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인은 조선 시대에 양반과 상민 사이에 위치했던 중간 신분 계층을 지칭하며, 주로 기술직이나 행정 실무를 담당하는 하급 관리들이었다. 이들은 사회적으로 양반보다는 낮았지만, 상민보다는 높은 지위를 누렸으며, 세금과 징병의 의무가 면제되고 도시 거주가 허용되는 등의 특권을 가졌다. 의관, 역관, 화가 등 다양한 직업군이 중인에 포함되었으며, 잡과를 통해 관직에 진출하기도 했다. 중인은 근대 개화기에 서구 문물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며 한국 사회의 변화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산계급 - 중산층
중산층은 자본주의 사회에서 자본가와 노동자 계급 사이의 사회·경제적 계층으로, 시대, 국가, 분석틀에 따라 정의와 범위가 다양하며, OECD는 중간소득의 75%~200%를 중산층으로 정의하지만, 소득 외 자산, 교육 수준, 사회적 지위 등 다양한 요소가 고려되고, 선진국의 위축과 신흥국의 성장이라는 상반된 현상 속에서 논쟁이 지속되며, 사회경제적 안정과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 조선의 사회 계급 - 양반
양반은 고려와 조선 시대의 지배 계층을 지칭하는 용어로, 문반과 무반에서 유래하여 조선 시대에는 사족과 유사한 의미로 확대되었으며, 관료뿐 아니라 그 가족과 후손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유교적 가치관과 특권을 누렸으나, 갑오개혁으로 법적 특권은 소멸되었고 현대에는 사회적 관계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 조선의 사회 계급 - 노비
조선시대 신분제에서 양반을 제외한 계층인 노비는 시대에 따라 형태와 기능이 변화했으며 관노비와 사노비로 나뉘어 재산처럼 취급되었고 갑오개혁 때 법적으로 폐지되었으나 차별은 지속되었다.
중인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한국어 | 중인 |
한자 | 中人 |
로마자 표기 | jung-in |
조선의 신분 제도 | |
계층 | 중간 계급 |
사회적 역할 | |
역할 | 행정 실무 담당 기술직 |
참고 자료 | |
관련 서적 | 남한: 국가 연구 |
관련 웹사이트 | 중인 (中人) - Empas / EncyKorea 중인 (中人) - Empas / Britannica 브리태니커 국제대백과사전 소항목사전 "중인"의 의미・알기 쉬운 해설 |
관련 도서 | 李榮薫 (2009) 107쪽 李榮薫 (2009) 108쪽 李榮薫 (2009) 109쪽 |
이미지 | |
![]() |
2. 명칭
이들의 신분은 양반과 상민 사이에 놓여 있어 사회적인 중간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서울 중앙에 거주하고 있었기 때문에 중인이라는 명칭이 붙여졌다.
중인은 양반과 상민 사이에 위치한 신분으로, 서울 중앙에 거주하여 '중인'이라는 명칭이 붙었다.[13] 이들은 특수 기술관이나 문무의 하급 관리로서 소속 관아나 문무 고관에 예속되어 기술과 실무를 담당했다. 역관이나 관상감원 등이 명에 파견되는 사신을 수행하여 무역으로 이익을 얻거나, 지방의 향리가 토착 세력을 이용하여 수령을 조종·농간하는 등 실제적인 이득을 취하고 사회적 조직을 통해 행세하기도 했다.
3. 신분과 역할
근대에 들어 신분상승한 상민이나 천민 출신들과 달리, 족보 편찬에 참여를 거부하는 등 계보 의식에서 전통사회의 신분제를 거부하는 태도가 주목된다.
조선 시대를 비롯한 한국의 왕조 시대에 중인은 양반 귀족보다는 신분이 낮았지만, 하층 중산층과 노동 계급의 상민보다는 높았다. 고등 교육을 받은 정부 고용 전문가들로, 현대의 사무직 근로자와 비슷한 지위를 가졌다. 이들은 정부 구조를 지원하는 하급 기술 및 행정 관리 역할을 하였으며, 양반이 하층민을 억압하는 것을 돕기도 했다.
중인은 양반과 마찬가지로 도시 중심부에 거주할 수 있었고, 세금을 내지 않았으며, 징병의 대상도 아니었다. 또한 자신의 계급 내에서 결혼하거나 양반 계급과 결혼하기도 했으며, 궁녀로 궁궐에 들어갈 자격도 있었다.[4][5]
3. 1. 주요 직업군
주로 기술직이나 사무직에 종사하던 벼슬아치로서, 의관, 향리, 서리(흔히 아전), 서제, 토관(토호를 위한 특별 관직), 군교(군무를 보는 관리), 역리(역관), 계사(회계 관리), 음양관 및 추길관(길일을 가리는 관리), 화원(도화서의 잡직), 사자관(문서를 정서하는 관리) 등의 하급관리[13], 관상감원, 검률 등의 기술관을 세습하면서 하나의 특수한 신분 계층을 이루게 되었다.
이 가운데 의원, 역관, 계사, 음양관(추길관)은 잡과를 통해 관직에 들어서므로 중인 가운데 지체가 높은 편이며, 특히 의원과 역관을 가장 높이 친다.
3. 2. 사회적 지위
이들은 양반과 상민 사이에 놓여 있어 사회적인 중간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서울 중앙에 거주하고 있었기 때문에 중인이라는 명칭이 붙여졌다.[13] 주로 기술직이나 사무직에 종사하던 벼슬아치로서, 향리(鄕吏), 서리(胥吏, 흔히 아전), 토관(土官, 토호를 위한 특별 관직), 군교(軍校, 군무를 보는 관리), 역관(驛吏), 계사(計士; 회계 관리), 음양관(陰陽官) 및 추길관(諏吉官, 길일을 가리는 관리), 화원(畫員, 도화서의 잡직. 화가) 등의 하급관리[13], 관상감(觀象監)원, 검률(檢律) 등의 기술관을 세습하면서 하나의 특수한 신분 계층을 이루게 되었다. 또한 경외(京外) 문무관청에서 실무를 보는 하급 관리 및 서얼도 광범한 의미에서 중인 신분으로 간주할 수 있는데, 이들의 지위는 대개 고정되어 일반적으로 그 향상을 도모할 길이 막혀 있었다. 이 가운데 의원, 역관, 계사, 음양관(추길관)은 잡과를 통해 관직에 들어서므로 중인 가운데 지체가 높은 편이며, 특히 의원과 역관을 가장 높이 쳤다.
그러나 이들 특수 기술관이나 문무의 하급 관리들은 소속 관아나 문무 고관에 예종(隸從)되어 기술과 실무를 담당했으므로 실제적인 이득을 취하고 그 나름의 사회적 조직을 통해 행세를 할 수도 있었다. 역관이나 관상감(觀象監)원 등이 명에 파견되는 사신을 수행하여 무역으로 이익을 볼 수 있었던 것도 그 예이며, 또한 지방의 향리(鄕吏)가 토착적인 세력을 이용하여 수령을 조종·농간하거나 전권(專權)·작폐(作弊)하는 일도 많았다.
근대에 들어오면서 신분상승한 상민이나 천민 출신들과는 달리 계보 의식에 있어서 전통사회의 신분제를 거부하는 태도가 주목된다. 즉 계보를 조작하거나 기존 계보를 사실대로 계승하는 중인들도 있었지만 족보 편찬에 참여를 거부하는 경우도 있었다. 오늘날 족보들을 보면 조선 말기 중인들의 후손 기록이 19세기 중반 또는 후반에서 멈추는 양상이 두드러진다.
조선 시대를 비롯한 한국의 왕조 시대에 중인은 양반(兩班) 귀족보다는 신분이 낮았지만, 하층 중산층과 노동 계급의 상민(常民)보다는 높았다. 중인은 고등 교육을 받은 정부 고용 전문가들로, 현대의 사무직 근로자와 비슷한 지위를 가졌다. 군인, 기술 전문가를 배출하는 가문과 결혼 관계를 맺거나, 세습적인 정부 관리(중앙 및 지방) 출신이거나, 귀족의 서얼(庶出) 자녀들도 포함되었다.[4][5]
일상생활에서 중인은 양반 귀족보다는 신분이 낮았지만, 하층 중산층과 노동 계급인 상민보다는 높았다. 그들의 역할은 정부 구조를 지원하는 하급 기술 및 행정 관리였다. 지방 관리 등 고위 중인들은 행정적으로 양반이 하층민, 특히 상민을 억압하는 것을 가능하게 했다. 중인은 중산층으로 기능했으며, 특히 농촌 지역에서 하급 관리였다.
사회적 지위가 귀족보다 낮았지만, 고등 교육을 받은 중인들은 하층 중산층과 노동 계급의 상민보다 훨씬 많은 특권과 영향력을 누렸다. 예를 들어 중인은 세금을 내지 않았고, 징병의 대상도 아니었다. 양반과 마찬가지로 도시 중심부에 거주할 수 있었는데, 이것이 "중간 사람들"이라는 이름의 유래가 되었다. 또한 중인은 자신의 계급 내에서 결혼하는 경향이 있었고, 양반 계급과도 결혼했다. 게다가 궁녀(宮女)로 궁궐에 들어갈 자격이 있었기 때문에, 아버지의 명성이 좋거나 인맥이 좋고 왕이나 대비(大妃)의 눈에 띄면 중인 출신 여성이 왕비 또는 빈(嬪)이 될 수도 있었다. 빈(嬪)은 왕의 첩(妾) 중에서 왕비 다음으로 높은 지위였다. 예를 들어 희빈 장씨(본명 장옥정)은 숙종(肅宗)의 후궁이었고 경종(景宗)의 어머니였다. 그녀는 1689년부터 1694년 폐위될 때까지 조선의 왕비였다.
그러나 중인이 되려면 기술에 대한 실용적인 지식을 시험하는 차과(茶科) 시험에 합격해야 하는 경우가 일반적이었다. 중인은 중산층의 일부로 알려져 있었지만, 왕조 시대 한국에서 가장 작은 사회 계급이었다.
한국 사회에서 중인 계급은 유럽의 중산층과 거의 비슷했다. 농촌 지역의 지방 관리는 기본적으로 하급 관리와 같았다.
3. 3. 차별과 한계
조선 시대에 중인은 양반보다 신분이 낮았지만, 상민보다는 높은 중간 계층이었다. 이들은 주로 의관, 향리, 서리, 역관, 화원 등 기술직이나 하급 관리직에 종사했다.[13] 이들은 기술과 실무를 담당하며 특수한 신분 계층을 이루었다. 특히 의원, 역관, 계사, 음양관 등은 잡과를 통해 관직에 진출하여 중인 중에서도 높은 지위를 가졌다.
중인은 소속 관청이나 고위 관료에게 예속되어 있었지만, 실제적인 이득을 취하고 사회적 영향력을 행사하기도 했다. 예를 들어, 역관이나 관상감원은 명나라에 파견되는 사신을 수행하며 무역으로 이익을 얻었고, 지방 향리는 토착 세력을 이용하여 수령을 좌지우지하거나 권력을 남용하기도 했다.
근대에 들어 중인들은 신분 상승한 상민이나 천민 출신과는 달리, 족보 편찬에 참여를 거부하는 등 전통적인 신분 제도를 거부하는 경향을 보였다.
중인은 현대의 사무직 근로자와 비슷한 지위를 가졌으며, 군인, 기술 전문가 가문과 혼인하거나 세습적인 정부 관리, 귀족의 서출 자녀들도 포함되었다.[4][5] 이들은 정부 구조를 지원하는 하급 기술 및 행정 관리 역할을 수행했다. 특히 지방의 고위 중인들은 양반이 하층민을 억압하는 것을 돕기도 했다.
중인은 사회적으로 양반보다 낮았지만, 상민보다 많은 특권과 영향력을 누렸다. 세금을 내지 않고 징병 대상도 아니었으며, 양반처럼 도시 중심부에 거주할 수 있었다. 이들은 자신의 계급 내에서 결혼하거나 양반 계급과 결혼하기도 했다. 또한, 궁녀로 궁궐에 들어갈 수 있었고, 왕의 눈에 띄면 왕비나 빈이 될 수도 있었다. 대표적인 예로 희빈 장씨는 숙종의 후궁이자 경종의 어머니로, 1689년부터 1694년까지 조선의 왕비였다.
하지만 중인이 되려면 기술 시험인 차과에 합격해야 하는 경우가 많았다. 중인은 중산층의 일부였지만, 조선 시대 한국에서 가장 작은 사회 계급이었다.
4. 문화와 문학에 끼친 영향
중인들은 양반처럼 고등 교육을 받았지만, 동등한 사회적 지위를 인정받지 못했다. 양반들이 중인의 시를 감상하고 출판을 돕기도 했지만, 중인들은 차별을 받았다.[6] 이러한 불공정한 대우에 중인들은 시가 모임을 만들어 사회적 인정을 받고자 노력했다.
17세기 후반, 많은 중인들이 시를 통해 인기를 얻었지만, 사회적 지위는 여전히 중인이었다. 조선 시대 시조 작가 김천택은 숙종 때 포교였으며, 청구영언을 편찬했다.[7] 그는 예술에 대한 깊은 지식을 가진 뛰어난 가수였고, 그의 노래는 온 백성을 눈물짓게 했다. 당시 중인이었던 그는 사회적으로 출세할 수 없었기에 자연 속에서 살기로 선택했다.[7][8]
4. 1. 시가(詩歌) 활동
중인들은 양반들처럼 고등 교육을 받았지만, 동등한 사회적 지위를 인정받지는 못했다. 그러나 양반들이 그들의 시를 감상하고 출판을 도와주는 경우도 있었다.[6] 양반 계급에게 인정받지 못하고 차별받던 중인들은 사회적 지위 때문에 불공정한 대우를 받자 사회적 인정을 받고자 시가 모임을 만들었다. 그들의 작품은 고서인 「옥계이승첩」과 「옥계청유첩」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그들은 최초의 시집 「소대풍요」를 출판하였고, 이후 60년마다 새로운 시집을 계속 출판했다.[6]「육객시집(六客詩集)」은 시인의 문학적 재능과 사회적 지위를 비교하여 논하고 있다. 소송원 시가회(Songsogwon Poetry Society)의 발전은 양반과 중인 계급 사이의 긴밀한 교류로 이어졌다. 17세기 후반에는 많은 중인들이 시를 통해 인기를 얻었다. 그들은 시인으로서의 삶이나 상류 사회 사람들에 대해 시를 썼고, 상류 사회 사람들이 그들의 시를 다른 사람들에게 전파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러한 시들이 공유되고 사람들에게 인정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지위는 향상되지 못하고 여전히 중인으로 남았다. 「조선의 남은 진주(Remaining Pearls of Korea)」는 양반의 격려를 받은 중인이 편찬한 시집이다.
조선 시대 저명한 시조 작가 김천택은 숙종 때 포교(捕校)였다.[7] 김천택은 「청구영언」을 편찬하였으며, 시경 수백 수를 암송할 정도로 유명했다. 그는 예술에 대한 깊은 지식을 가진 뛰어난 가수였으며, 그의 노래는 온 나라 백성을 눈물짓게 했다. 당시 중인이었던 그는 사회적으로 출세할 수 없었기에 자연 속에서 살기로 선택했다. 조선시대의 엄격한 신분제도 때문에 그는 자연이 제공하는 삶에 만족하며 살았고, 많은 중인들이 그러했다. 그의 시조에는 자연의 요소가 많이 담겨 있으며, 다음의 갈매기 시조에서 그는 중인으로서 자연과 함께 살아갈 것임을 표현하고 있다.[7][8]
흰 며기야 내 무슴 일 무르려다 놀내지 마라|흰 갈매기여, 내게 무엇인가 묻겠네. 놀라지 마오.한국어
명구승지(名區勝地)와 버려진 화려(華麗) 이 어어 잇니|어디에 이름난 곳, 버려진 화려한 땅들이 있나이까?한국어
자시(仔細)히 닐러든 거긔 가셔 셤기리라|자세히 말해주오. 그곳에 가서 함께 시간을 보내리이다.한국어
4. 2. 김천택과 청구영언
김천택은 조선 숙종 때 포교(捕校)였다.[7] 청구영언을 편찬하였으며, 시경(詩經) 수백 수를 암송할 정도로 유명했다. 그는 예술에 대한 깊은 지식을 가진 뛰어난 가수였으며, 그의 노래는 온 나라 백성을 눈물짓게 했다. 당시 중인이었던 그는 사회적으로 출세할 수 없었기에 자연 속에서 살기로 선택했다. 조선 시대의 엄격한 신분 제도 때문에 그는 자연이 제공하는 삶에 만족하며 살았고, 많은 중인들이 그러했다. 그의 시조에는 자연의 요소가 많이 담겨 있으며, 다음은 그가 중인으로서 자연과 함께 살아갈 것임을 표현한 갈매기 시조이다.[7][8]:흰 갈매기여, 내게 무엇인가 묻겠네. 놀라지 마오.
:어디에 이름난 곳, 버려진 화려한 땅들이 있나이까?
:자세히 말해주오. 그곳에 가서 함께 시간을 보내리이다.
:— 김천택
5. 근대화와 중인
중인들은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 조선의 근대화를 위해 서구 제도와 사상을 받아들이는 데 앞장섰다. 이들은 특히 개화파의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대표적인 인물로는 김규식, 최남선, 오경석, 유대치(유홍기), 변수 등이 있다.[13]
5. 1. 대표적인 근대 개화 인물
오경석, 유대치(유홍기) 등은 근대 개화기에 활동한 대표적인 중인들이다. 이들은 서구의 제도와 사상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한국 사회의 근대화에 기여하고자 노력했다.[13]- 오경석
- 유대치(유홍기)
- 변수
참조
[1]
서적
South Korea: A Country Study
https://books.google[...]
DIANE Publishing
[2]
웹사이트
중인 (中人)
http://100.empas.com[...]
Empas / EncyKorea
[3]
웹사이트
중인 (中人)
http://100.empas.com[...]
Empas / Britannica
[4]
서적
Companion Encyclopedia of the History and Philosophy of the Mathematical Sciences
https://books.google[...]
JHU Press
[5]
서적
The History of Korea
https://archive.org/[...]
Greenwood Publishing Group
[6]
뉴스
Joseon's middle class key to development of literature, culture
https://www.koreatim[...]
2024-04-05
[7]
학술지
Literary Powerhouse from the Social Margins
2020
[8]
웹사이트
Korean Literature Now - KLN > Strings > Inkstone > Gagaek: The Idols of Premodern Korea
https://www.kln.or.k[...]
2024-04-05
[9]
웹사이트
中人
https://kotobank.jp/[...]
[10]
서적 # 추정. 더 많은 정보가 필요합니다.
[11]
서적 # 추정. 더 많은 정보가 필요합니다.
[12]
서적 # 추정. 더 많은 정보가 필요합니다.
[13]
서적
조선의 뒷골목 풍경
푸른역사
2004-01-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