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9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9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는 1971년 6월 27일에 실시되었으며, 선거권자는 71,177,667명이었다. 소선거구제, 중선거구제, 대선거구제를 혼합하여, 지역구 75석과 전국구 50석을 선출했다. 선거 결과 자유민주당이 가장 많은 의석을 확보했으며, 투표율은 지역구 59.24%, 전국구 59.23%를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1년 선거 - 1971년 프랑스 뮈니시팔 선거
1971년 프랑스 뮈니시팔 선거는 조르주 퐁피두 대통령 임기 중 치러졌으며, 좌파 진영의 약진과 집권 여당의 어려움을 보여주며 프랑스 정치 지형 변화를 예고했다. - 1971년 선거 - 1971년 동독 총선거
1971년 동독 총선거는 동독 사회주의통일당의 권력 장악을 공고히 하고 체제 지지를 확인하기 위해 국민전선 단일 후보 명단에 대한 찬반 투표로 진행되었으며, 민주주의적 결함이 있다는 비판을 받았다. - 1971년 6월 - 제21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
1971년, 비에른 라스무센 심사위원장 아래 《핀치 콘티니의 정원》이 황금곰상을 수상한 제21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는 이치카와 곤, 스탠리 크레이머 감독 등의 작품이 경쟁했으며, 영 필름메이커스 포럼도 개최되었다. - 1971년 6월 - 소유스 11호
소유스 11호는 살류트 1호 우주 정거장으로 향한 소유스 7K-OKS 우주선으로, 3명의 승무원이 탑승하여 도킹 후 22일간 체류 기록을 세웠으나 귀환 중 감압 사고로 승무원 전원이 사망하면서 소유스 우주선 설계 변경과 안전 규정 강화에 영향을 주었다. - 1971년 일본 - 니시야마 사건
니시야마 사건은 1971년 오키나와 반환 협정 당시, 니시야마 기자가 입수한 밀약 문서를 폭로하면서 발생했고, 이는 미일 간 오키나와 반환 협정의 이면에 원상복구 비용을 일본 측이 부담한다는 내용의 밀약이 존재함을 드러낸 사건이다. - 1971년 일본 - 검은 안개 사건 (야구)
검은 안개 사건은 1969년부터 1971년까지 일본 프로 야구계를 뒤흔든 승부 조작 사건으로, 칼 볼스의 제보로 시작되어 주요 선수들의 영구 제명과 폭력단 연루 등으로 확산되며 프로 야구계와 폭력단 간의 유착 관계를 드러내 사회적으로 큰 파장을 일으켰다.
제9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 |
---|---|
지도 정보 | |
선거 정보 | |
선거 이름 | 1971년 일본 참의원 의원 선거 |
국가 | 일본 |
기 | 1870 |
유형 | 의회 |
진행 여부 | 아니요 |
이전 선거 | 1968년 일본 참의원 의원 선거 |
이전 년도 | 1968 |
다음 선거 | 1974년 일본 참의원 의원 선거 |
다음 년도 | 1974 |
선출 의석 | 참의원 251석 중 125석 |
과반 의석 | 125 |
선거일 | 1971년 6월 27일 |
주요 정당 및 지도자 | |
![]() | |
지도자 | 사토 에이사쿠 |
정당 | 자유민주당 (일본) |
선거 후 의석 | 134석 |
의석 변동 | 3 |
득표수 | 17,759,395 |
득표율 | 44.5% |
득표율 변동 | 2.2% |
![]() | |
지도자 | 나리타 도모미 |
정당 | 일본사회당 |
선거 후 의석 | 66 |
의석 변동 | 1 |
득표수 | 8,494,264 |
득표율 | 21.3% |
득표율 변동 | 2.5% |
![]() | |
지도자 | 다케이리 요시카쓰 |
정당 | 공명당 (1962–1998) |
선거 후 의석 | 23 |
의석 변동 | 1 |
득표수 | 5,626,293 |
득표율 | 14.1% |
득표율 변동 | 1.4% |
![]() | |
지도자 | 가스가 잇코 |
정당 | 민주사회당 (일본) |
선거 후 의석 | 13 |
의석 변동 | 3 |
득표수 | 2,441,509 |
득표율 | 6.1% |
득표율 변동 | 0.1% |
![]() | |
지도자 | 미야모토 겐지 (정치인) |
정당 | 일본공산당 |
선거 후 의석 | 10 |
의석 변동 | 3 |
득표수 | 3,219,307 |
득표율 | 8.1% |
득표율 변동 | 3.1% |
참의원 의장 | |
직책 | 참의원 의장 |
선거 전 | 야스이 겐 |
선거 전 정당 | 자유민주당 (일본) |
선거 후 | 모리 야소이치 |
선거 후 정당 | 자유민주당 (일본) |
선거 결과 상세 | |
회차 | 9 |
1당 이미지 | [[File:Eisaku Sato 19641109.jpg|150x150px]] |
1당 당수 | 사토 에이사쿠 |
1당 링크 | 자유민주당 (일본) |
1당 이름 | 자유민주당 |
1당 지난 선거 | 69 |
1당 비개선 의석 | 68 |
1당 획득 의석 | 63 |
1당 지방구 득표수 | 17,727,263 |
1당 전국구 득표수 | 17,759,395 |
2당 이미지 | [[File:Tomomi-Narita-1.png|150x150px]] |
2당 당수 | 나리타 도모미 |
2당 링크 | 일본사회당 |
2당 이름 | 일본사회당 |
2당 지난 선거 | 28 |
2당 비개선 의석 | 27 |
2당 획득 의석 | 39 |
2당 지방구 득표수 | 12,597,644 |
2당 전국구 득표수 | 8,494,264 |
3당 이미지 | [[File:Yoshikatsu-Takeiri-3.png|150x150px]] |
3당 당수 | 다케이리 요시카쓰 |
3당 링크 | 공명당 |
3당 이름 | 공명당 |
3당 지난 선거 | 13 |
3당 비개선 의석 | 12 |
3당 획득 의석 | 10 |
3당 지방구 득표수 | 1,391,855 |
3당 전국구 득표수 | 5,626,293 |
4당 이미지 | 150x150px |
4당 당수 | 가스가 잇코 |
4당 링크 | 민사당 |
4당 이름 | 민사당 |
4당 지난 선거 | 7 |
4당 비개선 의석 | 7 |
4당 획득 의석 | 6 |
4당 지방구 득표수 | 1,919,643 |
4당 전국구 득표수 | 2,441,509 |
5당 이미지 | [[File:The-Zenei-1962-December-Special-1.png|150x150px]] |
5당 당수 | 미야모토 겐지 |
5당 링크 | 일본공산당 |
5당 이름 | 일본공산당 |
5당 지난 선거 | 4 |
5당 비개선 의석 | 4 |
5당 획득 의석 | 6 |
5당 지방구 득표수 | 4,878,570 |
5당 전국구 득표수 | 3,219,307 |
득표율 변화 | |
자유민주당 | 44.5% (이전 46.7%) |
사회당 | 21.3% (이전 19.8%) |
공명당 | 14.1% (이전 15.5%) |
민주사회당 | 6.1% (이전 6%) |
일본공산당 | 8.1% (이전 5%) |
2. 선거 정보
1971년 6월 27일에 실시된 일본 참의원 선거는 참의원 의석의 절반을 선출하기 위해 진행되었다.[1] 이 선거에서는 자유민주당이 가장 많은 의석을 차지했다.
정당 | 전국구 득표수 | 전국구 의석 | 지역구 득표수 | 지역구 의석 | 총 의석 | 선거 전 의석 | 의석 변화 |
---|---|---|---|---|---|---|---|
자유민주당 | 17,759,395 | 21 | 17,727,263 | 41 | 134 | 72 | -3 |
일본 사회당 | 8,494,264 | 11 | 12,597,644 | 28 | 66 | 27 | +1 |
공명당 | 5,626,293 | 8 | 1,391,855 | 2 | 23 | 13 | -1 |
일본 공산당 | 3,219,307 | 5 | 4,878,570 | 1 | 10 | 4 | +3 |
민주사회당 | 2,441,509 | 4 | 1,919,643 | 2 | 13 | 7 | +3 |
기타 정당 | 48,300 | 0 | 74,739 | 0 | 0 | 0 | 0 |
무소속 | 2,342,517 | 1 | 1,741,201 | 1 | 5 | 3 | -2 |
무효표 | 2,229,158 | 1,833,100 | |||||
총합 | 126 | 251 | 126 | +1 | |||
유권자 수 | 71,177,667 | 71,177,667 |
사토 에이사쿠(佐藤栄作) 총리가 이끌던 자민당은 오키나와 반환 협상 타결과 오사카 만국 박람회 성공 등의 긍정적인 요인에도 불구하고, 이번 선거에서 1956년 이후 최저 의석(63석)과 당 창당 이래 최저 득표율을 기록하며 예상보다 부진한 결과를 얻었다.[4]
이는 사토 장기 집권에 대한 국민들의 피로감이 반영된 결과로 해석되며,[3] 보혁 伯仲 (보수와 혁신 세력이 팽팽하게 맞서는 국회) 상황의 도래를 예고하는 신호탄으로 여겨졌다.
2. 1. 투표일
1971년 6월 27일2. 2. 선거권자
'''71,177,667'''명2. 3. 선거 제도
제9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는 지역구와 전국구(비례대표)로 나누어 의원을 선출하는 방식이었다. 선거는 비밀투표로 진행되었으며, 20세 이상 남녀에게 선거권이 주어졌다.[5]2. 3. 1. 지역구
지역구는 소선거구제와 중선거구제를 혼합하여 운영하였다. 소선거구제는 26개 선거구에서 각 1명씩 총 26명을 선출하였고, 중선거구제는 2인 선거구(26개, 각 1명 선출), 4인 선거구(15개, 각 2명 선출), 6인 선거구(4개, 각 3명 선출), 8인 선거구(2개, 각 4명 선출)로 총 50명을 선출하였다.[5]2. 3. 2. 전국구 (비례대표)
全国区일본어는 전국을 하나의 선거구로 하여 50명의 의원을 선출하는 대선거구제였다.[5] 총 유권자는 71,177,667명으로, 남성 유권자는 34,412,000명, 여성 유권자는 36,765,667명이었다.[5]2. 3. 3. 기타
비밀투표로 20세 이상 남녀에게 선거권이 부여되었다.[5] 유권자 수는 71,177,667명(남성 34,412,000명, 여성 36,765,667명), 후보자는 총 305명(지역구 199명, 전국구 106명)이었다.[5]3. 주요 쟁점
사토 에이사쿠 총리의 자민당은 전년에 큰 표차로 4선을 달성했고, 오키나와 반환 협상 타결, 오사카 만국 박람회 성공, 1970년 안보 투쟁과 대학 분쟁 극복 등 선거전에서 큰 불안 요소는 없었다. 아사히 신문의 여론조사에서도 의석 증가를 예상했다.[4]
하지만 이듬해 퇴임이 결정된 사토 장기 집권에 대한 "싫증"이 표면화되었고,[3] 보혁 백중 상황의 도래를 예감하게 하는 선거 결과가 나왔다. 결과에 대한 불만은 자민당 참의원 집행부와 시게무네 유조 의장에게 향했고, 시게무네의 의장 사퇴와 코노 켄조의 취임으로 이어졌다. 코노는 다나카 가쿠에이와 친분이 있어 이 참의원 선거가 이듬해 총재 선거에 미친 영향도 적지 않았다.[4]
4. 선거 결과
1971년 6월 27일에 실시된 일본 참의원 선거에서는 자유민주당이 가장 많은 의석을 차지하였다.[1]
정당 | 지역구 | 전국구 | 당선자 합계 | 선거 후 의석수 |
---|---|---|---|---|
자유민주당 | 41 | 21 | 62 | 134 |
일본사회당 | 28 | 11 | 39 | 66 |
공명당 | 2 | 8 | 10 | 23 |
민주사회당 | 2 | 4 | 6 | 13 |
일본공산당 | 1 | 5 | 6 | 10 |
무소속 | 1 | 1 | 2 | 5 |
합계 | 75 | 50 | 125 | 251 |
자유민주당은 62석, 일본사회당은 39석, 공명당은 10석을 얻었으며, 민주사회당과 일본공산당은 각각 6석을 획득하였다. 무소속은 2석을 차지했다. 선거 후 자유민주당은 134석, 일본사회당은 66석, 공명당은 23석, 민주사회당은 13석, 일본공산당은 10석, 무소속은 5석으로 의석 분포가 조정되었다.
4. 1. 투표율
4. 2. 정당별 득표 결과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의석 |
---|---|---|---|
자유민주당 | 17,759,395 | 44.5 | 62 |
일본사회당 | 8,494,264 | 21.3 | 39 |
공명당 | 5,626,293 | 14.1 | 10 |
일본공산당 | 3,219,307 | 8.1 | 6 |
민주사회당 | 2,441,509 | 6.1 | 6 |
기타 | 48,300 | 0.1 | 0 |
무소속 | 2,342,517 | 5.9 | 2 |
총합 | 39,931,584 | 100.0 | 125 |
4. 2. 1. 전국구 (비례대표) 득표 결과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당선인 |
---|---|---|---|
자유민주당 | 17,759,395 | 44.5% | 21 |
일본사회당 | 8,494,264 | 21.3% | 11 |
공명당 | 5,626,293 | 14.1% | 8 |
일본공산당 | 3,219,307 | 8.1% | 5 |
민주사회당 | 2,441,509 | 6.1% | 4 |
기타 | 48,300 | 0.1% | 0 |
무소속 | 2,342,517 | 5.9% | 1 |
총합 | 39,931,584 | 100.0% | 50 |
4. 2. 2. 지역구 득표 결과
정당 | 지역구 | 비례대표 | 의석 총계 | ||||
---|---|---|---|---|---|---|---|
득표수 | 비율 | 의석 | 득표수 | 비율 | 의석 | ||
자유민주당 | 17,727,263 | align="right"| | 41 | 17,759,395 | 44.5% | 21 | 62 |
일본 사회당 | 12,597,644 | align="right"| | 28 | 8,494,264 | align="right"| | 11 | 39 |
공명당 | 1,391,855 | align="right"| | 2 | 5,626,293 | align="right"| | 8 | 10 |
일본 공산당 | 4,878,570 | align="right"| | 1 | 3,219,307 | align="right"| | 5 | 6 |
민주사회당 | 1,919,643 | align="right"| | 2 | 2,441,509 | align="right"| | 4 | 6 |
기타 정당 | 74,739 | align="right"| | 0 | 48,300 | align="right"| | 0 | 0 |
무소속 | 1,741,201 | align="right"| | 1 | 2,342,517 | align="right"| | 1 | 2 |
합계 | 40,330,916 | 75 | 39,931,584 | 50 | 125 | ||
4. 3. 정당별 의석 결과
정당 | 지역구 | 전국구 | 당선자 합계 | 선거 후 의석수 |
---|---|---|---|---|
자유민주당 | 41 | 21 | 62 | 134 |
일본사회당 | 28 | 11 | 39 | 66 |
공명당 | 2 | 8 | 10 | 23 |
민주사회당 | 2 | 4 | 6 | 13 |
일본공산당 | 1 | 5 | 6 | 10 |
무소속 | 1 | 1 | 2 | 5 |
합계 | 75 | 50 | 125 | 250 |
제9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서 자유민주당은 62석, 일본사회당은 39석, 공명당은 10석, 민주사회당과 일본공산당은 각각 6석을 얻었으며, 무소속은 2석을 획득하였다. 선거 후 자유민주당은 134석, 일본사회당은 66석, 공명당은 23석, 민주사회당은 13석, 일본공산당은 10석, 무소속은 5석을 차지하게 되었다.[1][2]
4. 3. 1. 정당별 당선자 수
정당 | 지역구 | 전국구 | 당선자 합계 | 의석수 |
---|---|---|---|---|
자유민주당 | 41 | 21 | 62 | 135 |
일본사회당 | 28 | 11 | 39 | 66 |
공명당 | 2 | 8 | 10 | 23 |
민주사회당 | 2 | 4 | 6 | 13 |
일본공산당 | 1 | 5 | 6 | 10 |
무소속 | 1 | 1 | 2 | 5 |
합계 | 75 | 50 | 125 | 250 |
4. 3. 2. 지역구별 당선자
홋카이도 | 아오모리현 | 이와테현 | 미야기현 | 아키타현 | 야마가타현 | ||||
---|---|---|---|---|---|---|---|---|---|
다카하시 유스케 | 카와무라 세이이치 | 타케다 겐쇼 | 이와모토 마사이치 | 쓰시마 붕지 | 이와도 미치유키 | 토다 기쿠오 | 사와다 마사하루 | 이토 고로 | |
후쿠시마현 | 이바라키현 | 토치기현 | 군마현 | 사이타마현 | |||||
무라타 슈조 | 타나베 시로 | 나카무라 키시로 | 타케우치 후지오 | 토가타 다케시 | 후나타 유즈루 | 아카네가쿠보 시게미츠 | 다카하시 쿠니오 | 츠치야 요시히코 | 모리 카츠지 |
지바현 | 가나가와현 | 야마나시현 | 도쿄도 | ||||||
가세 완 | 스가노 기사쿠 | 코노 켄조 | 카타오카 카츠지 | 칸자와 조 | 겐본 혜이 | 쿠로야나기 아키라 | 키지마 노리오 | 노사카 산조 | |
니가타현 | 토야마현 | 이시카와현 | 후쿠이현 | 나가노현 | 기후현 | 시즈오카현 | |||
사토 타카시 | 스기야마 젠타로 | 타치바나 나오하루 | 시마자키 히토시 | 츠지 카즈히코 | 하뉴 미츠나리 | 키우치 시로 | 나카무라 하오 | 카와노베 시즈카 | 마츠나가 추지 |
아이치현 | 미에현 | 시가현 | 교토부 | 오사카부 | |||||
야기 이치로 | 하시모토 시게조 | 스하라 쇼지 | 쿠보타 후지마로 | 카와모토 카쿠조 | 우에키 미츠노리 | 오하시 카즈타카 | 아카마 몬조 | 타시로 후지오 | 사사키 시즈코 |
효고현 | 나라현 | 와카야마현 | 돗토리현 | 시마네현 | 오카야마현 | ||||
카나이 모토히코 | 코타니 마모루 | 나카자와 이토코 | 오모리 쿠지 | 세고 마사타카 | 미야자키 마사오 | 나카무라 히데오 | 아키야마 초조 | 키무라 무쓰오 | |
히로시마현 | 야마구치현 | 도쿠시마현 | 가가와현 | 에히메현 | 고치현 | 후쿠오카현 | |||
후지타 마사아키 | 후지타 스스무 | 요시타케 케이이치 | 오가사 코우쇼 | 마에카와 타츠 | 마스하라 케이키치 | 하다 코유키 | 오노 아키라 | 켄모쿠 유키히로 | 야나기다 모모타로 |
사가현 | 나가사키현 | 쿠마모토현 | 오이타현 | 미야자키현 | 가고시마현 | 오키나와현 | |||
나베시마 나오쓰구 | 나카무라 테이지 | 테라모토 코우사쿠 | 모리나카 모리요시 | 쿠도 료헤이 | 온스이 사부로 | 시바타테 요시후미 | 츠루조노 테쓰오 | 이나미네 이치로 |
4. 3. 3. 전국구 (비례대표) 당선자
1위-10위 | 타다 에이후 | 시무라 아이코 | 스즈키 미에코 | 마치무라 킨고 | 쿠리바야시 타쿠지 | 카시와바라 야스 | 야마모토 시이치로 | 야마다 테츠이치 | 카지키 마타조 | 야오이 히데히코 |
---|---|---|---|---|---|---|---|---|---|---|
11위-20위 | 타마키 카즈오 | 니시무라 나오하루 | 하라다 타츠 | 스도 고로 | 카스가 마사카즈 | 오카모토 사토루 | 코다이라 요헤이 | 무라카미 코타로 | 타다 쇼고 | 나이토 요사부로 |
21위-30위 | 나카오 타츠요시 | 가토 신 | 코가 라이시로 | 노가미 겐 | 호소카와 모리히로 | 히라이즈미 와타루 | 타나카 스미코 | 미야자키 마사요시 | 츠카다 다이간 | 나카무라 리지 |
31위-40위 | 노노야마 이치조 | 호시노 치카라 | 토쿠나가 마사토시 | 히이가키 토쿠타로 | 카타야마 마사히데 | 카지마 토시오 | 이시모토 시게루 | 이베 마코토 | 야마모토 이사부로 | 야마자키 노보루 |
41위-50위 | 야마우치 이치로 | 쿠스노키 마사토시 | 후지이 쓰네오 | 시바타 리우에몬 | 이치류사이 테이호 | 미즈구치 코조 | 스즈키 치카라 | 미야노하라 사다미츠 | 아오키 카즈오 | 타치카와 단시 |
추가 당선 | 쿠로즈미 타다유키 | 노마츠 겐페이 |
---|
야마모토 이사부로(1971년 7월 8일), 무라카미 코타로(1971년 9월 8일) 의원 사망에 따름.[1]
4. 4. 주요 정당
정당 | 직책 | 이름 |
---|---|---|
자유민주당 | 총재 | 사토 에이사쿠 |
간사장 | 다나카 가쿠에이 | |
총무회장 | 스즈키 젠코 | |
정무조사회장 | 미즈타 미키오 | |
국회대책위원장 | 쓰카하라 토시로 | |
참의원의원회장 | 코오리 유이치 | |
일본사회당 | 중앙집행위원장 | 나리타 도모미 |
중앙집행부위원장 | 에다 사부로, 미야케 마사이치, 야마하나 히데오 | |
서기장 | 이시바시 마사츠구 | |
정책심의회장 | 키타야마 아이로 | |
국회대책위원장 | 야나기타 슈이치 | |
참의원의원회장 | 카세 마모루 | |
공명당 | 중앙집행위원장 | 다케이리 요시가쓰 |
중앙집행부위원장 | 아사이 미유키, 타다 쇼고, 니노미야 분조 | |
서기장 | 야노 준야 | |
정책심의회장 | 마사키 요시아키 | |
국회대책위원장 | 오오쿠보 나오히코 | |
참의원의원단장 | 니노미야 분조 | |
민사당 | 중앙집행위원장 | 가스가 잇코 |
서기장 | 사사키 료사쿠 | |
정책심의회장 | 다케모토 마고이치 | |
국회대책위원장 | 이케다 데이지 | |
참의원의원회장 | 무카이 나가토시 | |
상임고문 | 가타야마 데쓰, 소네 에키, 니시오 스에히로 | |
일본공산당 | 의장 | 노사카 산조 |
간부회위원장 | 미야모토 겐지 | |
간부회부위원장 | 이치카와 마사카즈, 오카 마사요시, 니시자와 도미오, 하카마다 사토미 | |
서기국장 | 후와 데쓰조 | |
정책위원회책임자 | 우에다 코이치로 | |
국회대책위원장 | 무라카미 히로시 | |
참의원의원단장 | 이와마 마사오 |
5. 선거 이후
사토 에이사쿠 총리가 이끌던 자민당은 오사카 만국 박람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하고 1970년 안보 투쟁과 대학 분쟁을 극복하는 등, 선거를 앞두고 큰 불안 요소는 없었다. 아사히 신문의 여론조사에서도 자민당의 의석 증가를 예상했다. 그러나 실제 선거 결과, 자민당은 63석을 얻는 데 그쳐 1956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고, 득표율 또한 당 창당 이래 가장 낮았다.[4]
이는 이듬해 퇴임이 예정되어 있던 사토 총리의 장기 집권에 대한 국민들의 "싫증"이 표면화된 결과였으며,[3] 보혁 伯仲 상황, 즉 보수와 혁신 세력이 팽팽하게 맞서는 국면이 도래할 것을 예고하는 것이었다. 선거 결과에 대한 불만은 자민당 참의원 집행부와 참의원에 큰 영향력을 행사하던 시게무네 유조 의장에게 집중되었고, 결국 시게무네는 의장직에서 사퇴하고 고노 겐조가 새 의장으로 취임하게 된다. 고노 겐조는 다나카 가쿠에이와 친분이 있었기 때문에, 이 참의원 선거는 이듬해 총재 선거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4]
이후 치러진 보궐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선거구 | 사망/사퇴 의원 | 당선 의원 | 비고 |
---|---|---|---|
이바라키 선거구 | 나카무라 키시로 | 나카무라 토미 | 1971년 12월 21일 사망, 1972년 2월 6일 보궐선거 |
아오모리 선거구 | 쓰시마 분지 | 테라시타 이와쿠라 | 1973년 5월 6일 사망, 1973년 6월 17일 보궐선거 |
오사카 선거구 | 아카마 분조 | 쿠츠누키 타케코 | 1973년 5월 2일 사망, 1973년 6월 17일 보궐선거 |
교토 선거구 | 오하시 가즈타카 | 오가와 한지 | 교토부지사 선거 출마로 사퇴, 1974년 4월 21일 보궐선거 |
고치 선거구 | 하마다 유키오 | 하야시 미치루 | 1974년 3월 23일 사망, 1974년 5월 12일 보궐선거 |
도치기 선거구 | 후나타 유즈루 | 야노 노보루 | 도치기현지사 선거 출마로 사퇴, 1974년 12월 8일 보궐선거 |
이바라키 선거구 | 타케우치 후지오 | 군 유이치 | 이바라키현지사 선거 출마로 사퇴, 1975년 4월 27일 보궐선거 |
아이치 선거구 | 스하라 쇼지 | 후쿠이 유 | 1975년 3월 4일 사망, 1975년 4월 27일 보궐선거 |
가고시마 선거구 | 시바타테 요시후미 | 사다 소지 | 1975년 8월 5일 사망, 1975년 9월 21일 보궐선거 |
나라 선거구 | 오모리 히사시 | 호리우치 토시오 | 1976년 8월 13일 사망, 1976년 9월 26일 보궐선거 |
니가타 선거구 | 사토 타카시 | 쓰카다 주이치로 | 중의원 선거 출마로 사퇴, 1976년 12월 12일 보궐선거 |
미야자키 선거구 | 온스이 사부로 | 사카모토 치카오 | 1976년 10월 22일 사망, 1976년 12월 12일 보궐선거 |
5. 1. 정계 개편
사토 에이사쿠(佐藤栄作) 총리가 이끌던 자민당은 오사카 만국 박람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하고 1970년 안보 투쟁과 대학 분쟁을 극복하는 등, 선거를 앞두고 큰 불안 요소는 없었다. 아사히 신문(朝日新聞)이 실시한 여론조사에서도 자민당의 의석 증가를 예상했다. (『아사히 신문』1971년 6월 25일자). 그러나 실제 선거 결과, 자민당은 63석을 얻는 데 그쳐 1956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고, 득표율 또한 당 창당 이래 가장 낮았다.[4]이는 이듬해 퇴임이 예정되어 있던 사토 총리의 장기 집권에 대한 국민들의 "싫증"이 표면화된 결과였으며,[3] 보혁 伯仲 상황, 즉 보수와 혁신 세력이 팽팽하게 맞서는 국면이 도래할 것을 예고하는 것이었다. 선거 결과에 대한 불만은 자민당 참의원 집행부와 참의원에 큰 영향력을 행사하던 시게무네 유조(重宗雄三) 의장에게 집중되었고, 결국 시게무네는 의장직에서 사퇴하고 고노 겐조(河野謙三)가 새 의장으로 취임하게 된다. 고노 겐조는 다나카 가쿠에이(田中角榮)와 친분이 있었기 때문에, 이 참의원 선거는 이듬해 총재 선거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4]
5. 2. 보궐선거
선거구 | 사망/사퇴 의원 | 당선 의원 | 비고 |
---|---|---|---|
이바라키 선거구 | 나카무라 키시로 | 나카무라 토미 | 1971년 12월 21일 사망, 1972년 2월 6일 보궐선거 |
아오모리 선거구 | 쓰시마 분지 | 테라시타 이와쿠라 | 1973년 5월 6일 사망, 1973년 6월 17일 보궐선거 |
오사카 선거구 | 아카마 분조 | 쿠츠누키 타케코 | 1973년 5월 2일 사망, 1973년 6월 17일 보궐선거 |
교토 선거구 | 오하시 가즈타카 | 오가와 한지 | 교토부지사 선거 출마로 사퇴, 1974년 4월 21일 보궐선거 |
고치 선거구 | 하마다 유키오 | 하야시 미치루 | 1974년 3월 23일 사망, 1974년 5월 12일 보궐선거 |
도치기 선거구 | 후나타 유즈루 | 야노 노보루 | 도치기현지사 선거 출마로 사퇴, 1974년 12월 8일 보궐선거 |
이바라키 선거구 | 타케우치 후지오 | 군 유이치 | 이바라키현지사 선거 출마로 사퇴, 1975년 4월 27일 보궐선거 |
아이치 선거구 | 스하라 쇼지 | 후쿠이 유 | 1975년 3월 4일 사망, 1975년 4월 27일 보궐선거 |
가고시마 선거구 | 시바타테 요시후미 | 사다 소지 | 1975년 8월 5일 사망, 1975년 9월 21일 보궐선거 |
나라 선거구 | 오모리 히사시 | 호리우치 토시오 | 1976년 8월 13일 사망, 1976년 9월 26일 보궐선거 |
니가타 선거구 | 사토 타카시 | 쓰카다 주이치로 | 중의원 선거 출마로 사퇴, 1976년 12월 12일 보궐선거 |
미야자키 선거구 | 온스이 사부로 | 사카모토 치카오 | 1976년 10월 22일 사망, 1976년 12월 12일 보궐선거 |
참조
[1]
웹사이트
Table 13: Persons Elected and Votes Polled by Political Parties - Ordinary Elections for the House of Councillors (1947–2004)
http://www.stat.go.j[...]
2011-03-23
[2]
웹사이트
27-11 Allotted Number, Candidates, Eligible Voters as of Election Day, Voters and Voting Percentages of Ordinary Elections for the House of Councillors (1947-2004)
http://www.stat.go.j[...]
2006-01-04
[3]
웹사이트
佐藤政権へ“飽き”(1971年6月27日投票)
https://web.archive.[...]
2017-07-24
[4]
논문
参議院自民党における閣僚ポスト配分ルールの形成
2001
[5]
웹사이트
参議院議員通常選挙の定数,立候補者数,選挙当日有権者数,投票者数及び投票率(昭和22年~平成16年)(エクセル:48KB)
http://www.stat.go.j[...]
[6]
웹사이트
参議院議員通常選挙の党派別当選者数及び得票率(昭和22年~平成16年)(エクセル:80KB)
http://www.stat.go.j[...]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