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사상구의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사상구의회는 사상구의회 의원을 선출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선거 결과, 사상구는 4개의 지역구(가, 나, 다, 라)로 나뉘어 각 지역구에서 2~3명의 의원을 선출했으며, 비례대표 1명을 포함하여 총 10명의 의원을 선출했다. 더불어민주당이 지역구 5석과 비례대표 1석을, 자유한국당이 지역구 4석을 차지했다.
사상구의회는 4개의 지역구 선거구로 구성되며, 각 선거구별 관할 지역과 선출 의원 수는 다음과 같다.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사상구의회의 각 지역구별 당선자와 득표 현황은 다음과 같다. 더불어민주당은 모든 선거구에서 1명 이상의 당선자를 배출하며 강세를 보였다.
2. 지역구 선거구
선거구명 관할 지역 선출 의원 수 사상구 가선거구 삼락동, 덕포1동, 덕포2동, 괘법동, 감전동 3 사상구 나선거구 모라1동, 모라3동 2 사상구 다선거구 주례1동, 주례2동, 주례3동 2 사상구 라선거구 학장동, 엄궁동 2
3.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지역구 선거 결과
선거구 정당 후보 득표수 득표율 가 더불어민주당 정성열 11,042 35.71% 자유한국당 윤태한 7,003 22.65% 더불어민주당 권경협 5,043 16.31% 자유한국당 김동일 3,857 12.47% 바른미래당 이학곤 2,254 7.29% 정의당 강용준 1,078 3.48% 민주평화당 김현철 636 2.05% 나 더불어민주당 김향남 11,033 53.58% 자유한국당 양재명 6,528 31.70% 자유한국당 손동호 3,029 14.71% 다 더불어민주당 조병길 13,067 47.10% 자유한국당 윤숙희 8,062 29.06% 무소속 김춘화 2,773 9.99% 자유한국당 조승용 2,135 7.69% 바른미래당 송철영 1,705 6.14% 라 더불어민주당 장인수 15,067 50.24% 자유한국당 김정옥 7,774 25.92% 바른미래당 이상관 4,670 15.57% 자유한국당 주성환 2,475 8.25%
3. 1. 사상구 가선거구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사상구 가선거구에서는 유권자 59,850명 중 30,913명이 투표에 참여했다. 개표 결과, 더불어민주당 정성열 후보가 11,042표(35.71%)를 얻어 당선되었고, 자유한국당 윤태한 후보가 7,003표(22.65%)로 당선되었으며, 더불어민주당 권경협 후보가 5,043표(16.31%)를 득표하여 당선되었다. 자유한국당 김동일 후보는 3,857표(12.47%), 바른미래당 이학곤 후보는 2,254표(7.29%), 정의당 강용준 후보는 1,078표(3.48%), 민주평화당 김현철 후보는 636표(2.05%)를 각각 획득했다.정당 후보 득표수 득표율 더불어민주당 정성열 11,042 35.71% 자유한국당 윤태한 7,003 22.65% 더불어민주당 권경협 5,043 16.31% 자유한국당 김동일 3,857 12.47% 바른미래당 이학곤 2,254 7.29% 정의당 강용준 1,078 3.48% 민주평화당 김현철 636 2.05% 합계 30,913 100%
3. 2. 사상구 나선거구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사상구 나선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더불어민주당 김향남 후보와 자유한국당 양재명 후보가 당선되었다.
3. 3. 사상구 다선거구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조병길 | 더불어민주당 | 13,067 | 47.10% |
윤숙희 | 자유한국당 | 8,062 | 29.06% |
김춘화 | 무소속 | 2,773 | 9.99% |
조승용 | 자유한국당 | 2,135 | 7.69% |
송철영 | 바른미래당 | 1,705 | 6.14% |
합계 | 27,742표 |
3. 4. 사상구 라선거구
4.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비례대표 선거 결과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사상구의회 비례대표 선거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이 과반 득표로 1석을 차지했다.
4. 1. 정당 투표 결과
4. 2. 비례대표 당선자
정당 | 이름 |
---|---|
더불어민주당 | 신혜정 |
5. 전체 결과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결과, 사상구의회는 더불어민주당 6석, 자유한국당 4석으로 구성되었다. 더불어민주당은 지역구 5석과 비례대표 1석을, 자유한국당은 지역구 4석을 차지했다. 이는 당시 더불어민주당에 대한 높은 지지세를 반영하는 결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