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화민국 헌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화민국 헌병은 중화민국의 군사 경찰로, 1900년 청나라 시기 베이징에서 치안 유지를 위해 처음 설립되었다. 이후 중화민국 시기 헌병 사령부가 설립되었고, 중국 대륙 시기와 타이완 시기를 거치며 조직과 임무가 변화해왔다. 현재는 국방부 헌병 지휘부의 지휘를 받으며, 군사적 기능, 정보 기능, 사법 경찰 기능을 수행한다. 헌병은 대통령 경호, 대테러 작전, 군 기강 유지, 민간 치안 지원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며, 헌병훈련센터, 헌병 특수부대, 지역 지휘부 등을 예하에 두고 있다. 헌병은 다양한 장비와 화기를 사용하며, 험비, CM-32 장갑차, T91 자동 소총 등을 운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화민국 국방부 - 중화민국 해군사령부
중화민국 해군사령부는 중화민국 국방부 예하 해군을 총괄하는 군사 기관으로, 1912년 북양정부 시기 해군부로 창설되어 국공 내전 후 타이완으로 이전, 가오슝시 쭤잉구에 위치하며 해군 전력 현대화를 추진한다. - 중화민국 국방부 - 중화민국 국방부 참모본부
중화민국 국방부 참모본부는 중화민국 국군의 군령권을 행사하는 국방부 산하 기관으로, 훈련, 인사, 정보, 작전계획, 병참, 통신 등 다양한 분야를 담당하는 내부 및 직할 기관과 예하 군사 기관으로 구성된다. - 1914년 설립된 단체 - 연방거래위원회
연방거래위원회(FTC)는 미국의 독립 행정기관으로, 소비자 보호와 공정 경쟁 촉진을 주요 임무로 하며, 초기 독과점 금지에서 소비자 보호 영역으로 확장되어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지만, 최근에는 권한 제한 논란과 존폐 논쟁에 직면하고 있다. - 1914년 설립된 단체 - 중화민국 해군육전대
중화민국 해군육전대는 류관웅 제독의 건의로 창설되어 국공내전 시기를 거쳐 재편되었으며 해군 기지 방어, 상륙 작전 수행, 대테러 작전 지원 등을 주요 임무로 하는 중화민국 해군의 상륙전 부대이다. - 중산구 (타이베이시) - 중앙통신사
중앙통신사는 1924년 중국국민당에 의해 설립되어 타이베이로 이전 후 비영리단체로 전환되었으며, 정부 지원하에 뉴스 기관으로서 중국어, 영어, 일본어, 인도네시아어 뉴스와 포커스 타이완, 타이완플러스 등의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다. - 중산구 (타이베이시) - 유니 항공
유니 항공은 1988년 마궁 항공으로 설립되어 1996년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된 에바 항공의 자회사로, 대만 국내선과 중국 노선을 주로 운항하며 일부 국제선 정기편도 운영하고, ATR 72-600 기종을 운영하며 과거 다양한 기종을 운영했으나 현재는 퇴역했고, 유니 항공 873편 화재 사고를 비롯한 여러 사건·사고를 경험했으며, 여러 항공사와 코드쉐어 협정을 맺고 있다.
중화민국 헌병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창설일 | 1914년 12월 12일 |
군종 | 군사경찰 |
종류 | 독립된 전문 군종 육군 |
역할 | 화재 예방 및 구조 군기 확립 삼군 합동 작전 지원 |
규모 | 2004년 추정: 16,000명 2020년 추정: 5,502명 |
본부 | 타이베이시 중산구 민족동로 17호 |
별칭 | 금위군 白頭殼 (백두각) ROCMP |
표어 | 忠貞 (충정) |
색상 | 올리브색 |
군가 | 憲兵歌 (헌병가) |
기념일 | 12월 12일 (창설일) |
![]() | |
![]() | |
지휘 | |
현재 사령관 | [[File:ROCA Lieutenant General's Flag.svg|24px]] 모유밍 중장 |
주요 지휘관 | 황금재 |
역사 | |
주요 전투 | 북벌 시안 사건 중일 전쟁 국공내전 구닝터우 전투 제3차 타이완 해협 위기 |
이전 지휘관 | 곡정륜 |
조직 | |
소속 | 중화민국 국군 |
상위 기관 | 참모본부 |
기타 정보 |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1900년 의화단 운동 당시 열강에 의해 베이징이 함락되면서 근대적인 헌병이 성립되었다. 베이징은 무정부 상태가 되었고, 팔국 연합군의 약탈로 치안이 악화되었다. 이에 남겨진 관리들은 팔국 연합군과 협상하여 각 점령 구역 내에 "안민공소(安民公所)"를 설치하고, 팔국 연합군 병사들과 협력하여 치안을 유지했다.[11]
1901년, 청은 베이징 의정서를 체결하고 팔국 연합군은 베이징에서 철수했다. 청은 안민공소를 참고하여 베이징에 경사선후협순총국(京師善後協巡總局) 및 경사선후협순영(京師善後協巡營)을 설립하여 경기(京畿) 지역의 치안을 유지했다. 또한 녹영(綠營), 방용(防勇)을 해산하고 순경영(巡警營)을 설치했다. 1902년 순경영은 위안스카이의 군정사(軍政司) 관할이 되었다.
1905년, 청은 변혁과 행정 쇄신을 위해 일본의 헌병 제도를 배우고자 일본에 사절단을 파견했다. 경친왕은 일본과 합동으로 헌병 설립에 착수하여 일본인 헌병 군관을 고문으로 초빙하고, 다구(大沽)에 헌병학당을 창설했다.[12] 학생은 학원반과 학병반으로 나뉘었고, 일본 헌병 장교 4명이 교원으로 초빙되었다.[12] 1906년 베이징에 육군경찰소를 설치하고, 헌병학당 졸업생들을 각 육군경찰영에 배속했다.[12]
1908년 11월, 헌병학당은 육군부의 관할이 되어 "육군경찰학당"으로 개칭되었다.[12]
1912년 초, 난징 헌병 사령부가 설립되었다. 1914년 쑨원이 광저우에 대본영을 창설했고, 장제스는 교육을 확대하여 헌병을 정식으로 편성했으며, 1932년에 헌병 사령부를 설립했다. 같은 해 국민정부는 헌병 근무령을 반포하여 헌병 부대의 편제, 지휘, 훈련, 근무 등 각종 제도를 확립했다. 1936년에는 장제스가 초대 교장을 겸임하는 헌병학교가 창설되었다.
2. 1. 중국 대륙 시기 (1914년 ~ 1949년)
1914년 쑨원이 광저우에서 중화민국 임시 대총통에 취임하면서 경비 및 군기 단속을 위해 헌병 부대를 창설하였다.[13] 1925년 장제스의 지휘 아래 헌병 부대가 정식으로 편성되었고, 헌병 훈련소가 설립되었다. 1932년 헌병 사령부가 난징에 설립되었고, 헌병 근무령이 반포되어 헌병 부대의 편제, 지휘, 훈련, 근무 등 각종 제도가 확립되었다.[12]중일 전쟁 기간 동안 헌병은 일본군에 맞서 싸웠으며, 특히 1937년 난징 전투에서 큰 피해를 입으면서도 격렬하게 저항했다. 국공 내전 시기에는 요인 암살 방지, 정부 시설 보호 등의 임무를 수행했다. 1949년 국공 내전에서 패배한 후 중화민국 정부와 함께 타이완으로 철수하였다.
다음은 중화민국 헌병의 중국 대륙 시기 주요 연혁이다.
연도 | 사건 |
---|---|
1914년 | 쑨원이 광저우에서 중화민국 임시 대총통에 취임하면서 경비 및 군기 단속 목적으로 헌병 부대 창설.[13] |
1924년 | 황푸군관학교 2기에 헌병과를 창설하여 헌병 군관 양성 시작. |
1925년 | 국민혁명군을 황푸 군교 3기 학생 및 수군 경위 학병 연대와 혼성하여 헌병 연대 정식 창설. 10월에는 장제스가 교장이 되어 헌병 훈련소가 광저우에 설립. 헌병 연대를 헌병 영으로 확대. |
1926년 | 허잉친은 동장 국민혁명군 제1부를 주둔시키고 동장에 헌병대 설립. 7월에는 헌병 영을 3개의 헌병 연대로 정리하고, 북벌의 국민혁명군 헌병단으로 개편. |
1928년 | 헌병단을 헌병 제1단으로 개편하고, 헌병 제2단을 증설하여 난징에 주둔. |
1929년 | 헌병 제1, 제2단 헌병 사령으로 우스위 임명. 5월 옌전 부와 함께 교동도에서 단장 이하 간부 수십 명과 포로가 됨. 12월 헌병 제2단에 스유산 진격. |
1930년 | 우한 행원 헌병단을 헌병 제3단으로 개편, 이후 특무영으로 개편. 헌병 제4단 설립, 이후 경위 여단으로 개편. 2월 헌병 제2단 타이후 산적 토벌. |
1931년 | 헌병 교련소 창설, 쑤저우에 헌병 제3단 설립. |
1932년 | 헌병 사령부 난징에 정식 설립.[12] 4월 헌병 군관 강습회 창설. 7월 헌병 교육 총대 설립. 8월 20일 국민 정부 헌병 근무령 반포, 헌병 제도 확립. 9월 헌병 특경 제1대 설립. |
1933년 | 2월 헌병 제2단 국제 연맹 조사단장 리턴 경호. 3월 헌병 제3단 베이핑 이전, 중국 공산당 허베이성 위원회, 베이핑 시 위원회 등의 안 채택. 5월 교도 총대 취소, 헌병 제6단으로 개편. 헌병 교련소, 헌병 군관 강습회 해산, 난징 장닝에 헌병 훈련소 설립. |
1934년 | 6월 일본 난징 총영사관 창본 에이메이 서기생 실종 사건 발생, 헌병대 밍샤오링 뒷산에서 발견. |
1936년 | 2월 헌병 제4단 푸칭 초비 참가. 3월 헌병 훈련소 헌병 학교로 확대. 10월 특경 제1대 난징에서 일본 대사 가와고에 시게루 기밀 외교 문서 탈취 성공, 한간 행정원 간임 비서 황쥔과 아들 황성 국군 장인 봉쇄 계획 일본 밀고 밝혀냄. 12월 헌병 제1단 시안 사건에서 장제스 경호, 시위장 장샤오셴 장군, 헌병 제1단장 양전야 등 백여 명 순직/행방불명. |
1937년 | 12월 난징 전투에서 헌병 교도 제2단 분전, 헌병 부사령 샤오산링 순직. 특경 제2대 적 후방 공작 중 한간 매도에 당해 두징보 이하 10여 명 순직. |
1938년 | 헌병 제7단 우한 전투 참가. |
1939년 | 헌병 제7회 헌병 교도단 제1 - 8단 설립. |
1940년 | 11월 헌병 사령 구정룬 장군 간쑤성 주석 전임, 허궈광 장군 제2대 헌병 사령 계승. |
1941년 | 1월 헌병 제8, 15단 신사군 사건 해결, 헌병 제19, 20단 설립. |
1942년 | 4월 헌병 제20단 푸저우 전투 참가. |
1943년 | 3월 헌병 사령 허궈광 장군 충칭 위수 사령 전임, 장전 장군 제3대 헌병 사령 계승. |
1944년 | 4월 헌병 제14단 대륙타통작전 참가. |
1945년 | 4월 헌병 제16단 웨이베이 회전 참가. 8월 일본 항복, 헌병 제10, 21단 경호 인계. |
1946년 | 11월 헌병 제9, 16단 난징 제헌 국민대회 경호 임무 인계. |
1947년 | 2월 헌병 제4단 2·28 사건 처리 위해 대만 도착. |
1948년 | 헌병 제16단 제1회 국민대회 제1차 회의 경호 임무 인계. |
1949년 | 헌병 제1단 제7연대 진먼 전투 참가. |
2. 2. 타이완 시기 (1950년 ~ 현재)
1950년 3월 1일, 타이베이시 량저우제에 헌병사령부를 재건하였다. 같은 해 중국 본토에서 철수한 타이완 헌병 제1, 3, 18단과 주둔 헌병 제4, 8단을 통합 재편하여 헌병 제1, 4, 7, 8, 9의 5개 단 및 간부 훈련반, 특무 연대, 통신대, 군악대, 특고조 등으로 개편하고, 전 국방부 및 각 군종 사령부 경위 연대를 헌병 독립 연대로 편입했다. 본토의 헌병 서남 지휘소는 국공 내전으로 붕괴되었으며, 헌병 부사령관 겸 지휘관 리추판은 순국했다.[1]1953년에는 간부 훈련반을 확대하였고, 5월에는 타이베이현 싼총시에 헌병 학교를 복교시켰다. 1954년 1월에는 해외 파견 헌병 집무에 따라 제50군, 제80군에 각 헌병 1개 소대와 헌병 제8단 6개 중대가 편성되어 한국 전쟁에 참전한 반공 의용군 1만 4천 명이 타이완으로 귀환하여 123일간의 자유 시간을 받았다.[1]
1970년, 미국 군사 임무단의 조언에 따라 헌병 연대를 4개의 지역 사령부로 재편성했다. 201 사령부는 대통령 경호, 202 사령부는 수도 주둔군, 203 사령부는 먀오리, 204 사령부는 타이난에 주둔하였다. 1990년대 이후 타이베이 외곽의 헌병 초소는 폐지되었다.[1]
2006년 1월, 중화민국 공군 산하 10개 보안 대대가 헌병 사령부로 이관되었다.[1]
연도별 주요 사건은 다음과 같다.
연도 | 사건 내용 |
---|---|
1952년 | 중화민국 주재 일본 도쿄 헌병대장 리젠우 상위가 이끄는 招商局의 하이롱호가 타이완으로 철수. |
1956년 | 헌병 제1, 7, 8, 9단을 해산하고 헌병 제201, 202단으로 개편. 각 헌병 연대를 헌병 제201 - 206, 221, 222 연대로 통합 재편. 9월에 헌병 신병 훈련 대대를 헌병 훈련 지휘부로 개편, 1961년 5월 16일에 헌병 훈련 센터로 확대. |
1970년 | 1월, 헌병 제201 - 203단을 헌병 제201 - 204 지휘부로 개편. 5월, 헌병 학교를 타이베이현 우구향으로 이전. |
1977년 | 징안 1호 전안 실시, 전 경비 총부 북, 중, 남 3개 경비 연대를 헌병 제311 - 332 연대로 편입. |
1979년 ~ 1980년 | 징안 2호, 3호 전안 실시, 육군 특수 작전 제31, 42, 63, 24 총대 등 16개 대대 및 주펑하이 제53 공수 독립 여단을 헌병 제205, 206 지휘부 및 헌병 제311 - 332 연대로 개편. |
1984년 | 헌병 제206 지휘부 해산. |
1986년 ~ 1987년 | 징안 4호 전안 실시, 헌병 연대 병력 및 조사조와 임무 형태를 확대 조정, 각 조사조는 헌병대 임무를 겸하여 경위 구역과 작전 구역을 통합. |
1987년 | 11월, 장갑 헌병 연대 설립. |
1990년 | 경찰의 어업 단속 배치 및 항구 안전 검사 중요성 증대에 따라 징안 5호 전안에 의해 헌병 제333 연대 증편. |
1993년 | 국군 병력 감축에 따라 10개 헌병 연대를 해안 순방 사령부로 이관 (헌병 제212, 214, 215, 216, 219, 221, 227, 230, 319, 328 연대). |
1996년 | 8월, 헌병 제201 지휘부 해산. |
1999년 | 해안 순방 사령부에 헌병 제224, 241 연대 재편. |
2004년 | 11월 2일, 린커우 헌병 훈련 센터를 헌병 학교에 통합하여 헌병 학교 린커우 캠퍼스로 개편. |
2005년 | 수도 방위 요구 증대에 따라 헌병 포병 연대 및 장갑 헌병 연대 제2 연대를 2개 헌병 연대로 개편. |
2012년 | 국방부에서 참모본부로 전속, 지위가 사령부에서 지휘부로 변경. |
2014년 | 4월 1일, 헌병학교가 헌병훈련소로 개명. |
2021년 | 5월, 중화민국 헌병이 국방부 직속으로 복귀. |
2. 2. 1. 시안 사건
1936년 12월 12일, 장제스를 따라 시안을 시찰하던 헌병대원들은 장쉐량의 정예 호위병들과 충돌했다. 호위병들은 총통을 체포하라는 명령을 받고 출동한 것이었다. 헌병들은 기습을 당해 수적으로 열세였고, 곧 장쉐량 부대에 제압당했다. 장쉐량 부대는 이후 시안 사건으로 알려진 사건에서 장제스와 그의 수행원들을 체포했다.[1] 100명 이상의 헌병이 짧은 전투에서 사상했다. 그러나 헌병의 영웅적인 행동을 기념하기 위해 장제스는 12월 12일을 헌병의 날로 지정했다. 이 공휴일은 중화민국 정부에서는 더 이상 기념하지 않는다.[1]2. 2. 2. 2·28 사건
1947년 타이완에서 발생한 2·28 사건 당시, 헌병 부대가 사회 불안을 진압하는 데 관여했다.[1]3. 기능
2006년 국방 보고서에 따르면, 중화민국 헌병은 군사적 기능과 민간 업무 지원 기능을 수행한다.[4] 군사적 기능에는 총통부를 포함한 특정 정부 시설 경비, 장제스가 안치된 츠후 추모공원 근처 경계 근무, 대통령 경호, 대테러 작전, 주둔지 경비, 군 기강 유지, 군사 작전 지원이 포함된다. 민간 업무 지원 기능에는 군사 사법 및 법 집행, 공공 안전 유지, 지역 재해 예방 및 대응, 사회 안정과 국가 안보 보장이 있다.
3. 1. 군사적 기능
중화민국 헌병은 군사법 집행, 군 기강 유지, 경찰 지원, 비상시 전투 임무 수행, 총통부를 포함한 특정 정부 시설 경비, 대테러 및 VIP 경호 작전을 수행한다.[4] 또한 중화민국의 수도이자 정치 및 금융 중심지인 타이베이 방어를 담당한다.[4]3. 2. 정보 기능
전통적이고 역사적인 이유로 중화민국 헌병은 6가지 범주의 보안 수사에서 정보 임무를 수행한다.- 대통령 경호 및 보호를 위한 특별 서비스
- 정치
- 군사
- 형사 사건
- 외교
- 사회 질서
이러한 보안 수사는 주로 각 지역 수사대, 기동 수사대 및 상급 부대인 헌병 사령부의 정보처에서 수행된다. 이 6가지 보안 수사의 주요 목표는 대통령 경호 및 보호를 위한 특별 서비스에 집중되어 있으며, 보다 실질적으로는 중화민국 총통인 최고 사령관의 요청을 충족시키는 것이다.
중화민국 헌병은 정보 임무를 수행하는 동안 국가안전회의의 국가안전국의 감독과 조정을 받는다.
3. 3. 사법경찰 기능
형사소송법 제229조 제1항 제2호, 제230조 제1항 제2호, 제231조 제1항 제2호에 따라 헌병의 위관, 부사관, 병은 검사를 보조하거나 검사의 지휘를 받아 범죄 활동을 수사할 권한이 있다.[1] 즉, 형사소송법은 지역 헌병 부대의 경비 헌병 부대에 사법 경찰의 권한을 부여하며, 이는 경찰이 실제 형사 수사를 수행하는 것과 동일하다.[1] 특수 경찰 부대가 중화민국에서 설립되고 확장되기 전에는 헌병 부대가 고위 범죄 활동, 심각한 폭력, 빈번한 사회 혼란 또는 폭동을 막는 주요 전력으로 활동하였다.[1] 현재도 헌병 부대는 지방 검찰청과 협력하여 형사 사건을 적극적으로 수사하고 있으며, 경비 헌병 부대는 여전히 중화민국 사회의 법과 질서를 유지하는 중요한 세력 중 하나이다.[1]중화민국의 잦은 군 인사 이동과 징병 제도로 인해, 지역 헌병 부대 내 사람들은 지역 경찰서에 비해 지역 주민들과 상대적으로 적은 관계를 맺고 있다.[1] 또한, 지방 경찰서는 해당 지역 선출 공무원에게 행정적으로 답변해야 하지만, 지역 헌병 부대는 그렇지 않다.[1] 매춘 및 인신 매매의 경우, 정보 유출이 최소화되거나 국내 정치인의 간섭이 적기 때문에 중화민국의 모든 수준의 검찰에게 중화민국 헌병이 선호되는 법 집행 기관이다.[1]
도주범 검거의 경우, 일부 검찰은 헌병이 훌륭한 기강과 갱 관련 대인 관계가 적기 때문에 대규모 수색 또는 체포를 처리하기 위해 헌병을 동원한다.[1]
4. 조직
중화민국 헌병은 국방부 헌병 지휘부(憲兵指揮部)의 지휘를 받으며, 참모총장에게 종속된다.[3] 1970년, 미 군사 임무단의 조언에 따라 모든 연대가 여단으로 재편성되면서, 헌병 사령부는 기존 헌병 연대들을 4개의 지역 사령부로 재편성했다.
- 201 사령부: 대통령 경호 담당 (제101 헌병 연대)
- 202 사령부: 수도 주둔군 담당 (제201 헌병 연대)
- 203 사령부: 먀오리현 주둔 (제202 헌병 연대)
- 204 사령부: 타이난시 주둔 (제203 헌병 연대)
1990년대 이후 타이베이 외곽의 중화민국 헌병 초소는 폐지되었다.[3] 2006년 1월에는 중화민국 공군 산하의 10개 보안 대대가 헌병 사령부로 이관되었다.
헌병 지휘부 예하에는 다음과 같은 부대들이 있다.
- 헌병학교()
- 헌병 지역 사령부(x4)()
- 헌병 기갑 대대()[3]
- 포병 대대()
- 헌병 대대(x19)()
- 공군 헌병 경비 중대(x10)(): 군사 비행 기지 또는 야전을 경비하는 특별 임무를 수행한다.
- 해군 헌병 경비 대대(x2)(): 해군 기지를 경비하는 특별 임무를 수행한다.
- 지역 헌병 사무소(x22)(): 도시 지역에 주둔하는 대대 규모의 부대이다.
- 지역 헌병 수사대(): 행정적으로는 해당 지역 사무소에 속하며, 작전상으로는 헌병 지휘부의 정보 부서(G2)의 통제를 받는다.[4]
- 과학수사센터(중화민국)()
- 헌병 특수 작전대, '''MPSSC''' (): 코드명 '''나이트 호크.'''[5] 우구 구에 주둔하며, 1978년에 창설되었다. 이 부대에 대한 정보는 중화민국 국방부에 의해 기밀로 분류되어 거의 알려진 바가 없다.[6]
- 신뎬 군 교도소, 신베이시()
- 류자 군 교도소, 타이난시()
헌병사령부 예하의 상세 조직은 다음과 같다.
헌병사령부
- '''내부 조직'''
- 정작처
- 감찰실
- 인사참모처
- 정보처
- 경무처
- 훈련처
- 군법처
- 후근처
- 계획처
- 보급처
- 통신정보처
- 주계처
- 근무지원센터
- '''직속 조직'''
- 헌병훈련센터 (교구: 우구교본부, 린커우 분교)
- 헌병연대 (각 지휘부 산하)
- 철위대 (헌병 의장대)
- 통신정보대
- 군견대
- 의무대
- 근무대
- 기차연대
- 헌병 특수부대 (MPSSC, 우구 산악지대)
- 과학수사센터(중화민국)
지역별 헌병대각 지역 헌병대는 해당 지역의 군사경찰 업무를 담당한다.
지역 | 헌병대 |
---|---|
타이베이시 | 타이베이시 헌병대 |
이란현 | 이란 헌병대 |
지룽시 | 지룽 헌병대 |
신베이시 | 반차오 헌병대, 싼충 헌병대 |
타오위안시 | 타오위안 헌병대 |
신주시 | 신주 헌병대 |
먀오리현 | 먀오리 헌병대 |
타이중시 | 펑위안 헌병대, 타이중 헌병대 |
난터우현 | 난터우 헌병대 |
장화현 | 장화 헌병대 |
자이시 | 자이 헌병대 |
타이난시 | 신잉 헌병대, 타이난 헌병대 |
가오슝시 | 가오슝 헌병대, 펑산 헌병대 |
핑둥현 | 핑둥 헌병대 |
화롄현 | 화롄 헌병대 |
타이둥현 | 타이둥 헌병대 |
펑후현 | 펑후 헌병대 |
진먼현 | 진먼 헌병대 |
롄장현 | 마쭈 헌병대 |
4. 1. 헌병 지휘부
헌병 지휘부는 중화민국 국방부 소속으로, 모든 헌병 부대 및 작전을 총괄한다. 중화민국 총통 직속 참모총장에게 예속되어 있다.헌병 지휘부는 다음과 같은 내부 부서를 두고 있다.
- (주임: 소장, 부주임: 상교)
- (감찰장: 소장 부지휘관 겸임, 부감찰장: 상교)
- (처장: 상교)
- (처장: 상교)
- (처장: 상교)
- (처장: 상교)
- (처장: 상교)
- (처장: 상교)
- (련장(連長): 소교)
4. 1. 1. 직할 부대
- 헌병훈련소(우구구교 본부)[14][15]
- *
- *
- *
- 헌병특근대()(MPSSC, )[14][15]
4. 1. 2. 지역 사령부
헌병 제202지휘부(타이베이): 수도권 방어를 담당한다.[3] 예하에 헌병대, 근무지원중대, 쾌속반응중대(RRC) 등을 두고 있다.
헌병 제203지휘부(타이중): 중부 지역을 담당한다.[3] 예하에 헌병대, 근무지원중대 등을 두고 있다.
헌병 제204지휘부(가오슝): 남부 지역을 담당한다.[3] 예하에 헌병대, 근무지원중대 등을 두고 있다.
헌병 제205지휘부(신베이): 북부 지역을 담당한다.[3] 예하에 헌병대, 근무지원중대 등을 두고 있다.
5. 계급
중화민국 헌병의 계급은 크게 장교, 부사관, 병으로 나뉜다.[7][8]
장교는 다시 장성, 영관, 위관으로 나뉜다.
계급 | 장성 | 영관 | 위관 |
---|---|---|---|
부사관은 선임 부사관(사관장)과 하사(사)로 나뉜다. 병은 상등병, 1등병, 2등병으로 나뉜다.
계급 | 선임 부사관 | 하사 | 병 |
---|---|---|---|
6. 장비
중화민국 헌병은 다양한 종류의 장비를 보유하고 있다.
차량으로는 험비, CM-32/CM-33/CM-34 장갑차, V-150 장갑차 등이 있다. 개인 화기로는 T75 권총, T-77 기관단총, T91 자동 소총 등이 있다. 지원 화기로는 M120 120mm 박격포, AT4, SMAW 대전차 미사일 등이 있다.
이외에도 다음과 같은 장비들을 운용한다.
종류 | 모델 | 원산지 |
---|---|---|
대전차 미사일 | ||
소총 | 91식 소총 | |
중기관총 | 브라우닝 M2 중기관총 | |
분대 기관총 | 74식 분대 기관총 | |
기관단총 | H&K MP5A5 기관단총 | |
저격총 | M24A1 7.62mm 저격총 | |
대물 저격총 | M82A1 대물 저격총 |
6. 1. 차량
모델 | 원산지 |
---|---|
험비 | United States|미국영어 |
CM-32/CM-33 장갑차 | 中華民國|중화민국중국어 |
CM-34 장갑차 | 中華民國|중화민국중국어 |
할리데이비슨 883 스포스터 | United States|미국영어 |
V-150 장갑차 | United States|미국영어 |
토요타 힐럭스 | 日本|일본일본어 |
폭스바겐 트랜스포터 | Deutschland|독일de |
폭스바겐 크래프터 | Deutschland|독일de |
- V150S 장갑차
- CM-31裝甲車|CM-31중국어 6륜 장갑차
- CM-32 윈바오 8륜 장갑차
- 험비
- 폭스바겐 파사트 1.8T 경비차
- 포드 이스케이프 3.0 경비차
- 이스즈 로데오 경비차
- 이스즈 엘프 지휘 통신 지휘차
- 히노 경비 대형 버스
- 캐딜락
- 링컨
- 야마하 로열스타1300
- 메르세데스-벤츠 W-6500 방수차
6. 2. 개인 화기
모델 | 원산지 |
---|---|
T75 권총 | 中華民國|중화민국중국어 |
T-77 기관단총 | 中華民國|중화민국중국어 |
T91 자동 소총 | 中華民國|중화민국중국어 |
T93 저격 소총 | 中華民國|중화민국중국어 |
M2 QCB .50 중기관총 | United States of America|미국영어 |
6. 3. 지원 화기
모델 | 원산지 |
---|---|
M120 120mm 박격포 | United States|미국영어 |
T-75 60mm 박격포 | 中華民國|중화민국중국어 |
케스트렐 | 中華民國|중화민국중국어[10] |
AT4 | United States|미국영어 |
SMAW | United States|미국영어 |
참조
[1]
웹사이트
Military Police Command >>History
http://afpc.mnd.gov.[...]
2011-02-20
[2]
웹사이트
Bolstering Taiwan's Last Line of Defense
https://thediplomat.[...]
[3]
웹사이트
President thanks military police for their service
https://www.taipeiti[...]
Taipei Times
2023-01-24
[4]
뉴스
https://www.libertyt[...]
The Liberty Times
2007-07-18
[5]
뉴스
http://www.newtaiwan[...]
New Taiwan News Weekly
2008-07-03
[6]
웹사이트
中華民國~憲兵特勤隊
http://www.geocities[...]
2009-10-27
[7]
간행물
Lùhǎikōng jūnfú zhì tiáolì fù tú
https://www.presiden[...]
2022-08-15
[8]
간행물
Lùhǎikōng jūnfú zhì tiáolì fù tú
https://www.presiden[...]
2022-08-15
[9]
웹사이트
M14 Rifle History and Development
https://www.milsurps[...]
2007-06-03
[10]
웹사이트
Taiwan to Buy More Locally Produced Weapons
https://cms.ati.ms/2[...]
ATI
2019-07-01
[11]
웹사이트
安民公所与北京近代环卫事业的起步
http://www.iqh.net.c[...]
中国人民大学清史研究所
2020-08-10
[12]
웹사이트
北洋集团对清室军权的侵夺及对清末政局的影响
http://jds.cass.cn/z[...]
中国社会科学院近代史研究所
2020-08-10
[13]
뉴스
憲兵節 忠貞氣節傳薪火 梅荷精神耀日月
https://www.ydn.com.[...]
2019-05-02
[14]
뉴스
國防部軍事新聞網報導憲兵特勤隊
http://news.gpwb.gov[...]
[15]
뉴스
模擬機場攻台 中國準備好了嗎?
http://www.newtaiwa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