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양서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양서류(Lissamphibia)는 현생 양서류를 포함하는 분류군으로, 이중 후두골 과, 피부샘, 지방체, 녹색 간상체, 짧은 갈비뼈, 눈 들어올림근, 강제 펌프 호흡, 원통형 척추 중심 등의 특징을 공유한다. 진양서류의 기원은 템노스폰딜리 또는 레포스폰딜리 내의 단일 계통에서 비롯되었다는 두 가지 주요 가설이 있으며, 유형성숙과 소형화를 통해 초기 사지형류로부터 진화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분자 시계 연구에 따르면, 리삼피비아는 후기 석탄기에 분기되었고, 개구리목과 도롱뇽목은 초기 페름기에 분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진양서류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Lissamphibia |
명명자 | 에른스트 헤켈 |
명명 년도 | 1866년 |
화석 범위 | 전기 삼첩기 – 현재 (가능한 시수랄리아 기록) |
하위 그룹 | |
하위 그룹 | †Allocaudata Batrachia Gymnophiona |
2. 특징
리삼피비아는 현존하는 양서류 그룹으로, 몇 가지 공통된 특징을 공유한다. 이 특징들 중 일부는 연조직에 나타나 화석 기록에서는 확인하기 어렵지만, 골격 특징은 고생대 양서류 화석에서도 발견된다.[6]
몇 가지 주요 특징으로는 이중 또는 쌍을 이루는 후두골과, 두 가지 유형의 피부샘(점액질 및 과립), 생식선과 관련된 지방체, 내이의 이중 채널 감각 사상체, 녹색 간상체(특수한 유형의 시각 세포, 무족영원에서는 알려지지 않음) 등이 있다. 또한, 갈비뼈가 몸을 둘러싸지 않고, 눈 들어올림근을 사용하여 눈을 들어 올릴 수 있으며, 미로이빨 양서류에서도 발견되는 강제 펌프 호흡 메커니즘을 가진다.
골격 특징으로는 척추의 주된 몸체인 원통형 중심, 섬유 조직으로 치아의 치관과 뿌리가 분리된 다리 모양 이, 치아당 두 개의 치관을 갖는 이첨 치아, 두개골의 작은 뼈인 개구개, 후두 두개골 뼈 소실, 작고 넓게 분리된 익상골, 접형골의 넓은 칼 모양 돌기 등이 있다. 일부 도롱뇽과 무족영원은 로렌치니의 암풀라를 가지지만, 개구리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9][10]
이러한 특징들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주요 특징'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2. 1. 주요 특징
진양서류(리삼피비아)는 공통적으로 다음과 같은 주요 특징을 가진다. 이 중 일부는 연조직에 해당되어 화석에서는 나타나지 않지만, 골격 특징은 여러 고생대 양서류에게서도 발견된다.[6]
에른스트 헤켈은 리스암피비아를 하나로 묶는 특징을 처음으로 언급했지만, 당시에는 무족영원목을 포함시키지 않았다.[6][11] 20세기 초중반까지는 양서류(그리고 일반적으로 사지형류)가 두 개의 다른 어류 그룹에서 각각 기원했다는 이중 계통 기원설이 널리 받아들여졌다.[12][13]
3. 기원 및 분류
그러나 20세기 후반, 엘피스토스테갈류 어류와 초기 양서류 사이의 진화 과정을 보여주는 새로운 화석 증거들이 발견되면서, 대부분의 파충류학자와 고생물학자들은 양서류의 이중 기원설을 더 이상 지지하지 않게 되었다.[14] 이에 따라 모든 현생 양서류가 공통 조상으로부터 진화했는지, 즉 리스암피비아가 단일 계통군인지에 대한 논쟁이 이어지고 있다.
3. 1. 리삼피비아 기원에 대한 가설
에른스트 헤켈은 무족영원을 제외하고 리스암피비아를 결합하는 특징을 처음 언급했다.[6][11] 그러나 헤켈은 무족영원을 현재 개구리와 도롱뇽을 포함하는 박쥐류(Batrachia)와 밀접하게 관련이 있다고 생각했다.
현재 리삼피비아 기원에 대한 두 가지 주요 가설은 다음과 같다.
분자 계통 분석 연구는 템노스폰딜리 기원설을 지지하는 경향이 있다. 이 연구들은 무족영원류 계통이 개구리와 도롱뇽 계통에서 분기된 시기를 후기 석탄기로, 개구리와 도롱뇽 그룹의 분리는 초기 페름기로 추정한다.[4][18][19] 2023년에 발표된 줄기 무족영원 ''Funcusvermis'' 연구는 디소로포이드 템노스폰딜 특징을 보존하여 템노스폰딜리 내 단일 계통 가설을 뒷받침한다.[20]
이들의 조상에 관한 가설 중 하나는 초기 사지형류로부터 유형성숙과 소형화를 통해 진화했다는 것이다.[16][17]
3. 2. 유형성숙과 소형화
리삼피비아(현대 양서류)는 초기 사지형류로부터 유형성숙(유생의 형태를 유지한 채 성체가 되는 현상)과 소형화를 통해 진화했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16][17]
3. 3. 분자 시계 연구
분자 시계 연구에 따르면, 무족영원류로 이어지는 계통은 후기 석탄기에 분기되었고, 개구리와 도롱뇽 그룹은 초기 페름기에 분리된 것으로 추정된다.[4][18][19]
참조
[1]
서적
How Vertebrates Left the Water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
논문
A stem batrachian from the Early Permian of Texas and the origin of frogs and salamanders
http://www.naherpeto[...]
2012-12-10
[3]
논문
The origin(s) of modern amphibians: a commentary
https://hal.archives[...]
[4]
논문
Fossils, molecules, divergence times, and the origin of lissamphibians
[5]
논문
The Early Triassic stem−frog ''Czatkobatrachus'' from Poland
http://palaeontologi[...]
[6]
서적
Biology of amphibians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7]
서적
Biology of Amphibia
https://books.google[...]
[8]
논문
Modes of ventilation in early tetrapods: Costal aspiration as a key feature of amniotes
http://www.app.pan.p[...]
2012-05-11
[9]
문서
Chapter 41 - Electroreceptors and Magnetoreceptors
https://www.hawaii.e[...]
[10]
문서
The Evolution of Amphibian Photoreception
https://www.frontier[...]
[11]
서적
Generelle Morphologie der Organismen : allgemeine Grundzüge der organischen Formen-Wissenschaft, mechanisch begründet durch die von Charles Darwin reformirte Descendenz-Theorie
[12]
논문
Some points of view concerning the evolution of the vertebrates and the classification of this group
[13]
서적
Paläontologie und Phylogenie der niederen Tetrapoden
G. Fischer
[14]
논문
The Greatest Step In Vertebrate History: A Paleobiological Review of the Fish-Tetrapod Transition
http://usf.usfca.edu[...]
[15]
논문
Dates, nodes and character conflict: addressing the lissamphibian origin problem
http://journals.camb[...]
[16]
웹사이트
First Land Creatures Had Wild Appearances
http://www.livescien[...]
2009-07-06
[17]
논문
The putative lissamphibian stem-group: phylogeny and evolution of the dissorophoid temnospondyls
[18]
논문
The origin of modern amphibians: a re-evaluation
[19]
논문
A multilocus timescale for the origin of extant amphibians
[20]
논문
Triassic stem caecilian supports dissorophoid origin of living amphibians
2023-00-00
[21]
서적
生命の大進化 40億年史 古生代編
BLUE BACKS
[22]
서적
How Vertebrates Left the Water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3]
논문
A stem batrachian from the Early Permian of Texas and the origin of frogs and salamanders
http://www.naherpeto[...]
[24]
논문
The origin(s) of modern amphibians: a commentary
https://hal.archives[...]
[25]
논문
Fossils, molecules, divergence times, and the origin of lissamphibians
[26]
논문
The Early Triassic stem−frog ''Czatkobatrachus'' from Poland
http://palaeontologi[...]
[27]
서적
Biology of amphibians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8]
논문
Modes of ventilation in early tetrapods: Costal aspiration as a key feature of amniotes
http://www.app.pan.p[...]
2012-05-11
[29]
서적
Generelle Morphologie der Organismen : allgemeine Grundzüge der organischen Formen-Wissenschaft, mechanisch begründet durch die von Charles Darwin reformirte Descendenz-Theorie
[30]
논문
Some points of view concerning the evolution of the vertebrates and the classification of this group
[31]
서적
Paläontologie und Phylogenie der niederen Tetrapoden
G. Fischer
[32]
논문
The Greatest Step In Vertebrate History: A Paleobiological Review of the Fish-Tetrapod Transition
http://usf.usfca.edu[...]
[33]
논문
Dates, nodes and character conflict: addressing the lissamphibian origin problem
http://journals.camb[...]
[34]
웹사이트
First Land Creatures Had Wild Appearances
http://www.livescien[...]
2022-10-02
[35]
논문
The putative lissamphibian stem-group: phylogeny and evolution of the dissorophoid temnospondyls
[36]
논문
The origin of modern amphibians: a re-evaluation
[37]
논문
A multilocus timescale for the origin of extant amphibian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