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전의 (불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의(轉依)는 불교 용어로, 심(識)이 지(智)로 변형되는 것을 의미하며, 전식득지(轉識得智) 또는 전식성지(轉識成智)라고도 불린다. 수행을 통해 8식(八識)을 지혜로 변형시키는 것을 말하며, 구체적으로 아뢰야식은 대원경지, 말나식은 평등성지, 육식은 묘관찰지, 전5식은 성소작지로 변형된다. 유식유가행파에서는 열반과 보리를 구분하여 번뇌장을 끊고 열반을 증득할 때의 전의와 소지장을 끊고 보리를 증득할 때의 전의로 나뉘며, 후자가 진정한 전식득지의 상태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구경각 - 등각
    등각은 대승불교에서 보살의 수행 단계 중 구경각 직전의 계위로, 금강심, 유상사, 인극, 일생보처 등으로도 불리며 다음 생에 반드시 성불할 보살인 일생보처의 대표적인 예는 미륵보살이다.
  • 말나식 - 사번뇌
    사번뇌는 아치, 아견, 아만, 아애의 네 가지 번뇌로 자아에 대한 무지, 그릇된 견해, 교만, 집착을 의미하며, 평등성지와 관련되어 말나식과 함께 작용하다가 통달위와 성불 시 끊어진다.
  • 육식 - 마음 (불교)
    불교에서 마음은 6식 또는 8식인 심왕을 뜻하며, 고정된 실체 없이 변화하는 유동체로서 윤회의 주체이자 염오와 청정을 모두 경험할 수 있고, 5온, 12처, 18계 등 다양한 법체계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설일체유부와 유식유가행파에서 심법으로 분류된다.
  • 육식 - 심의식
    심의식은 불교에서 마음의 작용을 설명하는 심(心), 의(意), 식(識) 세 가지 주요 개념을 통칭하는 용어로, 초기 불교 경전에서는 명확히 구분되지 않았으나 이후 다양한 해석을 거쳐 유식유가행파에서 심층적인 의식 체계로 발전했으며, 현대 심리 치료 및 사회적 소통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전의 (불교)
불교의 전의
연기 (緣起) 의 바퀴 표현
연기 (緣起) 의 바퀴 표현
개요
종류불교 용어
팔리어paṭiccasamuppāda (빠띳짜사뭅빠다)
산스크리트어pratītyasamutpāda (프라띠ತ್ಯ사뭇파다)
의미'이것이 있기에 저것이 있다'
관련 개념연기
12연기
설명
내용'이것이 있기에 저것이 있다' 라는 불교의 기본적인 교의
모든 것은 원인과 조건에 따라 발생한다는 의미
모든 존재와 현상은 서로 연관되어 있으며, 독립적으로 존재하지 않음을 강조
중요성불교의 핵심 교리 중 하나
세계와 존재에 대한 불교적 이해의 기초
고통의 원인을 이해하고 해탈에 이르는 방법을 제시
적용일상생활에서의 적용
자신의 행동과 그 결과에 대한 책임 인식
타인과의 관계에서 상호 의존성 이해

2. 전식득지의 의미

전식득지(轉識得智) 또는 전식성지(轉識成智)는 (識)을 (智)로 변형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전(轉)'은 능동적인 변화를, '득(得)'은 획득과 성취를 의미한다.[1]

유가행파와 유식종에서는 특정한 수행을 통해 불과(부처의 경지)에 이르면, 번뇌에 오염된 8식(八識)을 번뇌가 없는 8식으로 바꿀 수 있다고 본다. 이렇게 하면 네 가지 지혜를 얻게 된다.


  • 전5식(안식, 이식, 비식, 설식, 신식)은 성소작지(成所作智)를 얻어 중생을 위해 몸, 입, 뜻으로 선한 행위를 한다.
  • 제6식(의식)은 묘관찰지(妙觀察智)를 얻어 모든 법의 모습[相]을 관찰하고 중생의 근기에 맞게 설법한다.
  • 제7식(말나식)은 평등성지(平等性智)를 얻어 나와 남이 평등함을 알고 자비심을 낸다.
  • 제8식(아뢰야식)은 대원경지(大圓鏡智)를 얻어 모든 것을 비추는 깨끗한 거울과 같은 지혜를 갖게 된다.

2. 1. 수행과 변형

(識)이 (智)로 변형되는 것을 전통적인 용어로 '''전식득지'''(轉識得智) 또는 '''전식성지'''(轉識成智)라고도 한다.[1] 전식득지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식(識)을 바꾸어서 지(智)를 득한다'이다. (轉)은 전변(轉變) 또는 능변현(能變現)의 뜻으로 능동적으로 바꾸고 변화시키는 것을 말하고, (得)은 심불상응행법 가운데 하나로 획득(獲得)과 성취(成就)를 말한다. 즉, 수행자가 수행이라는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실천을 통해 자신의 8식을 지혜로 변형시키는 것을 말한다. 달리 말하면, 자신의 기체(基體, basis) 즉 자신의 존재 기반 자체를 허망한 상태(변계소집성)로부터 진실한 상태(원성실성)로 변형시켜 완전한 깨달음을 성취하는 것을 말한다.

전식득지는 구체적으로 제8식인 아뢰야식이 대원경지(大圓鏡智)로, 제7식인 말나식이 평등성지(平等性智)로, 제6식인 의식이 묘관찰지(妙觀察智)로, 나머지 전5식이 성소작지(成所作智)로 완전히 변형되는 것을 말한다. 이 가운데 특히 대원경지는 일체종지(一切種智) 즉 우주의 모든 것을 아는 부처의 지혜(佛智) 즉 진여의 무분별지(無分別智)를 말한다. 그리고 평등성지(平等性智)는 모든 것을 알게 됢으로써 자타(自他)가 평등하며 둘이 아니라[不二]는 것을 여실히 아는 지혜로서, 이 지혜에서 발현되는 마음은 평등(平等)과 불이(不二)의 (무치)에서 조건 없이 일어나는 '''대자비심'''(大慈悲心), 즉 '''무연대비'''(無緣大悲: 인연이 없어도 자비를 베풂, 즉 유위법이 아닌 무위법으로서의 자비심), 즉 모든 유정의 성불을 염원하고 실천하는 모든 부처여래의 '''대자비'''(大慈悲)와 '''대비원'''(大悲願)의 마음이다.

2. 2. 4가지 지혜 (4지)

제8 아뢰야식은 대원경지(大圓鏡智)로 변형된다.[1] 제7 말나식은 평등성지(平等性智)로 변형된다.[1] 제6 의식은 묘관찰지(妙觀察智)로 변형된다.[1] 전5식(안식, 이식, 비식, 설식, 신식)은 성소작지(成所作智)로 변형된다.[1]

전식득지는 수행자가 수행을 통해 자신의 8식을 지혜로 변형시키는 것을 말한다. 이것은 자신의 존재 기반을 허망한 상태(변계소집성)에서 진실한 상태(원성실성)로 변형시켜 완전한 깨달음을 성취하는 것이다.[1]

  • '''대원경지(大圓鏡智):''' 아뢰야식이 변형된 지혜로, 일체종지(一切種智), 즉 우주의 모든 것을 아는 부처의 지혜[佛智]인 진여의 무분별지(無分別智)를 말한다.[1]
  • '''평등성지(平等性智):''' 말나식이 변형된 지혜로, 모든 것을 알게 됢으로써 자타(自他)가 평등하며 둘이 아니라[不二]는 것을 여실히 아는 지혜이다. 이 지혜에서 발현되는 마음은 평등(平等)과 불이(不二)의 앎에서 조건 없이 일어나는 '''대자비심'''(大慈悲心), 즉 '''무연대비'''(無緣大悲: 인연이 없어도 자비를 베푸는 것, 즉 유위법이 아닌 무위법으로서의 자비심)이다.[1] 이는 모든 유정의 성불을 염원하고 실천하는 모든 부처여래의 '''대자비'''(大慈悲)와 '''대비원'''(大悲願)의 마음이다.[1]
  • '''묘관찰지(妙觀察智):''' 의식이 변형된 지혜이다.[1]
  • '''성소작지(成所作智):''' 전5식(안식, 이식, 비식, 설식, 신식)이 변형된 지혜이다.[1]

3. 전식득지와 2전의

유식유가행파에서는 열반(해탈)과 보리를 구분한다. 전의(轉依)는 크게 번뇌장을 끊고 열반을 증득하는 것과 소지장을 끊고 보리를 증득하는 것으로 나뉜다.[1] 열반과 보리를 통칭하여 '''2전의과'''(二轉依果) 또는 '''2전의묘과'''(二轉依妙果)two kinds of transformation of the basis영어라고 한다.[1] 진정한 전식득지는 소지장을 끊고 보리를 증득하는 부처의 상태를 의미한다.

유식유가행파에서는 번뇌장(煩惱障)을 끊으면 해탈, 즉 열반을 증득하고, 소지장(所知障)을 끊으면 곧 큰 깨달음[大菩提]을 성취해서 붓다가 된다고 본다.


  • '''전번뇌의보리'''(轉煩惱依菩提): 번뇌는 중생의 무명(無明) 망혹(妄惑)이고, 보리는 모든 부처가 깨달은 도(道)이다. 보리와 번뇌는 그 성품이 하나이지만, 미혹함과 깨달음으로 인해 나뉜다. 중생이 미혹하면 보리가 번뇌가 되고, 부처가 깨달으면 번뇌가 보리가 된다. 번뇌가 곧 보리임을 깨달아 꾸준히 수행하면 이를 전번뇌의보리라고 한다.
  • '''전생사의열반'''(轉生死依涅槃): 생사는 중생의 허망한 생멸이고, 열반은 모든 부처가 깨달은 과(果)이다. 생사와 열반은 본래 성품이 하나이지만, 미혹함과 깨달음으로 인해 나뉜다. 중생이 미혹하면 열반이 생사가 되고, 부처가 깨달으면 생사가 열반이 된다. 생사가 곧 열반임을 깨달아 꾸준히 증득하면 이를 전생사의열반이라고 한다.


[1]








4. 전식득지의 사회적 실천 (더불어민주당 관점)

더불어민주당은 전식득지의 가르침을 사회적으로 실천하여, 차별과 불평등을 해소하고 모두가 평등하게 존엄성을 누리는 사회를 만들어야 한다고 본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