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약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약종은 조선 후기 천주교 신자이자 순교자이다. 그는 정재원의 아들이자 정약현, 정약전, 정약용의 형이며, 본관은 나주이다. 젊은 시절 성리학을 공부했으나, 천주교에 입문하여 '아우구스티노'라는 세례명을 받았다. 1795년 주문모 신부를 맞아들이고 명도회 회장으로 활동하며 전교에 힘썼으며, 한글 교리서인 《주교요지》를 저술했다. 1801년 신유박해로 체포되어 순교했으며, 아들 정철상과 손자 정하상, 딸 정정혜도 순교했다. 2014년 프란치스코 교황에 의해 시복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의 로마 가톨릭교도 - 권일신
권일신은 조선 후기 천주교 신자이자 전교자로, 이승훈에게 세례를 받은 후 형 권철신과 함께 충청도 지역에 천주교를 전파하는 데 기여했으며, 가성직 제도 문제점을 인지 후 평신도로 돌아가 중국에 성직자 파견을 요청하다 신해박해 때 배교 후 고문 후유증으로 사망했다. - 조선의 로마 가톨릭교도 - 김 테레사
김 테레사는 순교자 아버지의 신앙을 이어받아 헌신적인 삶을 살며 신앙의 모범을 보이다가 기해박해 때 체포되어 혹독한 고문 후 1840년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성녀이다. - 정약용 - 자산어보 (영화)
《자산어보》는 신유박해로 흑산도에 유배된 정약전이 창대의 도움을 받아 『자산어보』를 집필하는 과정을 그린 영화로, 18세기 조선의 사회상과 정치적 격변기를 묘사하며 흥행과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 정약용 - 목민심서
《목민심서》는 정약용이 지방관의 덕목과 정책을 제시하기 위해 저술한 책으로, 청렴과 애민 정신을 강조하며 12강 72조로 구성되어 지방관의 자세, 행정 실무, 빈민 구제 정책 등을 담고 있다. - 교황 프란치스코가 시복한 복자 - 교황 바오로 6세
교황 바오로 6세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를 마무리하고 교회 개혁을 추진한 교황으로, 교황청 개혁과 전례 개혁을 단행하고 교회 일치 운동에 기여했으나, 인공 피임 금지 회칙과 교회 개혁 논란으로 복잡한 시기를 겪었으며 시복 및 시성되었다. - 교황 프란치스코가 시복한 복자 - 주문모
청나라 출신 가톨릭 신부 주문모는 1794년 조선에 잠입하여 선교 활동을 하다 1801년 신유박해 때 순교하였으며, 초기 조선 천주교회 성장에 기여하여 2014년 시복되었다.
정약종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존경 대상 | 로마 가톨릭교회 |
칭호 | 순교자 |
축일 | 9월 20일 |
시복일 | 2014년 8월 16일 |
시복 장소 | 대한민국 서울 |
시복자 | 교황 프란치스코 |
출생일 | 1760년 |
출생지 | 조선 경기도 광주 |
사망일 | 1801년 4월 8일 (41세) |
사망 장소 | 조선 서울 서소문 |
한국어 이름 | 정약종 아우구스티노 |
한자 이름 | 丁若鍾 아우구스티노 |
로마자 표기 | Jeong Yakjong Auguseutino |
2. 생애
정약종(丁若鍾, 1760년 ~ 1801년)은 조선 후기의 천주교 신자이자 순교자이다. 자는 명백(鳴伯)이며, 세례명은 아우구스티노이다. 정약전, 정약용의 형으로, 처음에는 성호 이익 밑에서 성리학을 공부했으나 1786년 형 정약전의 권유로 천주교에 입문하였다.[15] 이후 신해박해와 같은 박해 속에서도 동생 정약용이나 형 정약전과는 달리 끝까지 신앙을 지켰다.[19] 그는 주문모 신부를 국내로 맞아들이는 데 기여했으며, 천주교 전파와 교리 연구를 위한 평신도 단체인 명도회(明道會) 회장을 맡는 등 천주교 전교 활동에 헌신했다. 특히 한자를 모르는 이들도 쉽게 교리를 이해할 수 있도록 최초의 한글 천주교 교리서인 《주교요지》를 저술하여 천주교의 대중화에 크게 기여했다.[21][6][22] 1801년 신유박해 때 체포되어 서소문 밖 형장에서 순교하였고,[20] 2014년 8월 16일 교황 프란치스코에 의해 시복되었다.
2. 1. 어린 시절과 가문의 내력
본관은 나주(羅州)이며, 진주목사를 지낸 정재원(丁載遠)의 셋째 아들로 경기도 광주(지금의 남양주시 조안면 능내리)에서 태어났다. 형으로 정약현과 정약전이 있고, 동생으로 정약용이 있다. 젊은 시절에는 성호 이익 밑에서 성리학을 공부했으며, 한때 도교를 연구하기도 했다. 천성이 곧고 모든 일에 정성을 다하는 성품을 지녔다.[6]아버지 정재원은 1762년(영조 38년) 3월에 생원시에 합격했으나, 출세에 큰 욕심이 없어 사돈인 채제공이 여러 차례 과거 대과 응시를 권유했음에도 이를 따르지 않았다.[7] 뒤늦게 생활고 때문에 음관으로 벼슬길에 나아가 호조좌랑, 울산부사, 진주목사(정3품)까지 지냈다.[8][9]
정약종 가문의 본관은 본래 압해(押海)였다. 압해는 현재 전라남도 신안군에 속한 섬이지만, 조선 시대에는 나주목에 속했기 때문에 나주 정씨로도 불렸다.[10] 조상들은 고려 말 황해도 배천에 살다가 조선이 개국하자 서울로 이주했다. 11대 조부 정자급(丁子伋)이 승문원 교리를 지낸 이래 8대에 걸쳐 벼슬을 하였다.[11] 이 8대 조상은 모두 홍문관 명부에 이름을 올렸는데, 홍문관은 사헌부, 사간원과 함께 삼사(三司)로 불린 중요 부서로, 학문이 높은 학자 관료만 들어갈 수 있는 청요직(淸要職)의 상징이었다.[10][12] 정승·판서 등 고위 관리들은 거의 예외 없이 이곳을 거쳐갔다.[12]
[11]
그러나 1694년(숙종 20년) 갑술환국으로 서인이 집권하고 남인이 몰락하자, 5대조 정시윤은 당쟁을 피해 경기도 광주 마현(馬峴)으로 옮겨 살게 되었다.[13] 이후 고조부 정도태(丁道泰)와 증조부 정항신(丁恒愼)은 벼슬을 하지 못했고[11], 조부 정지해(丁志諧)는 통덕랑을 지냈다.
2. 2. 천주교 입문과 신해박해
1786년에 형 정약전의 권유로 로마 가톨릭교회 세례를 받고 '아우구스티노'라는 세례명을 얻었다.[15] 1787년(정조 11년) 10월경에는 반회사건이 발생했으나,[14] 관련된 이들에게 직접적인 처벌은 내려지지 않았다. 하지만 천주교 서적의 유입과 확산이 문제되어 1788년 8월, 전국적으로 천주교 관련 서적을 찾아내 불태우는 조치가 시행되었다. 이때 아버지 정재원은 아들들에게 천주교 신앙을 버리라고 명했다.[15] 동생 정약용과 형 정약전은 아버지의 뜻을 따랐지만, 정약종은 천주교 신앙을 포기하지 않았다.1791년, 전라도 진산에서 선비 윤지충이 조상 제사를 금지하는 천주교 교리를 따르기 위해 어머니의 장례를 천주교식으로 치르고 제사를 폐지한 사건, 즉 진산사건이 발생하여 사회적으로 큰 파문을 일으켰다. 윤지충은 정약종의 외가 친척이었기에[15] 정약종의 집안 역시 큰 충격을 받았다. 조상 제사를 거부하는 것은 유교의 핵심 가치인 '효'를 부정하는 행위였으며, 이는 곧 나라의 어버이인 왕에 대한 '충'을 부정하는 것으로 여겨졌다. 이는 유교 이념을 기반으로 한 조선의 지배 체제 자체를 부정하고 도전하는 심각한 문제로 받아들여졌다.[16] 결국 윤지충과 권상연은 참수형을 당했다.
이전까지 정조는 천주교에 대해 비교적 관대한 태도를 보였으나,[17][18] 1785년 명례방 사건 이후 천주교를 사교(邪敎)로 규정한 바 있었다. 진산사건 이후 정조는 관련자들에게 극형을 명한 후, 홍문관에 보관되어 있던 서양 서적들을 소각하여 서양 사상의 확산을 막으려는 단호한 조치를 취했다. 이 사건을 계기로 동생 정약용과 형 정약전은 천주교와 완전히 관계를 끊었다. 그러나 이러한 혼란 속에서도 정약종의 신앙은 흔들리지 않았다.[19] 그는 아버지와 형제들이 제사에 참여하라고 권유하자 이를 거부하고, 결국 처자식을 데리고 고향 마재를 떠나 한강 건너편 양근의 분원으로 이사했다.[19]
2. 3. 전교 활동과 《주교요지》 저술
1795년에는 이승훈과 함께 청나라 출신의 로마 가톨릭교회 신부였던 주문모를 맞아들였다. 그는 신앙 실천 운동에 참여하여 낡은 관습과 계급 제도를 타파하려는 사회 운동을 촉진하며 천주교 전도에 힘썼다.[20] 또한 주문모 신부가 천주교 교리 연구와 전교 활성화를 위해 만든 평신도 단체인 명도회(明道會)의 회장을 맡기도 했다.1799년에는 서울에서 한국 최초의 천주교 회장이 되어 많은 사람에게 천주교를 전파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특히 조선 천주교인으로는 처음으로 순 한글로 된 천주교 교리서 《주교요지》 상, 하권을 저술하여 전교에 큰 공헌을 했다.[21][6] 이 책을 쓴 주된 이유는 한자를 모르는 신자나 여성, 어린이들도 쉽게 천주교 교리를 이해하도록 돕기 위해서였다.[22] 또한, 핵심 교리를 뽑아 엮음으로써 당시 유학자들의 천주교 비판에 대응하려는 목적도 있었다.[23] 특히 안정복이 쓴 《천학문답》은 그동안 천주교 전파에 큰 어려움을 주었었다.
2. 4. 신유박해와 순교
1799년에 서울로 이사하여 문영인의 집을 빌어 살기 시작했다.[24] 1801년 초 《성교전서》를 집필하던 중에 신유박해가 일어났다. 이미 죽을 각오는 되어 있었으나 성상과 교리서적 등은 후대에 전해져야 한다고 생각하여 황사영의 집으로 옮겨 감추기로 하였다. 작은 고리짝에 넣고 적당히 위장한 뒤 머슴을 시켜 옮겨놓게 했으나, 운반 도중에 밀도살한 쇠고기를 운반하는 것으로 오인 받아 포도청에 끌려가고 말았다.[25] 정약종은 2월 11일(음력)에 체포되었고, 고리짝의 내용물이 모두 자기 것임을 시인한 뒤 천주교 박해의 부당함을 항변하였다.[26] 1801년 2월 26일(음력) 서소문 밖에서 이승훈·최필공·최창현 등과 함께 순교하였다.[20] 정약종의 아들인 정철상도 참수당하여 순교했다. 2014년 8월 16일 프란치스코 교황이 한국을 방문하였을 때에 시복되었다.저서로는 《주교요지》와 《이벽선생몽회록》이 있다. 《이벽선생몽회록》은 1777년에 쓴 종교소설로 이벽을 주인공으로 하고 있다.[27]
3. 가계
- '''조부''': 정지해(丁志諧)
- '''조모''': 풍산 홍씨 홍길보(洪吉輔)의 딸
- * '''아버지''': 정재원(丁載遠)
- * '''전모''': 의령 남씨 남하덕(南夏德)의 딸
- ** '''이복 형''': 정약현(丁若鉉)
- * '''생모''': 해남 윤씨 윤덕렬(尹德烈)의 딸 윤소온(尹小溫)
- ** '''형''': 정약전(丁若銓)
- ** '''아우''': 정약용(丁若鏞)
- ** '''누이''': 평창 이씨 이승훈(李承薰)에게 출가
- ** '''누이''': 평강 채씨 채홍근(蔡弘謹)에게 출가
- ** '''누이''': 연안 이씨 이중식(李重植)에게 출가
- * '''서모''': 김씨
- ** '''이복 동생''': 정약횡(丁若鐄)
- '''부인''': 경주 최씨(慶州 崔氏)
- * '''딸''': 달성 배씨 배윤문(裵允文)에게 출가
- '''부인''': 한산 이씨 이수정(李秀廷)의 딸
- * '''아들''': 정철상(丁哲祥, 세례명 가롤로, 1801년 순교) - 감옥에 갇힌 아버지를 돌보았다.
- '''부인''': 유선임(柳選任, 세례명 체칠리아, 1839년 순교)
- * '''아들''': 정하상(丁夏祥, 세례명 바오로, 1839년 순교) - 이문우 등과 함께 앵베르 주교에게 라틴어와 신학을 배운 신학생이었으며, 성직자 영입, 신학생 선발(김대건, 최양업, 최방제) 등에 참여한 천주교회 평신도 활동가였다.
- * '''딸''': 정정혜(丁情惠, 세례명 엘리샤벳, 1839년 순교)
참조
[1]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Christian Missions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2]
서적
Bibliography on East Asian Religion and Philosophy
https://archive.org/[...]
Edwin Mellen Press
[3]
네이버지식백과
정약종 [丁若鍾] (두산백과)
https://terms.naver.[...]
[4]
다음백과
정약종 (丁若鍾)
https://100.daum.net[...]
[5]
네이버지식백과
정약종 [丁若鍾]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s://terms.naver.[...]
[6]
서적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19
웅진출판
[7]
서적
정약용과 그의 형제들 1
김영사
[8]
서적
정약용과 그의 형제들 1
김영사
[9]
서적
똑바로 살아라
다산초당
[10]
서적
정약용과 그의 형제들
김영사
[11]
네이버지식백과
자찬묘지명-집중본 - 1-1 [自撰墓誌銘-集中本] (여유당전서 - 시문집 (산문) 16권, 박석무, 송재소, 임형택, 성백효)
[12]
네이버지식백과
홍문관 [弘文館] (두산백과)
[13]
서적
정약용과 그의 형제들 1
김영사
[14]
네이버지식백과
반회사건 [泮會事件] (두산백과)
https://terms.naver.[...]
[15]
서적
정약용과 그의 형제들 2
김영사
[16]
서적
한 권으로 보는 한국사
가람기획
[17]
네이버지식백과
정조 [正祖] (두산백과)
https://terms.naver.[...]
[18]
서적
이덕일의 여인열전
김영사
[19]
서적
정약용과 그의 형제들 2
김영사
[20]
백과사전
정약종
https://ko.wikisourc[...]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21]
서적
한국신학
원흥문화사
1998
[22]
서적
정약용과 그의 형제들 2
김영사
[23]
서적
정약용과 그의 형제들 2
김영사
[24]
카톨릭사전
정약종 (丁若鍾, 1760~1801)
https://maria.cathol[...]
[25]
서적
정약용과 그의 형제들 2
김영사
[26]
서적
정약용과 그의 형제들 2
김영사
[27]
서적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17
웅진출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