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주민등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민등록은 대한민국에서 행정사무 편의를 위해 시행되는 제도로, 국민이 거주하는 자치단체에 등록하는 것을 말한다. 주민등록법에 근거하며, 행정기관이 관할 구역 내 주민의 거주 및 이동 실태를 파악하여 공적 장부에 기록한다. 신고 의무자가 자진 신고하는 것이 원칙이며, 신고에는 등록, 정정, 말소, 전입, 해외 이주 등이 있다. 주민등록증은 만 17세 이상 국민에게 발급되며, 외국인은 외국인등록증을 발급받는다. 이 제도는 개인 정보 보호 문제와 같은 논란이 있으며, 다른 국가에서도 유사한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민등록 - 주민기본대장
    주민기본대장은 일본의 주민등록제도 관련 문서로, 모든 지방자치단체에서 전산 관리되며, 외국인 주민도 2012년 법 개정으로 주민등록법 적용 대상이 된다.
  • 시민등록 - 주민기본대장네트워크시스템
    주민기본대장네트워크시스템은 일본에서 주민 개인 정보를 관리하고 행정 절차를 간소화하기 위해 시, 구, 정, 촌, 광역자치단체, 전국 센터, 행정기관을 연결하는 시스템으로, 주민 기본 정보, 개인 번호 등을 기록하며 IP-VPN 방식으로 운영되고 정보 보안 및 프라이버시 침해에 대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기술적 안전성 강화와 법규 제정을 통해 안정화되었다.
  • 프라이버시 - PD수첩의 미국산 쇠고기 관련 보도
    PD수첩의 미국산 쇠고기 관련 보도는 2008년부터 2009년까지 미국산 쇠고기의 안전성 문제를 제기하며, 제작진이 검찰 수사를 받고 명예훼손 혐의로 기소되었으나 무죄 판결을 받았으며 언론의 자유와 사법부의 독립성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킨 사건이다.
  • 프라이버시 - 웹캠
    웹캠은 이미지를 캡처하고 디지털 비디오 스트림을 전송하는 장치로, 화상 통신용으로 개발되어 인터넷 메신저 발전과 원격근무 확산으로 대중화되었으나, 개인정보 유출 문제도 존재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주민등록
기본 정보
대한민국 주민등록증 견본
대한민국 주민등록증 견본
유형문서
목적신원 확인
행정 서비스 제공
선거 참여
기타 법률에서 정하는 목적
법적 근거
대한민국주민등록법
내용
필수 정보성명
주민등록번호
주소
사진
추가 정보 (선택 사항)지문
장기등 기증 여부
발급 및 관리
발급 기관대한민국 행정안전부 (읍, 면, 동 주민센터)
관리 기관대한민국 행정안전부
발급 절차최초 발급: 출생신고 후
재발급: 분실, 훼손, 기재사항 변경 등
역사
기원조선시대 호패 제도
일제강점기 주민 감찰 제도
대한민국1962년: 주민등록법 제정
1968년: 주민등록증 최초 발급
1975년: 전국민주민등록증 발급
논란 및 비판
개인 정보 침해 우려과도한 개인 정보 수집 및 관리 문제
사회통제 수단 악용 가능성권위주의 정권 시절 사회 통제 수단으로 활용된 사례
주민등록번호 악용 문제개인 정보 유출 및 명의도용 등의 문제 발생

2. 대한민국의 주민등록제도

주민등록법에 따라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주민을 각 자치단체에 등록하는 제도로, 행정사무 처리를 편리하게 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2. 1. 제도

주민등록법에 따라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주민을 각 자치단체에 등록하는 제도이다. 행정사무의 편의를 위해 만들어졌다.

주민등록은 행정기관이 관할 구역 내 주민의 거주 상황과 이동 실태를 파악하여 공부(公簿)에 기록하는 제도이다. 사람의 동적 실태를 기록하는 주민등록은, 사람의 혈연적 신분관계를 기록하는 호적과는 차이가 있다.

주민등록 사무는 시장(또는 구청장)·읍장·면장이 관장하며, 주민등록증 발급과 과태료 징수를 제외한 권한은 출장소장이나 동장에게 위임할 수 있다. 30일 이상 거주할 목적으로 특정 시·읍·면에 주소나 거소를 가진 사람은 누구나 해당 지역에 등록해야 한다. 단, 30일 이상 거주해도 목적이 없거나, 영내 기거 군인은 소속 세대의 거주지에, 영외 거주 군인은 영외거주지에 등록해야 한다. 치외법권을 가지지 않는 외국인은 출입국관리법에 따른 외국인 등록으로 주민등록을 대신한다.

주민등록은 신고의무자의 자진 신고가 원칙이며, 호적신고로 대신할 수도 있다. 신고의무자가 등록하지 않으면 행정기관이 직권으로 등록할 수 있다. 직권 등록 시 사실과 다른 등록이 될 수 있으므로, 통지 또는 공고일로부터 14일 이내에 시·읍·면장에게 이의를 신청할 수 있다.

이의신청을 받은 시·읍·면장은 10일 이내에 심사·결정 후 결과를 신청인에게 통지해야 하며, 요구가 정당하면 주민등록표를 정정해야 한다. 결정에 불복하는 사람은 통지일로부터 14일 이내에 직근 상급 기관에 재심 청구할 수 있으며, 재심 청구 기관은 10일 이내에 심사·결정해야 한다. 재심 결정에도 불복하면 행정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

주민등록법상 주민등록지는 다른 법률에 특별 규정이 없는 한 공법 관계에서 주소로 보며, 행정상 편의를 도모한다.

2. 1. 1. 주민등록 신고

주민등록 신고는 소정 서식의 신고서에 따라 시(市)의 동장·읍장·출장소장에게 해야 한다. 신고에는 등록신고, 정정신고, 말소신고, 퇴거신고, 전입신고, 복귀신고, 신거주지변경신고, 해외이주신고 등이 있으며, 신고 사유가 발생한 날로부터 14일 이내에 해야 한다. 단, 해외이주신고는 출국 전에 해야 한다.

신고 의무자는 보통 세대주가 원칙이지만, 세대주가 신고할 수 없을 때에는 세대 관리자 또는 등록하고자 하는 본인이 직접 신고한다. 합숙소 거주자는 합숙소 단위로 등록하며, 숙소 관리인이 신고 의무자가 된다.

주민등록 신고는 서면 또는 구술로 할 수 있다. 서면 신고는 소정 서식에 따라 신고인이 필요한 사항을 기재하여 제출하거나, 대리인, 사자(使者)를 통해 제출하거나 우편으로 신고할 수 있다. 구술 신고는 신고 의무자가 주민등록 관장 기관에 직접 출두하여 신고하는 것이다. 이때 구술신고를 받은 공무원이 필요한 사항을 기재·작성하고 신고인에게 들려준 다음 신고인이 서명 날인하도록 한다.

주민등록 정정신고 시에는 호적 관계 증명서, 병역 관계 증명서 등 필요한 증명서를 신고서에 첨부해야 한다.

2. 2. 주민등록의 정정 및 말소

주민등록된 사항이 사실과 다르거나 변동이 생긴 경우, 이미 등록된 사항을 올바로 고치는 것을 등록의 정정이라고 한다. 정정하는 방법에는 신고, 직권조치, 이의신청, 호적신고에 의한 정정 등의 네 가지 방법이 있다.

  • 신고에 의한 정정: 주민등록된 사항에 변동이 생긴 경우 신고의무자의 신고에 의하여 정정하는 경우로서, 정정하고자 하는 사항을 증명하는 서류의 제출이 필요하다.
  • 직권조치에 의한 정정: 신고기간 내에 신고의무자가 정정 신고를 하지 않거나, 최고를 받고 공고기간이 경과하여도 신고를 하지 않을 때 직권으로 정정사항을 정정하는 것을 말한다.
  • 이의신청에 의한 정정: 직권조치에 의한 정정에 대하여 이의신청이나 재심청구를 함으로써 정정하는 방법이다.
  • 직권으로 등록할 경우 사실과 부합되지 않는 부당한 등록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를 구제하기 위해 직권처분을 하였다는 통지를 받은 날로부터 또는 공고된 날로부터 14일 이내에 시·읍·면장에게 이의를 신청할 수 있다.
  • 이의신청을 받은 시·읍·면장은 신청을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이를 심사하여 결정하고, 그 결과를 지체없이 신청인에게 통지해야 하며, 그 요구가 정당하다고 결정된 때에는 주민등록표를 회수하여 정정해야 한다.
  • 이의신청에 대한 결정에 관하여 불복이 있는 사람은 그 통지를 받은 날로부터 14일 이내에 당해처분청의 직근상급기관(直近上級機關)에 재심청구를 할 수 있으며, 이 재심청구를 받은 기관은 그 청구를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심사·결정해야 한다.
  • 재심결정에도 불복이 있으면 행정소송을 제기하여 그 변경을 요구할 수 있다.
  • 호적신고에 의한 정정: 호적 정정을 함으로써 주민등록도 정정되는 것을 말한다.


주민등록자가 사망하거나, 이중등록자로 판명되거나, 세대 구성원이 퇴거한 때에는 등록된 사항을 없애 버려야 하는데, 이를 등록의 말소라고 한다. 말소하는 경우에도 정정과 마찬가지로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말소를 하면 주민등록증을 회수하는데, 다만 세대 중 일부 퇴거로 말소되는 때에는 주민등록증을 계속 소지할 수 있다.

2. 3. 주민등록인구

인구남자 (명)여자 (명)남여비율 (%)비고1992년44,503,200--22,345,89722,157,303-1995년45,858,029--23,041,36722,816,662-2000년48,021,543--24,102,46323,919,080-2005년48,782,274--24,456,23424,326,040-2010년50,515,66619,865,1792.5425,310,38525,205,2811.005천만명 돌파[39]2011년50,734,28420,033,1422.5325,406,93425,327,3501.002012년50,948,27220,211,7702.5225,504,06025,444,2121.00


2. 4. 주민등록표

주민등록표 등본은 한 세대에 전입되어 있는 세대원 전원을 기록하는 문서이다. 주로 세대 총원, 세대원 주민등록번호, 전입일자, 세대주 관계 등이 기록된다. 세대주를 중심으로 하며, 세대주는 본인으로 번호는 1번으로 지위가 기록되고 다른 세대원은 세대주와의 관계로 그 지위가 기록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1. 본인 ○○○ (○○○중국어) 123456-1234567

2. 처 ●●● (●●●중국어) 123456-2345678

3. 자 □□□ (□□□중국어) 323456-1234567

주민등록표 초본은 등록표상의 개인 이력사항을 정리하여 기록한 문서이다. 주로 세대원 개인의 주소 변동 사항, 세대주 관계, 병적 기록 사항 등이 기록된다. 병적 기록 사항에는 역종, 군별, 군번, 입영일, 병과 및 주특기, 계급, 전역 근거, 전역일, 전역 사유 등 총 9가지 정보가 기록된다.

초본에는 등본과 달리 주소 변동 사항, 주소 변동 중 세대주와의 관계 사항, 병적 기록 사항을 선택할 수 있다. 주소 변동 사항은 현재, 최근 5년, 전체 이동 사항 중 선택할 수 있고, 주소 변동 중 세대주와의 관계 사항과 병적 기록은 기재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주민등록표 등·초본 수수료는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방문 발급 시 1부당 400KRW이며 온라인 발급 시 무료이다.

2. 5. 주민등록번호

주민등록번호는 주민등록을 마친 사람에게 부여하는 일련번호이다. 13자리의 숫자로 되어 있으며, 앞의 여섯 자리와 뒤의 일곱 자리는 줄표(-)로 구분한다. 이 번호는 출생신고 시 동사무소에서 부여한다.[1] 주민등록번호는 고유하므로, 대한민국 내에서 본인 확인 수단으로 가장 널리 쓰인다.[1]

2. 6. 주민등록증

'''주민등록증'''은 대한민국 주민등록법에 따라 주민등록을 마쳤음을 증명하는 신분증이다. 만 17세 이상 대한민국 국민은 누구나 발급받아야 한다. 흔히 "민증"이라고도 부른다. 주민등록증에는 사진, 이름(한글, 한자), 주민등록번호, 오른손 엄지지문, 발급 당시 거주지가 기록되며, 발급 당시 거주지 관할 기초자치단체장의 확인이 들어간다.[40]

초기에는 종이에 사진을 붙이고 압인을 찍는 방식이어서 위조나 변조가 쉬웠다. 이를 막기 위해 홀로그램이 부착된 ISO 7810 ID-1 규격의 플라스틱 카드로 변경되었으나, 이마저도 위조 문제가 발생했다. 2008년에는 전자식 주민등록증(스마트카드)으로 전환하여 건강보험증 등과 통합하려 했으나, 개인정보 유출 문제로 기존 주민등록증의 위변조 방지 기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유지되었다.

북한에서는 주민등록증에 해당하는 증명서로 '공민증'이 있다.

2. 6. 1. 주민등록법의 주민등록증 발급·휴대·회수 규정

주민등록증은 시장 또는 군수의 명의로 발급되지만, 실제 발급 업무는 동장, 읍면장이 담당한다. 발급 대상자를 직접 확인한 후 발급하며, 발급 시 수수료나 공과금은 징수하지 않는다. 주민등록증을 분실하거나 훼손된 경우, 주소 이외의 기재사항이 변경되거나 주소 이동란이 부족한 경우에는 재발급을 신청할 수 있으며, 관장 기관이 직권으로 재발급할 수도 있다.[1]

주민등록증을 발급받은 사람은 항상 휴대해야 하며, 사법경찰관은 직무 수행 중 필요한 경우 주민등록증 제시를 요구할 수 있고, 이 요구에 응해야 한다. 민원 서류 제출 시에도 주민등록증으로 본인 확인을 받을 수 있다.[1]

주민등록증 재발급, 발급받은 사람의 사망, 주민등록 말소, 국외 이주 등의 사유가 발생하면 주민등록증을 회수한다.[1]

2. 7. 외국인등록증

대한민국에 장기간 체류하는 외국인에게는 대한민국 국민과 마찬가지로 일정한 규칙에 의해 생성된 일련번호인 외국인등록번호가 기재된 외국인등록증이 발급된다.

2. 8. 문제점

외국과 달리 한국의 주민등록제도는 주민등록번호지문 날인 제도 때문에 국민의 기본권을 침해하는 소지가 있다. 해당 항목 참조.

2. 8. 1. 주민등록번호와 지문 날인

주민등록번호는 주민등록을 마친 사람에게 부여하는 일련번호이다. 13자리의 숫자로 구성되며, 앞의 여섯 자리와 뒤의 일곱 자리는 줄표(-)로 구분한다. 주민등록번호는 출생 신고 시 읍, 면, 동사무소에서 부여하며, 대한민국 내에서 본인 확인 수단으로 가장 널리 쓰인다.

외국과 달리 한국의 주민등록제도는 주민등록번호지문 날인 제도 때문에 국민의 기본권을 침해하는 측면이 있다.

2. 9. 판례

행정청이 주민등록 신고서를 수리하기 전에 신고 내용이 수정되어 수정된 전입신고서가 수리되었다면, 수정된 사항에 따라 주민등록 신고가 이루어진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41]

주택임대차보호법 제3조 제1항은 주택 인도와 함께 대항력 요건으로 주민등록을 규정하고 있는데, 이는 거래 안전을 위해 임대차 존재를 제3자가 명백히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공시 방법이다. 주민등록이 임대차를 공시하는 효력이 있는지 여부는 일반 사회 통념상 임차인이 해당 임대차 건물에 주소나 거소를 가진 자로 등록되어 있는지를 인식할 수 있는지에 따라 결정된다.[42]

주택 임차인이 전입신고를 마치고 입주하여 임차권 대항력을 취득한 후, 어떤 이유로든 가족과 함께 일시적으로 다른 곳으로 주민등록을 이전했다면, 이는 전체적, 종국적으로 주민등록 이탈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대항력은 전출 당시 대항 요건 상실로 소멸된다. 이후 임차인이 원래 주소지로 다시 주민등록을 재전입하더라도 소멸되었던 대항력이 소급하여 회복되는 것이 아니라, 재전입한 때부터 동일성이 없는 새로운 대항력이 다시 발생한다.[43]

3. 다른 나라의 주민등록제도

유럽에서는 여러 국가가 다양한 형태의 주민 등록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예를 들어, 오스트리아는 주소 변경 시 3일 이내에 신고해야 하는 거주지 신고 의무(Meldepflichtde)가 있으며,[9] 벨기에는 주소 변경 시 8일 이내에 시에 신고해야 한다.[12][13] 덴마크는 중앙 개인 등록 번호(CPR 번호)를 발급하는 '폴케레지스터'(folkeregister)를 운영하며, 핀란드는 인구 등록 센터가 의무적인 주민 등록을 운영한다. 프랑스는 선택적 신분증인 국가 신분증을 사용한다.

독일의 주민등록은 지방 자치 단체의 업무이며, 주민 등록 사무소(Einwohnermelderegisterde 또는 Melderegisterde)에서 관리한다. 그리스에서는 90일 이상 거주하는 EU 시민은 경찰서의 외국인 부서에 등록해야 한다. 헝가리 시민은 거주지를 지방 행정부에, 외국인은 이민 사무소에 등록해야 한다. 아이슬란드이탈리아는 중앙 주민등록 시스템을 운영하며 등록이 의무이다.

룩셈부르크는 EU/EEA 시민은 도착 후 8일 이내, 비 EU 시민은 3일 이내에 지방 당국에 신고해야 한다.[1] 네덜란드는 개인 정보에 대한 지방 자치 단체의 기본 행정(Gemeentelijke Basisadministratie Persoonsgegevens, GBA)을 통해 중앙 데이터베이스로 관리한다.[1] 노르웨이는 노르웨이 국세청이 관리하는 'Det sentrale folkeregisteret (DSF)'에서 주민 등록을 운영한다. 루마니아는 의무적인 신분증인 신분증(CI) 시스템을 사용한다. 러시아 연방은 거주 등록이 의무이며, 내무부 산하 이주 문제 주 관리국에서 관리한다. 스웨덴은 스웨덴 세무청(Skatteverket)이 관리하는 스웨덴 인구 등록부(folkbokföringsregistersv)를 운영한다.[1] 스위스리히텐슈타인은 거주자 의무 등록을 Einwohnerkontrolle|아이보너콘트롤레de(거주자 관리)라고 부르며, 지방 당국에서 담당한다. 영국은 주민 등록 제도가 없다.

아시아 및 오세아니아 지역에서도 주민등록제도와 유사한 제도를 운영하는 국가들이 있다. 호주는 거주 등록이 의무는 아니지만, 유권자 등록, 여권 신청 등 여러 상황에서 거주 정보를 공개해야 한다. 중국은 호구 제도를 통해 주민 등록 및 민사 등록을 관리한다. 이란은 전국 인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국민 식별 코드와 우편 주소 코드를 관리하며, 법적 거주지가 변경되면 20일 이내에 등록해야 한다. 일본호적 제도를 통해 일본 가족을 기록하고, 주민표 제도를 통해 개인 거주자를 기록하며, 주민기본대장 네트워크(주키넷)을 통해 개인 식별 번호를 발급한다. 파키스탄은 NADRA 시스템을 사용하여 파키스탄 가족을 등록하고, 구(District) 위원회 시스템을 사용하여 개별 주민을 등록한다. 대한민국주민등록번호 제도를 운영하며, 외국인은 외국인등록증에 대체 번호를 받는다.

아프리카에서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주민등록과 유사한 제도를 시행한 적이 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1950년에 ''인구 등록법''을 도입하여 전국 인구 등록을 실시하고, 인종에 따라 거주자를 분류하여 신분증을 발급했다.[1]

아메리카캐나다는 강제적인 거주 등록 제도를 가지고 있지 않지만, 유권자 등록 등 여러 상황에서 거주 정보를 공개해야 한다.[1] 미국 연방 정부나 미국의 어떠한 주 정부도 공식적인 주민등록 제도를 가지고 있지 않다.[1]

3. 1. 아프리카

아프리카에서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주민등록과 유사한 제도를 시행한 적이 있다.

3. 1. 1. 남아프리카 공화국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1950년에 ''인구 등록법''을 도입하여 전국 인구 등록을 실시하고, 인종에 따라 거주자를 분류하여 신분증을 발급했다.[1] 이 제도는 통행증법의 중요한 부분이 되었으며, 1952년 ''원주민법 개정법''과 ''통행증 폐지 및 문서 조정법'' 이후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아파르트헤이트 시스템의 주요 특징 중 하나가 되었다.[1] 아파르트헤이트 시스템은 1986년에 사실상 폐지되었다.

3. 2. 아메리카

캐나다는 강제적인 거주 등록 제도를 가지고 있지 않지만, 유권자 등록, 여권 신청, 주 보건 카드 발급, 운전면허, 차량 등록 등과 같은 여러 상황에서 거주 정보를 공개해야 한다.[1]

미국 연방 정부나 미국의 어떠한 주 정부도 공식적인 주민등록 제도를 가지고 있지 않다. 미국 인구 조사에 대한 질문에 응답을 거부하거나 소홀히 하는 경우 100USD의 벌금이 부과될 수 있다.[1] 선별적 징병 제도(미국의 징병제)에 등록된 사람은 주소 변경과 같이 등록 카드에 제공한 정보가 변경된 경우 10일 이내에 선별적 징병 제도에 통보해야 한다.[2][3] 유권자 등록은 거주 요건을 가지고 있으며 배심원 배정 및 기타 정부 업무에 사용된다. 개인의 현재 주소는 종종 주에서 발급하는 신분증 및 운전 면허증에 등록된다.

30일 이상 미국에 체류하는 외국인은 일반적으로 스미스법에 따라 연방 정부에 등록하고 항상 등록 증명서를 소지해야 한다. 영주권자의 경우 등록 증명서는 영주권 카드("그린 카드") 형태로 제공되며, 다른 외국인의 경우 취업 허가서 (EAD) 또는 I-94 카드와 유효한 여권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3. 2. 1. 캐나다

캐나다는 강제적인 거주 등록 제도를 가지고 있지 않지만, 유권자 등록, 여권 신청, 주 보건 카드 발급, 운전면허, 차량 등록 등과 같은 여러 상황에서 거주 정보를 공개해야 한다.[1]

3. 2. 2. 미국

미국 연방 정부나 미국의 어떠한 주 정부도 공식적인 주민등록 제도를 가지고 있지 않다. 미국 인구 조사에 대한 질문에 응답을 거부하거나 소홀히 하는 경우 100USD의 벌금, 재산 소유주 또는 사업체의 대리인이 인구 조사에 정확한 이름을 제공하지 않으면 500USD의 벌금, 사업체 대리인이 인구 조사에 허위 답변을 제공하면 10000USD의 벌금이 부과된다.[1] 선별적 징병 제도(미국의 징병제)에 등록된 사람은 주소 변경과 같이 등록 카드에 제공한 정보가 변경된 경우 10일 이내에 선별적 징병 제도에 통보해야 한다.[2][3] 캘리포니아에서는 운전 면허증 소지자가 주소 변경 시 10일 이내에 DMV에 통보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일반적인 벌금 214USD가 부과된다.[4][5] 또한 차량 등록을 신청하거나 받은 사람은 10일 이내에 DMV에 주소 변경을 통보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일반적인 벌금 178USD가 부과된다.[5][6]

유권자 등록은 거주 요건을 가지고 있으며 배심원 배정 및 기타 정부 업무에 사용된다.

개인의 현재 주소는 종종 주에서 발급하는 신분증 및 운전 면허증에 등록된다. 일부 관할 구역에서는 거주지 세부 정보를 포함하는 문서로 "무면허증" 또는 "비운전자 사진 신분증"을 발급한다. 각 주마다 문서를 최신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자체 요구 사항이 있으며, 다른 주로 이사하는 사람은 주어진 기간(일반적으로 10~90일) 내에 해당 주에서 운전 면허증을 취득해야 할 수 있다.[7]

30일 이상 미국에 체류하는 외국인은 일반적으로 스미스법에 따라 연방 정부에 등록하고 항상 등록 증명서를 소지해야 한다. 영주권자의 경우 등록 증명서는 영주권 카드("그린 카드") 형태로 제공되며, 다른 외국인의 경우 취업 허가서 (EAD) 또는 I-94 카드와 유효한 여권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3. 3. 유럽

유럽에서는 여러 국가가 다양한 형태의 주민 등록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국가내용
오스트리아거주지 신고 의무(Meldepflichtde)가 있으며, 주소 변경 시 3일 이내에 신고해야 한다.[9] 중앙 주민 등록부(Zentrales Melderegisterde, ZMR)에 정보가 집중 저장된다.[10]
벨기에주소 변경 시 8일 이내에 시에 신고해야 하며, 시는 경찰이나 공무원을 보내 주소 변경을 확인한다.[12][13]
덴마크중앙 개인 등록 번호(CPR 번호)를 발급하는 폴케레지스터(folkeregister)에서 주민등록을 운영한다.
핀란드인구 등록 센터가 의무적인 주민 등록을 운영하며, 11자로 구성된 개인 식별 코드를 발급한다.
프랑스선택적 신분증인 국가 신분증 (carte nationale d’identité sécurisée|카르트 나시오날 디당티테 세퀴리제프랑스어 또는 CNIS)을 사용한다.
독일주민등록은 지방 자치 단체의 업무이며, 주민 등록 사무소(Einwohnermelderegisterde 또는 Melderegisterde)에서 관리한다.
그리스90일 이상 거주하는 EU 시민은 경찰서의 외국인 부서에 등록해야 한다.
헝가리시민은 거주지를 지방 행정부에, 외국인은 이민 사무소에 등록해야 한다.
아이슬란드중앙 주민등록 시스템이 있으며, 등록은 의무이다.
이탈리아거주 등록이 의무이며, 기록은 분산된 시스템으로 관리된다.
룩셈부르크EU/EEA 시민은 도착 후 8일 이내, 비 EU 시민은 3일 이내에 지방 당국에 신고해야 한다.[1]
네덜란드개인 정보에 대한 지방 자치 단체의 기본 행정(Gemeentelijke Basisadministratie Persoonsgegevens, GBA)을 통해 중앙 데이터베이스로 관리한다.[1]
노르웨이노르웨이 국세청이 관리하는 Det sentrale folkeregisteret (DSF) (일반적으로 Folkeregisteret)에서 주민 등록을 운영한다.
루마니아의무적인 신분증인 신분증(CI) (carte de identitatero) 시스템을 사용한다.
러시아 연방거주 등록이 의무이며, 내무부 산하 이주 문제 주 관리국에서 관리한다.
스웨덴스웨덴 세무청(Skatteverket)이 관리하는 스웨덴 인구 등록부(folkbokföringsregistersv)를 운영한다.[1]
스위스 및 리히텐슈타인거주자 의무 등록을 Einwohnerkontrolle|아이보너콘트롤레de(거주자 관리)라고 부르며, 지방 당국에서 담당한다.
영국주민 등록 제도가 없다. 정당 및 선거법 2009에 따라 의무적인 개인 유권자 등록이 계획되었으나, 2014년 개인 선거 등록 개혁으로 변경되었다.[27][28]


3. 3. 1. 오스트리아

오스트리아에서는 주소 변경 시 3일 이내에 등록 및 말소해야 하는 거주지 신고 의무(Meldepflichtde)가 있다.[9] 현재 거주지는 지방 행정 기관 (Gemeindeamtde 또는 도시의 Magistratisches Bezirksamtde)에 등록 양식 (Meldezettelde)을 제출하여 신고한다.

2002년 3월 1일, 지역 주민 등록부가 새로 설립된 중앙 주민 등록부(Zentrales Melderegisterde, ZMR)에 중앙 집중식으로 저장되기 시작했다.[10] 일부 대도시에서는 중앙 데이터베이스와 동기화되는 자체 지역 주민 등록부 (Lokales Melderegisterde 또는 LMR)를 계속 운영하고 있다. 데이터베이스의 거주지 문서는 Meldeauskunftde라고 하며, 공공 접근 제한 (Auskunftsperrede)을 신청하지 않은 제3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11] 2006년 기준으로 ZMR은 시민 등록부의 추가적인 개인 정보를 포함하도록 확장되었으며, 더 많은 정부 데이터베이스의 기록을 포함할 계획이다.

변호사, 은행, 전문 협회 및 채권 추심 기관과 같이 정기적인 거주지 확인이 필요한 일부 직업에는 ZMR에 대한 영구적인 접근 권한이 부여된다.

3. 3. 2. 벨기에

벨기에에서는 주소 변경이 발생하면 8일 안에 해당 시에 신고해야 한다.[12][13] 시는 경찰이나 시 공무원을 새 주소지로 보내 주소 변경을 확인한다. 거주지 변경이 확인되면 시와 전국 등록부에 등록되며, 거주자는 시 행정부에 가서 신분증과 차량 등록 서류를 갱신해야 한다. 주소 변경은 시에서 사회 보장 기관으로 전달된다.

3. 3. 3.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유고슬라비아가 주권 국가로 분리되기 전부터 의무적인 주민 등록은 지역 사무소에서 별도로 처리했다.

3. 3. 4. 덴마크

덴마크는 ''폴케레지스터''(folkeregister)에서 주민등록을 운영하며, 중앙 개인 등록 번호(CPR 번호)를 발급한다. 외국인은 3개월 이상 체류할 의사가 있는 경우 등록해야 하며, 북유럽 국가, 유럽 연합(EEA) 국가 또는 스위스 출신인 경우 6개월 이상 체류할 경우 등록해야 한다.[14]

3. 3. 5. 핀란드

인구 등록 센터(Population Register Centre)는 의무적인 주민 등록을 운영하며, 이 정부 기관은 11자로 구성된 개인 식별 코드를 발급한다. 개인 식별 코드는 생년월일을 나타내는 6자리 숫자, 출생 세기를 나타내는 한 글자, 세 자리 추가 숫자, 그리고 체크섬 문자로 구성된다.[15] 많은 회사와 단체가 주민 등록에 직접 접근할 수 있도록 등록되어 있다. 이사를 할 경우, 새로운 주소를 주민 등록부에 신고하기만 하면 해당 회사들이 주소 등록부를 그에 따라 갱신한다.[15] 이러한 시스템은 새로운 집과 관련된 행정 업무를 처리하기 쉽게 만들지만, 개인 데이터 프라이버시가 부족하다는 비판도 받고 있다.

3. 3. 6. 프랑스

프랑스는 공식적인 선택적 신분증인 국가 신분증 (carte nationale d’identité sécurisée|카르트 나시오날 디당티테 세퀴리제프랑스어 또는 CNIS)을 사용한다. 신분증의 주소 정보는 전기 요금 청구서와 같은 다른 문서에서 가져온다. 주소 변경을 통지할 필요가 없으므로, 현재 주소는 현재 집에 관련된 청구서를 제시하여 확인하는 경우가 많다.

2007년부터 도입될 예정이었던 새로운 신분증 (carte d'identité nationale électronique sécurisée|카르트 디당티테 나시오날 엘렉트로니크 세퀴리제프랑스어 또는 INES) 계획이 있다. 이 계획은 영국의 ID 카드와 많은 유사점을 가지고 있으며, 2021년 3월 14일에 프랑스 정부의 승인을 받아 생체 데이터가 포함될 예정이다.[16]

3. 3. 7. 독일

독일의 주민등록은 지방 자치 단체의 업무이며, 지방 자치 단체는 주민 등록을 관리하기 위해 종종 별도의 주민 등록 사무소(Einwohnermelderegisterde 또는 Melderegisterde)를 설치한다. 주민 등록은 독일의 공공 기록이며, 주민 개인 정보 보호(Meldegeheimnisde) 법률 및 규정의 범위 내에서 관리된다. 2007년부터 지방 자치 단체 간 이사 시, 등록 사무소는 이전 거주지의 등록 사무소에서 전자적으로 말소된다. 등록된 주된 거주지(Hauptwohnsitzde)라는 개념은 특히 세금과 관련된 특별한 법적 파급 효과를 가진다.

독일은 오스트리아, 스위스와 마찬가지로 수세기 동안 엄격한 등록 시스템을 갖추고 있었지만, 단일 식별 번호에 대한 강한 반대가 있었다. 모든 등록 번호는 등록 사무소에 국한되었으며, 심지어 단일 지방 자치 단체 내에서도 민사 등록 사무소, 세무서 등으로 분할되었다. 2008년에는 국가 납세자 번호와 함께 새로운 시스템이 도입되었다. 연방 주민 등록이 활성화될 때 국가 식별 번호에 얼마나 더 많은 정보가 첨부될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쟁이 진행 중이다.

일반적인 믿음과는 달리, 독일에는 주민 등록에 대한 중앙 집중식 관리가 없다. 예외는 외국인 주민의 등록(외국인 중앙 등록소 참조)이다. 등록은 독일 전역의 5283개의 지방 사무소에서 관리된다.[17] 2009년까지 주민 등록과 관련된 법적 요구 사항은 주소 변경을 등록할 수 있는 기간이 즉시에서 2주까지 다양하게 규정된 법률에 의해 규율되었다. 각 주는 등록부에 있는 개인 정보에 대한 접근 및 본인 또는 제3자를 위한 거주 증명서(Melderegisterauskunftde) 제공 수수료를 규정하는 자체 법률 및 규정을 제정할 수 있었다.

2006년 9월 1일부터 발효된 "연방주의 개혁"은 주민 등록에 대한 법률을 연방 수준으로 이전했다. 연방 내무부는 2010년까지 통과될 예정인 주민 등록에 대한 주 법률을 대체할 연방법을 준비하고 있었다. 새로운 법률은 지방 주민 등록과 병행하여 운영될 연방 주민 등록(''Bundesmelderegister'')을 만들도록 할당할 것이다.[17] 전국적인 등록부는 주민 등록, 민사 등록 및 세무서를 포함한 여러 출처에서 얻은 여러 개인 식별 정보를 수집할 것이다.[18] 2008년 카탈로그 판매 회사 데이터베이스에서 대량의 주소를 얻은 목록 브로커와 관련된 스캔들이 발생했을 때, 브리기테 치프리스(SPD)는 볼프강 쇼이블레(CDU)가 이끄는 내무부의 계획에 반대하면서 연립 정부가 분열되었다. 그녀는 현재의 지역 등록 사무소를 대신 네트워크화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CDU와 FDP의 새로운 정부에서는 이러한 중앙 집중식 데이터베이스가 데이터 개인 정보 보호를 강화하려는 FDP의 목표와 명백히 상반되므로 계획이 차단되었다.

3. 3. 8. 그리스

90일 이상 그리스에 거주할 계획이 있는 EU 시민은 거주 지역 경찰서의 외국인 부서(Πίνακας Αδειών Αλλοδαπών/Διεύθυνση Αλλοδαπών|피나카스 아디온 알로다폰/디에프딘시 알로다폰el)에 등록해야 하며, 여기서 베이지색 등록 증명서(βεβαίωσης εγγραφής πολιτών της Ευρωπαϊκής Ένωση|베베오시스 에그라피스 폴리톤 티스 에브로파이키스 에노시스el)가 발급된다. 그리스 법에 따르면 등록하지 않은 EU 시민에게는 벌금이 부과된다. 그러나 이 증명서가 요청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일부 그리스 당국은 유럽 연합 지침을 알지 못하며 이 증명서가 존재한다는 사실조차 모른다. 많은 경우, 납세자 식별 번호(AFM)(Αριθμός Φορολογικός Μητρώου (ΑΦΜ)|아리스모스 포로로이코스 미트로우 (아에프엠)el)가 거주 증명으로 사용된다.[19]

3. 3. 9. 헝가리

헝가리 시민은 거주지를 지방 행정부에 신고해야 하며, 외국인은 이민 사무소에 등록해야 한다. 강제 주민등록은 부다페스트의 '중앙 데이터 처리, 등록 및 선거 사무소, 행정 및 감독 부서'에서 운영한다.[1]

Központi Adatfeldolgozó, Nyilvántartó és Választási Hivatal, Igazgatási és Felügyeleti Föösztály|쾨즈폰티 어더트펠돌고조, 닐반타르토 에시 발러스토이 히버털, 이거즈거타시 에시 펠뤼제레티 푀오스타이hu

3. 3. 10. 아이슬란드

아이슬란드에는 중앙 주민등록 시스템이 있으며, 등록은 의무이다.

3. 3. 11. 이탈리아

이탈리아에서는 거주 등록이 의무이며, 기록은 분산된 시스템으로 관리된다. 다른 국가와 달리, 보고된 거주지는 정부 공무원이 실제로 확인하며, 이전 거주지에서 말소되는 절차도 거친다. 따라서 공식적인 확인에는 최대 4개월이 소요될 수 있다.[1]

해외로 이주하는 이탈리아 거주자는 "Anagrafe degli Italiani Residenti all'Estero (A.I.R.E.)" (해외 거주 이탈리아인 등록) 데이터베이스에 해외 이주자로 기록된다. 이탈리아로 돌아오면 A.I.R.E.에서 말소되고, 새로운 거주지는 지방 행정 기관에 의해 등록된다.[1]

A.I.R.E. 등록은 12개월 이상 외국에서 거주하는 시민과, 출생으로 인해 또는 어떤 이유로든 이탈리아 시민권을 취득하여 해외에 거주하는 시민에게 의무적으로 적용된다. A.I.R.E. 등록은 해외 이주 후 90일 이내에 현지 관할 영사관에 제출하는 신고서(특별 양식)를 통해 이루어진다.[1]

3. 3. 12. 룩셈부르크

새로운 거주지로 이사하거나 주소를 변경한 경우, EU/EEA 시민은 도착일을 포함하여 8일 이내에 새로운 거주지의 지방 당국에 신고해야 한다.[1] 그러나 비 EU 시민은 체류 기간에 관계없이 도착 후 3일 이내에 지방 당국에 신고해야 한다.[1] 룩셈부르크 영토에서 영구적으로 또는 무기한으로 출국하는 경우에도 출국 전날까지 지방 당국에 신고해야 한다.[1]

3. 3. 13. 네덜란드

1994년까지 의무적인 주민등록은 헤이그에 있는 '정착등록국(Bureau Vestigingsregister)'에서 관리했다.[1]

1994년부터는 개인 정보에 대한 지방 자치 단체의 기본 행정(Gemeentelijke Basisadministratie Persoonsgegevens, GBA)이 사용된다.[1] 이는 모든 네덜란드 지방 자치 단체에서 정보를 제공하는 중앙 데이터베이스이다.[1] 네덜란드에 거주하는 모든 주민(시민 및 비시민 포함)은 해당 지방 자치 단체에 등록해야 한다.[1]

3. 3. 14. 노르웨이

노르웨이의 주민 등록은 'Det sentrale folkeregisteret (DSF)'이며, 일반적으로 'Folkeregisteret'라고 불린다. 영어로는 'National Population Register'라고 한다.

이 등록은 노르웨이의 모든 거주자에게 의무적이지만, 외국인은 3개월 이상 체류할 의사가 있을 때만 등록하면 된다.

노르웨이 국세청은 이 등록이 완전하고 최신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책임이 있다.[23] 등록에는 출생일, 이름, 부모 및 부모 책임, 주소, 혼인 상태, 사망 가능일, 국적 및 기타 여러 정보 요소와 같은 개인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현재 값과 과거 버전을 모두 추적한다. 또한 과세 등록, 선거인 명부의 기초로 사용되며 인구 통계에도 사용된다. 이 등록의 정보는 노르웨이 노동 복지청(NAV)과 같은 대부분의 다른 정부 기관에서 사용된다.[24]

3. 3. 15. 루마니아

루마니아는 모든 거주자의 등록을 위해 공식적으로 의무적인 신분증을 기반으로 하는 국가 신분증(CI) (carte de identitatero) 시스템을 사용한다. 이 서비스는 행정 및 내무부 장관 산하의 개인 기록 및 데이터베이스 관리국에서 조정하여 지역적으로 관리한다. 주소 변경 시 통지할 의무가 있다.

3. 3. 16. 러시아 연방

러시아 연방에서는 거주 등록이 의무 사항이다. 러시아 시민권자와 외국인 또는 무국적자를 위한 별도의 등록부가 있으며, 둘 다 내무부 산하 부서인 이주 문제 주 관리국에서 관리한다. 누구든지 이 등록부에서 특정 개인의 주소 정보를 요청할 수 있지만, 후자의 경우 주소 공개에 대한 동의가 필수이며, 등록부 운영자가 이를 확인한다.[25] 많은 경우 정부 기관은 해당 기관이 위치한 구역에 등록되지 않은 사람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거부하지만, 법적으로는 전혀 등록되지 않은 사람들에게 그렇게 할 수 없다.

러시아 시민은 7일 이내에 영구 거주지를 등록해야 하며, 임시 거주지는 동일한 장소에 90일 이상 체류한 후에 등록해야 한다. 영주권을 소지한 외국인과 무국적자는 7일 이내에 영구 거주지를 등록해야 한다. 외국인 및 무국적자의 임시 거주지는 호스트(고용주, 호텔 관리 등 포함)의 신청에 따라 등록되며, 이러한 신청은 7일 이내에 제출해야 한다.

신청서는 공공 서비스 회사, 신청자 본인, 우편 또는 전자 정부를 통해 이주 문제 주 관리국에 전달된다.[26]

제때 등록하지 않은 러시아 시민은 2000RUB~2500RUB의 벌금을 부과받을 수 있다. 외국인 손님을 제때 등록하지 않은 러시아 호스트는 2000RUB~500000RUB의 벌금을 부과받을 수 있다. 제때 등록하지 않은 외국인은 2000RUB~5000RUB의 벌금을 부과받을 수 있다.

3. 3. 17. 세르비아

강제적인 주민 등록은 유고슬라비아가 주권 국가로 분리되기 전에도 지역 사무소에서 별도로 처리되었다.

3. 3. 18. 스웨덴

스웨덴 인구 등록부(folkbokföringsregistersv)는 스웨덴 세무청(Skatteverket)에서 관리하며, 이 기관은 국가 신분 번호의 일종인 스웨덴 개인 식별 번호(personnummersv)도 관리한다.[1]

전화 회사, 전기 회사 등 거의 모든 회사는 거주자 등록부에 직접 접근할 수 있도록 등록되어 있다.[1] 이 때문에 이사를 할 때 새로운 주소를 거주자 등록부에 신고하기만 하면, 모든 청구서가 자동으로 새 주소로 전달된다.[1] 이는 새로운 집과 관련된 행정 업무를 처리하는 데 도움을 주지만, 개인 데이터 프라이버시 부족에 대한 비판도 제기되어 왔다.[1]

3. 3. 19. 스위스 및 리히텐슈타인

스위스와 리히텐슈타인에서는 거주자 의무 등록을 ''Einwohnerkontrolle|아이보너콘트롤레de''(거주자 관리)라고 부른다. 거주자 등록은 ''Einwohneramt|아이보너암트de''(거주 사무소), ''Einwohnerkontrolle|아이보너콘트롤레de''(거주자 등록 사무소) 또는 ''Personenmeldeamt|페르조넨멜데암트de''(개인 등록 사무소)라는 지방 당국에서 담당한다. 외국인 거주자는 이민 관리국에서 운영하는 연방 거주자 등록의 적용을 받는다. 해외 이주 시 출국 통지를 포함하여 모든 이주는 거주자 등록부에 신고해야 한다.[1]

3. 3. 20. 영국

영국에는 주민 등록 제도가 없다. 정당 및 선거법 2009에 따라 의무적인 개인 유권자 등록이 계획되었고, 2014년 개인 선거 등록 개혁으로 '세대주'가 동거인을 등록할 수 있는 권한이 종료되면서 유권자 등록은 완전히 개인의 책임이 되었다.[27][28] 등록은 2001년 대표법(잉글랜드 및 웨일스) 규정(제341호) 제23조에 따라 의무적으로 이루어진다.[29] 인구 조사 완료는 인구 조사법 1920 제8조에 따라 의무적이다.[30]

신분증법 2006은 영국 신분증 도입을 규정했으며, 이는 정부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모든 정보를 포함하는 주민 등록 시스템과 연동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2010년 총선 이후 이 계획은 신분증법 2010에 의해 폐지되었다.

3. 4. 아시아 및 오세아니아

아시아 및 오세아니아 지역에서도 주민등록제도와 유사한 제도를 운영하는 국가들이 있다.

3. 4. 1. 호주

호주는 거주 등록이 의무는 아니지만, 유권자 등록, 여권 신청, 주 건강 보험 카드, 운전면허증 갱신, 차량 등록 등 많은 상황에서 거주 정보를 공개해야 한다.

3. 4. 2. 중국

중국에서는 호구 제도가 주민 등록 및 민사 등록에 사용된다. 이 제도는 제국 시대부터 이어져 왔으며, 이에 대한 법률 개정에 대한 관심이 있다.[31]

3. 4. 3. 이란

이란은 1997년에 전국 인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국민 식별 코드와 우편 주소 코드를 관리하고 있다. 이란 국민은 법적 거주지가 변경되면 20일 이내에 www.sabteahval.ir을 통해 변경 사항을 등록해야 한다. 이 정보는 정부, 우편 서비스, 행정 정부 기관 시스템에서 사용된다.[32][33]

전국 이민 기구는 신분증 발급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34]

3. 4. 4. 일본

일본에서는 일본 가족을 기록하기 위해 ''호적'' 제도를 사용하고, 개인 거주자를 기록하기 위해 ''주민표'' 제도를 사용한다. 외국인은 일본 외국인 등록법에 따라 90일 이내에 등록해야 하며, 외국인 거주자를 위한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한다.[35]

주민기본대장 네트워크(주키넷)은 2003년에 도입되었다. 이는 정부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도입되었으며, 264개의 정부 업무가 새로운 시스템에 첨부된다. 새로운 시스템에서는 개인 식별 번호가 발급되며, 11자리의 숫자로 구성되어 다른 신분증을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36]

3. 4. 5. 파키스탄

파키스탄에서는 NADRA[37] 시스템을 사용하여 파키스탄 가족을 등록하고, 구(District) 위원회 시스템을 사용하여 개별 주민을 등록한다. 외국인은 파키스탄의 외국인 등록 관련 법률에 따라 90일 이내에 등록해야 하며, 이를 통해 외국인 거주자에 대한 별도의 데이터베이스가 생성된다.

3. 4. 6.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주민등록번호는 13자리 숫자로 구성되며 신분증에도 표시된다. 외국인은 외국인등록증에 대체 번호를 받는다. 주민등록번호는 광범위하게 사용되며, 대한민국 인터넷 웹사이트의 3분의 1은 주민등록번호로 가입해야 하고, 다른 3분의 1은 외국인 등록증 번호를 사용할 수 없다.[38]

4. 이색 사례

만화 캐릭터에게 주민등록증이 발급된 사례도 있다. 둘리하니가 그 예시이다.[44][45]

4. 1. 만화 캐릭터 주민등록증 발급

둘리2003년 부천시에서, 하니2008년 서울 강동구에서 각각 주민등록증을 발급받았다.[44][45]

참조

[1] 법률 USC 13 221-224
[2] 웹사이트 Proof of Registration & Change of Address http://www.sss.gov/a[...]
[3] 법률 USCFR 32 1621 1
[4] 법률 California Vehicle Code § 14600
[5] 간행물 2009-2010 Final Report http://www.sacgrandj[...] Sacramento County Grand Jury 2012-07-16
[6] 법률 California Vehicle Code § 4159
[7] 학술지 Driver Licenses and National Security: Myths and Reality
[8] 간행물 Statistische Monatshefte Baden-Württemberg http://www.statistik[...] 2009-06-18
[9] 웹사이트 ZMR Meldepflicht http://zmr.bmi.gv.at[...]
[10] 보도자료 Pressekonferenz Zentrales Melderegister http://www.bmi.gv.at[...] BM.I 2002-02-27
[11] 웹사이트 RIS Dokument https://www.ris.bka.[...]
[12] 뉴스 Adreswijziging http://www.belgium.b[...] 2017-01-28
[13] 뉴스 Changement d'adresse http://www.belgium.b[...] 2017-01-28
[14] 웹사이트 LBK nr 1297 af 03/09/2020, Indenrigs- og Sundhedsministeriet http://www.retsinfor[...] 2024-02-06
[15] 웹사이트 Customers updating address information from the Population Information System http://www.vaestorek[...] 2012-09-29
[16] 뉴스 REVEALED: What you need to know about France's new digital ID cards https://www.thelocal[...] 2021-09-17
[17] 웹사이트 BMI:Bundesmelderegister auf Deutschland-Online http://www.deutschla[...] 2021-12-04
[18] 웹사이트 Entwurf eines Gesetzes zur Fortentwicklung des Meldewesens http://www.datenschu[...] 2023-09-27
[19] 웹사이트 Residence / Registration Certificate in Greece http://www.livinginc[...]
[20] 웹사이트 Registry of Italians Resident Abroad (A.I.R.E.) http://www.esteri.it[...] 2015-04-11
[21] 웹사이트 Déclarer son déménagement à la commune de résidence http://www.guichet.p[...]
[22] 웹사이트 Registering in the Basisregistratie Personen (BRP) - Personal data - Government.nl https://www.governme[...] 2022-03-06
[23] 웹사이트 Skatteetaten - Person http://www.skatteeta[...] 2014-09-24
[24] 웹사이트 Skatteetaten - This is the National Registry http://www.skatteeta[...] 2014-09-24
[25] 웹사이트 Портал Госуслуг http://www.gosuslugi[...]
[26] 웹사이트 Портал государственных услуг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https://epgu.gosuslu[...]
[27] 웹사이트 Individual Electoral Registration (IER) https://www.gov.uk/g[...] 2024-02-06
[28] 뉴스 Individual voter ID plan brought forward to 2014 https://www.bbc.co.u[...] 2010-09-15
[29] 웹사이트 The Representation of the People (England and Wales) Regulations 2001 http://www.legislati[...] 2023-09-27
[30] 뉴스 120 people convicted for not filling in census form https://www.theguard[...] 2012-01-27
[31] 학술지 The Chinese Hukou System at 50 https://www.tandfonl[...] 2009-03-04
[32] 웹사이트 ثبت الکترونیک تغییر نشانی افراد از طریق سایت سازمان ثبت احوال کشور https://www.irna.ir/[...] 2024-02-06
[33] 웹사이트 https://www.ncr.ir/c[...]
[34] PDF https://media.farsne[...]
[35] 웹사이트 The Alien Registration Law (PROVISIONAL TRANSLATION) Article 3 https://www.moj.go.j[...] 2021-09-17
[36] 웹사이트 To Foreign Residents: Frequently Asked Questions Regarding the Basic Resident Registration Network System https://www.soumu.go[...] 2023-09-27
[37] 웹사이트 Home http://www.nadra.gov[...]
[38] 뉴스 Korean Websites Try Patience of Foreigners http://english.chosu[...] Chosun Ilbo 2010-01-19
[39] 뉴스 주민등록상 인구 5천만명 돌파 파이낸셜뉴스 2010-10-13
[40] 문서 세종특별자치시와 제주특별자치도는 기초자치단체가 없으므로 광역자치단체장의 직인이 나온다.
[41] 문서 2006다17850
[42] 판결 대법원 2002.10.11, 선고, 2002다20957, 판결
[43] 판결 대법원 1998.1.23, 선고, 97다43468, 판결
[44] 뉴스 아기공룡 ‘둘리’부천 명예시민됐다 http://www.donga.com[...] 동아일보 2003-03-02
[45] 뉴스 만화 '달려라 하니' 주인공 서울 강동구 주민증 받았다 https://news.naver.c[...] 뉴시스 2008-06-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