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 의기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주 의기사는 논개(論介)의 충절을 기리기 위해 건립된 사당이다. 사당 내부에는 일제강점기 명기 산홍의 시, 정약용의 《의기사기》와 《의기사중건기》 시가 걸려 있으며, 입구에는 설창수의 〈의랑 논개의 비〉와 변영로의 《논개시비》가 있다. 논개의 영정이 봉안되어 있으며, 2008년 국가표준영정으로 지정된 영정을 교체하여 봉안했다. 영정은 윤여환 교수가 제작했으며, 정본은 국립진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상남도의 사당 - 진주 창렬사
진주 창렬사는 임진왜란 진주성 전투 순국자들의 위패를 모신 사당으로, 1747년 영조 때 건립되어 김시민 장군 등을 배향하고 있으며 현재는 쇠락했으나 대아고등학교의 지원을 받아 관리되고 있다. - 경상남도의 사당 - 통영 충렬사
죄송합니다. 위키 페이지 본문이 제공되지 않아 요청하신 작업을 수행할 수 없습니다. - 1740년 완공된 건축물 - 브륄의 아우구스투스부르크성
브륄의 아우구스투스부르크성은 독일 브륄에 있는 로코코 양식의 궁전 단지로, 쾰른 대주교이자 선제후였던 클레멘스 아우구스트 폰 바이에른의 의뢰로 건설되었으며 아우구스투스부르크 궁전과 팔켄루스트 사냥 별장으로 구성되어 1984년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1740년 완공된 건축물 - 거창 구연서원 관수루
거창 구연서원 관수루는 조선 시대 후기에 건립된 구연서원의 강당으로, 유생들의 학문 연구와 토론, 지역 유림들의 활동 공간으로 활용되었으며, 유교적 가치를 반영하고 인재 양성과 사회 개혁을 모색하는 지식인들의 활동 거점 역할을 했다. - 진주시의 문화유산 - 진주 남악서원
진주 남악서원은 김유신, 최치원 등의 영정과 위패를 모시고 있으며, 1919년에 재건되어 경주 서악서원의 이름을 본떠 남악서원이라 이름 지었다. - 진주시의 문화유산 - 한량무
한량무는 조선 후기 남사당패에서 유래하여 진주 교방에서 전승되는 7인의 춤으로, 한량, 별감, 승려, 색시 등의 등장인물을 통해 당시 사회상을 풍자하며, 북, 장구 등 악기 반주에 맞춰 춤사위를 펼친다.
진주 의기사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진주 의기사 정보 | |
![]() | |
국가 | 경상남도 |
유형 | 문화재자료 |
번호 | 7 |
지정일 | 1983년 7월 20일 |
주소 | 경상남도 진주시 본성동 500-8번지 |
시대 | 조선 영조 16년(1740년) |
관리 | 진주시 |
수량 | 1동 |
꼬리표 | 본성동 |
문화재청 ID | 31,00070000,38 |
2. 헌시
의기사 정면 간판 좌측에는 일제 강점기 명기 산홍(山紅)의 시가 걸려 있다. 황현의 매천야록에는 산홍에 대한 이야기가 소개되어 있는데, 을사오적으로 악명이 높았던 친일파 이지용이 큰 돈을 가지고 와서 첩이 되어 달라고 요청하자, 산홍은 "비록 첩이 천한 기생이지만 사람 구실을 하고 있는데 어찌 역적의 첩이 되겠습니까?"라며 꾸짖은 의기 높은 기생이었다. 정면 우측에는 정약용의 《의기사기》와 《의기사중건기》 시 1수가 판각되어 걸려 있다.[3]
1960년 의기사가 중건된 이후 김은호가 그린 논개 영정이 봉안되어 왔지만, 복식과 머리 모양 등을 고증한 결과 당대와 맞지 않아 많은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이에 진주시와 장수군은 전국 현상 공모와 과학적인 고증을 거쳐, 2008년 2월 4일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국가표준영정 제79호로 지정된 영정을 2008년 5월 23일 교체하여 봉안하였다.[4]
[1]
간행물
경상남도 고시 제2018-485호,《경상남도 지정문화재(문화재자료) 명칭변경 고시》
http://210.104.249.3[...]
경상남도지사
2018-12-20
의기사 입구에는 논개의 충절을 찬양한 〈의랑 논개의 비〉가 있는데, 개천예술제의 창시자이자, 지방 향토 시인인 설창수가 1954년에 글을 짓고, 오제봉이 글을 썼다.[3] 진주성 입구에는 변영로의 《논개시비》가 서 있다.
3. 영정
영정 작업에는 충남대학교 윤여환 교수가 참여했으며, 비단 바탕에 가로 110cm, 세로 180cm 크기로 제작되었다. 의기사에 있는 것은 복사본이며, 정본은 국립진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10개의 손가락에 10개의 가락지를 낀 모습이 인상적이다.[4]
4. 갤러리
참조
[2]
웹인용
디지털진주문화대전-의기사
http://jinju.grandcu[...]
한국학중앙연구원
2008-12-16
[3]
서적
진주금석문총람
진주시사편찬위원회
1995
[4]
문서
의기사 안내문
진주성 관리사무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