deriv.nls.uk/[...]
William Blackwood and Sons
[8]
서적
Catholic Tractes of the Sixteenth Century (1573-1600)
http://deriv.nls.uk/[...]
William Blackwood and Sons
[9]
웹사이트
St. Peter Canisius, SJ (1521-1597)
http://www.ignatians[...]
2017-06-27
[10]
웹사이트
CSM - l'Historique
http://csmfr.ch/Qui-[...]
2014-08-07
[11]
문서
[12]
문서
[13]
문서
[14]
문서
[15]
문서
[16]
문서
[17]
문서
[18]
문서
[19]
문서
[20]
문서
[21]
문서
[22]
문서
[23]
웹사이트
Canisius University, Buffalo, New York, United States
http://www.canisius.[...]
[24]
웹사이트
Quality of education slides
http://www.namibian.[...]
2017-06-28
[25]
웹사이트
CWZ
https://www.cwz.nl/
[26]
논문
Der vereinnahmte Bonifatius: vom apostolischen Völkermissionar zum "Apostel der Deutschen"
[27]
웹사이트
교황베네디クト十六世の258回目の一般謁見演説 聖ペトルス・カニシウス
https://www.cbcj.cat[...]
カトリック中央協議会
2022-12-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