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동면 (창원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동면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창원시의 면으로, 서쪽은 진북면, 동쪽은 구산면, 현동과 접하며 북쪽은 내서읍, 남쪽은 진해만과 닿아 있다. 과거 러시아의 군항지 건설을 견제하기 위해 일본이 진해 웅천 지역으로 군항지를 옮기면서 동면을 진동으로 칭한 데서 유래했다. 행정구역은 고현리, 신기리 등 10개 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마산삼진고등학교, 태봉고등학교, 마산삼진중학교, 진동초등학교, 태봉초등학교가 있다. 국도 제2호선과 국도 제14호선이 통과하며, 진동환승센터를 통해 시내버스 환승이 가능하다. 광암항이 위치하며, 진해향교 공자 위패 매안지 비석, 진해현 관아 및 객사 유지, 창원 가을포 봉수대, 창원 진동리 유적 등의 문화재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산합포구의 행정 구역 - 동서동 (창원시)
창원시 마산합포구에 있었던 동서동은 조선시대 합포현에서 창원부로, 일제강점기를 거쳐 동성동, 부림동, 서성동으로 나뉘었다가 1997년 통합되었으나 2017년 반월중앙동에 통합되며 폐지되었으며, 과거 마산 도심인 창동과 주요 시설들을 포함하고 있었다. - 마산합포구의 행정 구역 - 구산면
구산면은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에 위치한 면으로, 과거 성법부곡, 구산현 등으로 불리다 창원군에 편입, 마산시를 거쳐 현재 창원시 마산합포구에 속하며 해양드라마세트장, 마산 로봇랜드 등의 관광 시설과 10개의 리로 이루어져 있다. - 경상남도의 읍·면 - 장목면
장목면은 경상남도 거제시에 위치한 면으로, 조선시대 장목포진 설치 이후 군사적 요충지 역할을 했으며, 김영삼 대통령 생가, 거제 장문포 왜성 등의 역사·문화·관광 자원과 농소몽돌해수욕장 등의 자연경관을 보유하고, 장목항과 외포항을 중심으로 어업 활동이 활발하며 양파, 멸치, 대구 등의 특산물이 풍부하다. - 경상남도의 읍·면 - 삼랑진읍
삼랑진읍은 낙동강과 밀양강이 만나는 지점에 위치하여 세 갈래 물결이 일렁이는 나루라는 뜻으로 유래했으며, 삼랑진역을 중심으로 교통의 요지이고, 만어사, 김범우 순교자 성지, 작원관 등의 문화·관광 자원이 있으며, 딸기와 복숭아가 특산물이다. - 창원시의 행정 구역 - 마산시
마산시는 경상남도 남부 해안에 위치했던 도시로, 창원시와 통합되어 마산회원구와 마산합포구로 개편되었으며, 3·15 마산 의거와 부마민주항쟁의 배경이 되었고, 아구찜이 대표적인 음식이다. - 창원시의 행정 구역 - 의창구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는 1읍 2면 4동으로 구성된 행정구역으로, 경남 행정 및 창원시 교통의 중심지이며 주요 교육 및 문화시설이 위치하고, 2021년 7월 기준 인구는 21만 8,589명이다.
진동면 (창원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종류 | 면 (행정 구역) |
위치 | 대한민국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
지도 검색어 | 창원시 진동면 |
일반 정보 | |
한글 표기 | 진동면 |
한자 표기 | 鎭東面 |
로마자 표기 | Jindong-myeon |
면사무소 위치 | 진동면 진동리 진동시장길 17 |
홈페이지 | 진동면 행정복지센터 |
행정 구역 | |
법정리 수 | 10개 |
행정리 수 | 29개 |
반 수 | 79개 |
법정리 정보 | 진동리 고현리 신기리 사동리 요장리 다구리 교동리 태봉리 인곡리 동전리 |
통계 정보 | |
면적 | 32.30 km² |
세대수 (2012년 7월 1일 기준) | 4,205세대 |
인구 (2022년 3월 기준) | 12,073명 |
2. 지리
서쪽으로는 진북면, 동쪽으로는 구산면, 현동과 접하며 북쪽으로는 내서읍, 남쪽으로는 진해만이 있다. 또한 면의 대부분이 무학산에서 뻗은 구릉지로 구성되어 있다.
구한말 당시 이 부근은 진해현 관할의 서면, 북면, 동면으로 이루어져 있었는데, 러시아가 마산을 해군극동함대 기지로 사용할 즈음에 일본이 이것을 견제하기 위해 현재의 진동면 위치에 있었던 군항지를 진해 웅천지역으로 옮기면서 서면, 북면, 동면 가운데 동면을 진동(鎭東)이라 이름 지은 데서 유래하였다.[1] 일제강점기 1914년에는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구산면과 진북면의 일부를 병합하여 창원부로 편입되었고, 1980년 창원부가 창원시로 승격되면서 의창군(창원군)으로 편입되었다.[1] 1995년 1월 1일 도농복합형태의 시 설치에 관한 법률에 의거해 마산시에 편입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1] 2001년 1월 1일 구 폐지 직전까지는 합포구에 속해있었다.[1] 2010년 7월 1일 인근의 옛 창원시, 진해시와 통합한 새로운 창원시가 출범하면서 마산합포구의 하위 행정구역으로 포함되었다.[1]
진동면에는 고등학교 2개교(삼진고등학교, 태봉고등학교)와 중학교 1개교(삼진중학교)가 있다.
3. 역사와 유래
4. 행정구역
행정리 한자 비고 고현리 古縣里 신기리 新基里 사동리 社洞里 진동리 鎭東里 요장리 蓼場里 다구리 多求里 교동리 橋洞里 태봉리 台封里 인곡리 仁谷里 동전리 東田里
5. 교육
5. 1. 고등학교
5. 2. 중학교
삼진중학교
6. 주거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원본 소스가 제공되면 지침에 따라 수정 및 출력을 진행하겠습니다.)
7. 교통
국도 제2호선 및 국도 제14호선이 면 한가운데를 통과하여 인근의 진북면, 진전면은 물론 마산시내와 진주, 통영 등지로 접근 할 수 있다. 또한 국도 제79호선을 통해 함안군으로, 지방도 제1002호선을 통하여 구산면으로 각각 접근 할 수 있다.
창원시의 읍면지역 가운데 내서읍 다음으로 시내버스가 많이 운행되며, 시내와 읍면을 오가는 시내버스와 읍면만을 운행하는 시내버스를 서로 환승 할 수 있도록 진동면의 중심에 진동환승센터가 설치되어 있다. 진동환승센터를 이용하게 될 경우 교통카드 이용시 승차 후 2시간 이내에 다른 노선의 버스로 환승할 수 있다. 또한 진동환승센터에는 시외버스 정류장 또한 마련되어 시외버스도 정차하는 것이 특징이다.
8. 문화재
- 진해향교 공자 위패 매안지 비석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631호)
- 진해현 관아 및 객사 유지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44호)
- 창원 가을포 봉수대 (경상남도 기념물 제169호)
- 창원 진동리 유적 (사적 제472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