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자 (사상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증자(曾子)는 공자의 제자로, 효(孝)를 강조한 사상가이다. 노나라 남무현 출신으로, 공자의 수제자 중 한 명으로 꼽혔으며, 효도로 널리 알려졌다. 《효경》과 《대학》의 저술 또는 전파에 기여했으며, 맹자의 스승인 자사를 가르쳐 유교 정통 계보를 잇는 데 영향을 미쳤다. 증자는 효도, 특히 부모에 대한 효를 강조했으며, '열지통심'과 같은 일화가 전해진다. 증자살인, 증자도체 등의 일화를 통해 신뢰와 교육의 중요성을 보여주었다. 그의 후손으로는 증공, 증국번 등이 있으며, 대한민국과 중화민국에서도 그의 후손에게 칭호가 수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증자 (사상가) | |
---|---|
인물 정보 | |
이름 | 증자 |
본명 | 증삼 |
자 | 자유 |
출생 | 기원전 505년 |
사망 | 기원전 435년 |
국적 | 중국 |
시대 | 춘추 시대 |
사상 | 유교 |
영향 | 공자 |
스승 | 공자 |
2. 생애
증삼은 공자보다 46세 연하였다. 그는 노나라 남무현 출신으로, 공자의 초기 제자 중 한 명인 증점의 아들이었다.[11] 16세에 아버지의 명을 받아 공자 밑에서 공부했다. 유학자들은 나중에 그를 안회 다음으로 공자의 두 번째 수제자로 여겼다. 단목사는 그에 대해 "그가 연구하지 않은 과목은 없다. 그의 모습은 공경스럽고, 그의 덕은 굳건하며, 그의 말은 신뢰를 얻는다. 그는 훌륭한 사람들 앞에서 자존심을 가지고 꼿꼿이 선다. 그의 눈썹은 장수의 눈썹이다."라고 말했다. 그는 효도로 유명했으며, 부모가 돌아가신 후에는 슬픔에 젖어 눈물을 흘리지 않고는 상례를 읽을 수 없었다. 다작의 작가로, 10권의 책을 저술했는데, 이는 《대대례기》에 수록되었다. 그는 공자의 지도를 받아 《효경》을 저술하거나 편집했다고 하며,[9] 《대학》의 전파와도 관련이 있었다. 668년에 처음으로 공자에게 제사를 지낼 때 연관되었지만, 1267년에는 공자의 사상가 중 한 명으로 격상되었다. 그의 칭호인 "성인의 근본 원리 전시자"는 가정제 재위 기간에 시작되었으며, 이때 그는 안회와 연관되었다.
증삼은 공자보다 46세 어렸다. 노나라 남무현 출신으로, 공자의 초기 제자 중 한 명인 증점의 아들이었다.[9] 16세에 아버지의 명을 받아 공자 밑에서 공부했으며, 훗날 유학자들은 그를 안회 다음가는 공자의 수제자로 여겼다. 단목사는 "그가 연구하지 않은 과목은 없다. 그의 모습은 공경스럽고, 그의 덕은 굳건하며, 그의 말은 신뢰를 얻는다. 그는 훌륭한 사람들 앞에서 자존심을 가지고 꼿꼿이 선다. 그의 눈썹은 장수의 눈썹이다."라고 묘사했다.[9]
증자는 자신의 학교를 세우고 공자의 손자인 자사 (공기)를 가르쳤으며,[12] 자사는 다시 맹자의 스승이 되었고, 이로써 정통 유교 전통의 전수자 계보가 시작되었다. 안회, 자사, 맹자와 함께 증자는 유교의 사성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
노(魯)나라 남무성(현재의 산둥성 핑이현) 출신이다. 증자의 제자로는 『오자』의 저자인 오기도 있었지만, 어머니의 장례를 치르지 않았다는 이유로 파문했다(오기는 증신에게 배웠고, 파문한 것은 아들인 증신이라고도 한다).
"증삼살인(曾參殺人)" 혹은 "세 사람이 의심하면, 그 어머니도 두려워한다"라는 고사 설화에 그 모습이 남아 있다. "어느 날 증삼의 친척이 사람을 죽였는데, 누군가가 실수로 증삼의 어머니에게 '증삼이 사람을 죽였다'고 보고했다. 어머니는 증삼을 깊이 믿었기에 이를 믿지 않았지만, 두 번, 세 번 보고가 들어오자 결국 이를 믿고 크게 당황했다"는 내용이다. 이는 『전국책』에 실린 설화로, 믿기 어려운 거짓말이라도 여러 번 들으면 사람은 믿게 된다는 의미("(세 사람이 호랑이를 만든다)")와 같은 맥락이지만, 이러한 설화에 사용된 것은 반대로 증삼의 인품과 어머니와의 깊은 신뢰 관계가 당시 사람들에게 상식이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증삼과 어머니의 유대에 대한 또 다른 설화가 있다. 어느 날 증삼이 땔감을 하러 가서 부재중일 때 손님이 왔지만, 어머니는 손님을 어떻게 대접해야 할지 몰랐다. 어머니는 증삼의 귀가를 재촉하기 위해 자신의 손가락을 깨물었고, 그러자 증삼의 가슴이 아파 돌아와 손님을 알아차리고 증삼이 손님을 대접했다는 이야기다. 이 설화를 "교지통심(齧指痛心)"이라고 하며, 『이십사효』에도 기재되어 있다.
3. 사상
증자는 자신의 학교를 세우고 공자의 손자인 자사 (공기)를 가르쳤으며, 자사는 다시 맹자의 스승이 되어 정통 유교 전통의 전수자 계보를 이었다.[9] 안회, 자사, 맹자와 함께 증자는 유교의 사성(四聖)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9]
3. 1. 효(孝)
증자는 효도로 유명했다. 부모가 돌아가신 후, 그는 눈물을 터뜨리지 않고서는 애도의 의식을 읽을 수 없었다.[10]
증삼에 관한 유명한 전설인 ''열지통심''(齧指痛心)은 영향력 있는 원나라 텍스트인 ''24효''에 포함되어 있다. 어느 날 증삼이 땔감을 구하러 나갔을 때, 예상치 못한 손님들이 그의 집에 나타났다. 그의 어머니가 손가락을 깨물자 증삼은 가슴에 날카로운 고통을 느꼈다. 그는 즉시 어머니가 그를 필요로 한다는 것을 알고 집으로 달려갔다.[10]
공자의 제자인 증자는 효의 도(친효)에 뛰어났으며, 그 점을 공자가 높이 평가하여 『효경』을 저술했다고 전해진다.[9]
증삼과 어머니의 유대에 대한 또 다른 설화가 있다. 어느 날, 증삼이 땔감을 하러 가서 부재중일 때 손님이 왔지만, 어머니는 손님을 어떻게 대접해야 할지 몰랐다. 그래서 어머니는 증삼의 귀가를 재촉하기 위해 자신의 손가락을 깨물었다. 그러자 증삼의 가슴이 아파 돌아와 손님을 알아차리고 증삼이 손님을 대접했다는 이야기가 있다. 이 설화를 "교지통심(齧指痛心)"이라고 하며, 『이십사효』에도 기재되어 있다.
3. 2. 《효경》과 《대학》
증자는 공자의 지도를 받아 《효경》을 저술하거나 편집했다고 알려져 있으며, 《대학》의 전파에도 기여했다.[9] 유교 경전인 십삼경 중 하나인 《효경》은 증자 또는 그의 제자가 공자의 가르침을 기록한 것으로 전해진다.
주자학에서는 사서의 하나인 《대학》의 저자로 여겨진다.[9]
《증자》 18편이 증자 학파의 저작으로 존재했으나 현재는 전해지지 않는다. 다만, 《대대례기》에 "증자"를 제목으로 하는 10편(증자립사, 증자본효, 증자립효, 증자대효, 증자사부모, 증자제언 상/중/하, 증자질병, 증자천원)이 남아있으며, 이를 《증자》 10편이라고 부른다.[9][13]
4. 일화
증삼은 효도로 유명했다. 부모가 돌아가신 후, 그는 눈물을 터뜨리지 않고서는 애도의 의식을 읽을 수 없었다.
증삼에 관한 유명한 전설인 ''열지통심''(齧指痛心)은 원나라 텍스트인 ''24효''에 포함되어 있다. 어느 날 증삼이 땔감을 구하러 나갔을 때, 예상치 못한 손님들이 그의 집에 나타났다. 그의 어머니가 손가락을 깨물자 증삼은 가슴에 날카로운 고통을 느꼈다. 그는 즉시 어머니가 그를 필요로 한다는 것을 알고 집으로 달려갔다.
증자의 제자로는 오기도 있었지만, 어머니의 장례를 치르지 않았다는 이유로 파문했다(오기는 증신에게 배웠고, 파문한 것은 아들인 증신이라고도 한다).
4. 1. 증자살인(曾參殺人)
증자가 비현에 살 때, 근처에 그와 같은 이름을 가진 사람이 살았는데 살인을 저질렀다. 이웃 사람들이 증자의 어머니에게 “증삼”이 살인을 저질렀다고 말했을 때, 그녀는 처음에는 믿지 않고 아무 일도 없다는 듯이 침착하게 있었다. 그러나 세 번째 사람이 그 일에 대해 말했을 때, 그녀는 아들이 살인을 저질렀다고 믿기 시작했고, 공황 상태에 빠져 급히 집에서 도망쳤다.[2] 이 이야기는 후에 소문이 가져오는 심각한 영향, 즉 영어로 우즐 효과(Woozle effect)라고도 알려진 효과를 설명하는 예시로 널리 사용되었다."증삼살인(曾參殺人)" 혹은 "三人これを疑えば、その母も懼る|세 사람이 의심하면, 그 어머니도 두려워한다중국어"라는 고사 설화에 이 내용이 남아 있다. 즉, "어느 날 증삼의 친척이 사람을 죽였는데, 누군가가 실수로 증삼의 어머니에게 '증삼이 사람을 죽였다'고 보고했다. 어머니는 증삼을 깊이 믿었기에 이를 믿지 않았지만, 두 번, 세 번 보고가 들어오자 결국 이를 믿고 크게 당황했다"는 설화이다. 이는 『전국책』에 실린 설화로, 너무나 믿기 어려운 거짓말이라도 여러 번 들으면 사람은 믿게 된다는 의미의 "三人虎を成す|세 사람이 호랑이를 만든다중국어"와 같은 맥락이지만, 이러한 설화에 사용된 것은 반대로 증삼의 인품과 어머니와의 깊은 신뢰 관계가 당시 사람들에게 상식이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4. 2. 교지통심(齧指痛心)
증삼과 어머니의 유대에 대한 설화가 있다. 어느 날, 증삼이 땔감을 하러 가서 부재중일 때 손님이 왔지만 어머니는 손님을 어떻게 대접해야 할지 몰랐고, 증삼의 귀가를 재촉하기 위해 자신의 손가락을 깨물었다. 그러자 증삼의 가슴이 아파 돌아와 손님을 알아차리고 증삼이 손님을 대접했다는 이야기가 있다. 이 설화를 "교지통심(齧指痛心)"이라고 하며, 이십사효에도 기재되어 있다.[11]4. 3. 증자도체(曾子屠彘)
어느 날, 증자의 아내가 시장에 장을 보러 가면서 아들에게 "울지 마라. 내가 돌아가면 돼지를 잡아 너에게 돼지고기 요리를 해 주겠다"라고 말했다.[1] 아내가 돌아오자 증자는 돼지를 잡으려 했고, 증자의 아내는 농담이었다며 그를 말렸다.[1] 증자는 "아이에게 거짓말을 해서는 안 된다. 아이들은 순수하며 부모로부터 배운다. 아들을 속이면, 다른 사람을 속이는 것을 가르치는 것이고, 그는 더 이상 너를 믿지 않을 것이다. 이것은 올바른 교육 방법이 아니다"라고 말했다.[1] 결국 증자는 아들을 위해 돼지를 잡았다.[1]5. 평가 및 영향
증자는 효성이 지극하여 부모가 돌아가신 후 슬픔에 젖어 눈물 없이는 상례를 읽을 수 없었다. 그는 많은 저술을 남겼는데, 《대대례기》에 10권의 책이 수록되어 있다. 공자의 지도를 받아 《효경》을 저술하거나 편집했고, 《대학》 전파에도 기여했다. 668년 공자에게 제사를 지낼 때 처음 연관되었고, 1267년에는 공자의 사상가 중 한 명으로 격상되었다. "성인의 근본 원리 전시자"라는 칭호는 가정제 재위 기간에 시작되었으며, 이때 안회와 함께 언급되었다.
증자는 자신의 학교를 세워 공자의 손자 자사(공기)를 가르쳤고, 자사는 다시 맹자의 스승이 되어 정통 유교 전통의 전수자 계보를 이었다. 안회, 자사, 맹자와 더불어 증자는 유교의 사성(四聖) 중 한 명으로 꼽힌다.
증자의 제자로는 자사[12]가 있었고, 자사의 제자는 맹자였다고 전해진다. 이러한 이유로 증자는 후세 도통론에서 중요하게 여겨졌으며, 남송 이후 주자학에서는 사성 중 한 명인 "종성(宗聖)"으로 숭배받았다.
"증삼살인(曾參殺人)" 또는 "세 사람이 의심하면, 그 어머니도 두려워한다"라는 고사는 여러 번 거짓말을 들어도 믿게 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 설화에 증자가 등장하는 것은 그의 인품과 어머니와의 깊은 신뢰 관계가 당시 사람들에게 널리 알려졌음을 시사한다.
증자와 어머니의 유대에 관한 또 다른 이야기가 있다. 증자가 땔감을 구하러 간 사이 손님이 찾아왔는데, 어머니는 증자를 빨리 돌아오게 하려고 손가락을 깨물었다. 그러자 증자가 가슴 통증을 느끼고 돌아와 손님을 맞이했다는 내용이다. 이 설화는 "교지통심(齧指痛心)"이라 불리며, 《이십사효》에도 실려 있다.
6. 후손
1452년, 증자를 비롯하여 맹자, 안회, 주돈이, 주희와 같은 유교 현인들의 후손들에게 '오경박사'() 칭호가 수여되었다.[3]
중화민국에는 증자의 후손이 맡는 "증자 봉사관"이라는 직책이 있으며, 이는 맹자의 후손이 맡는 "맹자 봉사관", 안회의 후손이 맡는 "안회 봉사관", 그리고 공자의 후손이 맡는 "공자 봉사관"과 유사하다.[4][5]
증자의 후손으로는 다음과 같은 인물들이 있다.
대수 | 이름 | 설명 |
---|---|---|
43대손 | 증공 | 북송 문학가, 당송팔대가 중 한 명 |
70대손 | 증국번 | 청나라 군사 지도자이자 정치가[6] |
70대손 | 증국전 | 청나라 군사 지도자이자 관료, 증국번의 동생 |
74대손 | 쩡셴즈 | 홍콩 사업가,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위원[7] |
74대손 | 쩡인취안 | 제2대 홍콩 행정장관[8] |
74대손 | 쩡옌페이 | 홍콩 경찰청장, 쩡인취안의 동생 |
불명 | Ethan Zeng | 오하이오 주립 대학교 27기 명예 동기 |
참조
[1]
서적
Han Feizi
[2]
서적
Zhan Guo Ce
[3]
논문
The Ritual Formation of Confucian Orthodoxy and the Descendants of the Sage
https://www.jstor.or[...]
1996
[4]
웹사이트
台湾儒家奉祀官将改为无给职 不排除由女子继任_新闻中心_新浪网
http://news.sina.com[...]
[5]
웹사이트
Rfi - 台湾拟减少儒家世袭奉祀官职位并取消俸禄
http://www1.rfi.fr/a[...]
[6]
간행물
Reimagining the Chinese Nation: The "Zeng Guofan Phenomenon"
1999-04
[7]
웹사이트
Founder - Dr. Tsang Hin Chi
https://www.goldlion[...]
2023-01-09
[8]
뉴스
話你知 曾蔭權為曾子74代子孫
https://collection.n[...]
Apple Daily (Hong Kong)
2023-01-26
[9]
문서
REDIRECT
[10]
웹사이트
大成殿に祀られているもの|史跡湯島聖堂|公益財団法人斯文会
http://www.seido.or.[...]
2020-12-07
[11]
문서
'『[[孔子家語]]』七十二弟子解「曾蒧、曾参父、字子皙。」『[[論語]]』先進篇で孔子は曾皙に向かって「蒧」と呼びかけている。'
[12]
문서
子思は孔子の孫であるが、祖父・父ともに幼い頃に亡くなったために、曾子の門下で学んだ。
[13]
논문
『曾子』初探 : 『大戴礼記』曾子立事篇を中心にして
https://hdl.handle.n[...]
[14]
문서
삼省吾身(삼성오신) : 날마다 살필 세 가지는 다음과 같다. 남을 위해 일을 하는 데 있어서 정성을 다 하였는가. 벗들과 함께 서로 사귀는 데에 있어 신의를 다 하였는가. 전수 받은 가르침을 반복하여서 익혔는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