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임스 기번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임스 기번스는 1834년 메릴랜드주 볼티모어에서 태어난 미국 가톨릭교회의 추기경이다. 아일랜드 이민자 가정에서 성장하여 사제가 된 그는, 노스캐롤라이나 교황대리, 리치먼드 교구장 주교를 거쳐 볼티모어 대교구장을 역임했다. 미국에서 두 번째로 추기경이 되었으며, 미국 가톨릭 대학교를 설립하고 초대 학장을 지냈다. 그는 노동 운동과 여성 참정권을 지지하고, 유대인과의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등 사회 문제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저서로는 《교부들의 신앙》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메이요주 출신 - 메리 로빈슨
    메리 로빈슨은 아일랜드 최초의 여성 대통령이자 유엔 인권 고등판무관을 지낸 정치인, 외교관, 인권 운동가로, 자유주의적 가치 옹호, 여성 권익 신장, 아일랜드 이주민 문제 해결, 영국과의 관계 개선 등에 기여하며 국제 사회 문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 메이요주 출신 - 루이 월시
    아일랜드의 음악 매니저이자 방송인인 루이 월시는 보이존, 웨스트라이프 제작 성공과 《The X Factor》, 《Ireland's Got Talent》 심사위원 활동, 그리고 로난 키팅의 솔로 활동 지원 및 최근 《셀러브리티 빅 브라더》 출연으로 알려져 있다.
  • 미국의 로마 가톨릭 대주교 - 윌리엄 웨이크필드 바움
    윌리엄 웨이크필드 바움은 미국의 로마 가톨릭 성직자로, 스프링필드-케이프 지라도 교구 주교, 워싱턴 D.C. 대교구 대주교를 거쳐 추기경에 서임되었고, 교황청 장관과 대사 사면원장을 지냈으며, 2005년 콘클라베에 참여한 최고참 추기경이었다.
  • 미국의 로마 가톨릭 대주교 - 제임스 스태퍼드
    제임스 스태퍼드는 미국의 로마 가톨릭 고위 성직자로, 주교와 대주교를 거쳐 추기경에 서임되었으며, 교황청 평의회 의장과 대사령관을 역임하고 2009년 은퇴했다.
  • 19세기 로마 가톨릭 대주교 - 교황 비오 10세
    교황 비오 10세는 1835년 이탈리아에서 태어나 교황으로 선출된 후 전례 개혁, 근대주의 단죄, 세계 각지 사목 활동을 펼치다 1914년 선종하고 1954년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 19세기 로마 가톨릭 대주교 - 히에로니무스 폰 콜로레도 백작
    히에로니무스 폰 콜로레도 백작은 잘츠부르크 대주교로서 계몽주의 시대에 맞춰 다양한 개혁을 추진하고 모차르트를 후원했으나 갈등으로 해고했으며, 세속 통치 상실 후 빈에서 생을 마감했다.
제임스 기번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제임스 기번스
직함추기경, 볼티모어 대교구 대주교
임명1877년 5월 29일 (보좌 주교)
착좌1877년 10월 3일
임기 종료1921년 3월 24일
선임자제임스 루스벨트 베일리
후임자마이클 조셉 컬리
서품1861년 6월 30일
서품자프랜시스 켄릭
성별1868년 8월 15일
축성자마틴 존 스팔딩
추기경 서임1886년 6월 7일
추기경 서임자레오 13세
계급추기경 사제
다른 직책산타 마리아 인 트라스테베레 성당 추기경 사제
이전 직책리치먼드 교구 주교 (1872–77)
출생 이름제임스 기번스
출생일1834년 7월 23일
출생지볼티모어, 메릴랜드
사망일1921년 3월 24일
사망지볼티모어, 메릴랜드
서명
모토Emitte spiritum tuum (당신의 영을 보내소서)
추가 정보
영어 이름James Gibbons

2. 젊은 시절과 교육

제임스 기번스는 아일랜드계 이민자 가정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 결핵을 앓아 가족과 함께 잠시 아일랜드에서 살기도 했다.[23][2] 아버지가 세상을 떠난 후 1853년, 가족은 다시 미국으로 돌아와 뉴올리언스에 정착했다.[23][2]

뉴올리언스에서 가톨릭 피정에 참여하던 중, 기번스는 폴리스트 수도회의 공동 창립자인 클래런스 A. 왈워스 신부의 설교를 듣고 사제가 되기로 결심했다.[2] 그는 1855년 엘리콧 시티에 있는 성 가롤로 대학에 입학하여 1857년에 졸업했다.[2][23] 이후 볼티모어의 성 마리아 신학교에 진학했으나, 재학 중 말라리아에 심하게 걸려 건강이 악화되기도 했다.[2][23] 이 때문에 신학교 측에서는 그가 사제직을 감당할 수 있을지 우려하기도 했다.[2]

2. 1. 출생과 가족 배경

제임스 기번스는 1834년 7월 23일 미국 메릴랜드주 볼티모어에서 토머스 기번스와 브리짓(née 월시) 기번스 사이에 태어난 여섯 명의 자녀 가운데 넷째 아들이었다.[1][23] 그의 부모는 아일랜드 메이요주 투어마키디 출신 이민자들이었으며, 아일랜드를 떠나 캐나다에 정착한 후 미국으로 이주했다.[2]

1839년 제임스 기번스가 결핵에 걸리자, 그의 아버지 토머스는 아일랜드의 기후가 아들의 건강 회복에 더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여 가족과 함께 고향인 아일랜드로 돌아갔다.[23][2] 그곳에서 토머스는 볼린로브에 식료품점을 열었고, 제임스 기번스는 어린 시절 그곳에서 일했다. 제임스는 체격이 작고 평균 키보다 약간 작았으며, 위장 문제와 그에 따른 불안, 임상 우울증을 겪기도 했다.[2] 토머스 기번스는 1847년 아일랜드에서 세상을 떠났고,[23] 1853년 그의 어머니 브리짓은 남은 가족을 이끌고 다시 미국으로 건너가 뉴올리언스에 자리 잡았다.[23][2]

2. 2. 아일랜드에서의 성장

제임스 기번스는 1834년 미국 메릴랜드주 볼티모어에서 아일랜드 메이요주 출신 이민자 부모 사이에서 태어났다.[1][23][2] 1839년, 그가 결핵을 앓자 아버지 토머스는 아들의 건강 회복을 위해 더 나은 환경이라 여긴 고향 아일랜드로 가족과 함께 돌아갔다.[23][2] 아일랜드 볼린로브에서 아버지는 식품점을 운영했으며, 어린 제임스 기번스도 이곳에서 일했다.[2] 그는 체격이 작고 평균 키보다 약간 작았으며, 위장 문제와 함께 불안, 주요 우울 장애를 겪기도 했다.[2] 1847년 아버지가 아일랜드에서 세상을 떠났고,[23][2] 1853년 어머니 브리짓은 남은 가족을 데리고 다시 미국으로 건너가 뉴올리언스에 정착했다.[23][2]

2. 3. 미국으로의 귀환과 사제 서품

1847년 아버지 토마스 기번스가 아일랜드에서 사망한 후, 1853년 어머니 브리짓 기번스는 가족을 다시 미국으로 이주시켰고 뉴올리언스에 정착했다.[2] 뉴올리언스에서 가톨릭 피정에 참여하던 중, 기번스는 폴리스트 수도회의 공동 창립자인 클래런스 A. 왈워스 신부의 설교를 듣고 사제가 되기로 결심했다.[2]

1855년, 제임스 기번스는 엘리콧 시티에 있는 성 가롤로 대학에 입학하였다.[2][23] 1857년 성 가롤로 대학을 졸업한 후, 그는 볼티모어에 있는 성 마리아 신학교에 입학하였다.[2][23] 신학교 재학 중 말라리아에 심하게 걸려 몸이 쇠약해졌고, 이 때문에 신학교 측에서는 그가 사제직을 감당할 수 있을지 우려하기도 했다.[2]

1861년 6월 30일, 기번스는 사제 서품을 받았다.[23] 그는 서품 후 잠시 세인트패트릭 성당에서 보좌신부로 일했으며, 6주 뒤에는 세인트브리짓 성당의 초대 주임 신부로 임명되었다.[24] 1865년에는 마르틴 존 스팔딩 대주교의 개인 비서가 되었다.[24] 이듬해인 1866년 제2차 볼티모어 전국 공의회 준비를 도왔다. 스팔딩 대주교의 제안에 따라 공의회에 참석한 사제들은 노스캐롤라이나 교황대리구 신설과 제임스 기번스를 초대 교황대리구장으로 추대하는 안건을 결의하였다.[24]

3. 사제 생활

제임스 기번스는 1861년 6월 30일 프란시스 켄릭 대주교로부터 사제 서품을 받았다.[23][3] 서품 후 볼티모어 지역 성당들에서 보좌 신부와 주임 신부로 사목 활동을 시작했으며,[24][4] 미국 남북 전쟁 중에는 군종 신부로도 봉사했다.[3] 1865년에는 마틴 존 스폴딩 대주교의 개인 비서로 임명되어[1] 1866년 제2차 볼티모어 전국 공의회 준비를 도왔고, 이 공의회에서 신설될 노스캐롤라이나 교황 대리구의 책임자로 추천받았다.[5]

3. 1. 초기 사목 활동

1855년, 엘리코트시티에 있는 성 가롤로 대학에 입학하여 1857년에 졸업하였다. 이후 볼티모어의 성 마리아 신학교에 입학하였다. 말라리아에서 회복된 후, 1861년 6월 30일 성 마리아 신학교에서 프란시스 켄릭 대주교에 의해 볼티모어 대교구의 사제로 서품받았다.[23][3]

서품 후 첫 6주 동안은 볼티모어 펠스 포인트 지역의 성 패트릭 성당에서 보좌 신부로 사목하였다.[3] 이후 볼티모어에 있는 성 브리짓 성당[4]과 성 로렌스 성당의 초대 주임 신부로 임명되었다.[24] 미국 남북 전쟁 기간에는 볼티모어 포트 맥헨리에 수감된 남부 연합군 포로들을 위한 군종 신부로도 활동하였다.[3]

1865년, 마틴 존 스폴딩 대주교는 기번스를 자신의 개인 비서로 임명하였다.[1] 기번스는 1866년 10월에 열린 제2차 볼티모어 전국 공의회 준비를 도왔다. 스폴딩 대주교의 제안에 따라, 공의회에 참석한 교부들은 바티칸에 노스캐롤라이나를 위한 교황 대리구를 신설하고 기번스를 초대 교황 대리구장으로 임명할 것을 권고하였다.[5]

3. 2. 남북 전쟁 중 군종 신부

말라리아에서 회복된 후, 기번스는 1861년 6월 30일 성 마리아 신학교에서 프란시스 켄릭 대주교에 의해 볼티모어 대교구의 사제로 서품받았다.[3] 서품 후에는 볼티모어 펠스 포인트 지역의 성 패트릭 교구에서 6주간 보좌 신부로 일했으며, 이후 성 브리짓 교구[4]와 성 로렌스 교구의 초대 주임 신부로 임명되었다. 미국 남북 전쟁 중에는 볼티모어의 포트 맥헨리에 주둔하며 남부 연합군 포로들을 위한 군종 신부로 복무했다.[3]

3. 3. 마르틴 존 스팔딩 대주교의 비서

1865년, 마틴 존 스폴딩 대주교는 기번스를 자신의 개인 비서로 임명했다.[1] 기번스는 1866년 10월에 열린 제2차 볼티모어 공의회를 준비하는 스폴딩 대주교를 도왔다. 스폴딩 대주교의 권유에 따라, 공의회에 참석한 교부들은 바티칸에 노스캐롤라이나를 위한 교황 대리구를 새로 설치하고 기번스를 그 책임자로 임명할 것을 권고했다.[5]

4. 주교 생활

제임스 기번스


1868년 3월, 교황 비오 9세는 제임스 기번스를 노스캐롤라이나의 초대 교황 대리이자 아드라미티움의 명의주교로 임명했다.[6] 같은 해 8월 15일, 그는 볼티모어 대성당에서 주교 서품을 받았다. 당시 34세였던 그는 전 세계 가톨릭 주교들 가운데 가장 젊은 축에 속해 '소년 주교'라는 별명을 얻었다.

기번스는 교황 대리로서 노스캐롤라이나 전역을 순회하며 사목 활동을 펼쳤고, 이 과정에서 많은 개신교 신자들과도 교류하며 일부를 가톨릭으로 이끌었다.[5][1] 이러한 경험은 훗날 그가 《교부들의 신앙》이라는 입교서를 저술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는 점차 미국 사회에서 영향력 있는 종교 지도자로 부상했으며, 앤드루 존슨부터 워런 G. 하딩까지 여러 대통령들과 만나 조언하기도 했다.

1869년부터 1870년까지 기번스는 로마에서 열린 제1차 바티칸 공의회에 참석했다. 그는 미국 주교단 중 최연소였으며, 공의회 전체에서도 두 번째로 젊은 주교였다. 1872년 7월 30일, 그는 리치먼드의 네 번째 교구장 주교로 임명되어 같은 해 10월 20일 착좌했다.

1877년 5월, 기번스는 볼티모어 대교구의 부교구장 대주교로 임명되었고, 그해 10월 3일 전임자 제임스 루스벨트 베일리 대주교의 선종으로 대교구장직을 자동으로 승계했다.[5]

1886년 6월 7일, 교황 레오 13세는 기번스를 추기경에 서임했으며, 이로써 그는 존 매클로스키에 이어 미국인으로는 두 번째 추기경이 되었다. 1887년 3월 17일에는 산타 마리아 인 트라스테베레 성당을 명의 본당으로 받았다.[8] 같은 해, 기번스는 미국 가톨릭 대학교 설립을 주도하고 초대 총장으로 부임했다.[1][7]

4. 1. 노스캐롤라이나 교황대리

제임스 기번스 추기경의 문장


1868년 3월 3일, 교황 비오 9세는 기번스를 노스캐롤라이나의 초대 교황 대리이자 Adramyttium|아드라미티움la의 명의주교로 임명했다.[6] 그는 1868년 8월 15일, 볼티모어 대성당에서 스팔딩 주교로부터 주교 서품을 받았으며, 패트릭 린치 주교와 마이클 도메넥 주교가 공동 서품자로 참여했다. 당시 그의 나이는 34세로 전 세계 가톨릭 주교 가운데 가장 젊은 축에 속하여 '소년 주교'라고 불렸다.

기번스가 맡은 노스캐롤라이나 교황 대리구에는 주 전체를 통틀어 가톨릭 신자가 700명도 채 되지 않았다. 그는 임명 후 첫 4주 동안 여러 도시와 선교 지역을 방문하며 강론하고 성사를 집전했는데, 이때 이동한 거리가 거의 약 1609.34km에 달했다. 그는 여행 중에 많은 개신교 신자들과 친분을 쌓았고, 그들의 예배당에서도 설교하도록 초청받기도 했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 기번스는 많은 사람들을 가톨릭으로 이끌었다.[5][1] 기존의 입교서로는 개종한 이들을 충분히 교육하기 어렵다고 판단한 그는, 개신교 측에서 제기한 여러 문제에 대해 가톨릭교회의 정통성과 권위의 정당성을 설명하기 위해 직접 새로운 입교서를 쓰기로 결심했다. 이것이 바로 《교부들의 신앙》이다.

기번스는 기독교를 주제로 한 다양한 강론과 강의를 통해 점차 인지도를 높여갔으며, 미국 내에서 가장 대중적이고 인기 있는 종교 지도자 중 한 명으로 자리 잡았다. 그는 앤드루 존슨부터 워런 G. 하딩에 이르기까지 여러 미국 대통령들과 만나 조언을 아끼지 않았다.

1866년 제2차 볼티모어 종교회의에서 기번스는 사제와 평신도를 교육하기 위한 미국 가톨릭 대학교 설립을 지지했으나, 이 제안은 이후 19년 동안 실현되지 못했다.[1][7]

1869년부터 1870년까지 기번스는 로마에서 열린 제1차 바티칸 공의회에 참석했다. 당시 35세였던 그는 미국 주교단 가운데 가장 젊었으며, 전체 공의회 참석 주교 중에서는 두 번째로 젊었다. 그는 이 공의회에서 교황 무류성 교리에 찬성표를 던졌다. 1872년 1월에는 로마 가톨릭 리치몬드 교구의 교황 대리 역할도 추가로 맡게 되었다.

4. 2. 리치먼드 교구장

1872년 7월 30일, 교황 비오 9세에 의해 리치먼드 교구의 네 번째 교구장 주교로 임명되었다. 같은 해 8월 20일에 주교좌에 착좌하였으며, 1877년 5월까지 리치먼드 교구장으로 사목하였다. 이후 대주교로 승품되어 볼티모어 대교구의 부교구장 대주교로 임명되었다.

4. 3. 볼티모어 대교구장



1877년 5월, 리치먼드 교구장 임기를 마친 제임스 기번스는 교황 비오 9세에 의해 볼티모어 대교구의 부교구장 대주교로 임명되었다. 같은 해 10월 3일, 전임 대교구장 제임스 루스벨트 베일리 대주교가 선종하자 기번스는 자동으로 대교구장직을 승계했다.[5]

기번스는 볼티모어 대교구장으로 재임하는 초기 20년 동안 그를 보좌할 보조 주교가 없었다. 이 때문에 그는 대교구 전역을 직접 광범위하게 여행하며 사제들과 교구민들을 만나 그들을 잘 알게 되었다.

1886년, 제임스 기번스는 미국인으로서는 두 번째로 추기경에 서임되었다. 이듬해인 1887년에는 미국 가톨릭 대학교를 세우고 초대 학장으로 부임하였다.

4. 4. 추기경 서임



1886년 6월 7일, 교황 레오 13세는 기번스를 추기경 사제로 임명했다. 1887년 3월 17일에는 로마의 산타 마리아 인 트라스테베레 성당을 명의 본당으로 받았다.[8] 이로써 그는 존 매클로스키 추기경에 이어 미국 역사상 두 번째 추기경이 되었다.

5. 주요 활동 및 업적



1886년 6월 7일, 교황 레오 13세는 기번스를 추기경 사제로 임명했으며, 1887년 3월 17일 산타 마리아 인 트라스테베레 성당을 명의본당으로 배정받았다.[8] 그는 존 매클로스키 추기경에 이어 두 번째 미국인 추기경이 되었다.

1885년 볼티모어 제3차 플레너리 공의회에서 주교들은 워싱턴 D.C.미국 가톨릭 대학교 설립을 결정했으며, 기번스는 이 대학의 설립을 주도하여 1889년 3월 7일 개교와 함께 초대 총장을 맡았다.[1][7]

1903년, 기번스는 콘클라베에 참여한 최초의 미국인 추기경이 되었다. 그는 1914년 콘클라베에도 참여하려 했으나 늦게 도착하여 참여하지 못했다.[18]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기번스는 전국 가톨릭 복지 협의회(National Catholic Welfare Council) 설립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또한 전쟁 중 윌리엄 A. 헤믹 신부가 프랑스에서 미군을 위해 사목하는 것을 허가했으며, 헤믹 신부는 이후 피카르디의 애국 신부로 알려지게 되었다. 전쟁이 끝난 후에는 새로운 국제 연맹 창설과 미국의 참여를 지지했다.

기번스는 노동 운동, 여성 참정권, 미국주의 논쟁, 유대인과의 관계 등 당대의 주요 사회 문제에 대해서도 적극적으로 입장을 표명하고 활동했다. 이러한 활동들은 그의 사회적 영향력을 보여주는 중요한 부분이다.

제임스 기번스는 1921년 3월 24일, 볼티모어에서 86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8]

5. 1. 저술 활동

노스캐롤라이나 지역 사목 당시, 개신교 신자들과의 교류 과정에서 기존의 가톨릭 입교서들이 새로운 신자들을 이해시키는 데 한계가 있다고 판단하여 직접 새로운 입교서를 저술하기로 결심했다. 당시 많은 미국인들이 자신의 신앙이 성경에서 직접 비롯되었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기번스는 가톨릭 교리와 의식의 성경적 근거를 설명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22] 또한, 가톨릭교가 유럽인들에 의해 강요된 이단적 신념이라는 반가톨릭주의 토착주의자들의 주장을 반박하며, 가톨릭교가 미국의 신앙임을 보여주고자 했다.[22]

이러한 배경에서 오랜 세월 동안 개신교 측이 제기한 여러 비판에 대해 가톨릭교회의 정통성과 교회 권위의 정당성을 설명하기 위해 1875년에 《교부들의 신앙》(The Faith of Our Fathers: A Plain Exposition and Vindication of the Church Founded by Our Lord Jesus Christeng)을 출판했다.[5][1][22] 이 책은 초판 10,000부가 빠르게 매진되었고,[22] 1879년까지 50,000부가 판매되었다. 1917년까지 누적 판매량은 1,400,000부에 달했으며, 1939년 소설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가 출판되기 전까지 미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책 중 하나로 평가받았다.[22]

기번스는 《교부들의 신앙》 외에도 여러 저서를 남겼으며, 주요 저술 목록은 다음과 같다.

제목원제출판 연도
교부들의 신앙The Faith of Our Fathers1876
《우리의 기독교 유산》Our Christian Heritage1889
《그리스도의 대사》The Ambassador of Christ1896
《강론과 설교》Discourses and Sermons1908
《50년의 회고》A Retrospect of Fifty Years1916



또한, 기번스는 《북아메리카 리뷰》(North American Review)와 《퍼트넘스 먼슬리(Putnam's Monthly)》 등 여러 정기 간행물에 글을 기고했으며, 《가톨릭 백과사전(Catholic Encyclopedia)》의 집필에도 참여했다. 주요 기고문은 다음과 같다.

제목게재지연도
"바티칸 공의회에 대한 개인적인 회고"《북아메리카 리뷰》1894
"교사의 학생에 대한 의무"《북아메리카 리뷰》1896
"가톨릭 기독교"《북아메리카 리뷰》1901
"린치 법: 그 원인과 해결책"《북아메리카 리뷰》1905
"국제 평화"《북아메리카 리뷰》1907
"교회와 공화국"《북아메리카 리뷰》1909


5. 2. 노동 운동 지지

제임스 기번스는 노동자 보호와 노동조합 결성의 권리를 옹호했다. 그는 미국의 동부 도시 산업가들이 가톨릭 이민 노동자들을 착취한다고 생각했다. 그는 "노동 계급이 스스로를 보호하는 것은 권리이며, 탐욕, 억압, 부패에 대한 해결책을 찾는 것은 모든 사람의 의무이다"라고 말하기도 했다.[13] 기번스는 가톨릭 신자들이 노동조합에 가입하는 것에 대해 교황의 허가를 받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14]

그는 수동 노동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 "인류의 구세주는 수동 노동을 고귀하게 하고 성화함으로써, 그리고 수동 노동에 찍혀 있던 굴욕의 낙인을 없앰으로써 인류에게 그 어떤 것보다 더 큰 현세적 은혜를 베풀었다." 또한 "그리스도는 제국의 위엄의 웅장함 속에서가 아니라, 겸손한 노동자의 환경 속에서 세상에 나왔다. 그는 장인의 아들로 여겨지며, 그의 초기 청년 시절은 기술자의 작업장에서 보내졌다"고 덧붙였다. 그는 "그리스도의 모범과 가르침 덕분에 모든 정직한 노동은 칭찬받을 만하다"고 결론지었다.[15]

1887년 로마에서 기번스는 노동 기사단을 비난하지 말 것을 바티칸에 간청했으며, 노동자들의 단결할 권리를 옹호했다.[16]

5. 3. 여성 참정권 운동 지지

1913년 워싱턴 D.C. 여성 참정권 행진


기번스는 초기에 미국의 미국 여성 참정권 운동에 반대했다. 그러나 1920년 미국 헌법 수정 제19조가 통과되어 여성의 투표가 허용되자, 기번스는 여성들에게 그 권리를 행사할 것을 촉구하며 "단지 권리일 뿐만 아니라 엄격한 사회적 의무"라고 묘사했다.[18]

5. 4. 미국주의 논쟁

1899년, 기번스는 폴리스트 수도회의 창립자인 아이작 헤커 신부의 전기를 둘러싸고 바티칸과 논쟁에 휘말렸다. 이 논쟁은 아이작 헤커 신부의 전기인 ''Life of Isaac Heckereng''가 프랑스어로 번역 출판되면서 시작되었다. 바티칸은 이 프랑스어판 서문에 담긴 개인주의자유주의에 대한 견해가 논란의 소지가 있다고 보았다. 번역을 맡은 펠릭스 클라인 신부는 해당 견해가 마치 헤커 자신의 생각인 것처럼 서술했다. 이 책의 출판은 당시 진행 중이던 미국주의 논쟁을 더욱 가열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미국주의는 미국 가톨릭교회 내에서 교황의 권위에 대해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태도를 보이는 경향을 의미하며, 바티칸은 이를 이단으로 간주하고 있었다.[9][10]

결국 1899년 1월 22일, 레오 13세는 기번스 추기경에게 회칙 ''Testem benevolentiae nostrae''("미국주의에 관한 새로운 의견, 덕, 본성 및 은총에 관하여")를 보냈다. 이 회칙은 미국주의와 헤커의 전기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담고 있었다.[9][10] 이에 대해 기번스와 다른 미국의 교회 지도자들은 교황에게 서문에 담긴 논란의 내용은 헤커 신부의 생각이 아니라 번역자인 클라인 신부의 것이라고 해명했다. 또한 그들은 헤커 신부가 가톨릭 교리를 벗어나거나 그 의미를 축소하려는 의도가 전혀 없었다고 강조하며 입장을 변호했다.[10][9]

5. 5. 유대인과의 관계

유대인을 상대로 한 러시아 포그롬


기번스는 노스캐롤라이나, 버지니아, 메릴랜드에서 사목 활동을 하는 동안 지역 랍비들과 우호적인 관계를 맺었다.[11] 1890년, 그는 한 편지에서 유대인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다음과 같이 밝혔다.

나는 기독교인들이 유대 민족에게 호의적인 감정 외에 다른 감정을 가질 수 있다고 생각하기 어렵다. 우리가 그들에게 얼마나 많은 빚을 지고 있는지 생각해보면 말이다. 우리는 그들로부터 모든 시대에 경건한 영혼에게 위안이 된 구약 성경의 영감을 받은 책을 받았다. 우리 종교의 창시자인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와 그의 복된 어머니, 사도들은 모두 육신으로는 유대인이었다. 이러한 사실들이 나를 유대 민족에게 강하게 묶어준다.[11]


같은 해인 1890년, 기번스는 러시아 제국에서 벌어진 유대인 대상 포그롬을 공개적으로 비판했다. 이후 1903년에는 현재 몰도바의 수도인 키시너우에서 발생한 키시네프 포그롬을 규탄했다. 이 사건은 폭도들이 유대인 49명을 살해하고 수백 명에게 부상을 입힌 참사였다. 기번스는 대중에게 러시아 유대인들을 위한 도움을 호소하기도 했다.[12]

1915년에는 오하이오주의 유대인 지도자들이 공립학교에서 성경 읽기를 장려하는 주 법안에 반대하자, 기번스는 그들의 입장을 지지하는 편지를 보냈다. 또한 제1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볼티모어에서 미국 유대인 구호 기금 모금 활동을 지원하며 유대인 공동체에 대한 연대 의식을 보여주었다.[11]

6. 유산

제임스 기번스의 유산은 후대에 여러 방식으로 기억되고 있다. 그의 이름을 딴 학교들이 세워졌으며, 워싱턴 D.C.에는 그의 업적을 기리는 제임스 기번스 추기경 기념상이 건립되었다.

6. 1. 평가

미국 대통령 윌리엄 하워드 태프트는 1911년 50주년 기념식에서 제임스 기번스 추기경의 공헌을 높이 평가했다. 1917년에는 시어도어 루스벨트 대통령이 기번스 추기경을 가장 훌륭하고 존경스러운 미국인 중 한 명으로 꼽았다.

말년에 제임스 기번스는 미국 가톨릭교회를 대표하는 인물로 여겨졌으며, 그의 선종 소식에 많은 이들이 슬퍼했다. 그는 미국 내 노동운동을 지지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그의 이름을 딴 학교들도 다수 세워졌다.

기독교 성직자들에게 비판적이기로 유명했던 멘켄조차 1921년 기번스 추기경이 선종하자 그를 칭송했다. 멘켄은 "최소한 한 명 이상의 대통령이 추기경의 조언을 구하려 했다. 그는 매우 현명한 사람이었고, 정치적으로도 가장 분별력 있는 인물이었다. 또한 교회를 침체시키거나 궁지에 몰아넣은 적이 없었다"고 평가했다.

1932년, 조각가 레오 렌텔리는 제임스 기번스 추기경을 기리기 위해 제임스 기번스 추기경 기념상을 조각하여 워싱턴 D.C.에 설치했다.

참조

[1] 서적
[2] 웹사이트 His Eminence James Cardinal Gibbons https://www.archbalt[...] 2023-12-10
[3] 웹사이트 "His Eminence James Cardinal Gibbons", The Archdiocese of Baltimore http://www.archbalt.[...] 2015-07-31
[4] 웹사이트 St. Brigid's Church, Baltimore http://www.saintbrig[...] 2009-03-25
[5] 웹사이트 Cardinal James Gibbons, Baltimore (1834–1921) https://www.patheos.[...] 2013-07-02
[6] 서적 The Catholic Encyclopedia and its makers https://archive.org/[...] The Encyclopedia Press
[7]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Catholic University https://www.catholic[...] 2023-12-11
[8] 서적 Acta Sanctae Sedis http://www.vatican.v[...] 1886-87
[9] 간행물 Isaac Thomas Hecker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1910-10-04
[10] 간행물 Testem Benevolentiae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1912-10-04
[11] 논문 Cardinal Gibbons and His Attitude Toward Jewish Problems https://www.jstor.or[...] 1928
[12] 논문 Cardinal Gibbons and His Attitude Toward Jewish Problems https://www.jstor.or[...] 1928
[13] 웹사이트 Cardinal James Gibbons is born, July 23, 1834 https://www.politico[...] 2009-07-23
[14] 웹사이트 Catholic priests and the labor movement https://uscatholic.o[...] 2015-09-01
[15] 서적 The World's Congress of Religions W.B. Conkey Company 1894
[16] 서적 Critical Issues in American Religious History A Reader Baylor University Press 2001
[17] 서적 American Imperialist: Cruelty and Consequence in the Scramble for Afric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23-11-16
[18] 간행물 Life of James Cardinal Gibbons https://penelope.uch[...]
[19] 서적 King Leopold's Ghost Pan Macmillan UK
[20] 문서 p. 224
[21] 논문 The King, the Cardinal and the Pope: Leopold II's Genocide in the Congo and the Vatican 2003
[22] 논문 Bishop James Gibbons, the Bible, and Protestant America https://www.jstor.or[...] 2013
[23] 웹인용 "His Eminence James Cardinal Gibbons", The Archdiocese of Baltimore http://www.archbalt.[...] 2015-08-26
[24] 웹인용 St. Brigid's Church, Baltimore http://www.saintbrig[...] 2015-08-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