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주광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광일은 대한민국의 법조인으로, 검사, 국민고충처리위원회 위원장, 변호사, 대학교수 등을 역임했다. 1943년 인천에서 태어나 경기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사법시험에 합격했다. 검사로 재직하며 10.26 사건 수사에 참여했고, 인천지방검찰청 검사장, 대전고등검찰청 검사장, 서울고등검찰청 검사장 등을 거쳤다. 1998년 국민고충처리위원회 위원장으로 임명되었으며, 퇴임 후에는 변호사, 대학교수로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국민고충처리위원회 위원장 - 김광일 (1939년)
    김광일은 1939년생으로 서울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판사, 인권변호사로 활동하다가 정치에 입문하여 국회의원, 국민고충처리위원회 위원장, 대통령비서실장 등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법조인 출신 정치인이다.
  • 대한민국의 국민고충처리위원회 위원장 - 이원형 (1933년)
    대한민국의 법조인이자 정치인인 이원형은 경찰서장과 검사, 변호사로 활동하다 평화민주당과 민주당 소속으로 제11대 및 제14대 국회의원을 역임하며 사회적 약자를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국민고충처리위원회 위원장을 지냈다.
  • 서울대학교 사법대학원 동문 - 안영욱
    안영욱은 서울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검사로 임용되어 공안 분야에서 활동하며 대검찰청 공안기획관, 울산지방검찰청 검사장 등을 역임하고 현재는 법무법인 태평양 변호사로 활동한다.
  • 서울대학교 사법대학원 동문 - 정치근
    정치근은 대한민국의 검사 출신 법조인으로, 공안통 검사로 활동하며 검찰총장과 법무부 장관을 역임했으나, 전두환 정권의 검찰 장악 시도 및 유신 체제 옹호, 민주화 운동 탄압에 기여했다는 비판도 받는다.
  • 대한민국의 고등검찰청 검사장 - 박성재 (법조인)
    박성재는 대한민국의 법조인으로, 검사 경력을 거쳐 법무부 장관으로 임명되었으며, 주요 기업 비리 사건 수사를 지휘했다.
  • 대한민국의 고등검찰청 검사장 - 김희옥
    김희옥은 검사 출신 법조인으로서 법무부 차관과 헌법재판소 재판관을 역임하고 동국대학교 총장,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 위원장, 새누리당 혁신비상대책위원장, KBL 프로농구연맹 총재, 한국프로스포츠협회 회장 등을 지낸 대한민국의 교육자, 스포츠인, 정치인이다.
주광일
인물 정보
이름주광일
원어명朱光逸
로마자 표기Joo Kwang-il
출생일1943년
직업법조인
경력제25대 서울고등검찰청 검사장

2. 생애

주광일은 1943년 인천광역시에서 태어나 경기고등학교서울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1965년 제5회 사법시험에 합격했다. 1979년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법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고, 2006년에는 미국 노스웨스턴대학교 로스쿨을 수료하였다.[1] 검사 시절에는 '면도날'이라는 별명으로 불릴 만큼 일처리가 매섭고 깔끔했다.[1] 10.26 사건 직후 김재규 수사를 맡았으나 "개혁 의지가 없다"는 이유로 원대복귀되기도 했다.[1] 인천지방검찰청 검사장 시절에는 대형 사건들을 처리했다.[2] 1989년 홍콩에서 열린 아시아지역법률가회의에 참석하여 발표를 하기도 했다.[3] 1993년 대검찰청 감찰부장 재직 당시 고위 공직자 재산 신고에서 826870551KRW을 신고했다.[5] 1994년에는 국내 최초의 우루과이라운드 개설서인 《UR 협정의 법적 고찰》을 발간했다.[6] 김대중 정부 출범 직후인 1998년 3월 19일 국민고충처리위원회 제4대 위원장에 위촉되었다.[7]

2. 1. 출생 및 학창 시절

1943년 인천광역시에서 태어나 경기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65년 서울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였다. 같은 해 제5회 사법시험에 합격하였으며, 1979년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법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2006년에는 미국 노스웨스턴대학교 로스쿨을 수료하였다.[1]

1992년 대전고등검찰청 차장검사 재직 시절, 경기고등학교서울대학교 재학 시절에 썼던 사랑을 주제로 한 시 60편을 묶어 《저녁노을 속의 종소리》(도서출판 빛남)라는 시집을 출판했다.[4]

2. 2. 검사 시절

주광일은 검사로 재직하면서 면도날이라는 별명이 붙을 정도로 일처리가 매섭고 깔끔했으며, 잔일까지 직접 챙겨 부하 검사들이 부담스러워했다고 한다. 10.26 사건 직후 합동수사본부에 파견되어 김재규 수사를 맡았으나 "개혁 의지가 없다"는 이유로 원대복귀되기도 했다.[1] 인천지방검찰청 검사장으로 있을 때는 자신이 직접 언론 브리핑을 했던 인천 북구청 세금 횡령 사건, 인천지방법원 집달관 비리 사건 등 대형 사건을 처리했다.[2]

1989년 9월 18일부터 나흘간 홍콩에서 열린 아시아지역법률가회의에 서울지방검찰청 북부지청 차장검사 자격으로 참석하여 '한국 경제 발전 과정에 있어서의 외자도입법의 역할'이라는 주제 발표를 했다.[3]

1992년 8월 대전고등검찰청 차장검사로 있으면서 경기고등학교서울대학교 재학 시절에 썼던 사랑을 주제로 한 시 60편을 묶은 《저녁노을 속의 종소리》(도서출판 빛남)라는 시집을 출판했다.[4]

1993년 3월 대검찰청 감찰부장으로 있을 때 고위 공직자 재산 신고에서 총액 826870551KRW을 신고했다.

소유주종류세부 내용금액(원)
본인서초동 삼풍아파트 64평형 아파트34,000,000
본인서초동 파레스오피스텔 49.72m243,437,733
본인한일투자신탁 예금20,000,000
본인국민은행 예금11,207,447
본인서울신탁은행 예금9,000,000
본인조흥은행 예금1,245,071
본인청주컨트리클럽 회원권14,000,000
본인삼풍스포츠맥스 가족회원권17,510,000
본인화승레스피아패밀리타운8,950,000
본인프린스2,0 승용차(90년형)3,000,000
아버지인천 중구 신흥동 주택 대지 198.3m2160,520,300
장남 주성규쌍용투자증권 예금4,000,000
총액826870551KRW

[5]

1994년 5월 법무부 법무실장으로 있으면서 "우루과이라운드 협정은 우리의 경제에도 큰 영향을 미치게 되지만 아직 이에 대한 상세한 이해가 부족한 것 같다"면서 국내 최초의 우루과이라운드 개설서인 《UR 협정의 법적 고찰》을 발간했다.[6]

2. 3. 국민고충처리위원회 위원장 시절

김대중 정부가 출범한 직후인 1998년 3월 19일 대통령으로부터 국민고충처리위원회 제4대 위원장에 위촉되었으며, 주광일은 임명 직후 "항상 국민의 편에 서서 국민의 아픔과 눈물을 씻어주는 위원회로 만들겠다"고 했다.[7]

3. 경력

연도직책
서울지방검찰청 검사
춘천지방검찰청 원주지청 검사
대구지방검찰청 부장검사
법무부 검찰4과장
부산지방검찰청 특수부 부장검사
청주지방검찰청 차장검사
광주지방검찰청 차장검사
1992년대전고등검찰청 차장검사
1993년대검찰청 감찰부장
1993년법무부 법무실장
1993년 4월 3일 ~ 1993년 9월 20일제36대 춘천지방검찰청 검사장
1994년 9월 16일 ~ 1995년 9월 19일제10대 인천지방검찰청 검사장
1995년 9월 20일 ~ 1997년 8월 10일제5대 대전고등검찰청 검사장
1997년 8월 11일 ~ 1998년 3월 18일제25대 서울고등검찰청 검사장
1998년 3월 19일국민고충처리위원회 위원장
법무법인 나라 변호사
경희대학교 법대 겸임교수
세종대학교 석좌교수


참조

[1] 뉴스 1997년 8월 10일자 동아일보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97-08-10
[2] 뉴스 1997년 8월 11일자 한겨레 https://newslibrary.[...] 한겨레 1997-08-11
[3] 뉴스 1989년 9월 22일 경향신문 경향신문 1989-09-22
[4] 뉴스 경향신문 1992년 8월 14일 경향신문 1992-08-14
[5] 뉴스 1993년 3월 27일 동아일보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93-03-27
[6] 뉴스 1994년 5월 13일 경향신문 https://newslibrary.[...] 경향신문 1994-05-13
[7] 뉴스 1998년 3월 20일 동아일보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98-03-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