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은행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북은행은 1969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지방 은행으로, 1972년 증권거래소에 상장되었다. 2013년 JB금융지주 출범으로 상장 폐지되었으며, 외국환, 신탁, 증권, 신용카드, 전자금융 등 다양한 업무를 수행한다. 캄보디아에 프놈펜상업은행(PPCB)을 운영하며, 국내 86개 지점과 출장소를 운영하고 있다. 비자카드와 마스터카드를 취급하며, KB국민카드와 전표 매입 계약을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북특별자치도의 기업 -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는 1987년 설립되어 일렉포일을 주력으로 생산하며 2차전지 및 인쇄회로기판의 핵심 소재를 공급하는 롯데케미칼 자회사이다. - JB금융그룹 - 광주은행
광주은행은 1968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지방 은행으로, 여신, 수신 등 다양한 금융 업무를 수행하며, JB금융지주의 완전 자회사로 운영되고 있다. - JB금융그룹 - JB금융지주
JB금융지주는 1969년 전북은행 설립을 시작으로 JB자산운용, 광주은행 등을 자회사로 둔 2013년 7월에 출범한 금융 지주 회사이다.
전북은행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주식회사 전북은행 |
원어 | Jeonbuk Bank |
종류 | 주식회사 |
창립 | 1969년 12월 10일 |
시장 정보 | (006350 2013.07.18 상장폐지) |
장소 |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백제대로 566 (금암동 669-2) |
인물 | 백종일 (대표이사) |
산업 | 통화 금융기관 |
자본금 | 424,122,000,000원 (2015.12) |
영업이익 | 63,658,000,000원 (2015) |
순이익 | 51,386,000,000원 (2015) |
자산 총액 | 14,118,308,000,000원 (2015) |
주주 | JB금융지주: 100% |
모기업 | JB금융지주 |
종업원 | 1,011명 (2015)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2. 연혁
- 1969년 12월 전북은행 설립[1]
- 1972년 3월 증권거래소 상장[1]
- 1993년 7월 1일 전주시 덕진구 금암동에 본점 신축, 이전[1]
- 2011년 9월 우리캐피탈 인수, JB우리캐피탈로 사명 변경
- 2013년 7월 JB금융지주 출범, 법에 따라 전북은행 상장폐지[4]
- 2013년 10월 23일 우정사업본부와 업무제휴, 수수료 면제[4]
- 2014년 3월 더커자산운용 인수
- 2015년 3월 전북은행 CI 변경[6]
- 2016년 8월 캄보디아 프놈펜상업은행(PPCB) 인수[7]
- 2016년 11월 광주은행과 전산 통합[7]
2. 1. 설립 및 성장
1969년 12월 전북은행이 설립되었고,[1] 1972년 3월 증권거래소에 상장되었다.[1] 1993년 7월 1일 전주시 덕진구 금암동에 본점을 신축하여 이전하였다.[1]2013년 7월 JB금융지주 출범에 따라 전북은행은 상장폐지되었고,[4] 같은 해 10월 23일 우정사업본부와 업무 제휴를 맺고 수수료를 면제하기 시작했다.[4] 2015년 3월에는 전북은행의 CI가 변경되었으며,[6] 2016년 8월 캄보디아 프놈펜상업은행(PPCB)을 인수하고,[7] 11월 광주은행과 전산 통합을 완료하였다.[7]
2. 2. JB금융지주 출범
2013년 7월 JB금융지주가 출범하면서 관련 법규에 따라 전북은행은 상장폐지되었다.[1] 같은 해 10월 23일에는 우정사업본부와 업무 제휴를 맺고 수수료 면제 혜택을 제공하기 시작했다.[1]2. 3. 해외 진출 및 전산 통합
1969년 12월 전북은행이 설립되었고, 1972년 3월 증권거래소에 상장되었다.[1] 1993년 7월 1일 전주시 덕진구 금암동에 본점을 신축하여 이전하였다.[1]2016년 8월 캄보디아 프놈펜상업은행(PPCB)을 인수하여 해외로 진출하였고,[1] 같은 해 11월 광주은행과 전산 통합을 완료했다.[1]
3. 업무
전북은행은 일반은행 업무 외에 외국환, 신탁, 증권, 신용카드, 전자금융 업무 등을 수행한다. 모바일 뱅킹은 초기에는 입출금 거래내역을 앱 푸시 알림이 아닌 유료 문자 서비스로만 제공했으나, 2022년 말부터 앱 자체 푸시 알림을 추가했다. 광주은행과 함께 한도제한계좌제를 시행하고 있으며, 급여소득자는 중소기업은행처럼 앱 스크래핑으로 즉시 해제가 가능하나, 적금 등을 통한 해제는 불가능하다. 2013년 10월 23일부터 우정사업본부와 업무 제휴를 맺어 전국 우체국 ATM에서 전북은행 ATM처럼 수수료 없이 이용할 수 있다.
3. 1. 주요 금융 서비스
전북은행은 일반은행 업무 외에도 외국환 업무, 신탁 업무, 증권 업무, 신용카드, 전자금융 업무 등을 한다.모바일 뱅킹에서는 다른 은행들과 달리 앱에서 입출금 거래내역의 푸시 알림을 지원하지 않고 유료 문자 서비스로만 제공했으나, 2022년 말부터 앱 자체에 입출금 푸시 알림을 추가했다.
광주은행과 함께 한도제한계좌제를 시행하고 있다. 급여소득자는 중소기업은행처럼 앱에서 스크래핑 방식으로 바로 해제할 수 있지만, 광주은행과 달리 적금 등으로는 해제할 수 없다.
2013년 10월 23일부터 우정사업본부와 업무제휴를 체결하여, 전국 우체국 ATM에서 전북은행 ATM처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3. 2. 특징적인 서비스
일반은행 업무 외에도 외국환 업무, 신탁 업무, 증권 업무, 신용카드, 전자금융 업무 등을 수행한다.모바일 뱅킹에서는 다른 은행들과 달리 앱에서 입출금 거래내역의 푸시 알림을 지원하지 않고 유료 문자 서비스로만 제공했었다. 그러나 2022년 말부터 앱 자체에 입출금 푸시 알림을 추가하였다.
동일 계열사인 광주은행과 함께 한도제한계좌제를 시행하고 있다. 급여소득자의 경우 중소기업은행처럼 앱에서 스크래핑 방식으로 즉시 해제가 가능하다. 하지만 광주은행과는 달리 적금 등으로는 해제할 수 없다.
2013년 10월 23일부터 우정사업본부와 업무 제휴를 체결하여, 전국 우체국 ATM에서 전북은행 고객이 자행처럼 수수료 없이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4. 영업점
전북은행은 국내에 86개의 지점 및 출장소를 운영하고 있다.[1] 일부 지역에서는 외국인금융센터 라운지를 운영하며, 지정된 비자를 소지한 외국인을 대상으로 대출 업무를 제공한다.
부산광역시 사상구 괘법동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사상역 근처에 외국인금융센터 부산라운지가 있으며, 대구광역시 수성구 수성동1가 수성교 근처에는 영남오토금융센터가 있다. 영남오토금융센터는 자동차 할부금융만 취급한다. 캄보디아에는 프놈펜상업은행을 운영하고 있다.
4. 1. 국내 지점
전북은행은 국내에 86개의 지점 및 출장소를 운영하고 있다.[1] 은행 영업점 외에도 일부 지역에서는 외국인금융센터 라운지를 운영하며, 지정된 비자를 소지한 외국인을 대상으로 대출 업무를 제공한다. 외국인 라운지는 전북은행 PC 홈페이지에서 별도로 확인할 수 있다.영남권에는 일반적인 은행 업무를 처리하는 영업점이 없지만, 다른 형태로 진출해 있다. 부산광역시 사상구 괘법동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사상역 근처에서 외국인금융센터 부산라운지를 운영했으며, 대구광역시 수성구 수성동1가 수성교 근처에는 자동차 할부금융만 취급하는 영업소인 영남오토금융센터가 있다.
4. 2. 국외 지점
캄보디아 프놈펜상업은행5. 카드 업무
전북은행은 자체 비자카드를 발행하며, 체크카드는 국내전용 외에는 마스터카드로 발급한다. 2017년 7월 20일에는 신세계아이앤씨와 제휴하여 SSG카드를 출시했고, 전표 매입망은 KB국민카드를 이용한다.[1]
5. 1. 개요
전북은행은 자체 비자카드를 발행하는 은행이다. 체크카드는 국내전용 외에는 마스터카드로만 나온다.전북은행의 전표 매입망은 신한카드와 비씨카드를 이용해 오다가, 2022년 9월 5일에 KB국민카드로 변경되었다.
2017년 7월 20일에는 신세계아이앤씨와 제휴하여 SSG카드라는 상품을 출시했다.
5. 2. 취급 카드
- 비자카드 (신용카드 한정)
- 마스터카드
5. 3. 발급기관
전북은행은 SSGPAY[1]의 발급 기관이다.5. 4. 시스템 점검시간
매일 23시 55분부터 00시 05분까지 시스템 점검이 이루어진다.6. 역대 전북은행장
이름 | 재임 기간 |
---|---|
홍성주 | 2001~2010 |
김한 | 2010~2014 |
임용택 | 2014~2021 |
서한국 | 2021~2022 |
백종일 | 2023~ |
참조
[1]
기타
[2]
기타
[3]
카드
KB국민카드
[4]
은행
NH농협은행
[5]
기타
[6]
기타
[7]
은행
한미은행, 한국씨티은행
[8]
카드
롯데카드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포토] 지방은행도 '생산적 금융' 동참
하나·국민·아이엠·기업·농협은행 ‘지역재투자’ 최우수 등급
국민·하나·농협·기업銀…지역 자금공급 '최우수'
지방 자금공급 평가서 국민·하나·농협 ‘최우수’... 씨티는 ‘미흡’
지방은행도 ‘생산적 금융’ 맞손
“대출 내주고 이자 한 푼 못 받아”…지방은행 ‘깡통대출’ 경고등 켜졌다
불황 직격탄 지방銀 '깡통대출' 역대 최대
올 하반기 법인계좌 허용…가상자산거래소·은행 ‘협업 전략’ 주목 – 바이라인네트워크
대출규제 비껴갔는데 왜?…대기업만 바라보는 지방은행, 가계대출은 제자리
8월5일 알림
고금리만 보고 가입했다가 낭패…‘미끼 상품’에 우는 금융 소비자
“여기선 대출 금리·한도 더 유리하대”…인뱅·지방은행 합작한 이 상품, 무엇?
JB금융, 상반기 당기순익 3704억원…2분기·반기 ‘역대 최대’ – 바이라인네트워크
‘코리안 드림’ 자리잡도록…외국인 노동자 품는 은행들
‘토스뱅크-광주은행’ 협업 신용대출 1조 돌파…‘공동대출 모델’ 확산 중
JB금융그룹, 2024년 통합연차보고서 발간…ESG 내재화 성과 공개
JB금융그룹, 2024년 통합연차보고서 발간
경기악화에…지방銀 부실대출 급증
“지방은행에 돈 맡겨도 될까”…경기 침체 직격탄에 연체율 1% 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