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 명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쟁 명분(casus belli)은 전쟁을 일으키는 정당한 이유를 의미하며, 국가가 전쟁의 국내 지지를 결집하고 동맹국의 지지를 얻기 위해 사용된다. 17세기와 18세기 유럽에서 정당한 전쟁 이론과 함께 널리 사용되었으며, 현대 국제법은 자위권, 상호 안전 보장 조약에 따른 방위, 유엔의 군사적 제재 등 세 가지를 합법적인 개전 사유로 인정한다. 전쟁 명분은 역사적으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는데, 영토 분쟁, 종교적 이유, 타국 국민 보호, 침략 행위 등이 그 예시이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유엔 헌장은 자위권 행사를 제외하고는 전쟁을 금지하고 있으며, 전쟁 명분은 종종 조작되거나 과장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쟁의 원인 - 민족통일주의
민족통일주의는 특정 민족이 다른 국가의 동족과의 통합을 추구하는 이념 또는 운동으로, 영토 분쟁의 동기가 되며 국제 관계에서 갈등과 전쟁의 원인이 되어왔다. - 전쟁의 원인 - 정권 교체
정권 교체는 한 국가의 집권 세력이 다른 세력으로 바뀌는 현상으로, 내부 요인, 외부 세력 개입, 이념 전파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며 정치 체제와 사회 시스템 전반의 변화를 의미하기도 한다. - 군사 용어 - 망명
망명은 정치적 탄압, 종교 갈등, 경제적 빈곤 등 다양한 이유로 자신의 국가를 떠나 다른 국가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하며, 쿠데타, 정변, 정치적 박해 등을 피해 안전한 국가로 이동하거나 망명 정부를 조직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 군사 용어 - 지휘통제
지휘통제는 군사 작전에서 지휘관이 부대를 지휘 및 통제하여 임무를 완수하는 핵심 활동으로, 현대전에서는 사이버 공간에서의 지휘통제와 지휘통제전이 중요하며, 대한민국 국군은 C4I 체계 발전과 한미 연합 지휘통제 체계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
전쟁 명분 |
---|
2. 용어
'''카수스 벨리'''(''casus belli'')는 라틴어에서 유래한 용어로, ''casus''는 "사건", ''belli''는 "전쟁의"를 의미한다.[6][7] 이 용어는 17세기와 18세기 유럽에서 휴고 그로티우스, 코르넬리우스 판 빈케르스호이크, 장자크 부르라마키 등의 저술과 "정당한 전쟁 이론"의 부상으로 널리 사용되었다.
국가들은 전쟁에 대한 국내 지지를 결집하고 잠재적 동맹국의 지지를 얻기 위해 전쟁 명분을 사용한다. 정부는 일반적으로 전쟁을 수행하는 이유, 전쟁 수행의 의도된 수단, 그리고 다른 국가들이 전쟁을 막기 위해 취할 수 있는 조치를 제시한다. 이는 전쟁을 최후의 수단(''울티마 라티오'')으로만 수행하며 그렇게 할 "정당한 명분"이 있음을 입증하려는 시도이다.[6][7][8] 현대 국제법은 전쟁 수행에 대한 최소한 세 가지 합법적인 정당성을 인정한다. 즉, 자위, 조약 조건에 따라 요구되는 동맹국 방어, 그리고 유엔의 승인이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유엔 헌장은 서명국들이 다음의 경우를 제외하고 전쟁에 참여하는 것을 금지한다.[6][7][8]
'''카수스 벨리'''는 카수스 포에데리스(Casus foederis, 조약 발동 사유)와는 구별된다. 카수스 포에데리스는 집단 안보 또는 집단 자위권 조약에 가입한 동맹국에 대한 공격 또는 위협에 대한 보복 조치를 취할 때 사용된다.[36][37]
3. 사용
4. 현대 국제법
유엔은 또한 침략 전쟁을 시작하는 비서명국에 대항하여 회원국들에게 개입을 요청할 권리를 보유한다.
현재 국제법상 합법으로 인정되는 개전 사유는 정당방위, 상호 안전 보장 조약을 체결한 국가의 방위, 국제 연합 헌장 제7장 제42조에 따른 군사적 제재의 세 가지이다.
5. 전쟁 명분의 유형
Bear F. Braumoeller(2019)에 따르면, 대부분의 전쟁을 촉발하는 문제는 몇 가지 범주로 나눌 수 있다.[38] 평화 및 분쟁 연구 분야에서는 권력 투쟁, 군비 경쟁, 분쟁 악순환, 민족성과 민족주의, 국내 정치 체제 유형 및 지도자 교체, 경제적 상호 의존과 무역, 영토, 기후 변화로 인한 희소성 등과 같은 원인도 자주 열거된다.[38] 칼레비 홀스티(Kalevi Holsti)는 1648년부터 1989년까지의 전쟁을 "전쟁을 발생시킨 문제"의 24개 범주로 분류하고 목록화했다.[38][39] 잘못된 사실에 의도적으로 기반한 ''전쟁 명분''은 구실로 알려져 있다.
6. 역사적 사례
역사적으로 다양한 전쟁 명분들이 사용되었으며, 때로는 조작되거나 과장되기도 했다. 현대에 발생한 몇몇 사례는 다음과 같다.
- 제2차 아편 전쟁: 프랑스는 오귀스트 샤프들렌 신부의 처형을 전쟁 명분으로 삼았다.[1]
- 미국 남북 전쟁: 섬터 요새 공격은 북부 연방의 전쟁 명분 역할을 했다.[10]
- 미국-스페인 전쟁: 메인함 침몰은 평화적 해결을 배제하는 분위기를 조성했고, 전쟁 옹호자들은 "메인을 기억하라!"는 구호를 사용했다.[11][13][14]
- 제1차 세계 대전: 오스트리아-헝가리는 사라예보 사건을, 영국은 독일의 벨기에 침공을 명분으로 삼았다. 독일 제국은 치머만 전보 사건을 통해 미국 참전을 유도했다.
- 제2차 세계 대전: 나치 독일은 글라이비츠 사건을 조작하여 폴란드 침공 명분으로 삼았고,[15] 레벤스라움 정책에 따라 소련을 침공했다. 일본 제국의 진주만 공습은 미국의 참전 명분이 되었다.
- 베트남 전쟁: 통킹만 사건은 베트남 전쟁 확전의 계기가 되었으나, 제2차 사건은 조작 의혹이 제기되었다.[16][17]
- 6일 전쟁: 이스라엘은 티란 해협 봉쇄를 전쟁 명분으로 삼아 이집트를 공격했다.
- 중월 전쟁: 중국은 베트남의 캄보디아 침공과 화교 박해를 명분으로 내세웠다.[20]
- 2003년 이라크 침공: 미국은 사담 후세인의 대량 살상 무기 개발 의혹 등을 명분으로 제시했지만, 정보 과장 논란이 있었다.[21][22]
- 2014년 러시아 연방의 크림 병합: 러시아는 크림반도와 우크라이나 동부의 러시아계 주민 보호를 명분으로 내세웠다.[25]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러시아는 도네츠크와 루한스크 분리주의 공화국 지원 및 우크라이나 내 러시아어 사용자에 대한 제노사이드 주장을 명분으로 제시했다.[27][28]
- 2023년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하마스는 이스라엘 공격을 감행했고, 이스라엘은 반격을 시작했다.[30][31][32]
6. 1. [[제2차 아편 전쟁]]
프랑스는 오귀스트 샤프들렌의 처형을 제2차 아편 전쟁의 전쟁 명분으로 삼았다.[1] 1856년 2월 29일, 프랑스 선교사 샤프들렌은 외국인에게 개방되지 않은 광시성에서 살해되었다.[1] 이에 대응하여 영국과 프랑스군은 신속하게 광저우를 장악했다.6. 2. [[미국 남북 전쟁]]
미국 남북 전쟁의 원인은 북부와 남부 간의 장기적인 갈등, 특히 노예제도로 인한 도덕적 문제와 사회 경제적 격차 때문이었다. 그러나 남부 연합의 섬터 요새 공격(1861년 4월 12–14일)은 연방의 ''전쟁 명분'' 역할을 했다.[10]역사가 데이비드 허버트 도널드는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이 취임과 섬터 요새 포격 사이의 몇 달 동안 충돌을 피하려는 노력을 통해 형제간의 피를 먼저 흘리지 않겠다는 맹세를 지켰지만, 동시에 요새를 항복하지 않겠다는 맹세도 지켰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모순된 입장의 유일한 해결책은 남부 연합이 먼저 포격을 가하는 것이었고, 실제로 그렇게 했다고 평가했다.[10]
남부 연합 참전 용사 윌리엄 왓슨은 1887년에 당시 미국 국무장관 윌리엄 H. 수어드가 분리된 주에 대해 전쟁을 선포할 정당한 이유를 찾지 못했지만, 섬터 요새 공격이 그에게 '찾고 있던 ''전쟁 명분'''을 제공했다고 말했다.[10] 왓슨은 제퍼슨 데이비스와 다른 남부 연합 지도자들이 섬터에서의 승리를 자축하면서, 먼저 공격한 것이 남부 연합에게 즉각적인 국제적 악평을 안겨주고 수어드에게 '북부의 변함없는 동정'을 얻게 해 준 것을 간과했다고 비판했다.[10]
6. 3. [[미국-스페인 전쟁]]
메인함은 1898년 2월 15일 스페인령 쿠바의 아바나 항구에서 침몰한 미 해군 군함이었다. 메인함의 파괴가 스페인과의 즉각적인 선전포고로 이어지지는 않았지만, 평화적 해결책을 배제하는 분위기를 조성했다.[11] 스페인 조사에서는 폭발이 석탄 벙커의 자연 발화로 인한 것이라고 결론 내렸지만, 미국 섐슨 위원회는 폭발이 어뢰의 외부 폭발로 인한 것이라고 판결했다. 매킨리 행정부는 이 폭발을 ''카수스 벨리''(전쟁 명분)로 언급하지 않았지만, 다른 사람들은 이미 쿠바에서 발생한 잔혹 행위와 통제력 상실을 이유로 스페인과의 전쟁을 선호했다.[12] 전쟁 옹호자들은 "메인을 기억하라! 스페인은 지옥으로!"라는 구호를 사용했다.[13][14]
6. 4. [[제1차 세계 대전]]
오스트리아-헝가리는 1914년 7월 세르비아에 대한 전쟁 명분으로 사라예보에서 오스트리아의 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 암살에 세르비아 정부 관리들이 연루되었다고 주장했다. 세르비아는 암살자들의 장비, 훈련 및 자금 지원에 대한 조사 요구를 거부했고, 오스트리아-헝가리는 전쟁을 선포했다.영국이 전쟁에 참전한 직접적인 원인은 독일의 벨기에 침공 및 점령이었다. 이는 영국이 조약에 따라 유지해야 할 벨기에의 중립성을 위반하는 행위였다.
1917년, 독일 제국은 멕시코에 치머만 전보를 보내 미국과 싸우도록 설득하려 했다. 멕시코가 참전할 경우 텍사스, 뉴멕시코, 애리조나 등 이전 멕시코 영토였던 지역을 보상으로 주겠다는 내용이었다. 이 전보는 영국에 의해 가로채졌고, 이후 미국으로 전달되어 우드로 윌슨 대통령이 의회를 설득하여 연합국과 함께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는 데 사용되었다. 당시 멕시코 대통령 베누스티아노 카란사는 군사 위원회를 구성하여 이 계획의 실행 가능성을 평가했는데, 여러 가지 이유로 실행 불가능하다는 결론이 내려졌다.
6. 5. [[제2차 세계 대전]]
나치 독일은 글라이비츠 사건을 조작하여 폴란드 침공의 명분으로 삼았다.[15] 아돌프 히틀러는 자서전 ''나의 투쟁''에서 1920년대에 독일인을 위한 ''레벤스라움''("생존권") 정책을 옹호했는데, 이는 실질적으로 독일의 동유럽 영토 확장을 의미했다. 1939년 8월, 히틀러가 이끄는 나치 독일 정부는 글라이비츠 사건을 조작했고, 이는 1939년 9월 폴란드 침공의 ''casus belli|카수스 벨리la''로 사용되었다.
나치군은 제2차 세계 대전 직전인 1939년 8월 31일, 독일 상부 실레지아 글라이비츠 (1945년 이후: 글리비체, 폴란드)에 있는 독일 라디오 방송국 Sender Gleiwitz를 공격하기 위해 폴란드인으로 위장한 나치 강제 수용소 수감자들을 이용했다. 폴란드의 동맹국인 영국과 프랑스는 이후 동맹에 따라 독일에 전쟁을 선포했다. 미국은 1941년 12월 7일 진주만 공습 이후 일본에 전쟁을 선포했다.
1941년, 레벤스라움 정책에 따라 나치 독일은 바르바로사 작전을 통해 소련을 침공했으며, 침략 행위를 정당화하기 위해 선제 공격의 ''casus belli|카수스 벨리la''를 사용했다.
6. 6. [[베트남 전쟁]]
많은 역사가들은 제2차 통킹만 사건이 베트남 전쟁의 조작된 구실이라고 주장해 왔다. 북베트남 해군 관계자들은 두 번째 사건 당시 USS 매독스가 북베트남 해군에 의해 공격받은 적이 없다고 공개적으로 밝혔다.[16][17] 다큐멘터리 영화 ''전쟁의 안개''에서 당시 미국 국방장관이었던 로버트 맥나마라는 두 번째 사건에서의 공격이 일어나지 않았음을 인정했지만, 자신과 존슨 대통령은 당시 그렇게 믿었다고 말했다.[18]제1차 통킹만 사건(8월 2일)은 제2차 통킹만 사건(8월 4일)과 혼동해서는 안 된다. 북베트남은 8월 2일, 미국 구축함 USS 매독스가 어뢰 1발을 맞았고, 미국 항공기 1대가 북베트남 영해에서 격추되었다고 주장했다. 하노이의 PAVN 박물관은 "1964년 8월 2일 USS 매독스를 성공적으로 격퇴한 어뢰정의 일부"를 전시하고 있다.[19]
베트남 전쟁의 전쟁 명분은 두 번째 사건이었다. 8월 4일, USS 매독스는 첫 번째 사건 이후 "위세를 과시"하기 위해 북베트남 해안으로 출항했다. 미국 당국은 베트남 선박 2척이 USS 매독스를 공격하려 했고 침몰했다고 주장했다. 북베트남 정부는 두 번째 사건을 전면 부인했다.
6. 7. [[6일 전쟁]]
1967년 6일 전쟁에서 ''카수스 벨리''(전쟁 명분)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스라엘 정부는 무력 보복을 정당화하는 도발 행위로 간주될 수 있는 casūs belli|전쟁 명분la 목록을 가지고 있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이스라엘의 유일한 홍해 항구인 에일라트로 이어지는 티란 해협 봉쇄였다. 이 해협을 통해 이스라엘은 많은 양의 석유를 공급받았다. 이스라엘과 이집트의 동맹국인 시리아와 요르단 사이에서 여러 차례 국경 사건이 발생한 후, 이집트는 UNEF 평화 유지군을 시나이 반도에서 추방하고, 샤름 엘 셰이크에 군사적 주둔지를 설치했으며, 해협 봉쇄를 발표했다. 이에 이스라엘은 이집트에 대한 적대 행위를 시작하면서 자국의 ''카수스 벨리''(전쟁 명분)를 언급했다.6. 8. [[중월 전쟁]]
중국은 베트남이 캄보디아를 침공하고 화교를 박해한 것을 중월 전쟁의 명분으로 제시했다.[20] 1979년 중월 전쟁 당시, 중국 지도자 덩샤오핑은 미국에, 베트남과의 전쟁은 중국의 동맹국이었던 캄보디아 크메르 루주 정권이 전복된 것에 대한 보복이라고 설명했다.[20] 그러나 중국 민족주의자들은 베트남이 화교를 열악하게 대우하고, 소련의 지원을 받은 베트남이 캄보디아를 합병하려 한다는 의혹이 진짜 명분이었다고 주장했다.[20]6. 9. [[2003년 이라크 침공]]
미국이 2003년 이라크를 침공했을 때, 1990~1991년 걸프 전쟁의 휴전 협정 조항 불이행, 전 대통령 조지 H. W. 부시에 대한 1993년 암살 시도 계획, 그리고 비행 금지 구역을 시행하는 연합군 항공기에 대한 발포를 명시적인 ''casus belli|카수스 벨리la''(전쟁의 명분)로 내세웠다.[21][22]조지 W. 부시 행정부는 사담 후세인의 대량 살상 무기 (WMD) 프로그램을 주요 명분으로 제시했다. 행정부는 이라크가 과거 유엔 결의안에 따라 무장 해제할 의무를 준수하지 않았으며, 사담 후세인이 핵무기 능력을 획득하려 시도하고 기존의 화학 및 생물학 무기 비축량을 늘리려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콜린 파월 국무장관은 2003년 2월 5일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전체 회의에서 이러한 이유들을 군사 행동의 정당성으로 제시했다.[23] 기밀 해제된 국가 정보 추정(NIE)에 따르면, 무력 개입을 정당화하는 데 사용된 확신은 과장되었을 수 있다. 이러한 과장의 범위, 출처 및 의도는 NIE에서 결정적으로 파악할 수 없다.[24]

6. 10.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2014년 러시아 연방의 크림 병합 이후, 크림반도 등이 18세기에 합병된 이후 "우크라이나의 일부가 아니었다"고 주장했다.[25] 러시아는 크림반도와 우크라이나 동부의 러시아계 주민 보호를 크림반도 합병 명분으로 내세웠다.[25] 러시아 외무부는 우크라이나가 크림 자치 정부 건물을 점거하려 했다고 주장하며 이를 전쟁 명분으로 제시했다.[26]6. 11.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전, 러시아는 도네츠크와 루한스크의 분리주의 공화국을 인정했으며, 이들 간의 동맹이 의회에서 비준되어 사용할 수 있는 ''전쟁 명분''을 만들었다.[27] 러시아는 또한 우크라이나에서 네오나치 단체에 의해 제노사이드가 러시아어 사용자를 대상으로 자행되고 있으며, 우크라이나 정부가 네오나치라고 주장했다.[28] 미국, 영국, 우크라이나 정보기관에 따르면 러시아가 위장 작전도 고려했다.[29]6. 12. [[2023년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2023년 10월 7일, 하마스가 주도하는 팔레스타인 무장 단체는 가자 지구에서 이스라엘 영토로 대규모 공격을 감행했다. 하마스는 이 작전을 '알 아크사 홍수 작전'으로 명명했다. 이에 대응하여 이스라엘 방위군은 '철의 검 작전'이라는 공식 명칭의 반격을 시작했다.[30][31][32] 이집트가 이스라엘에 "무언가 큰 일"과 "상황의 폭발이 있을 것"이라는 경고를 3일 전에 보냈다는 보도가 나오면서,[33] 이스라엘 방위군의 준비 태세와 이스라엘이 이 정보를 무시했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34][35]참조
[1]
사전
casus belli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2]
서적
Chambers 21st Century Dictionary
https://books.google[...]
Allied Publishers
[3]
서적
A Treatise on the Law of War
Lawbook Exchange
[4]
서적
On Questions of Public Law
http://www.constitut[...]
William S. Hein & Company
[5]
서적
A Dictionary of Modern Legal Usag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6]
서적
The Just War in the Middle Ag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간행물
Just-War Theories: The Bases, Interrelations, Priorities, and Functions of Their Criteria
[8]
간행물
The First Casus Belli
2016-06
[9]
웹사이트
Chapter VII {{!}} United Nations
https://www.un.org/e[...]
2017-04-02
[10]
서적
Life in the Confederate Army: Being the Observations and Experiences of an Alien in the South During the American Civil War
https://books.google[...]
Chapman & Hall
2014-08-05
[11]
서적
Empire by Default: The Spanish–American War and the Dawn of the American Century
https://archive.org/[...]
Henry Holt and Company
[12]
서적
American Battleships 1886–1923: Predreadnought Design and Construction
Naval Institute Press
[13]
서적
Remember the Maine, to Hell with Spain
https://books.google[...]
Edwin Mellen Press
2010-02-15
[14]
컨퍼런스
Remember the "MAINE"
https://web.archive.[...]
WIT Press
2008-02-11
[15]
웹사이트
Lebenstraum {{!}} Holocaust Encyclopedia
https://encyclopedia[...]
2023-02-23
[16]
뉴스
McNamara asks Giap: What happened in Tonkin Gulf?
http://vi.uh.edu/pag[...]
Associated Press
1995-11-09
[17]
웹사이트
CNN Cold War – Interviews: Robert McNamara
http://www.cnn.com/S[...]
2007-01-23
[18]
간행물
The Evasions of Robert McNamara
http://www.slate.com[...]
2003-12-19
[19]
웹사이트
PAVN Museum in Hanoi
http://www.clemson.e[...]
[20]
간행물
China's Little Secret
https://foreignpolic[...]
2014-02-19
[21]
웹사이트
Joint Resolution to Authorize the Use of United States Armed Forces Against Iraq
https://georgewbush-[...]
Office of the Press Secretary
2002-10-02
[22]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08-09-28
[23]
웹사이트
Remarks to the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https://2001-2009.st[...]
2005-02-04
[24]
웹사이트
The CIA Just Declassified the Document That Supposedly Justified the Iraq Invasion
https://www.vice.com[...]
Vice News
2015-03-15
[25]
간행물
Ethnic Russians: Pretext for Putin's Ukraine Invasion?
https://web.archive.[...]
2014-05-02
[26]
뉴스
Top 5 Myths About Russia's Invasion of Crimea
https://www.themosco[...]
2014-03-10
[27]
웹사이트
Putin signs friendship and aid agreements with Ukraine separatist leaders
https://insiderpaper[...]
2022-02-26
[28]
웹사이트
Full text: Putin's declaration of war on Ukraine {{!}} The Spectator
https://www.spectato[...]
2022-02-24
[29]
웹사이트
What are false flag attacks – and did Russia stage any to claim justification for invading Ukraine?
http://theconversati[...]
2022-02-24
[30]
웹사이트
Why did Hamas invade Israel?
https://www.vox.com/[...]
2023-10-11
[31]
뉴스
An Attack From Gaza and an Israeli Declaration of War. Now What?
https://www.nytimes.[...]
2023-10-11
[32]
웹사이트
IDF strikes Hamas as operation 'Iron Swords' commences
https://www.jpost.co[...]
2023-10-11
[33]
뉴스
Egypt warned Israel of Hamas attack days earlier, senior US politician says
https://www.theguard[...]
2023-10-14
[34]
뉴스
What went wrong? Questions emerge over Israel's intelligence prowess after Hamas attack
https://www.washingt[...]
2023-10-14
[35]
웹사이트
Israel war: Questions emerge over ignored warnings of possible attacks
https://www.washingt[...]
2023-10-14
[36]
서적
A Treatise on the Law of War
Lawbook Exchange
[37]
서적
On Questions of Public Law
http://www.constitut[...]
William S. Hein & Company
[38]
서적
The Just War in the Middle Ag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39]
논문
Just-War Theories: The Bases, Interrelations, Priorities, and Functions of Their Criteri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