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정하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하상은 1795년 정약종의 아들로 태어나, 1801년 신유박해로 부친이 순교한 후 천주교 신앙을 지키며 성장했다. 그는 천주교 성직자 영입을 위해 노력하여, 베이징을 오가며 사제 파견을 요청하고 교황청에 조선 교구 설립을 청원했다. 1839년 기해박해 때 순교하였으며, 1984년 요한 바오로 2세에 의해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정약용 - 자산어보 (영화)
    《자산어보》는 신유박해로 흑산도에 유배된 정약전이 창대의 도움을 받아 『자산어보』를 집필하는 과정을 그린 영화로, 18세기 조선의 사회상과 정치적 격변기를 묘사하며 흥행과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 정약용 - 목민심서
    《목민심서》는 정약용이 지방관의 덕목과 정책을 제시하기 위해 저술한 책으로, 청렴과 애민 정신을 강조하며 12강 72조로 구성되어 지방관의 자세, 행정 실무, 빈민 구제 정책 등을 담고 있다.
  • 교황 요한 바오로 2세가 시성한 성인 - 김대건
    김대건 안드레아는 한국 최초의 천주교 사제이자 순교자로, 천주교 신앙을 가진 가문에서 태어나 사제의 길을 걸으며 마카오와 필리핀에서 신학을 공부한 후 조선에서 선교 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26세에 순교하였고, 그의 순교는 한국 천주교 역사에 중요한 전환점이 되어 1984년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 교황 요한 바오로 2세가 시성한 성인 - 한국의 로마 가톨릭 성인
    한국의 로마 가톨릭 성인은 조선 시대 박해 속에서 순교한 천주교 신자들로, 한국 천주교 순교 성인 103위가 대표적이며, 이들의 순교는 한국 천주교회의 기반을 굳건히 하고 역사적 의미를 깊게 새기고 있으며, 현재도 추가적인 시복·시성 운동이 진행 중이다.
  • 나주 정씨 (丁) - 정래혁
    정래혁은 대한민국 육군 장교 출신 정치인으로, 5·16 군사정변에 가담하여 군사혁명위원과 국가재건최고회의 최고위원을 지냈고, 상공부 장관과 국방부 장관, 국회의원, 민주정의당 대표위원을 역임하는 등 군과 정계에서 활동했으나 부정축재 혐의와 실미도 사건 책임 논란이 있는 인물이다.
  • 나주 정씨 (丁) - 정해창
    정해창은 서울대학교 법학과 수석 졸업 후 검사로 임용되어 법무부 장관을 두 차례 역임한 법조인 및 정치인으로, 변호사 활동과 사회 활동을 통해 법조계에 기여했으며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하기도 했다.
정하상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존칭성인
이름정하상 바오로
출생 이름정하상
출생일1794년 또는 1795년
사망일1839년 9월 22일
사망지한성 (조선)
공경가톨릭교회
성공회
시복일1925년 6월 6일
시복자교황 비오 11세
시성일1984년 5월 6일
시성자교황 요한 바오로 2세
축일9월 20일 (로마 달력, 한국 순교자들과 함께)
상징한복과 갓, 십자고상, 순교자의 종려가지
수호한국
인적 사항
직업평신도 지도자, 한국 순교자

2. 생애

정하상은 1795년정약종의 아들로 태어났다. 1801년 신유박해 때 부친 정약종과 형 정철상이 참형으로 순교하였다. 신유박해는 정순왕후가 남인들을 숙청하기 위해 '사학 엄금교서'를 내림으로써 발생한 천주교회 박해사건이었다.

박해로 재산이 몰수되어 생계를 유지할 수 없게 된 정하상은 어머니 유소사(체칠리아, 1761년-1839년)와 여동생 정정혜(엘리사벳, 1791년-1839년)와 같이 숙부인 다산 정약용의 고향 마재에서 살았다. 친척들은 천주교 신앙을 버리지 않는 정하상의 가족을 좋아하지 않았는데, 샤를 달레의 천주교회사에 의하면 그리스도 신앙을 지키기 위해 상당한 곤욕을 치렀다.[5]

정하상은 성장한 후, 정부 통역관의 종이 되어 여러 번 북경을 여행할 수 있었고, 그곳에서 베이징 주교에게 한국에 사제를 파견해 달라고 간청했으며, 교황 그레고리오 16세에게 베이징 주교를 통해 한국에 교구를 설립해 달라고 요청하는 편지를 썼다. 몇 년 후, 라리보 마리 조셉 앵베르 주교와 두 명의 사제가 파견되었고, 앵베르 주교는 정하상에게 라틴어신학을 가르쳤다.

정하상은 체포되어 재판관에게 가톨릭교를 옹호하는 진술서를 제출했고, 재판관은 "당신이 쓴 것은 옳소. 그러나 국왕이 이 종교를 금지했으니, 그것을 포기하는 것이 당신의 의무입니다."라고 말했다. 정하상은 "저는 제가 그리스도인이라고 말씀드렸고, 죽을 때까지 그럴 것입니다."라고 대답했다. 이후 정하상은 일련의 고문을 겪었지만 그의 표정은 평온함을 유지했고, 마침내 그는 수레에 십자가에 묶여 44세의 나이로 순교하였다.[2]

한국 순교자들은 로마 가톨릭 교회에서 9월 20일에 기념일을 통해 기념된다. 정하상을 포함한 103명의 순교자는 1984년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에 의해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2. 1. 어린 시절과 성장

1801년 신유박해로 아버지 정약종과 형 정철상이 순교한 후, 정하상은 어머니 유소사(체칠리아), 여동생 정정혜(엘리사벳)와 함께 숙부 정약용의 고향 마재에서 살았다. 친척들은 천주교 신앙을 버리지 않는 정하상 가족을 냉대하고 핍박했으나, 정하상은 어머니의 신앙 교육을 받으며 신앙을 지켰다.[5] 천주교 서적 소각으로 체계적인 교리 교육을 받기 어려워지자, 정하상은 함경도 무산으로 귀양 가 있던 조동섬(유스티노)을 찾아가 천주교와 학문을 배웠다.[6]

2. 2. 천주교 성직자 영입 노력

1801년 신유박해주문모 신부가 순교한 후, 조선 천주교회에는 성직자가 없는 상황이었다. 정하상은 역관의 노비위장취업하여 북경에 가서 천주교 사제 파견을 요청했다.[7] 양반 신분임에도 종이 되는 겸손함을 실천한 것이다. 정하상은 성직자 영입을 위해 중국에 다녀올 동안에 조숙 베드로, 권영례 데레사 부부의 도움을 받았다.[7]

1805년 북경 교회 박해로 어려움을 겪었으나, 포기하지 않고 한양과 북경을 오가며 지속적으로 노력했다.[7] 1824년에는 교우이자 중국말 역관인 유진길과 함께 교황 레오 12세에게 편지를 보내 조선 교구 설립을 요청했다. 1825년, 교황청은 조선을 독립된 전교지로 지정하고 파리 외방전교회에 전교를 맡겼다.[7]

1831년, 교황 그레고리오 16세파리 외방전교회 산하에 천주교 조선교구를 설치하고, 바르텔르미 브뤼기에르 주교를 초대 교구장으로 임명했다.[7] 1836년, 로랑조제프마리위스 앵베르 주교와 두 명의 사제가 조선에 입국했다.[2] 앵베르 주교는 정하상에게 신학을 가르쳤다.[7]

2. 3. 순교

1839년 기해박해 때 체포된 정하상은 재판 과정에서 가톨릭교를 옹호하는 진술서를 제출하며 신앙을 굽히지 않았다. 재판관은 "당신이 쓴 것은 옳소. 그러나 국왕이 이 종교를 금지했으니, 그것을 포기하는 것이 당신의 의무입니다."라고 말했지만, 정하상은 "저는 제가 그리스도인이라고 말씀드렸고, 죽을 때까지 그럴 것입니다."라고 대답했다.[2]

정하상은 여러 차례의 고문에도 불구하고 평온한 표정으로 신앙을 지켰다. 결국 수레에 십자가에 묶여 참수형을 받고 44세의 나이로 순교하였다.[2] 체포 직전 기독교 변증서 《상재상서》를 저술했다.[2] 어머니 유소사와 누이 정정혜도 같은 해에 순교하였다.[2]

3. 평가 및 유산

정하상은 헌신적인 노력과 순교로 한국 천주교회 발전에 중요한 밑거름이 되었다.[2] 1890년 홍콩 천주교의 약망 주교는 《상재상서》와 정하상의 전기인 《정보록 일기》를 간행하였다. 한국 순교자들은 로마 가톨릭 교회에서 9월 20일에 기념일을 통해 기념된다. 정하상은 1984년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에 의해 103위 한국 순교 성인 중 한 명으로 시성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Roman Martyrology https://www.vatican.[...] The Vatican
[2] 서적 The New Glories of the Catholic Church https://books.google[...] London 1859
[3] 문서 주교요지 발췌 내용
[4] 문서 천주교에 대한 비난 논박
[5] 뉴스 아이처럼 즐겁게 형장으로, 천국으로, 풍양 조씨의 박해에서 천주교를 지킨 정하상 http://h21.hani.co.k[...] 한겨레 21 2008-02-15
[6] 서적 가톨릭대사전
[7] 웹사이트 GoodNews 가톨릭정보 http://maria.catholi[...] 2017-12-08
[8] 문서 어린이 대상 천주교회 잡지 내용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