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지용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용기는 고려 공민왕 때 삼사우윤을 역임하고, 우왕 때 밀직부사, 전라도 도순문사 등을 거치며 왜구를 격퇴하는 데 기여했다. 요동 정벌 당시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에 가담하여 공양왕 옹립에 기여하여 문하찬성사에 발탁되고 중흥공신에 봉해졌다. 이후 역모 관련 혐의로 유배되었으나 사면되어 충청도 목천으로 이배되었고, 그곳에서 사망했다. 그는 곽자의, 이광필에 비견될 정도로 평가받았으며, 묘는 당진시에 위치해 있다.

2. 생애

지용기는 고려 공민왕 때부터 조선 건국 초까지 활동한 문신이자 무신이다. 공민왕 때 여러 벼슬을 거쳐 삼사우윤(三司右尹)을 역임하였다.

고려 우왕과 공양왕 때에는 왜구 침입을 막는 데 큰 공을 세웠다. 여러 차례 전라도 지역에서 왜구를 격퇴하였으며, 1388년 요동 정벌 당시에는 이성계의 편에 서서 위화도 회군에 참여하였다. 1389년에는 이성계와 함께 공양왕을 옹립한 공으로 문하찬성사에 오르고 충의군(忠義君)에 봉해졌다.[2]

그러나 공양왕 때 윤이 이초의 옥사에 연루되어 삼척으로 유배되었다가 풀려났다. 1391년에는 부인의 친척 왕익부가 일으킨 역모 사건에 연루되어 다시 유배되었고, 1392년 충청도 목천의 귀양지에서 사망하였다.

2. 1. 고려 말 관직 생활

고려 공민왕 때 여러 벼슬을 거쳐 삼사우윤(三司右尹)을 역임하였다.

고려 우왕 때 예의판서(禮儀判書)를 거쳐 밀직부사(密直副使)로 임명됐고, 동지밀직사사(同知密直司事)로 승진하여 수성분의공신(輸誠奮義功臣)의 칭호를 받았다.

1378년(우왕 4) 전라도 도순문사(都巡問使)로 재직했을 때 왜적이 장흥부(長興府)를 침입하자 탁사청(卓思淸)을 보내 회령현(會寧縣)에서 왜구와 교전하여 승전하였다. 지밀직사사(知密直司事)로 승진했다가 1381년 전라도 원수(全羅道 元帥)로 재직했을 때 사근내역(沙斤乃驛)까지 쳐들어온 왜구와의 전투에서 패배하여 대간의 탄핵을 받고 파직되었다.

1382년 양광·전라·경상도 조전원수(楊廣全羅慶尙道助戰元帥)로 기용되어 원수 이을진(李乙珍)과 함께 전라도 반남현(潘南縣)에 들어온 왜구와 싸워 격퇴하였다.

1384년 문하평리(門下評理)로 전라도도원수를 겸하였으며, 이어 전라도도순문사로 다시 나가 왜구와 교전하여 승리하였다.

1388년 요동(遼東) 정벌 당시 안주도부원수로 참가했다가 우군도통사 이성계(李成桂)의 편을 들어 위화도 회군을 하는 데 공을 세웠다.

1389년(공양왕 1) 이성계와 함께 공양왕을 세운 공으로 문하찬성사에 발탁되었으며, 중흥공신녹권(中興功臣錄券)을 받고 충의군(忠義君)에 봉해졌다.[2]

공양왕 때 판삼사사(判三司事)를 지냈으나 윤이(尹彛)·이초(李初) 등의 이성계 일파 제거 시도가 실패로 돌아가 윤이 이초의 옥사가 일어났다. 이때 윤이 이초의 옥사 관련자로 지목되어 체포된 김종연(金宗衍)의 당인(黨人)으로 지적되어 탄핵을 받고 강원도 삼척에 유배되었다. 그러나 이후 사헌부대사헌이 된 김사형(金士衡) 등이 그가 여러 번 왜구를 토벌한 공로를 정상참작하여 죄를 경감하고 공신호와 공신녹권만 거두자고 하였으나 낭사(郎舍) 진의귀(陳義貴) 등은 그가 역모를 꾸몄다고 하여 삼척에 귀양보냈으며 가산은 적몰하였으나 얼마 뒤 석방되어 풀려났다.

1391년 부인 이천 서씨의 재종(再從) 왕익부(王益富)가 스스로 충선왕의 증손이 된다고 자칭하는 것을 정양군(定陽君) 왕우(王瑀)[3]가 이를 입수하고는 지용기가 왕씨의 후예를 숨겨두었다가 후에 모반하여 왕으로 세우려는 계획을 꾸몄다고 고변, 역모사건에 연루되어 벽지에 감금하였으나, 뒤에 사면받고 충청도 목천으로 이배되었다.

2. 2. 왜구 토벌과 파직

고려 우왕 때 예의판서(禮儀判書)를 거쳐 밀직부사(密直副使)로 임명되었고, 동지밀직사사(同知密直司事)로 승진하여 수성분의공신(輸誠奮義功臣)의 칭호를 받았다.

1378년(우왕 4) 전라도 도순문사(都巡問使)로 재직했을 때 왜적이 장흥부(長興府)를 침입하자 탁사청(卓思淸)을 보내 회령현(會寧縣)에서 왜구와 교전하여 승전하였다. 지밀직사사(知密直司事)로 승진했다가 1381년 전라도 원수(全羅道 元帥)로 재직했을 때 사근내역(沙斤乃驛)까지 쳐들어온 왜구와의 전투에서 패배하여 대간의 탄핵을 받고 파직되었다.[2]

2. 3. 복직과 왜구 격퇴

1382년 양광·전라·경상도 조전원수로 기용되어 원수 이을진(李乙珍)과 함께 전라도 반남현(潘南縣)에 들어온 왜구를 격퇴하였다.[2]

2. 4. 위화도 회군과 조선 건국

우왕 때 예의판서(禮儀判書)를 거쳐 밀직부사(密直副使)로 임명되었고, 동지밀직사사(同知密直司事)로 승진하여 수성분의공신(輸誠奮義功臣)의 칭호를 받았다.

1388년 요동 정벌 당시 안주도부원수로 참가했다가 우군도통사 이성계의 편을 들어 위화도 회군을 하는 데 공을 세웠다.[2]

1389년(공양왕 1) 이성계와 함께 공양왕을 세운 공으로 문하찬성사에 발탁되었으며, 중흥공신녹권(中興功臣錄券)을 받고 충의군(忠義君)에 봉해졌다.[2]

2. 5. 역모 연루와 유배, 사망

1382년 양광·전라·경상도 조전원수(助戰元帥)로 기용되어 원수 이을진(李乙珍)과 함께 전라도 반남현(潘南縣)에 들어온 왜구와 싸워 격퇴하였다.

1384년 문하평리(門下評理)로 전라도도원수를 겸하였으며, 이어 전라도도순문사로 다시 나가 왜구와 교전하여 승리하였다.

1388년 요동(遼東) 정벌 당시 안주도부원수로 참가했다가 우군도통사 이성계(李成桂)의 편을 들어 위화도에서 회군을 하는 데 공을 세웠다.

1389년(공양왕 1) 이성계와 함께 공양왕을 세운 공으로 문하찬성사에 발탁되었으며, 중흥공신녹권(中興功臣錄券)을 받고 충의군(忠義君)에 봉해졌다.[2]

공양왕 때 판삼사사(判三司事)를 지냈으나 윤이(尹彛)·이초(李初) 등의 이성계 일파 제거가 실패로 돌아가 윤이 이초의 옥사가 드러났다. 이때 윤이 이초의 옥사 관련자로 지목되어 체포된 김종연(金宗衍)의 당인(黨人)으로 지적되어 탄핵을 받고 강원도 삼척에 유배되었다. 그러나 이후 사헌부대사헌이 된 김사형(金士衡) 등이 그가 여러 번 왜구를 토벌한 공로를 정상참작하여 죄를 경감하고 공신호와 공신녹권만 거두자고 하였으나 낭사(郎舍) 진의귀(陳義貴) 등은 그가 역모를 꾸몄다고 하여 삼척에 귀양보냈으며 가산은 적몰하였으나 얼마 뒤 석방되어 풀려났다.

1391년 부인 이천 서씨의 재종(再從) 왕익부(王益富)가 스스로 충선왕의 증손이 된다고 자칭하는 것을 정양군(定陽君) 왕우(王瑀)[3]가 이를 입수하고는 지용기가 왕씨의 후예를 숨겨두었다가 후에 모반하여 왕으로 세우려는 계획을 꾸몄다고 고변, 역모사건에 연루되어 벽지에 감금하였으나, 뒤에 사면받고 충청도 목천으로 이배되었다. 1392년 충청도 목천의 귀양지에서 사망하였다.

3. 가족

관계이름비고
아버지지복룡(池福龍)문하찬성사
어머니여산 송씨송자연의 딸
부인이천 서씨영가군부인, 승지 서욱의 딸
아들지유용(池有容)
사위최용(崔鄘)서운관부정
외손녀해주 최씨해녕부부인(海寧府夫人)
외손녀 사위권전(權專)
외증손녀현덕왕후(顯德王后)
외증손녀 사위문종(文宗)조선 제5대 왕


4. 평가

공양왕을 왕위에 올린 후 門下贊成事중국어로 발탁되었고 중흥공신(中興功臣) 녹권(錄券)을 받았으며 충의군(忠義君)으로 봉해졌을 당시 교서에 지용기에 대해 다음과 같이 평가했다.[4]

5. 사후

충청남도 당진시 합덕읍 석우리 분토동에 묘가 안장되었으며, 부인 이천 서씨와 합장되었다. 임진왜란병자호란으로 묘를 잃어버렸다가, 정조 때 후손 지덕진이 묘소를 찾아 지석을 확인하고 봉분을 새로 쌓고 석물을 설치했으며 제사를 지내게 하였다.

참조

[1]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지용기 https://terms.naver.[...]
[2] 고려사 『고려사』 권114, 열전27 http://db.history.go[...]
[3] 문서 공양왕의 동생이자 이성계의 사돈이다.
[4] 고려사 『고려사』 권114, 열전27 https://terms.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