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절권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절권도는 1960년대 이소룡이 창시한 무술로, 기존 무술의 한계를 극복하고 실전성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탄생했다. 영춘권, 홍가권, 태권도, 복싱 등 다양한 무술을 바탕으로 펜싱의 스텝을 차용했으며, 이소룡은 엽문에게서 영춘권을 전수받은 후 자신만의 무술을 연구하여 절권도를 만들었다. 절권도는 끊임없이 변화하고 유연하며, 최소한의 동작과 에너지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것을 추구한다. 이소룡 사후에는 제자들에 의해 오리지널 절권도와 절권도 컨셉의 두 분파로 나뉘어 계승되었으며, 4가지 전투 거리와 5가지 공격 방법을 활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소룡 - 정무문 (1972년 영화)
    20세기 초 상하이를 배경으로 곽원갑의 죽음에 대한 이소룡의 복수를 그린 정무문은 반일 감정을 자극하는 내용과 화려한 액션으로 큰 인기를 끌었으며 다양한 리메이크작과 후속작에 영향을 준 이소룡의 대표적인 홍콩 액션 영화이다.
  • 이소룡 - 용쟁호투
    이소룡 주연의 홍콩-미국 합작 액션 영화 《용쟁호투》는 소림사 출신 무술가 리가 마약 밀매 조직에 잠입하여 복수하는 이야기로, 존 색슨, 짐 켈리, 아나 카프리, 석견 등이 출연했으며 홍금보, 성룡 등 유명 배우들의 단역 출연과 이소룡의 대표작으로 알려져 있다.
  • 중국의 무술 - 중국 무술
    중국 무술은 자기 방어, 사냥 기술, 군사 훈련의 필요에 따라 고대 중국에서 시작된 다양한 격투 시스템과 무기술을 아우르는 용어로, 쿵푸와 우슈로도 알려져 있으며 소림사, 도교 철학, 여러 유파를 거쳐 발전해 왔고 현대에는 스포츠, 대중문화, 건강 증진 수단으로 세계에 보급되어 우슈라는 스포츠로도 발전했다.
  • 중국의 무술 - 우슈
    우슈는 수천 년 역사의 중국 전통 무술로, 투로와 산타 두 가지 방식으로 진행되며, 국제 우슈 연맹 주관의 세계 선수권 대회가 개최되고, 아시안 게임 등 국제 대회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 기원별 무술 - 씨름
    씨름은 두 사람이 샅바를 잡고 힘과 기술을 겨루어 상대를 넘어뜨리는 한국의 전통 스포츠이자 민속놀이로, 고구려 고분 벽화에도 나타나 있으며 남북한 공동으로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되었고 무제한급 우승자는 '천하장사'로 불린다.
  • 기원별 무술 - 종합격투기
    종합격투기는 타격과 그래플링 기술을 모두 활용하는 격투 스포츠로, 고대 판크라티온 등에서 기원하여 발리 투두, 프로레슬링 등을 거쳐 발전했으며, UFC 출범 후 대중적 인기를 얻어 현재는 통합 규칙을 따르는 UFC, 벨라토르 MMA, 원 챔피언십 등이 주요 단체로 활동하고 있다.
절권도
개요
절권도 문장
절권도 문장. 태극은 음양의 개념을 나타낸다. 한자는 "무위를 씀으로써 길을 삼는다"와 "제한 없음을 제한으로 삼는다"를 의미한다. 화살표는 음양 간의 끊임없는 상호작용을 나타낸다.
다른 이름JKD, 준판 절권도
종류혼합 무술 (종합격투기 쿵푸 철학)
창시자이소룡
모체준판 쿵푸: 영춘권, 권투, 펜싱, 아르니스, 유도, 유술, 사바트, 전통 태권도, 태극권, 캐치 레슬링
유명 수련자(주목할 만한 수련자 참조)
파생 무술비고전 쿵푸, 영춘도, 에머슨 전투 시스템, 웨이 쿤 도, 종합격투기 (현대)
창시 국가시애틀, 미국
명칭
참고 자료

2. 기원과 역사

절권도는 1970년대를 풍미했던 세계적인 쿵푸 스타 이소룡이 창시한 무술이다. 영춘권, 홍가권, 공력권, 태권도, 복싱 등 다양한 무술을 바탕으로 펜싱의 스텝을 차용했다. 이소룡은 홍콩에서 엽문에게서 영춘권을 배웠지만, 미국에서 여러 무술가들과 교류하며 영춘권의 한계를 느끼고 독자적인 무술을 연구, 절권도를 창시했다.[3][20][21][22] 그러나 이소룡이 절권도 이론을 정리하던 중 갑작스럽게 사망하면서 미완성의 무술로 남게 되었다.

1964년 황택민과의 만남을 계기로 이소룡은 체계화된 무술의 경직성을 부정하고, 1965년 언론 인터뷰에서 절권도의 기본 개념을 설명했다.[23][24][25] 1967년 '절권도'라는 이름을 사용하기 시작했는데, 자신의 무술에 이름을 붙이는 것을 고심하다가 필요에 의해 결정하게 되었다.

이소룡은 선 불교은유를 사용해 "쓸모없는 것을 버리는" 철학을 설명했다.[27] 그는 전통적인 형식 기반의 무술이 실제 전투에 비효율적이라고 보았고, 절권도가 실제 전투의 변화에 적응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고 믿었다.[16]

2. 1. 이소룡의 무술 여정

이소룡은 어린 시절 홍콩에서 영춘권의 대가 엽문에게 무술을 배웠다.[3][20][21][22] 1953년 엽문의 도장에 입문하여 3년간 수련했지만, 문제를 일으켜 파문당했다. 이후 엽문의 형제 제자 밑에서 개인적으로 2년간 더 수련했다.[43] 1958년 고등학교 복싱 대회에서는 영춘권 기술만으로 3년 연속 챔피언인 영국인을 1라운드 KO 시키기도 했다.[43][44]

브루스 리와 영춘권의 그랜드 마스터 엽문


이후 미국으로 건너가 다양한 무술가들과 교류하며, 기존 무술의 형식적인 틀에서 벗어나 실전적인 움직임을 추구하기 시작했다. 1959년 정무체육회 홍콩 분회에서 중국 북파 및 남파 권술의 기본공, 공력권, 절권 등을 배웠다.[43][44] 같은 해, 실전 시합에서 영춘파의 라이벌인 채리불파의 도전 상대에게 큰 부상을 입혀 경찰에 신고당한 후 미국으로 건너갔다.[43][44]

1961년 워싱턴 대학교에 입학하여[45] 철학을 전공하며 자신의 무술에 철학적 요소를 도입했다. 1962년에는 일본인 가라테가(검은 띠)와의 실전 시합에서 11초 만에 KO 승리하기도 했다.[44]

1964년 웡잭만과의 대결을 통해 기존 수련 방식의 한계를 느끼고, 더욱 실전적인 무술을 연구하기 시작했다.[43][44] 이 대결에서 승리했지만, 상대를 쓰러뜨리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린 것을 반성하고, "실전은 6초 이내에 끝낸다"는 사상을 가지게 되었다.[43][44]

2. 2. 절권도의 창시와 발전

1960년대이소룡미국에서 영춘권을 기본으로 한 진번쿵푸(이소룡식 쿵푸)를 가르쳤지만, 로스앤젤레스로 이주한 후 더욱 실전적인 무술을 모색하며 연마와 실천을 거듭하여 1966년에 그 명칭을 절권도로 했다.[43][44] "상대의 주먹(공격)을 절(끊다, 막다, 가로막다)하는 도(방법)"라는 의미이지만, 이는 "적을 쓰러뜨린다"는 무술로서의 측면뿐만 아니라 "살아가면서 직면하는 장애를 극복하는 방책·지혜"를 나타낸 것이기도 하다. 이소룡은 동양 철학, 특히 고대 선불교와 노장 사상을 높이 평가했으며, 그의 규칙에 얽매이지 않는 파이팅 스타일도 그러한 자유로운 사상에 많은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생각에서 이소룡 자신은 자신의 격투술에 절권도라는 명칭을 부여하고 범주화하는 것에 적지 않게 저항감을 느꼈던 것으로 보인다.

1967년 로스앤젤레스에 제3의 진번국술관을 개설하고, 오픈 핑거 글러브, 킥 미트, 킥 실드 등의 연습용구를 고안·개발하여 연습에 도입했다.[44] 또한 미토 우에하라, 테드 웡 등 여러 제자들을 스파링 파트너로 삼아 절권도의 발전에 힘썼다.

2. 3. 이소룡 사후 절권도

1973년 이소룡이 갑작스럽게 사망하면서 절권도는 미완성으로 남게 되었지만, 그의 제자들과 추종자들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계승, 발전되었다. 댄 이노산토, 테드 웡 등 이소룡의 직계 제자들은 절권도의 원형을 보존하고 발전시키는 데 힘썼다.[43] 이소룡은 생전에 절권도가 편의상 부르는 명칭일 뿐이며, 제자들은 각자의 길을 걸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절권도를 특정한 기술이나 스타일이라고 말하는 사람이 나타나면 절권도라는 이름을 벗겨버리라고까지 말했다.[43]

3. 철학과 원칙

이소룡은 홍콩에서 영춘권의 그랜드 마스터 엽문에게 무술을 배웠다. 미국에서는 자신이 가르치는 것을 '진번 쿵푸'라고 불렀다.[3][20][21][22] 그러나 1964년 황택민과의 대련 이후, 기존 무술 체계의 경직성에 의문을 품고 무술 수련 방식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를 시작했다.[23][24] 1965년 인터뷰에서 절권도의 기본 개념을 설명했지만,[25] 1967년에 이르러서야 '절권도'라는 이름을 사용하게 되었다.

이소룡은 자신의 무술에 이름을 붙이는 것을 고민했지만, 필요에 의해 '절권도'라는 이름을 붙이게 되었다. 그는 절권도가 특정한 스타일이나 틀에 얽매이지 않기를 바랐다. 절권도는 자신을 비추는 거울과 같은 이름일 뿐이며, 가입할 수 있는 조직이 아니라고 강조했다.[26]

이소룡은 선 불교의 가르침처럼, 컵에 물을 채우고 비우는 것처럼 "쓸모없는 것을 버리는" 철학을 강조했다.[27] 그는 전통적인 형식 기반의 무술이 실제 전투 상황에 비효율적이라고 생각했다. 실제 전투는 살아있고 역동적이므로, 절권도는 수련자들이 실제 전투의 변화에 적응하고, 기술을 채택할 가치가 있는지 판단하도록 고안되었다.[16]

이소룡은 절권도에 4가지 보편적인 전투 진리를 통합했다. 특히 "4가지 전투 거리"는 "완전한" 무술가가 되는 데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했으며, 이는 종합격투기와 가장 관련이 있는 원칙이다.[28] 절권도 수련자들은 최고의 방어는 강력한 공격이라는 "요격"의 원칙에 동의한다. 상대가 공격하려면 움직여야 하고, 이때 공격을 "요격"할 기회가 생긴다. 요격은 물리적 공격뿐만 아니라 비언어적 신호와 예비 동작을 감지하여 유리하게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28]

절권도는 다음의 4가지 전투 거리를 포함한다.[28]

전투 거리
발차기
타격
트래핑
그래플링



절권도 수련생들은 이 모든 거리에서 동일하게 훈련하며, 이는 절권도를 다른 무술과 차별화하는 요소 중 하나이다. 이소룡은 대부분의 전통 무술 시스템이 한두 가지 거리에 특화되어 훈련한다고 언급했다. 이소룡의 이론은 종합격투기 분야에서 타당성을 입증했으며, 종합격투기 격투 단계는 절권도의 격투 거리와 같은 개념이다.

3. 1. "물처럼 되어라(Be like water)"

이소룡은 무술 체계가 물처럼 유연해야 한다고 믿었다. 그는 물의 유연성을 비유로 들어 무술가가 가져야 할 바람직한 특성을 설명했다. 물은 형태가 없어 어떤 그릇에도 담길 수 있고, 투명하지만 때로는 시야를 가리기도 하며, 장애물을 돌아 흐르거나 부술 수도 있다. 부드러운 파동으로 단단한 바위를 침식시키고, 작은 조약돌 사이로 흘러갈 수도 있다.[16]

이러한 물의 속성처럼, 절권도 수련생들은 전통적인 훈련 방식, 싸움 스타일, 유교 교육학에 얽매이지 않고 끊임없이 변화하는 실전 상황에 적응해야 한다. 이소룡은 "쓸모있는 것은 흡수하고, 쓸모없는 것은 버려라"라는 속담을 인용하며, 절권도 수련생들이 모든 형태의 전투를 연구하고 자신의 것으로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16]

절권도 수련자는 상대의 공격을 단순히 막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공격으로 가로막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는 일부 전통적인 중국 무술과 유럽 펜싱의 에페(펜싱 용어로는 "반격")에서 볼 수 있는 방어 기술이다.[30]

이소룡1960년대 미국에서 영춘권을 기반으로 한 진번쿵푸를 가르쳤으나, 로스앤젤레스로 이주한 후 더욱 실전적인 무술을 추구하여 1966년 절권도를 창시했다.[43][44] 절권도는 "상대의 공격을 끊는 방법"이라는 뜻으로, 상대를 제압하는 무술인 동시에 삶의 장애물을 극복하는 지혜를 의미한다. 이소룡동양 철학, 특히 선불교와 노장 사상의 영향을 받아 규칙에 얽매이지 않는 자유로운 격투 스타일을 추구했다.

댄 이노산토가 계승한 절권도는 단순함, 직접성, 비고전성을 기본 개념으로 한다. 이소룡은 "형태가 없고, 모양이 없으며, 물과 같아라(Be Formless, Shapeless, Like Water)"와 같은 말로 절권도의 정신을 표현했으며, "무법으로써 유법을 삼고, 무한으로써 유한을 삼는다(以無法為有法 以無限為有限)"는 무도 철학을 제시했다.

3. 2. 효율성과 단순성

절권도는 불필요한 움직임을 최소화하고,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상대를 제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는 "최소한의 움직임으로 최대한의 효과를 낸다"는 원칙으로 표현된다.[29] 절권도 수련생들은 시간이나 움직임을 낭비하지 않도록 훈련받으며, 가능한 가장 짧은 거리, 시간, 에너지로 상대를 타격하되 강력하고 정확한 타격을 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29]

절권도에서는 단순함을 추구하며, 전투에 있어서 가장 단순한 것들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믿는다.[29] 예를 들어, 상대의 공격에 대처할 때, 공격을 막거나 쳐내면서 동시에 반격을 가하는 것은 일부 중국 무술에서도 사용되는 기술이다.

3. 3. 4가지 전투 거리

이소룡은 절권도에 전투의 성공으로 이끄는 4가지 보편적인 전투 진리를 통합했다. 특히 "4가지 전투 거리"는 그가 "완전한" 무술가가 되는 데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했으며, 이는 종합격투기와 가장 관련이 있는 원칙이다.[28]

절권도 수련자들은 최고의 방어는 강력한 공격이라는 생각에 동의하며, "요격"의 원칙을 따른다. 상대방이 공격하려면 그들을 향해 움직여야 하고, 이것은 그 공격이나 움직임을 "요격"할 기회를 제공한다. 요격의 원칙은 물리적인 공격을 요격하는 것 이상을 다루며, 비언어적 신호와 예비 동작을 감지하여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고 보았다.[28]

절권도 수련자는 단순히 공격을 막는 대신, 상대의 공격을 자신의 공격으로 가로막도록 훈련받는다. 절권도 수련자들은 이것이 개발하기 가장 어려운 방어 기술이라고 생각한다.

  • ''단일 각도 공격''(SAA, Single Angular Attack)과 그 반대 개념인 ''단일 직접 공격''(SDA, Single Direct Attack).
  • ''손 제압 공격''(HIA, Hand Immobilization Attack)과 그 대응 기술인 ''발 제압 공격''은 상대방의 신체 부위의 기능을 제한하기 위해 트래핑 기술을 활용한다.
  • ''점진적 간접 공격''(PIA, Progressive Indirect Attack). 상대방의 신체 한 부분을 공격한 다음, 틈을 만들기 위해 다른 부분을 공격하는 방식이다.
  • ''조합 공격''(ABC, Attack By Combinations). 여러 번의 신속한 공격을 사용하여 공격의 양으로 상대를 제압하는 기술이다.
  • ''유인 공격''(ABD, Attack By Drawing). 포지셔닝을 통해 틈을 만들고 반격하는 기술이다.

3. 4. 5가지 공격 방법

이소룡은 상대방이 공격하기 위해 움직일 때 발생하는 기회를 포착하는 "요격"의 원칙을 중요하게 생각했다. 절권도 수련자들은 비언어적 신호와 예비 동작을 감지하여 공격을 예측하고, "5가지 공격 방법"을 통해 다양한 공격 기술을 익힌다. 이러한 공격 방법은 절권도의 공격 부분을 구성하며, 유럽 펜싱과 윙춘의 개념을 바탕으로 한다.[28] 절권도 기술은 효율성, 직선성, 단순성을 추구한다.[28]

4. 분파

이소룡 사후, 절권도는 그의 제자들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계승, 발전되었다.[43][44] 크게 '''오리지널 절권도'''와 '''절권도 컨셉'''의 두 분파로 나뉜다.

두 분파는 "절권도 프레임워크"에 무엇을 포함하는지에 대해 차이를 보인다. 오리지널 절권도는 이소룡이 사망하기 전의 원래 원리가 개인 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전부라고 믿는다. 반면 절권도 컨셉은 추가적인 원리가 있다고 본다. 각 분파의 가치는 개인 수련자가 판단한다.

절권도를 이해하려면 두 가지 관점의 차이를 이해해야 한다.


  • '''절권도 프레임워크:''' 지침 원리를 제공한다. 이소룡은 여러 스타일과 기술을 실험했고, 이 원리들은 자명한 진리였다. 프레임워크는 어떤 스타일에도 얽매이지 않는 과정이다.
  • '''절권도 개인 시스템:''' 프레임워크를 사용해 "개인 시스템"을 구축한다. 개인 맞춤형 시스템을 만드는 "블록 쌓기" 방식이다. 이소룡은 기술의 유용성은 개인만이 결정할 수 있다고 믿었다.


이소룡은 이러한 채택의 자유가 전통 무술과의 차이점이라고 믿었다. 절권도는 "스타일"이 아닌 "과정"이며, "제품"이 아닌 시스템, 개념, 접근 방식이라고 강조했다.

4. 1. 오리지널 절권도 (준 판 절권도)

이소룡이 직접 가르친 내용을 중심으로, 원형을 보존하고 발전시키는 데 중점을 둔다. 터키 키무라, 제임스 리, 제리 포티트, 테드 웡 등이 대표적인 인물이다. 이 분파는 이소룡이 가르친 내용만을 가르치며, 제자들이 그 가르침을 통해 자신의 능력을 더욱 발전시키도록 장려한다. 이 분파의 훈련 원리는 "원래 가르침"의 정적인 개념에 기반하며, 이는 수 세기 동안 가르쳐져 "스타일"로 인식된 "전통" 무술의 훈련 시스템과 유사하지만, "스타일 없는 스타일" 철학이라고 불린다.

오리지널 절권도는 다시 두 가지 관점으로 나뉜다.

  • '''OJKD''': 초기 준 판 쿵푸(시애틀 시대) 시절부터 이소룡의 모든 훈련을 따르며 윙 춘의 영향을 받은 트래핑에 중점을 둔다.
  • '''준 판 절권도''': 이소룡이 테드 웡에게 개인적으로 가르친 절권도의 대표적인 버전이다. 후기 시대에 해당하며 이소룡의 후기 전투 접근 방식에 특유한 기민함과 단순화된 트래핑에 더 큰 비중을 둔다. 펜싱과 서양 권투에 중점을 둔다.


이소룡에게 직접 가르침을 받은 주요 인물들은 다음과 같다.

이름시기역할 및 설명
터키 키무라시애틀 시대직제자이자 친구. 일본계 미국인. 이소룡에게 도장 개설의 계기를 마련. 진번 쿵푸 인스트럭터 면장을 받았으며, 시애틀의 진번 국술관을 맡았다. 이소룡 사후에는 진번 쿵푸의 계승자로서 소수의 사람들에게만 가르침을 전했다. 2021년 사망.
제임스 리오클랜드 시대직제자. 진번 쿵푸 인스트럭터 면장을 받았으며, 오클랜드의 진번 국술관을 맡았다. 진번 쿵푸의 계승자. 1972년 사망.
댄 이노산토로스앤젤레스 시대직제자. 제자 중 유일하게 3종류의 면장(진번 쿵푸, 진번 권도, 절권도) 모두 3등급(지도원 레벨)을 수여받았다. 이소룡 공인 절권도 랭킹 최고 랭크 보유자. 로스앤젤레스의 진번 국술관을 맡았다. 이소룡 사후 현재까지 이노산토 아카데미 대표.
리처드 바스티요로스앤젤레스 시대직제자. 이소룡 사후 진번 쿵푸의 계승자로서 IMB 아카데미 대표. 2017년 사망.
테드 웡로스앤젤레스 ~ 홍콩 시대직제자. 인스트럭터 면장은 주어지지 않았지만, 1967~1973년까지 개인 레슨을 받았으며, 스파링 파트너이기도 했다. 이소룡 사후 15년에 걸쳐 기술을 연마한 후 전승에 힘썼다. 2010년 사망.


4. 2. 절권도 컨셉

절권도 컨셉은 댄 이노산토, 리차드 버스티요, 래리 하트셀 등이 지지하는 분파이다. 이들은 절권도를 정적인 무술이 아닌 지속적으로 진화하는 무술로 여긴다. 개인의 선호도와 신체적 특성에 맞춰 다른 여러 무술(특히, 그래플링과 칼리 / 에스크리마)의 요소를 통합하여 가르친다.

댄 이노산토가 계승한 계통은 단순, 직접, 비고전적이라는 기본 개념을 따른다. 이는 "Be Formless, Shapeless, Like Water(형태가 없고, 모양이 없으며, 물과 같아라)", "When one has reached maturity in the art, one will have a formless form(예술에 있어 성숙함에 도달했을 때, 형태 없는 형태를 가지게 될 것이다)", "Walk On(계속 걸어가라)"과 같은 이소룡의 말에 나타나는 사상과 정신을 따른다. 또한, "以無法為有法 以無限為有限(무법으로써 유법을 삼고, 무한으로써 유한을 삼는다)"라는 절권도의 무도 철학을 답습한다. 흐르는 물처럼 끊임없이 스스로를 진화시켜 궁극적으로 형태 없는 형태, 법 없는 법으로 승화시키는 끝없는 길을 걷는다는 의미이다. 진번 쿵푸뿐만 아니라 칼리, 실랏, USA 슈토 등 다양한 무술을 수련하며, 모든 무술과 격투기를 연구하고 대처했던 이소룡처럼 실전성을 중시하여 다양한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실전을 거듭하고 있다.

5. 한국의 절권도

한국에서 절권도는 이소룡 영화의 인기를 통해 대중에게 널리 알려졌다. 1970년대부터 이소룡 영화 팬들을 중심으로 절권도 수련이 시작되었으며, 현재도 다양한 도장과 동호회를 통해 그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 특히 1990년대 이후 종합격투기(MMA)가 인기를 끌면서, 실전 무술로서 절권도의 가치가 재조명되고 있다.

5. 1. 한국 절권도 주요 인물

절권도는 이소룡(브루스 리)에 의해 창시된 무술로, 한국에서도 많은 수련생과 지도자들이 활동하고 있다.

6. 대중문화 속 절권도

절권도는 영화, 게임 등 다양한 대중문화 콘텐츠에서 매력적인 무술로 묘사되고 있다. 이소룡의 영화는 절권도를 전 세계에 알리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6. 1. 영화

그린 호넷의 가토는 1966년 TV 시리즈에서 이소룡이 연기하면서 절권도를 사용하는 최초의 가공 인물이다. 이 TV 시리즈에서 이소룡은 절권도와 관련된 다양한 기술을 시연했다.[2][34] 이소룡의 영화들은 절권도를 전 세계에 알리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정무문, 맹룡과강, 용쟁호투 등은 절권도의 역동적인 액션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작품이다.[43][44]

6. 2. 게임

철권 시리즈의 마샬 로우, 포레스트 로우, 리 차오랑, 모탈 컴뱃 시리즈의 류 강을 포함한 많은 격투 게임 캐릭터들이 절권도를 사용한다.[35]

참조

[1] 서적 Bruce Lee: Dynamic Becoming
[2] 잡지 Black Belt Magazine, November 1967 issue https://books.google[...] Black Belt Magazine
[3] 서적 Black Belt: Bruce Lee Collector's Edition 1993
[4] 서적 Bruce Lee: Fighting Spirit : a Biography https://archive.org/[...] Frog Books
[5] 서적 Bruce Lee: A Life Simon & Schuster
[6] 서적 Bruce Lee: Between Wing Chun and Jeet Kune Do Glover Publications 1976-01-01
[7] 학술지 With Bruce Lee: Taekwondo Pioneer Jhoon Rhee Recounts His 10-Year Friendship With the "Dragon" https://books.google[...] 1996-05-01
[8] 서적 The Way of the Warrior https://books.google[...] Dorling Kindersley Ltd
[9] 뉴스 Bruce Lee’s Protégé Recalls His Humility Amid ‘Once Upon a Time’ Criticism https://variety.com/[...] Variety 2019-07-31
[10] 뉴스 Dana White and the future of UFC https://magazine.fig[...] Fight Times 2004-10-01
[11] 뉴스 The MMA World Pays Tribute to Bruce Lee 40 Years After His Death https://bleacherrepo[...] Bleacher Report 2013-07-20
[12] 서적 The Way of the Warrior https://books.google[...] Dorling Kindersley Ltd
[13] 서적 The Warrior Within – The philosophies of Bruce Lee to better understand the world around you and achieve a rewarding life https://archive.org/[...] McGraw-Hill
[14] 웹사이트 Jeet Kune Do https://bruceleefoun[...] 2023-02-01
[15] 서적 Beyond Bruce Lee: Chasing the Dragon Through Film, Philosophy, and Popular Culture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16] 서적 The Tao of Jeet Kune Do Ohara Publications Inc.
[17] 서적 Bruce Lee: The Life of a Legend Birlinn
[18] 서적 Jeet Kune Do: The Arsenal of Self-Expression https://books.google[...] Tuttle Publishing
[19] 잡지 (Black Belt Magazine) The Man Who Changed The World: How Bruce Lee Continues to Influence the American Martial Arts https://books.google[...] Black Belt Magazine 2003-09-01
[20] 서적
[21] 서적 The Bruce Lee Story https://books.google[...] Black Belt Communications
[22] 서적 Karate's History & Traditions https://books.google[...] Tuttle Publishing
[23] 잡지 Bruce Lee's Toughest Fight http://www.kungfu.ne[...] Official Karate 1980-07-01
[24] 웹사이트 Bruce Lee: The Time Bruce Lee Was Challenged to a Real Fight http://mentalfloss.c[...] 2015-08-10
[25] 서적 Original Jeet Kune Do Quarterly Magazine - Issue 11 http://www.blurb.com[...] Blurb Books 2020-12-10
[26] 학술지 Liberate Yourself From Classical Karate https://books.google[...] Rainbow Publications, Inc. 1971-09-01
[27] 잡지 In Kato's Gung-fu Action is Instant https://books.google[...] Black belt magazine 1967-11-01
[28] 학술지 The Maze of Jeet Kune Do Rainbow Publications, Inc. 1995-01-01
[29] 웹사이트 What Makes Jeet Kune Do an Effective Fighting Art? https://www.lvshaoli[...] 2023-03-25
[30] 서적 Bruce Lee's Fighting Method https://archive.org/[...] Ohara Publications, Inc.
[31] 서적 The Tao of Jeet Kune Do Ohara Publications Inc.
[32] 서적 Jeet Kune Do: The Art & Philosophy of Bruce Lee Know Now Publishing Co.
[33] 서적 Bruce Lee – The Art of Expressing The Human Body Tuttle Publishing
[34] 잡지 Black Belt https://books.google[...] Active Interest Media, Inc. 1967-10-01
[35] 웹사이트 The Virtua Fighter of the Day: Sarah http://uk.ign.com/ar[...] 2002-03-13
[36] 웹사이트 Eternal Champions http://www.hardcoreg[...] 2023-03-06
[37] 웹사이트 UFC 111: Ben Saunders Harnessing His Inner Bruce Lee for Jon Fitch https://bleacherrepo[...]
[38] 간행물 Emerson Knives
[39] 뉴스 IMB Academy News http://www.imbacadem[...] IMB Academy 2007-02-20
[40] 웹사이트 Glenn Danzig Satan's Child https://web.archive.[...] the7thhouse.com 2009-10-09
[41] 웹사이트 Glenn Danzig trained in Jeet Kune Do by Bruce Lee https://www.youtube.[...] 2007-08-23
[42] 웹사이트 UFC 155 fight card preview | Fox Sports https://amp.foxsport[...]
[43] 웹사이트 History ジークンドーの歴史 | JEET KUNE DO ASIA / JAPAN https://jeetkunedoas[...]
[44] 웹사이트 ジークンドーの歴史 | IUMA日本振藩國術館 http://www.bruceleej[...]
[45] 웹사이트 Remembering Bruce Lee, and his time in Seattle, on the 80th anniversary of his birth https://www.seattlet[...] 2024-12-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