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기 기관은 증기의 압력을 이용하여 동력을 얻는 열기관으로, 1세기 알렉산드리아의 헤론이 최초의 기록을 남겼다. 18세기 산업 혁명 시기에 토마스 세이버리, 토머스 뉴커먼, 제임스 와트 등의 발명과 개량을 거치며 펌프, 증기선, 증기 기관차 등에 널리 사용되었다. 1800년대 이후 고압 증기 기관과 증기 터빈의 등장으로 효율이 향상되었지만, 20세기 이후 내연 기관과 전기 동력의 발달로 인해 점차 쇠퇴했다. 현재는 발전 분야, 로켓, 어뢰 등에 제한적으로 활용되며, 폐열을 이용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증기기관 - 증기 터빈 증기 터빈은 고온, 고압의 증기로 회전력을 얻는 열기관으로, 찰스 파슨스가 발명한 후 전력 생산과 해상 운송에 혁명을 일으켰으나, 현재는 원자력 발전과 특수 분야에 주로 사용된다.
증기기관 - 증기자동차 증기자동차는 증기기관을 동력으로 사용하며, 1769년 퀴뇨가 최초로 개발하여 상업적으로 생산되기도 했으나 내연기관 자동차에 밀려 쇠퇴했고, 1970년대 석유 파동 이후 다시 관심을 받기도 했다.
고대 알렉산드리아의 헤론이 고안한 아이올리필레는 증기력을 이용한 초기 장치로 기록되어 있지만, 실용적인 동력을 얻지는 못했다.[7] 이후 여러 시도가 있었으나, 본격적인 발전은 17세기 후반에 시작되었다.
1690년드니 파팽은 증기의 응축 현상을 이용하여 진공을 만들고, 대기압과의 차이를 이용해 피스톤을 움직이는 기본적인 원리를 제시했다. 그러나 그의 장치는 실용화되지 못했다.
1698년 토마스 세이버리는 '광부의 친구'라 불리는 증기 펌프를 발명하여 특허를 얻었다. 이는 증기의 응축과 압력을 모두 이용했지만, 안전성과 효율 문제로 제한적인 용도로만 사용되었다. 하지만 그의 광범위한 특허는 이후 증기 기관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1712년 토머스 뉴코멘은 파팽과 세이버리의 아이디어를 발전시켜 실용적인 최초의 증기 기관을 제작했다. 보일러와 실린더를 분리하고, 실린더 내에 냉각수를 직접 분사하여 증기를 응축시켜 생긴 대기압으로 피스톤을 움직여 광산의 물을 퍼 올렸다. 비록 열효율은 낮았지만[59], 이전에는 불가능했던 깊이의 채광 작업을 가능하게 하며 널리 보급되었다. 뉴커먼 기관은 산업 혁명의 초기 동력원으로 중요한 역할을 했다.
1769년제임스 와트는 뉴커먼 기관의 낮은 효율을 개선하기 위해 증기를 냉각시키는 복수기(응축기)를 실린더와 분리하는 혁신적인 방식을 고안했다. 이로써 실린더의 온도를 높게 유지하여 열효율을 크게 향상시켰다. 와트는 또한 증기 압력을 직접 이용하고, 왕복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바꾸는 장치를 개발하여 증기 기관의 응용 범위를 획기적으로 넓혔다. 그의 개량은 증기 기관을 공장의 주요 동력원으로 만들었고, 산업 혁명을 본격적으로 이끄는 핵심 기술이 되었다. 와트는 기관의 성능을 나타내는 마력 단위를 도입하기도 했다.
와트의 특허가 만료된 1800년 이후[60], 리처드 트레비식 등은 복수기 없이 고압 증기를 직접 사용하는 기관을 개발하여[61] 더 작고 강력한 증기 기관 시대를 열었다. 이후 조지 코리스의 코리스 기관(1849년) 등 지속적인 개량을 통해 효율이 더욱 향상되었다.[62] 이러한 고성능 증기 기관의 등장은 증기선(1807년 풀턴 실용화)[63]과 증기기관차(1825년 스티븐슨 실용화)[64]의 발전을 이끌며 교통 혁명을 일으켰고, 사회 전반의 변화를 가속화했다. 증기 기관은 석탄을 주요 에너지원으로 만들며 산업 사회의 근간을 이루었다.
2. 1. 초기 실험
thumb
기록으로 남아있는 초기 증기 기관 중 하나는 기원후 1세기경 로마 제국 시대 이집트의 알렉산드리아에서 활동했던 수학자이자 기술자인 헤론이 설명한 아이올리필레이다.[7] '아에올리스의 공'이라고도 불리는 이 장치는 가열된 물에서 나오는 증기가 뿜어져 나오는 힘으로 속이 빈 공 모양의 기구를 회전시키는 구조였다. 약간의 힘을 낼 수는 있었지만 실제로 유용하게 사용되기는 어려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증기 압력을 이용하여 움직이는 최초의 장치로 기록되어 있다. 헤론은 또한 증기압을 이용하여 물을 한 용기에서 다른 용기로 옮기는 장치도 고안했다. 이후 몇 세기 동안 알려진 소수의 증기 기관들은 아이올리필레처럼 주로 발명가들이 증기의 특성을 보여주기 위한 실험적인 장치였다.[8]
여러 증기 관련 발명품 특허 취득 및 증기 기관을 불 기관(fire engine)이라 명명
파팽의 증기 기관
프랑스 출신의 물리학자 드니 파팽(1647년-1712년경)은 증기 기관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 그는 1679년에 압력을 이용해 물의 끓는점을 높이는 증기솥(steam digester)을 발명했고, 1690년에는 증기가 식으면서 생기는 진공과 대기압의 차이를 이용해 피스톤을 움직여 무게를 들어 올리는 장치를 처음으로 선보였다. 이는 실린더 안의 증기를 냉각시켜 진공 상태를 만들고, 외부 대기압이 피스톤을 누르는 힘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이후 증기 기관의 기본적인 작동 원리가 되었다. 그러나 파팽의 모델은 실린더 자체를 직접 가열하고 물을 뿌려 냉각하는 방식이었기 때문에 연속적인 작동이 어려워 실용화되지는 못했다.
2. 2. 증기 기관의 상용화
기록된 초기 증기 기관 중 하나는 기원후 1세기 로마 제국 시대 이집트에서 활동한 알렉산드리아의 헤론이 설명한 아이올리필레이다.[7] 이후 몇 세기 동안 알려진 증기 기관들은 대부분 증기의 특성을 보여주기 위한 실험 장치에 가까웠다.[8] 초기 증기 터빈 장치는 1551년 오스만 제국 이집트의 타키 알딘[9]과 1629년 이탈리아의 조반니 브란카[10]에 의해 묘사되었다. 스페인의 발명가 헤로니모 데 아얀스 이 보몽은 1606년에 침수된 광산 배수를 위한 워터펌프를 포함한 50가지 증기 기관 관련 특허를 받았다.[11] 프랑스인 드니 파팽은 1679년 증기솥을 발명했고, 1690년에는 증기 응축으로 진공을 만들어 피스톤을 움직이는 기본적인 증기 기관 원리를 제시했지만, 실용적인 기관 제작에는 이르지 못했다.
1663년 에드워드 서머셋 우스터 후작은 증기를 응축시켜 진공을 만들고 이를 이용해 물을 끌어올리는 증기 펌프를 개발했다. 그는 래글랜 성에 공업용 크기의 장치를 설치하기도 했으나, 채광 작업에 활용하기 위한 회사를 설립하기 전에 사망하여 본격적인 상용화에는 이르지 못했다.
최초로 상업화된 증기 기관은 1698년 토머스 세이버리가 개발한 '광부의 친구'(The Miner's Friendeng)라는 증기 펌프였다.[12] 이 장치는 서머셋의 설계를 개선한 것으로, 용기 내부에 증기를 채운 뒤 냉각수를 뿌려 증기를 응축시키면 진공 상태가 되어 아래쪽의 물을 빨아올리고, 다시 증기 압력을 이용해 물을 더 높은 곳으로 밀어 올리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흡입력만으로는 약 10m 높이까지만 물을 끌어올릴 수 있었고, 더 높이 올리기 위해 증기 압력을 사용하면 보일러 폭발의 위험이 있어 많은 광산업자들이 사용을 꺼렸다.[13] 그럼에도 세이버리의 기관은 비교적 저렴한 비용 덕분에[13] 광산 배수, 양수장, 수차에 물 공급 등 제한적인 용도로 사용되었으며[13], 그가 취득한 "화력에 의해 양수하는 장치"라는 광범위한 특허는 이후 뉴커먼 기관 개발에도 영향을 미쳤다. 일부 세이버리 기관은 벤토 드 무라 포르투갈 등에 의해 개량되어[14] 18세기 후반까지 제조되었고, 1820년까지 작동한 기록도 있다.[15]
기계에 지속적인 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최초의 실용적이고 상업적으로 성공한 증기 기관은 1712년경 토머스 뉴커먼이 발명한 대기압 기관이었다.[68] 이 기관은 파팽이 제안했던 피스톤과 실린더 구조를 활용하여 세이버리 펌프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했다. 보일러에서 만들어진 증기를 실린더로 보내 피스톤을 밀어 올린 뒤, 실린더 내부에 찬물을 뿌려 증기를 급격히 응축시키면 실린더 내부가 진공에 가까워진다. 이때 외부 대기압이 피스톤을 강하게 눌러 내리게 되고, 이 힘을 이용하여 펌프를 작동시키는 방식이었다. 뉴커먼 기관은 세이버리의 특허 하에 제작되었지만, 이전 기관들보다 훨씬 안정적으로 작동하며 깊은 광산의 물을 퍼 올리는 데 효과적이었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다.[59] 비록 석탄 소비가 많아 열효율은 1% 미만으로 낮았지만, 이전에는 불가능했던 깊이의 채광 작업을 가능하게 만들었다. 뉴커먼 기관은 영국 전역의 탄광뿐만 아니라 지역 물 공급, 물레방아 동력 공급 등에도 활용되며[16]산업 혁명의 중요한 동력원이 되었다.[69]
2. 3. 와트의 증기 기관
뉴커먼이 1712년경 발명한 대기압 기관은 최초로 상업적으로 성공한 증기 기관이었으나, 작동 시마다 실린더 내부에 직접 물을 분사하여 증기를 응축시키는 방식 때문에 열효율이 매우 낮았다. 주로 광산의 물을 퍼내는 데 사용되었지만, 연료인 석탄 소모가 많다는 단점이 있었다.[59]
1765년, 스코틀랜드 출신의 엔지니어 제임스 와트는 글래스고 대학교에서 뉴커먼 기관 모형을 수리하다가 그 비효율성에 주목하고 이를 개선할 방법을 연구하기 시작했다.[19] 그는 증기를 냉각시키는 장치인 복수기(응축기)를 실린더와 분리하는 획기적인 아이디어를 고안했다. 이전 세이버리 엔진의 물 분사 장치를 응용한 이 방식은, 별도의 응축기에서 증기를 냉각시킴으로써 작업 실린더의 온도는 계속 뜨겁게 유지할 수 있게 했다. 이는 뉴커먼 기관처럼 매번 실린더를 냉각시킬 필요가 없어 열 손실을 크게 줄였고, 결과적으로 증기 기관의 열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켰다. 와트는 또한 응축 과정에서 생긴 뜨거운 물(응축액)을 다시 보일러로 보내 물을 예열하는 데 사용함으로써 효율을 더욱 높였다. 추가적으로 실린더의 윗부분을 밀봉하고 증기 압력을 이용하여 피스톤을 아래로 밀어내도록 설계하여, 더 이상 대기압에 의존하지 않고 작동하는 기관을 만들었다.[20]
초기 와트 펌핑 기관
와트는 1769년 자신의 분리 응축기 기술을 포함한 증기 기관 설계로 특허를 획득했다. 와트의 기관은 존 스미턴(John Smeaton)이 개량한 뉴커먼 기관보다도 석탄을 절반만 사용했을 정도로 효율이 뛰어났다.[19] 이는 기관 운영에 드는 막대한 석탄 비용을 절약할 수 있게 해주어, 기관의 제작 및 라이선스 비용을 충분히 감당할 수 있게 만들었다. 1775년, 와트는 사업가 매슈 볼턴과 공식적인 동업 관계를 맺고 영국 버밍엄 인근의 핸즈워스에 '소호 공장'(Soho Foundryeng)을 설립하여 증기 기관의 상업적 생산과 판매를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이들의 사업적 성공과 기술적 중요성을 인정받아, 와트의 특허는 의회법에 의해 1800년까지 25년간 연장되었다. 첫 상업용 볼턴-와트 증기기관은 1776년에 제작되어 가동되기 시작했다.
와트는 단순히 기관의 효율만 높인 것이 아니라, 기관의 활용도를 넓히는 데도 크게 기여했다. 그는 증기 기관이 왕복 운동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회전 운동을 만들어낼 수 있도록 선 플래닛 기어와 같은 장치를 고안했다. 이로써 증기 기관은 펌프뿐만 아니라 공장의 방적기, 방직기 등 다양한 기계를 돌리는 동력원으로 사용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공장이 더 이상 수력 에너지를 얻기 위해 강가에 위치할 필요 없이, 원료 공급지나 시장 가까운 곳 등 유리한 곳 어디에나 건설될 수 있게 만들었다. 이러한 변화는 산업 혁명의 속도를 폭발적으로 가속화하는 결정적인 요인이 되었다.[20][22] 또한 와트는 기관의 성능을 객관적으로 비교하고 판매하기 위한 표준적인 척도가 필요함을 느끼고, 말이 시간당 할 수 있는 일의 양을 기준으로 마력(horsepower)이라는 단위를 고안했다. 이는 오늘날까지도 엔진 등의 일률을 나타내는 단위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는 또한 초기 자본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후년의 설비 리스와 유사한 방식으로 고객에게 엔진을 제공하는 혁신적인 판매 방식을 도입하기도 했다.
하지만 와트는 당시의 주철 제작 기술로는 고압 증기의 압력을 견디기 어렵다고 판단하여, 보일러 폭발의 위험성을 경고하며 고압 증기 사용에 대해서는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실제로 더 높은 압력의 증기를 사용하여 더 작고 강력한 기관을 만드는 시도는 와트의 특허가 만료된 1800년 이후에야 리처드 트레비식이나 올리버 에반스와 같은 발명가들에 의해 본격적으로 이루어졌다.[22][23][24][25]
2. 4. 고압 증기 기관과 이후의 발전
와트의 증기기관 특허가 1800년에 만료되자[60], 리처드 트레비식과 올리버 에반스 같은 발명가들은 고압 증기를 활용한 새로운 기관 개발에 나섰다. 고압 증기기관은 응축기(콘덴서) 없이 높은 압력의 증기만으로 작동하여[61], 기존 와트 기관보다 훨씬 작고 강력한 출력을 낼 수 있었다. 이는 증기기관을 운송 수단에 적용할 가능성을 열었다. 트레비식은 1802년에 고압 기관 특허를 획득했고[24], 에반스는 1801년에 고압 증기를 사용하는 기관을 선보였다.[22][23] 이후 기술과 제조 기술의 발달로 더 작고, 빠르며, 효율적인 다양한 증기기관들이 등장했다.
1810년대에는 리처드 트레비식 등에 의해 콘월 기관이 개발되었다. 이 기관은 고압 증기를 팽창시킨 후 저압에서 응축하는 복합 사이클 방식을 사용하여 효율을 높였다. 하지만 작동 중 힘(토크)이 일정하지 않아 주로 광산의 물을 퍼내거나 상수도 시설에 사용되었다.
기관 설계 측면에서는 초기 수직형 실린더에서 점차 수평형 실린더 배치가 인기를 얻었다. 수평형은 더 작은 공간에 강력한 기관을 설치할 수 있게 해주었다. 수평 기관의 대표적인 예는 1849년 미국의 조지 코리스가 특허를 낸 코리스 증기기관이다. 이 기관은 증기 유입 밸브와 배기 밸브를 분리하고, 증기 공급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장치를 갖춰 효율을 크게 향상시켰다. 당시 럼퍼드 메달 위원회는 "와트 이후 어떤 발명도 증기 기관의 효율성을 이처럼 향상시키지 못했다"고 평가할 정도였다.[26] 코리스 기관은 증기 소비를 30%나 줄였고,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능력이 뛰어나 방적 공장 등 제조업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었다.[22][62]
1907년 건조된 해상 예인선 허큘리스(Hercules)호의 3중 팽창식 선박 증기 기관
19세기 후반에는 복합식 기관이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다. 복합식 기관은 증기를 단계적으로 점점 더 큰 실린더로 보내 팽창시켜 효율을 높이는 방식이었다. 특히 연료 효율이 중요했던 선박에서는 증기를 두 번(2단 팽창) 또는 세 번(3단 팽창) 팽창시키는 기관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20세기 초 증기 터빈, 전동기, 내연 기관 등이 발전하면서 피스톤 방식의 증기기관은 점차 디젤 엔진(상선)이나 증기 터빈(군함)으로 대체되었다.[2]
고압 증기기관의 발전은 교통 분야에 혁명을 가져왔다. 1807년 로버트 풀턴이 허드슨 강에서 증기선 운항에 성공하며[63] 수상 교통의 새 시대를 열었다. 초기 외륜선은 파도에 약해 내륙 수로 위주로 운항했지만, 이후 스크류 프로펠러가 개발되고(1840년대) 선박용 증기기관 성능이 향상되면서(1860년대) 증기선은 범선을 밀어내고 해상 운송의 주역이 되었다. 육상에서는 리처드 트레비식이 1804년 세계 최초의 증기기관차를 만들었고, 조지 스티븐슨이 1825년 스톡턴 앤 더링턴 철도에서 실용적인 운행을 시작했다. 1830년 리버풀 앤 맨체스터 철도 개통과 로버트 스티븐슨의 로켓호 성공은 전 세계적인 철도 건설 붐을 일으켰다.[64]증기자동차 개발 시도도 있었으나, 1910년대 가솔린 자동차와의 경쟁에서 밀려나 사라졌다.
2. 5. 한국에서의 증기 기관
주어진 원본 자료에는 '한국에서의 증기 기관'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해당 섹션 내용을 작성하기 위해서는 한국에서의 증기 기관 도입 및 발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원본 자료가 필요합니다.
3. 주요 특징
증기기관은 외부에서 공급된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물을 끓여 만든 증기의 압력으로 기계적인 일을 수행하는 외연기관이다. 18세기 초부터 주로 광산 배수용 증기 펌프 등으로 활용되기 시작했다.[37][38]
제임스 와트가 1769년 기존 기관의 효율을 크게 개선하고 왕복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는 방식을 도입하면서[60] 증기기관의 응용 범위가 획기적으로 넓어졌다. 와트는 기관의 출력을 표준화하기 위해 '마력'이라는 단위를 고안하기도 했다.
주요 구성 요소로는 연료를 태워 증기를 발생시키는 보일러와 증기 압력으로 피스톤 등을 움직여 동력을 생성하는 기관 본체가 있다.[37][38] 이 동력은 공장 기계 가동이나 증기선, 증기 기관차와 같은 교통수단의 추진력으로 이용되었다.[63][64]
수력 등 자연력에 의존하지 않고 석탄과 같은 연료만 있으면 어디서든 강력한 동력을 얻을 수 있다는 점은 증기기관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이다. 이는 공장 입지의 자유도를 높여 대량 생산 체제를 가능하게 했고, 결과적으로 '''산업혁명'''을 촉발하는 핵심 동력이 되었다. 19세기 동안 고압 증기 활용[61], 밸브 개량[62] 등 지속적인 기술 발전을 통해 성능이 향상되었으며, 이후에는 증기 터빈 방식도 개발되어 발전 등에 활용되었다.
3. 1. 기술적 측면
증기 기관은 크게 보일러(또는 증기 발생기)와 동력 장치("모터 유닛") 두 가지 기본 구성 요소로 이루어진다.[37][38] 정지식 증기 기관처럼 고정된 건물에 설치될 경우 보일러와 기관이 분리될 수 있지만, 증기 기관차와 같이 이동식으로 사용될 때는 함께 장착된다.[37][38]
일반적인 왕복 운동 기관은 주철 실린더, 피스톤, 연결봉, 크랭크와 플라이휠 등으로 구성된다. 증기는 밸브를 통해 실린더로 공급되고 배출되며, 속도는 조속기(governor)나 수동 밸브로 제어된다. 응축기를 장착한 기관과 증기를 대기로 배출하는 기관은 구분된다.
그 외에도 보일러에 물을 공급하는 펌프(주입기 등), 증발의 잠열을 회수하는 응축기, 증기 온도를 포화점 이상으로 높여 효율을 개선하는 과열기, 화실 통풍을 개선하는 장치 등이 사용될 수 있다.[39]
=== 열원 ===
물을 끓이고 증기를 만드는 데 필요한 열은 다양한 방식으로 얻을 수 있다. 가장 흔한 방법은 화실과 같은 밀폐된 공간에서 가연성 물질을 연소시키는 것이다. 모형 증기 기관이나 일부 실제 크기 기관에서는 전기 가열 요소가 사용되기도 한다.
=== 보일러 ===
정지식 증기 기관에 사용되는 산업용 보일러
보일러는 물을 끓이는 압력 용기이며, 열을 물로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열교환기 역할을 한다. 주요 유형은 다음과 같다.
수관 보일러: 물이 고온 가스로 둘러싸인 관을 통과한다.
관수 보일러: 고온 가스가 물에 잠긴 관을 통과한다. 초기 고압 증기 기관(특히 기관차)에 주로 사용되었으나, 해상 추진 및 대형 정지식 기관에서는 점차 수관 보일러로 대체되었다.
많은 보일러는 증기가 물과 접촉하는 부분을 떠난 후 온도를 더 높이는 과열 과정을 거친다. 이는 '습증기'를 '과열 증기'로 변환하여 실린더 내 응축을 방지하고 효율을 크게 향상시킨다.
=== 동력 장치 (모터 유닛) ===
증기 기관의 피스톤, 증기 터빈 등 기계적 작동 장치는 고온·고압의 증기를 받아 저온·저압의 증기를 배출하면서 그 에너지 차이를 이용해 기계적인 일을 수행한다. 이 동력 장치 자체를 '증기 기관'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압축 공기를 사용하는 기관도 작동 원리는 유사하며, 실제로 압축 공기는 증기 기관에 그대로 사용될 수 있다.
=== 저온열원 (Cold Sink) ===
모든 열기관과 마찬가지로, 증기 기관도 사용한 에너지의 상당 부분을 비교적 낮은 온도의 폐열로 방출해야 한다.[40]
대기 방출: 가장 간단한 방식으로, 증기 기관차에서 응축기의 무게와 부피를 줄이기 위해 흔히 사용된다. 방출 증기 일부를 굴뚝으로 보내 화력을 높여 출력을 증가시키지만 효율은 낮아진다.
표면 응축기: 고정식 발전소나 선박에서 주로 사용된다. 냉각수(바닷물, 강물, 호숫물 또는 냉각탑에서 냉각된 물)를 이용하여 배기 증기를 물로 응축시킨 뒤, 이 응축수를 다시 보일러로 보낸다. 이를 통해 보일러 용수의 오염을 막고 효율을 높일 수 있다.[41]
분사식 응축기: 초기 강상 선박 등에서 사용되었으나, 냉각수와 응축수가 섞여 보일러 오염 문제가 있었다.
=== 급수 장치 ===
압입기는 증기 제트를 사용하여 물을 보일러로 강제 주입한다. 압입기는 비효율적이지만 기관차에 사용하기에 충분할 만큼 간단하다.
대부분의 증기 보일러는 압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물을 공급하는 장치를 갖추어 연속 운전이 가능하다. 발전소 등에서는 다단계 원심 펌프가 주로 사용되며, 잉젝터는 보일러 증기를 이용해 물을 주입하는 방식으로, 1850년대에 인기를 끌었으나 현재는 증기 기관차 등 일부 분야에서만 사용된다. 보일러 급수를 가압하면 물의 끓는점을 100°C 이상으로 높여 증기 사이클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 안전을 위해 거의 모든 증기기관에는 보일러 압력을 보여주는 압력계와 수위를 보여주는 수위계가 장착된다.
조속기 (Governor): 많은 기관에는 속도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조속기가 장착되어 있다. 제임스 와트가 1788년 채택한 원심 조속기는[43] 부하 변화에 따라 속도를 완전히 일정하게 유지하지는 못했지만,[44] 점차 개선되어 19세기 말에는 가변 증기 차단 장치와 결합하여 우수한 속도 제어를 제공했다.
증기기관 지시계 (Indicator):복동 피스톤 행정에서 네 가지 사건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지시 다이어그램. 참조: 상기의 모니터링 및 제어 기관 성능 분석에 유용한 기구로, 사이클 동안 실린더 내부 압력 변화를 그래프(지시 선도)로 그려 문제를 진단하고 마력을 계산하는 데 사용된다.[42] 1862년 찰스 리처드(Charles Richard)가 개발한 것이 널리 쓰였다.[22]
=== 안전 장치 ===
증기 기관은 고압 증기를 다루므로 안전이 매우 중요하다. 주요 안전 장치는 다음과 같다.
안전 밸브: 보일러 압력이 설정치를 초과하면 증기를 배출하여 과압을 방지한다. 초기에는 레버와 무게추 방식이었으나, 조작으로 인한 사고 위험 때문에 이후 스프링식 밸브가 개발되어 봉인 후 임의 조정을 막았다.
용융 플러그: 보일러 화실 상단에 설치되는 납 플러그. 수위가 너무 낮아져 화실 온도가 급상승하면 납이 녹아 증기가 누출되어 운전자에게 경고한다.
=== 작동 원리 및 사이클 ===
복동식(Double acting) 정지 기관. 이것은 19세기 중반의 일반적인 방앗간 기관이었다.
대부분의 왕복 피스톤 기관은 증기가 실린더의 같은 쪽 끝으로 유입되고 배출되는 역류(counterflow) 방식으로 작동한다. 완전한 사이클은 크랭크 1회전(피스톤 2행정) 동안 일어나며, 유입(admission), 팽창(expansion), 배출(exhaust), 압축(compression)의 네 단계로 구성된다. 이 과정은 밸브 기어에 의해 제어되는 밸브가 증기 통로(포트)를 열고 닫으며 조절한다.[49]
밸브 기어와 증기 조절:
차단 (Cut-off): 유입 밸브를 일찍 닫아 증기 공급을 중단하고, 남은 증기가 팽창하면서 일을 하도록 하는 것. 컷오프를 조절하여 증기 소모를 줄이고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밸브 기어는 속도나 부하에 따라 컷오프 시점을 조절하는 기능을 갖기도 한다.[51] 회전 속도에 따라 컷오프 시점을 조절할 수 있다.
압축 (Compression): 배기 행정이 끝나기 전에 배기 밸브를 닫아 실린더 내에 일부 증기를 남겨 압축하는 것. 이는 피스톤의 운동을 완충하고 다음 행정 시 고압 증기 유입 충격을 줄인다.
리드 (Lead): 피스톤이 행정 끝(사점)에 도달하기 직전에 흡입 밸브를 미리 열어 증기가 실린더 내 빈 공간(클리어런스 볼륨)을 채우도록 하는 것. 피스톤이 움직이기 시작할 때 즉시 힘을 받을 수 있도록 돕는다.[52] 리드가 크면 시동이 어려워진다.
랩 (Lap): 밸브가 포트를 덮는 정도. 유입 랩은 증기 차단 시점을 조절하고, 배기 랩은 배기 및 압축 시점을 조절한다. 일반적으로 랩이 클수록 증기 이용 효율은 높아지지만 시동은 어려워진다.
실린더 응축: 고온의 증기가 상대적으로 차가운 실린더 벽에 닿아 응축되는 현상. 이는 작동에 사용될 증기량을 감소시키고, 배기 시 응축수가 재증발하면서 효율을 떨어뜨리는 주요 원인이다.
랭킨 순환: 증기 기관의 기본적인 열역학적 사이클. 물을 끓여 증기를 만들고(보일러), 증기로 일을 하고(엔진/터빈), 배기 증기를 식혀 다시 물로 만드는(응축기) 과정을 반복한다. 외부에서 열을 공급받아 일부는 일로 변환하고 나머지는 폐열로 방출하는 방식이다. 거의 모든 증기 발전 시스템의 기초가 된다.[55]
=== 엔진 종류 ===
==== 팽창 방식에 따른 분류 ====
단순 팽창 기관 (Simple Expansion Engine): 증기가 하나의 실린더(또는 여러 실린더에서 각각)에서 한 번만 팽창하고 배출되는 방식.[45] 증기가 팽창하면서 온도가 크게 떨어져 실린더 벽에서 응축과 재증발이 심하게 일어나 효율 손실이 크다.
복합 팽창 기관 (Compound Expansion Engine):단순화된 삼중 팽창 기관의 애니메이션. 고압 증기(빨간색)는 보일러에서 유입되어 기관을 통과하여 저압 증기(파란색)로 배출되며, 일반적으로 응축기로 배출된다. 실린더 응축 손실을 줄이기 위해 아서 울프가 1804년 고안한 방식. 고압 증기를 먼저 '''고압(HP) 실린더'''에서 팽창시킨 후, 더 큰 부피의 '''저압(LP) 실린더'''로 보내 추가 팽창시킨다. 팽창을 여러 단계로 나누어 각 실린더의 온도 변화 폭을 줄임으로써 응축 손실을 감소시키고 효율을 높인다. 토크 변동도 줄일 수 있다.
이중 팽창 (Double Expansion / Compound): 2단계 팽창. 실린더 배열 방식에 따라 크로스 복합(나란히), 탠덤 복합(직렬 연결), 앵글 복합(V형) 등으로 나뉜다.
다단 팽창 (Multiple Expansion): 3단계(삼중 팽창, Triple Expansion) 또는 4단계(사중 팽창, Quadruple Expansion)로 팽창하는 방식. 효율이 중요했던 선박 증기 기관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삼중 팽창 기관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리버티선에 대량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 작동 방식에 따른 분류 ====
단동식 (Single-acting): 피스톤이 한쪽 방향으로 움직일 때만 증기압으로 힘을 받는다.
복동식 (Double-acting): 피스톤이 양방향으로 움직일 때 모두 증기압으로 힘을 받는다. 같은 크기의 단동식보다 출력이 높지만 증기 소모량도 많다.
단식 (Simple): 한 번 사용된 증기는 재활용하지 않고 바로 배출된다. (팽창 방식의 '단순 팽창'과 유사한 개념)
복식 (Compound): 한 번 사용된 증기를 저압 실린더에서 다시 팽창시켜 이용한다. (팽창 방식의 '복합 팽창'과 동일한 개념)
==== 증기 흐름에 따른 분류 ====
역류식 (Counterflow): 대부분의 왕복 기관 형태로, 증기가 실린더의 같은 쪽 끝으로 유입되고 배출된다.
유니플로우식 (Uniflow):유니플로우 증기 기관 애니메이션. 상단의 회전하는 캠축에 의해 포핏 밸브가 제어됩니다. 고압 증기는 빨간색으로 표시되고 배기는 노란색으로 표시됩니다. 실린더 한쪽 끝에서 증기가 유입되고, 피스톤이 행정 끝에 도달했을 때 실린더 중앙부나 반대쪽 끝에 있는 별도의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는 방식. 증기가 항상 한 방향으로 흘러 실린더 냉각 손실(역류식의 단점)을 줄여 효율을 높인다. 특히 단일 팽창으로도 복합 기관 수준의 효율을 낼 수 있다. 그러나 실린더 내 온도 차이로 인한 열팽창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 기타 구조 ====
왕복 실린더 증기 기관 (Oscillating Cylinder Steam Engine): 실린더 자체가 진동하거나 흔들리면서 증기 통로를 열고 닫아 밸브 기구가 필요 없는 단순한 구조. 주로 모형이나 소형 선박 엔진 등에 사용되었다.[53]
로터리 엔진 (Rotary Engine): 피스톤 대신 회전자를 사용하는 방식(완켈 엔진 등). 제임스 와트 시대부터 연구되었으나, 로터와 하우징 사이의 증기 누설을 막기 어렵고 열팽창 문제 등으로 인해 실용화된 예는 드물다. 1880년대 고속 발전기 구동용으로 잠시 주목받기도 했다.
역사적 척도 '듀티(Duty)': 와트가 뉴커먼 기관과의 효율 비교를 위해 도입. 석탄 1부셸(94파운드)로 할 수 있는 일의 양(foot-pounds)으로 측정. 뉴커먼 기관은 약 500만~700만, 와트의 초기 저압 기관은 약 1700만~2500만, 고압 기관은 6500만 정도의 듀티를 보였다.[57]
열역학적 한계: 어떤 열기관도 카르노 순환 효율(작동 최고 온도와 최저 온도의 차이로 결정)을 넘을 수 없다. 효율을 높이려면 가능한 높은 온도의 증기(과열 증기)를 사용하고 낮은 온도에서 폐열을 방출해야 한다.
랭킨 순환 효율: 실제 증기 기관의 기본 사이클. 작동 유체(주로 물)의 특성상 카르노 효율보다는 낮다. 현대 대형 증기 터빈 발전소의 경우, 터빈 입구 온도 약 565°C, 응축기 온도 약 30°C에서 이론적 카르노 효율은 약 63%지만, 실제 석탄 화력 발전소 효율은 42% 정도이다. 펌프로 액체 상태의 물을 압축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가 기체 압축보다 훨씬 적다는 장점이 있지만, 가스터빈 등에 비해 작동 온도가 낮은 한계가 있다.[58]
실제 효율:
초기 대기 방출식 왕복 기관: (보일러 포함) 1~10%
개량된 기관 (응축기, 복합 팽창, 고압/과열 증기 등): 10~20% (드물게 그 이상)
현대 대형 발전소 (재열, 절탄기 등 포함): 40% 중반 ~ 50% 근접
열병합발전과 같이 폐열을 난방이나 다른 저온 공정에 활용하면 전체 에너지 이용 효율을 더 높일 수 있다.
3. 2. 사회문화적 의의
제임스 와트가 1769년에 기존 증기기관의 효율을 크게 개선하면서 증기기관은 사회 변화의 중요한 동력으로 부상했다. 와트는 복수기를 분리하여 실린더의 열 손실을 줄였고, 왕복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바꾸는 등 여러 혁신을 통해 증기기관의 활용도를 높였다.
증기기관의 보급에는 경제적인 요인도 크게 작용했다. 당시 탄광에서는 배수를 위해 말을 동력으로 사용했는데, 사료비 부담이 커지자 탄광 경영자들은 저렴한 석탄을 연료로 사용하는 증기기관에 주목했다. 와트는 초기 증기기관 보급을 위해 엔진을 빌려주는 현대의 리스와 유사한 방식을 사용하기도 했다. 또한, 와트는 엔진의 성능을 객관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표준적인 말이 끄는 힘을 기준으로 일률을 측정하는 '마력'이라는 단위를 고안했는데, 이는 이후 모든 동력 기관의 성능을 나타내는 표준 단위로 널리 사용되게 되었다.
와트의 개량 이후 증기기관은 다양한 분야로 용도가 확대되었다. 특히 수력에 의존하지 않고 공장을 지을 수 있게 되면서 공업 입지의 혁신을 가져왔고, 이는 도시화의 진전과 맞물려 '''산업혁명'''과 산업화 사회를 이끄는 핵심 원동력이 되었다. 동시에 증기기관의 연료인 '''석탄'''은 시대의 가장 중요한 에너지 자원으로 부상했다.
1800년 와트의 특허가 만료되자 리처드 트레비식 등을 중심으로 고압 증기기관이 개발되면서 증기기관의 출력은 더욱 향상되었다.[60][61] 이러한 기술 발전을 바탕으로 증기기관은 교통 분야에서 혁신을 일으켰다. 가장 먼저 실용화된 것은 증기선으로, 로버트 풀턴이 1807년 허드슨 강에서 운항에 성공하며 상업적 가능성을 열었다.[63] 초기 외륜선은 파도에 약해 내륙 수운에 주로 사용되었으나, 스크류 프로펠러의 개발과 고성능 증기기관의 등장으로 19세기 중반 이후에는 범선을 대체하며 주요 해상 운송 수단으로 자리 잡았다.
육상 교통에서는 증기기관차가 혁명을 가져왔다. 리처드 트레비식이 1804년 최초의 증기기관차를 선보인 이후, 조지 스티븐슨이 1825년 스톡턴 앤 더링턴 철도에서 상업 운행을 시작했다. 특히 1830년 리버풀 앤 맨체스터 철도 개통과 함께 등장한 로켓호는 이후 증기기관차 기술의 표준이 되었고, 철도는 전 세계로 빠르게 확산되며 물류와 사람의 이동 방식을 근본적으로 바꾸었다.[64]증기자동차 역시 니콜라-조제프 퀴뇨에 의해 일찍이 시도되었으나, 기술적 한계와 가솔린 자동차와의 경쟁에서 밀려 널리 보급되지는 못했다.
이처럼 증기기관은 단순한 동력원을 넘어 공업 생산 방식, 에너지 사용, 교통 시스템 등 사회 전반에 걸쳐 근본적인 변화를 촉발한 핵심 기술이었다.
4. 현대적 응용
과거 주요 응용 분야였던 증기 자동차나 증기 기관차는 내연 기관 기술의 발달로 인해 20세기 들어 상업적인 동력원으로서의 지위를 거의 잃었다. 비록 1960년대 미국캘리포니아에서 대기 오염 문제 해결의 대안으로 증기 자동차에 대한 연구가 잠시 이루어지기도 했으나, 실질적인 부활로 이어지지는 못했다. 오늘날 증기 기관은 일부 보존 철도나 트랙션 엔진 랠리 등에서 애호가들에 의해 유지, 관리되거나 간혹 실험적인 목적으로 연구되는 경우를 제외하면 이동 수단 분야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현대적인 주요 응용 분야는 발전소의 증기터빈 등 다른 형태로 남아 있다.
4. 1. 발전 분야
발전소에 사용되는 현대식 증기터빈의 회전자
19세기 후반 등장한 증기터빈은 증기기관 기술의 중요한 발전으로, 특히 발전 분야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다. 증기터빈은 일반적인 왕복 피스톤식 증기기관보다 효율이 높고(특히 수백 마력 이상 출력 시), 움직이는 부품이 적으며 직접 회전력을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다.[35] 이러한 장점 덕분에 20세기 초 발전소에서는 왕복식 기관 대신 증기터빈이 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오늘날 생산되는 전력의 대부분은 증기터빈을 통해 만들어지며, 미국의 경우 다양한 열원을 이용하여 전력의 90%를 생산한다.[36]
증기터빈은 구동축에 장착된 회전하는 디스크인 '''회전자'''(로터)와 터빈 케이싱에 고정된 '''고정자'''(스테이터)로 구성된다. 회전자에는 프로펠러 형태의 날개(블레이드)가 달려 있어 증기가 이 날개에 힘을 가하면 회전 운동이 발생한다. 고정자에도 유사한 날개가 고정되어 있어, 증기의 흐름 방향을 조절하여 다음 회전자로 효율적으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증기터빈은 종종 증기를 물로 응축시켜 진공 상태에 가깝게 만드는 복수기로 연결되어 효율을 높인다. 터빈 내부는 증기의 압력과 속도에 맞춰 에너지를 최대한 추출하도록 고압 단계와 저압 단계 등으로 나뉘어 설계된다.
발전소에서 증기터빈은 매우 빠른 속도로 회전하며, 이 고속 회전은 발전기를 돌리기에 적합하여 대부분 감속 기어 없이 발전기에 직접 연결된다. 교류 전력의 주파수에 따라 회전 속도가 다른데, 60Hz를 사용하는 미국 등지에서는 일반적으로 분당 3600회전(RPM), 50Hz를 사용하는 유럽 등지에서는 분당 3000회전으로 작동한다. 원자력 발전소의 경우 터빈 규모가 매우 크기 때문에 보통 이보다 절반 속도인 1800RPM(60Hz) 또는 1500RPM(50Hz)으로 운전된다. 사실상 모든 원자력 발전소는 핵반응으로 발생한 열로 물을 끓여 증기를 만들고, 이 증기로 터빈을 돌려 전기를 생산한다.
증기터빈은 직접 회전력을 만들어내므로 왕복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바꾸는 복잡한 장치가 필요 없어 더 부드럽게 회전한다. 이는 기계의 마모를 줄이고 유지보수 필요성을 낮추는 장점으로 이어진다.
1990년대까지 전 세계 전력 생산의 약 90%가 증기터빈을 통해 이루어졌으나[2], 최근에는 대형 가스터빈과 복합 화력 발전 방식이 널리 도입되면서 증기터빈의 비중이 약 80% 수준으로 다소 감소했다.
4. 2. 기타 분야
왕복동 증기 기관은 더 이상 상업적으로 널리 사용되지 않지만, 일부 회사들은 내연 기관의 대안으로서 증기 기관의 잠재력을 탐색하거나 활용하고 있다.
아이올리필은 직접적인 추진을 위한 것은 아니었지만, 로켓 반응 원리를 이용한 증기 사용의 초기 사례로 볼 수 있다.
현대에 와서는 로켓 자동차를 중심으로 로켓 분야에서 증기의 사용이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 증기 로켓은 고압의 뜨거운 물을 압력 용기에 채운 뒤, 적절한 노즐로 이어지는 밸브를 열어 작동한다. 압력이 떨어지면 물의 일부가 즉시 끓어 증기가 노즐을 통해 분출되고, 이 과정에서 추진력이 발생한다.[54]
1679년 베르비스트가 만든 증기 마차는 아이올리필(또는 터빈)에 의해 구동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5. 한계와 미래
증기 기관은 열역학 이론 발전에 크게 기여했지만, 실제 효율에는 근본적인 한계가 존재한다. 어떤 열기관도 카르노 순환보다 더 높은 효율을 가질 수 없으며, 그 효율은 작동하는 고온과 저온의 차이에 의해 결정된다. 최대 효율을 위해서는 가능한 가장 높은 온도에서 증기를 사용하고(과열 증기), 가능한 가장 낮은 온도에서 폐열을 방출해야 한다.[57]
증기 기관의 기본적인 작동 원리인 랭킨 순환은 실제 효율을 제한하는 요인을 가지고 있다. 주로 사용되는 작동 유체인 물은 압력이 초임계 상태에 도달하지 않으면 작동 가능한 온도 범위가 좁아진다. 예를 들어, 현대 증기 터빈 발전소에서 터빈 입구 온도는 보통 565°C(스테인리스강의 크리프 한계) 정도이고 응축기 온도는 약 30°C이다. 이는 이론적인 카르노 효율로는 약 63%에 해당하지만, 실제 석탄 화력 발전소의 효율은 42% 수준에 머무른다. 이는 터빈 입구 온도가 1500°C에 달하는 가스 터빈에 비해 낮은 온도로, 랭킨 순환이 복합 사이클 발전소에서 보조적인 역할로 사용되는 이유 중 하나이다. 다만, 랭킨 순환은 작동 유체를 액체 상태에서 압축(펌핑)하므로, 이 단계에 필요한 동력이 터빈 출력의 1%~3% 정도로 매우 작다는 장점이 있다. 이 덕분에 실제 사이클의 효율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58]
역사적으로 증기 기관의 효율은 '일률(duty)'이라는 개념으로 측정되었다. 와트는 자신의 엔진이 기존 뉴커먼 대기압 엔진보다 우수함을 보이기 위해 이 개념을 도입했는데, 석탄 1부셸(약 42.64kg)로 할 수 있는 일의 양(foot-pounds)을 의미했다. 뉴커먼 엔진은 약 5백만~7백만 정도의 일률을 보였으나, 와트의 초기 저압 엔진은 평균 17백만, 최대 25백만, 이후 고압 증기 엔진은 65백만까지 일률을 향상시켰다.[57] 단순한 왕복동 증기 기관의 실제 효율은 보일러를 포함하여 1~10% 수준이었지만, 응축기, 코릴리스 밸브, 다단 팽창, 고압/고온 증기 등을 적용하며 10~20%까지 향상되었다. 현대의 대형 발전소는 증기 재열, 절탄기 등을 통해 40% 중반의 효율을 달성하며, 가장 효율적인 경우는 50%에 가까운 열효율을 보인다.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에 걸쳐 전기 동력과 내연기관이 발달하면서 증기 기관의 입지는 점차 줄어들었다. 증기 기관은 보일러나 응축기 같은 부가 설비가 크고 무거우며, 에너지 효율이 상대적으로 낮고 중량 대비 출력이 작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시동을 걸고 멈추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 점도 문제였다. 이러한 한계로 인해 다양한 분야에서 다른 동력원으로 대체되기 시작했다.
크기와 무게 제약이 심한 자동차와 같은 소형 이동 수단은 일찍부터 내연기관으로 전환되었다. 증기 기관차는 20세기 중반까지 주요 운송 수단이었으나, 이후 디젤 기관차나 전기 기관차로 대체되어 현재는 관광용 등 극히 일부만 운행되고 있다.
크기나 기동 시간 제약이 덜한 대형 시스템에서도 변화가 있었다. 1884년 찰스 앨저넌 파슨스가 증기 터빈을 실용화하면서, 발전 분야에서는 대규모 발전소는 주로 증기 터빈을 사용하고, 소규모 시설이나 이동용 발전기에서는 디젤 엔진이나 가스 터빈이 사용되는 등 용도에 맞게 동력원이 나뉘어 사용된다.
선박 분야에서는 왕복동 증기 기관이 증기 터빈이나 내연기관에 비해 부하 변동에 잘 대응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석탄 등 다양한 연료를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 덕분에 20세기 중반까지 증기 터빈과 함께 사용되었다. 그러나 고속, 고출력이 중요한 군함에서는 20세기 초부터 증기 터빈으로 빠르게 전환되었다. 이후 기술 발달로 내연기관의 신뢰성이 높아지면서 민간 선박에서도 점차 내연기관이 주류가 되었다. 군함의 경우, 다른 함선과의 연료 통일(경유 사용) 필요성 때문에 연료 다양성이라는 증기 터빈의 장점이 희석되었고, 경유 사용 시의 안전 문제 등으로 점차 사용이 줄었다. 다만, 원자력 추진 함선에서는 증기 터빈이 여전히 핵심 동력원으로 사용된다.
외연기관으로서 다양한 열원을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은 증기 기관(특히 증기 터빈)의 중요한 장점으로 남아있다. 원자력 발전이나 폐기물 고형연료(RDF), 쓰레기 소각장의 폐열을 이용한 발전 등은 이러한 장점을 활용한 예이다. 또한, 가스 터빈 등에서 나오는 고온의 배기가스를 이용해 증기를 만들어 증기 터빈을 돌리는 복합화력발전 방식은 열효율을 높이기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열병합발전 역시 폐열을 지역난방 등에 활용하여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방식이다.
특수한 분야에서는 여전히 증기 기관 기술이 활용된다. Mk 50 등 일부 어뢰는 폐쇄 사이클 증기 터빈을 사용하며, 비대기 의존 추진 잠수함의 동력원으로도 연구된 바 있다. 로켓 엔진의 터보펌프 중 일부도 증기 터빈(수증기 또는 다른 작동 유체 사용)으로 구동된다. 항공모함에서 항공기를 이륙시키는 증기식 캐터펄트 역시 왕복동 증기 기관의 원리를 이용한 장치이다.
참조
[1]
서적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https://archive.org/[...]
Houghton Mifflin Company
[2]
웹사이트
Who Invented the Steam Engine?
https://www.livescie[...]
2014-03-19
[3]
학술지
The History and Future of High Efficiency Steam Engines
https://www.engineer[...]
2018-05-01
[4]
서적
Steam Power Plant Engineering
John Wiley and Sons, Inc.
[5]
서적
Perry's Chemical Engineers' Handbook
McGraw-Hill
[6]
웹사이트
Spilling Products
https://www.spilling[...]
2023-10-05
[7]
백과사전
turbine
http://www.britannic[...]
2007-07-18
[8]
문서
De Architectura: Chapter VI (paragraph 2) from "Ten Books on Architecture"
https://penelope.uch[...]
2008-06-17
[9]
서적
Taqi al-Din and Arabic Mechanical Engineering
Institute for the History of Arabic Science, University of Aleppo
[10]
웹사이트
University of Rochester, NY, The growth of the steam engine online history resource, chapter one
http://himedo.net/Th[...]
History.rochester.edu
[11]
서적
Mas alla de la Leyenda Negra
Universidad de Valencia
[12]
웹사이트
The Savery Pump
http://www.egr.msu.e[...]
Michigan State University
2013-05-21
[13]
학술자료
[14]
학술지
LXXII. An engine for raising water by fire; being on improvement of saver'y construction, to render it capable of working itself, invented by Mr. De Moura of Portugal, F. R. S. Described by Mr. J. Smeaton
[15]
서적
Links in the History of Engineering and Technology from Tudor Times
The Newcomen Society at th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
문서
The Diffusion of the Steam Engine in Eighteenth-Century Britain. Applied Evolutionary Economics and the Knowledge-based Economy
Eindhoven Centre for Innovation Studies (ECIS)
2003
[17]
서적
History of the Steam Engine
B. Steill, Paternoster-Row
[18]
서적
Theatri Machinarum Hydraulicarum
Christoph Zunkel
[19]
학술자료
[20]
서적
The Most Powerful Idea in the World: A Story of Steam, Industry and Inventi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1]
서적
The Pictorial History of Steam Power
Octopus Books Limited
[22]
서적
Structures of Change in the Mechanical Age: Technological Invention in the United States 1790–1865
https://archive.org/[...]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3]
서적
A Social History of American Techn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24]
서적
Richard Trevithick, the engineer and the ma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5]
서적
The American Car since 1775
L. Scott. Baily
[26]
서적
New England Manufacturers and Manufactories
https://books.google[...]
Van Slyck
[27]
서적
Our Home Railways, volume one
Frederick Warne and Co
[28]
웹사이트
Nation Park Service Steam Locomotive article with photo of Fitch Steam model and dates of construction as 1780–1790
http://www.nps.gov/h[...]
Nps.gov
2002-02-14
[29]
웹사이트
Richard Trevithick's steam locomotive | Rhagor
http://www.museumwal[...]
Museumwales.ac.uk
[30]
뉴스
Steam train anniversary begins
http://news.bbc.co.u[...]
BBC
2004-02-21
[31]
서적
Steel Wheels
Cannwood Press
[32]
서적
Timothy Hackworth and the Locomotive
the Book Guild Ltd
[33]
서적
The Pictorial Encyclopedia of Railways
The Hamlyn Publishing Group
[34]
서적
Baureihe 52.80 – Die rekonstruierte Kriegslokomotive
GeraMond
[35]
서적
Creating the Twentieth Century: Technical Innovations of 1867–1914 and Their Lasting Impact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36]
서적
Energy resources: occurrence, production, conversion, use
https://books.google[...]
Birkhäuser
[37]
Harvnb
Description of the Colt portable engine
[38]
Harvnb
See description of steam locomotives
[39]
서적
Mechanization in Industry,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https://www.nber.org[...] [40]
웹사이트
Fossil Energy: How Turbine Power Plants Work
http://fossil.energy[...]
Fossil.energy.gov
2011-09-25
[41]
서적
The Coming of the Comet: The Rise and Fall of the Paddle Steamer
Seaforth Publishing
[42]
웹사이트
The Engine Indicator
http://www.archiving[...] [43]
서적
A History of Control Engineering 1800–1930
Peter Peregrinus Ltd.
[44]
Harvnb
[45]
서적
Basic Mechanical Engineering
[46]
웹사이트
Stirl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 Cylinder (Engine) Free 30-day Trial
https://www.scribd.c[...]
2020-05-21
[47]
학술지
Triple Expansion Engine
https://doi.org/10.1[...]
1889-05-11
[48]
서적
Dreadnought Gunnery at the Battle of Jutland
[49]
웹사이트
Valves and Steamchest - Advanced Steam Traction
https://advanced-ste[...]
2024-06-19
[50]
서적
The Tractor Field Book: With Power Farm Equipment Specifications
https://books.google[...]
Farm Implement News Company
[51]
서적
Compound Locomotives
Atlantic Transport Publishers
[52]
서적
Locomotives
Virtue and Company
[53]
서적
Manual of Marine Engineering
Charles Griffin
1918
[54]
웹사이트
Steam Rockets
http://www.tecaerome[...]
Tecaeromax
[55]
웹사이트
William J. M. Rankine
https://engineeringh[...]
2022-12-13
[56]
웹사이트
GEOTHERMAL BINARY CYCLE POWER PLANT PRINCIPLES, OPERATION AND MAINTENANCE
https://orkustofnun.[...]
2022-12-13
[57]
학술지
Remarks on the Duty of the Steam Engines employed in the Mines of Cornwall at different periods
https://books.google[...]
1840-01-14
[58]
학술지
A review of gas turbine engine with inter-stage turbine burner
2020-02-01
[59]
서적
A Short History of the Steam Engine
Cambridge at the University Press
[60]
서적
火と人間
法政大学出版局
2004-04-20
[61]
서적
科学は歴史をどう変えてきたか : その力、証拠、情熱
東京書籍
2011-08-22
[62]
서적
図説 世界史を変えた50の機械
原書房
2013-09-30
[63]
서적
世界一周の誕生――グローバリズムの起源
文藝春秋
2003-07-20
[64]
서적
蒸気車模型から鉄道国有化まで
中央公論新社
2014-05-25
[65]
문서
嘉永8年という説もある
1855
[66]
웹사이트
江戸大博覧会
http://www2.saga-s.c[...] [67]
웹사이트
세계대백과사전 제2판
[68]
서적
물질문명과 자본주의Ⅰ-2 일상생활의 구조 下
까치
[69]
서적
물질문명과 자본주의Ⅰ-2 일상생활의 구조 下
까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