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9대공포사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9대공포사단은 1940년 독일 점령 하의 프랑스에서 창설되어,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 공군의 대공포 부대였다. 초기에는 스페인 지브롤터 공격을 지원할 계획이었으나, 1941년 동부 전선으로 이동하여 집단군 남부를 지원했다. 특히 스탈린그라드 전투에 참여, 8.8cm Flak포를 이용해 지상군을 지원했으나, 스탈린그라드 포위 이후 부대가 전멸했다. 이후 재편성되어 쿠반 교두보와 크림반도에서 활동했으나, 1944년 크림반도 공세에서 다시 파괴되었다. 마지막으로 브레슬라우 지역에서 세 번째로 재창설되어 서부 전선에서 활동하다가 종전을 맞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2년 해체된 단체 - 제3견지함대
    제3견지함대는 지나방면함대 지원을 위해 1939년 창설되어 수상기 항공모함과 전대로 구성되었으며, 1942년 폐지되었다.
  • 1942년 해체된 단체 - 제1임시해병여단 (미국)
    미국 해병대의 제1임시해병여단은 필요에 따라 여러 차례 편성 및 해산된 임시 부대로, 한국 전쟁 당시 긴급히 편성되어 부산 교두보 전투, 마산 전투, 낙동강 방어선 전투 등에서 활약하다 제1해병사단으로 재편성되었다.
  • 1941년 설립된 단체 - 프리덤 하우스
    프리덤 하우스는 1941년 설립된 미국의 비정부 기구로, 전 세계의 민주주의, 정치적 자유, 인권 상황을 연구하고 옹호하며, 매년 다양한 보고서를 발간하여 각국의 자유 수준을 평가하고 국제 사회의 관심을 촉구하지만, 미국 정부의 재정 지원과 특정 국가에 대한 편향성 등으로 비판을 받기도 한다.
  • 1941년 설립된 단체 - 조선임전보국단
    조선임전보국단은 1941년 일제강점기 말기에 조직된 친일단체로, 임전대책협의회와 흥아보국단이 통합하여 결성되었으며, 일제의 침략 전쟁 수행을 위한 총동원 체제를 뒷받침하는 활동을 전개하다 국민총력조선연맹으로 흡수 통합되었다.
제9대공포사단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부대 정보
부대 명칭제9대공포사단
원어 명칭de
다른 명칭de
존속 기간1941년 1월 – 1945년 5월
국가Nazi Germany
군종공군
종류포병
역할대공 방어
규모사단
병력 규모약 12,000명 + 45개의 대공포 포대 (1942년 11월 기준)
주요 전투청색 작전
스탈린그라드 전투
쿠반 교두보
주요 지휘관볼프강 피커트

2. 역사

제9대공포사단은 제2차 세계 대전나치 독일루프트바페 소속 부대로, 여러 차례의 창설과 해체를 거치며 다양한 전선에서 활동했다.

초기에는 1940년 7월 독일 점령 하의 프랑스에서 제9 방공 사령부(Luftverteidigungs-Kommando Nr. 9de)로 창설되었으며, 펠릭스 작전 지원을 목표로 했다.[1] 1941년 9월 제9 대공 사단으로 개칭된 후, 동부 전선으로 이동하여 집단군 남부와 제6군을 지원했다.[1] 특히 청색 작전에 참여하여 스탈린그라드 전투까지 진격했으며, 이 과정에서 8.8cm 대공포를 이용한 강력한 지상 지원 능력을 발휘했다.[3]

그러나 스탈린그라드 전투에서 제6군과 함께 포위되어 1943년 초 전멸했다.[1][6] 이후 1943년 2월, 스탈린그라드에서 탈출한 일부 인원으로 재편성되어 쿠반 교두보와 크림반도에서 활동하며 제17군을 지원하고 대전차전 임무를 수행했다.[1][13][16] 하지만 이 두 번째 사단 역시 1944년 4월 소련군의 크림반도 공세 중에 다시 괴멸되었다.[1]

같은 해 4월과 5월, 세 번째로 재창설된 제9대공포사단은 서부 전선으로 이동하여 자르브뤼켄 지역에서 제1군에 배속되어 활동했다.[1] 노르트빈트 작전 지원 임무를 받았으나 장비 부족으로 큰 역할을 하지 못했고,[19] 전쟁 말기까지 전투를 이어가다 종전을 맞이했다.[1]

2. 1. 창설과 초기 활동 (1940-1941)

1940년 7월, 제9 방공 사령부(Luftverteidigungs-Kommando Nr. 9de)가 독일 점령 하의 프랑스 내 벨기에-북프랑스 항공지구(Luftgau Belgien-Nordfrankreichde)에서 창설되었다. 사령부는 제30 및 제59 대공포 연대로 구성되었다. 창설 초기 목표는 프랑코 정권 치하의 스페인을 경유하여 지브롤터를 공격하려던 독일의 펠릭스 작전을 지원하는 것이었다.[1] 초대 참모장은 게르하르트 호프만이었으며, 1941년 3월 17일 빌헬름 폰 렌츠로 교체되었다.[2]

2. 2. 동부 전선 투입 (1941-1943)

1941년 9월 1일, 제9 방공 사령부는 "제9 대공 사단"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이 사단은 1942년 1월까지 나치 독일 점령 하의 프랑스에 주둔하다가, 이후 제2차 세계 대전동부 전선 남부 지역으로 이동했다.[1] 1942년 6월 25일에는 볼프강 피케르트가 새로운 사단장으로 부임했다.[2]

동부 전선에서 제9 대공 사단은 처음에는 집단군 남부를 지원했으며, 이후 제6군의 작전 지역과 진격을 지원하는 임무를 맡았다.[1] 사단은 1942년 독일군의 여름 공세인 청색 작전에 참여하여 소비에트 우크라이나를 거쳐 코카서스 산맥과 카스피 해 방향으로 진격했다. 청색 작전 초기에는 제12, 제37, 제91 및 제104 대공 연대를 예하에 두었다.[3]

특히 러시아 남서부의 개활지에서 제9 대공 사단은 강력한 지상 지원 능력을 보여주었다. 보유한 중(重) 8.8 cm Flak 대공포를 이용해 약 2000m 거리에서 소련군T-34 전차를 효과적으로 파괴하며 독일 육군을 지원했다.[3]

2. 2. 1. 스탈린그라드 전투 (1942-1943)

스탈린그라드 전투에서 제9대공포사단의 사단장은 볼프강 피케르트 대공포병대장이었으며, 당시 전투 서열은 다음과 같았다.

부대 종류부대명
연대제37차량화대공포연대
연대제91차량화대공포연대
연대제104차량화대공포연대
대대제129차량화통신대대



제9대공포사단은 제6군볼가강으로 진격하는 과정에서 스탈린그라드 전투에 참여했다. 1942년 11월, ''제4항공함대''(Luftflotte 4) 소속의 제9대공포사단은 45개 대공포대와 약 12,000명의 루프트바페 병력으로 구성되었다.[4] 전투 초기에는 약 450문의 대공포를 보유했으나, 이 포들은 제6군 전체의 광범위한 지역을 방어해야 했다.[5] 제9대공포사단은 스탈린그라드 포위망에 갇힌 제6군과 제4기갑군 소속 21개 사단 중 하나가 되었다.[6] 1942년 9월 1일 기준으로, 사단은 각각 4개의 대공포대대를 갖춘 제37, 제91, 제104 대공연대를 포함했으며,[5] 이 편제는 소련군의 우라노스 작전 개시일인 1942년 11월 19일까지 유지됐다.[7]

1943년 스탈린그라드 인근에서 소련군 병사가 촬영한 파괴된 8.8 cm Flak 18/36/37/41 대공포


우라노스 작전으로 소련군이 스탈린그라드의 독일군을 포위하자, 사단장 볼프강 피케르트는 헤르만 괴링이 제안한 공중보급 작전에 회의적이었고, 포위망 돌파를 시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4] 이러한 견해는 헤르만 호트, 프리드리히 파울루스, 막시밀리안 폰 바이크스 등 현장의 다른 독일군 지휘관들과 제4항공함대 사령관 볼프람 폰 리히트호펜의 생각과 같았다.[6][8] 피케르트는 포위가 완료된 직후인 11월 22일에 조속한 탈출을 건의했으나,[9] 파울루스는 탈출 준비에 시간이 필요하다는 이유로 결정을 미뤘다. 그러나 준비가 완료되기도 전에 아돌프 히틀러의 직접적인 명령에 따라 국방군 최고 사령부(OKW)는 탈출 시도를 금지했다.[10]

탈출이 불가능해지자 공중보급 작전이 시도되었다. 피케르트는 스탈린그라드 포위망 내 최고위 루프트바페 지휘관으로 임명되어 포위된 독일군의 모든 루프트바페 작전을 총괄했다.[4] 이에 따라 제9대공포사단 병력의 주요 임무 중 하나는 공중보급 작전으로 도착하는 독일 항공기의 물자를 하역하는 것이었다.[4] 이 과정에서 제9대공포사단과 상급 부대인 제6군 지휘부 사이에 굼락 비행장 사용 문제를 놓고 갈등이 발생했다.[4] 제6군 지휘부는 비행장이 노출되어 있고 사령부와 가깝다는 이유로 사용을 꺼렸으나, 루프트바페 측은 보급 효율을 높이기 위해 비행장 사용을 고집했다.[4]

포위 기간 동안 제9대공포사단의 대공포는 진격해오는 소련군 병력에 대한 중요한 지상 화력 지원 수단으로 활용됐다. 그러나 1942년 12월부터 연료 부족과 수송 능력 저하로 인해 대공포대의 기동성은 점차 떨어졌다.[7]

제9대공포사단이 스탈린그라드에 포위되면서, 포위망 밖에 있던 루마니아 왕국의 제4대공포병여단 (루마니아)의 역할이 중요해졌다. 이들은 스탈린그라드 외부의 여러 추축국 비행장에 대한 방공 책임을 단독으로 맡았다.[11]

결국 스탈린그라드에서 제6군이 항복하면서 제9대공포사단 역시 전멸했다.[1] 예하의 제37, 제91, 제104 대공포 연대도 함께 파괴됐다.[12] 사단 지휘부의 일부만이 포위망에서 탈출했고,[1] 포위망 내에서의 마지막 사단장은 리하르트 하이츠만이었다.[2]

2. 3. 재편성과 크림반도 전투 (1943-1944)

1943년 2월 7일, 스탈린그라드 전투에서 철수한 해체된 사단의 잔여 인원을 활용하여 두 번째 제9 대공포 사단이 창설되었다. 이 새로운 사단은 공군 신호 분견대 129 (자동차화), 제27, 제42, 제77 대공포 연대, 그리고 3개의 대공포 탐조등 분견대(III./8, III./43, I./Lehr-Vers.Abt. FAS)로 구성되었다.[1] 1월 말 스탈린그라드에서 탈출한 볼프강 피케르트가 새로운 사단의 지휘를 맡았다.[2] 이전 사단의 거의 모든 장비를 잃었기 때문에, 새로운 제9 대공포 사단은 장비를 다시 보급받아야 했다.[13]

1943년 2월, 사단은 쿠반 교두보에 배치되었다. 1943년 4월 8일부터 5월 10일까지의 전투에서 265대의 항공기와 189대의 전차를 격파하는 전과를 올렸으나, 같은 기간 동안 182문의 88mm 대공포, 547문의 경/중 대공포, 181개의 탐조등, 36개의 사격 통제 장치, 16개의 레이더를 포함한 많은 장비와 5,715명(실종 3,949명, 전사 456명, 부상 1,310명 포함)의 병력 손실을 입었다. 이는 주요 도시 방어 임무에서 벗어나 독일 육군과 직접 협력하며 지상 전투에 투입된 대공포 사단이 겪는 어려움을 보여주는 사례였다.[14]

1943년 5월, 제9 대공포 사단은 제1 대공포 군단의 지휘 아래 제10 대공포 사단, 제15 대공포 사단, 제17 대공포 사단과 함께 배속되었다.[15]

이후 제9 대공포 사단은 크림반도에 남아 제17군을 지원했다. 당시 제17군은 장갑 차량이 절실히 부족했기 때문에, 제9 대공포 사단은 지상에서 대전차전 임무를 수행했다.[16] 이 과정에서 사단은 8.8cm 대공포뿐만 아니라 개조된 장갑 열차를 사용하여 소련군 전차에 효과적으로 대응했다.[17] 1943년 10월 28일 기준으로, 사단은 134문의 8.8cm 중(重) 대공포와 334문의 경(輕) 대공포를 보유하고 있었다.[18]

그러나 두 번째 제9 대공포 사단 역시 1944년 4월 소련군의 크림반도 공세 중에 결국 괴멸되었다.[1] 이 공세의 마지막 단계에서, 제9 대공포 사단의 6개 포대는 파울 베츠가 지휘하는 ''전투단''(Kampfgruppe)에 포함되었다. 이 전투단에는 '미하엘'이라는 별칭을 가진 장갑 대공포 열차와 제615 야전 훈련 연대의 병력도 함께했다. 이들은 1944년 4월 14일 세바스토폴 외곽에서 소련 제19 전차군을 상대로 약 12시간 동안 지연전을 벌였으나 전세를 뒤집지는 못했다.[18]

2. 4. 재창설과 서부 전선 (1944-1945)

1944년 4월과 5월에 세 번째이자 마지막으로 제9대공포사단이 브레슬라우 지역에 배치되었다. 이 부대는 제1군에 배속되어 서부 전선자르브뤼켄 지역에서 전투를 치렀으며, 특히 제169대공연대를 지휘했다.[1] 1944년 5월 27일, 빌헬름 반 콜르비크가 한 달 동안 사단을 지휘했고, 이후 아돌프 피르만이 1944년 6월 23일부터 전쟁이 끝날 때까지 사단의 마지막 사령관을 맡았다.[2] 제9대공포사단은 1944년과 1945년의 전환기에 노르트빈트 작전을 지원하도록 지시받았지만, 장비 부족으로 인해 실질적인 지원을 거의 제공하지 못했다.[19] 1945년 2월 1일, 제9대공포사단은 뵈르스바흐에 있었고, 3월 26일에는 게르머스하임에 있었다.[1]

3. 전투 서열

스탈린그라드에서 제9대공포사단의 사단장은 볼프강 피케르트 대공포병대장이었고, 전투서열은 다음과 같았다.


  • 제37차량화대공포연대
  • 제91차량화대공포연대
  • 제104차량화대공포연대
  • 제129차량화통신대대

4. 유산

볼프강 피케르트, 스탈린그라드 전투 당시 제9 방공사단 사단장은 자신의 행동에 대한 기록을 미국 공군 역사 연구소(몽고메리, 앨라배마)에 남겼다.[20]

참조

[1] 서적 Die Landstreitkräfte 006–014 Verlag E. S. Mittler & Sohn GmbH
[2] 서적 German Order of Battle: 291st–999th Infantry Divisions, Named Infantry Divisions, and Special Divisions in World War II https://books.google[...] Stackpole Books
[3] 서적 Stalingrad 1942–43 (1): The German Advance to the Volga Osprey Publishing
[4] 서적 Stalingrad Airlift 1942–43: The Luftwaffe's Broken Promise to Sixth Army Osprey Publishing
[5] 서적 Stalingrad 1942–43 (2): The Fight for the City Osprey Publishing
[6] 서적 Stalingrad 1942 Osprey Publishing
[7] 서적 Stalingrad 1942–43 (3): Catastrophe: the Death of 6th Army Osprey Publishing
[8] 서적 Ostfront: Hitler's War on Russia 1941–45 Osprey Publishing
[9] 서적 Hitler's Commanders: Officers of the Wehrmacht, the Luftwaffe, the Kriegsmarine, and the Waffen-SS Rowman & Littlefield
[10] 서적 Der Globale Krieg: Die Ausweitung zum Weltkrieg und der Wechsel der Initiative, 1941–1943
[11] 서적 Third Axis, Fourth Ally: Romanian Armed Forces in the European War, 1941–1945 Arms & Armour
[12] 서적 Die Waffengattungen – Gesamtübersicht Biblio Verlag
[13] 서적 Kursk: The German View: Eyewitness Reports of Operation Citadel by the German Commanders Da Capo Press
[14] 서적 Strategic Air War in Europe and the War in the West and East Asia 1943–1944/5 Clarendon Press
[15] 서적 Die Landstreitkräfte 001–005 Verlag E. S. Mittler & Sohn GmbH
[16] 서적 Die Ostfront 1943/44: Der Krieg im Osten und an den Nebenfronten Deutsche Verlags-Anstalt
[17] 서적 Ostfront 1944: The German Defensive Battles on the Russian Front 1944 Schiffer Publishing
[18] 서적 Where the Iron Crosses Grow: The Crimea, 1941–44 Osprey Publishing
[19] 서적 Operation Nordwind 1945: Hitler's last offensive in the West Osprey Publishing
[20] 서적 Aufzeichnungen aus meinem Tagebuch und von Besprechungen über Operative und Taktische Gedanken und Massnahmen der 6. Armee United States Air Force Historical Research Agency [168.7158–33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