찰스 도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찰스 도슨은 19세기 말과 20세기 초에 활동한 아마추어 고고학자로, 필트다운 인의 발견으로 유명해졌지만, 이후 그의 발견물 다수가 위조된 것으로 밝혀져 사기꾼으로 평가받는다. 그는 헤이스팅스 앤드 세인트 레너즈 뮤지엄 협회를 공동 설립하고, 다양한 유물을 발견하며 "서섹스의 마법사"라는 별칭을 얻었으나, 필트다운 인을 비롯한 여러 유물들이 위조된 것으로 드러났다. 2003년 연구에 따르면 도슨이 위조한 것으로 밝혀진 표본은 38개 이상이며, 과학적 인정과 명성을 얻기 위한 욕구가 그의 위조 행위의 동기로 추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마추어 고고학자 - 빌 와이먼
빌 와이먼은 1962년부터 1993년까지 롤링 스톤스의 베이시스트로 활동하며 밴드의 음악적 토대를 구축하는 데 기여했고, 탈퇴 후에는 빌 와이먼 앤 더 리듬 킹스를 결성하여 솔로 앨범 발매, 영화 음악 작업, 저서 출판 등 다방면에서 활동한 영국의 음악가, 작가, 사진가이자 사업가이다. - 위조범 - 프랭크 애버그네일
프랭크 애버그네일은 10대 시절부터 위조 수표 등으로 사기 행각을 벌여 26개국에서 250만 달러 이상의 부도 수표를 발행했으며, FBI 협력 후 보안 컨설턴트 및 강사로 활동했으나 범죄 행적에 대한 논란이 있다. - 위조범 - 에드워드 벙커
에드워드 벙커는 불우한 어린 시절과 수감 생활을 통해 얻은 경험을 바탕으로 하드보일드 범죄 소설을 집필하고, 배우 및 시나리오 작가로도 활동한 미국의 범죄 소설 작가이다. - 고고학적 날조 - 후지무라 신이치
일본 아마추어 고고학자 후지무라 신이치는 구석기 유물 발굴 조작이 발각되어 고고학계에서 추방되었으며, 이 사건은 연구 윤리와 검증 시스템의 중요성을 부각시켰다. - 고고학적 날조 - 필트다운인
필트다운인은 20세기 초 영국에서 발견된 가짜 화석으로, 사람 두개골과 유인원 턱뼈 등을 조합해 인위적으로 오래된 것처럼 보이게 위조되었으며, 과학계의 편향과 진화론 오해를 드러내는 사건으로 남았다.
찰스 도슨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864년 7월 11일 |
출생지 | 잉글랜드, 랭커셔, 프레스턴 |
사망일 | 1916년 8월 10일 |
사망지 | 잉글랜드, 서식스, 루이스 |
국적 | 영국 |
직업 | 변호사 |
알려진 업적 | 필트다운 인 사기 |
2. 초기 생애 및 활동
찰스 도슨은 어릴 때부터 고고학에 대한 남다른 관심을 보였다. 1889년에는 헤이스팅스 앤드 세인트 레너즈 박물관 협회를 공동 설립하고, 박물관 위원회 위원으로 자원 봉사하면서 본격적으로 고고학 연구에 참여하게 된다. 그는 여러 유물을 발견하면서 "서섹스의 마법사"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다.[29] 1895년에는 런던 골동품 학회의 펠로로 선출되었으며, 31세의 젊은 나이에 대학 학위 없이도 FGS, FSA라는 칭호를 얻었다.
도슨은 필트다운 인 발견 이전에도 다양한 발견과 연구를 수행했다. 1893년 라반트 지역의 부싯돌 광산과 헤이스팅스 성 아래 터널을 조사했고, 보포트 공원에서 로마 시대 조각상을 발견해 대영박물관에 제출했다. 신석기 시대 석조 도끼와 고대 목재 보트 등도 발견했다.[30] 고대 채석장 연구, 바이외 태피스트리 재분석, 헤이스팅스 성 연구 등을 진행했으며, 페벤시 성에서는 로마 점령 마지막 단계의 위조 증거를 발견하기도 했다.[31]
그는 부싯돌 속 석화된 두꺼비, 히스필드의 천연 가스, 새로운 종의 인류, 금붕어와 잉어의 잡종 등 특이한 발견들을 보고했다. 런던의 체펠린 비행선 공격에 대한 억지력으로 인광성 탄환을 실험하고 있다는 보도도 있었다.
1912년, 도슨은 인간과 유인원 사이의 "잃어버린 고리"로 주장된 필트다운 인을 발견하여 가장 유명해졌다.[32] 그러나 도슨은 필트다운 인의 "발견"과 관련된 다른 많은 사람들과는 달리 기사 작위를 받지 못했고, 왕립 학회에도 선출되지 않았다. 1916년 그의 죽음 이후 필트다운에서는 더 이상 발견된 것이 없다.[33]
필트다운 인 발견에 대한 의문은 처음부터 제기되었고, 이 논쟁은 때로는 격렬했으며, 발견에 이의를 제기하는 사람들은 인신공격을 받기도 하였다.[34]
2. 1. 아마추어 고고학자로서의 활동
1889년, 도슨은 영국 최초의 자발적인 박물관 협회 중 하나인 헤이스팅스 앤드 세인트 레너즈 박물관 협회(Hastings and St Leonards Museum Association)를 공동 설립하였다. 도슨은 유물 및 문서 수집을 담당하는 박물관 위원회 위원으로 자원 봉사하며 고고학에 대한 관심을 키웠다. 그는 놀라운 발견을 하는 재주를 가졌으며, 서섹스 데일리 뉴스(''Sussex Daily News)''는 그를 "서섹스의 마법사(Wizard of Sussex)"라고 불렀다.[29]1893년 도슨은 치체스터 근처의 라반트 지역에서 선사 시대, 로마 및 중세 공예품으로 가득 찬 부싯돌 광산을 조사하고 헤이스팅스 성 아래에 있는 두 개의 터널을 조사했다. 같은 해, 그는 보포트 공원에서 로마 시기에 주조법으로 제작된 로마 조각상을 발견하여 대영박물관에 제출했다. 이후 이상한 형태의 신석기 시대 석조 도끼와 보존 상태가 양호한 고대 목재 보트 등의 발견이 이어졌다.[30]
그는 고대 채석장을 연구하고 바이외 태피스트리를 재분석했으며, 1909년에는 헤이스팅스 성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또한 서섹스에 있는 페벤시 성에서 영국의 로마 점령의 최종 단계에 대한 위조된 증거를 발견했다.[31]
자연 세계의 특이한 요소를 조사한 도슨은 부싯돌 결절 내부의 석화된 두꺼비를 제시하고, 이스트 에섹스의 히스필드(Heathfield)에서 천연 가스를 대량으로 발견하고, 새로운 종의 인류를 발견하고, 금붕어와 잉어의 기이한 잡종도 발견했다. 그는 런던에서의 체펠린 비행선의 공격에 대한 억지력으로 인광성 탄환을 실험하고 있다고 보도되었다.
이러한 발견으로 도슨은 1895년 런던의 골동품 학회 펠로로 선출되었다. 31세의 나이에 대학 학위를 받지 못한 그는 찰스 도슨, FGS, FSA가 되었다. 가장 유명한 것은 1912년에 인간과 다른 유인원 사이의 "잃어버린 고리"로 주장된 필트다운인 및 기타 인간과의 유인원 발견이었다.[32]
2. 2. 초기 발견물
1893년, 도슨은 치체스터 근처 라반트 지역에서 선사 시대, 로마 시대, 중세 시대 유물로 가득 찬 기이한 부싯돌 광산을 조사했다. 같은 해, 보포트 공원에서 로마 시대에 유일하게 주조법으로 제작된 로마 조각상을 발견하여 대영 박물관에 제출했다. 이상한 형태의 신석기 시대 석조 도끼와 보존 상태가 양호한 고대 목재 보트 등을 발견하기도 했다.[30]3. 필트다운 인 발견과 논란
1889년, 찰스 도슨은 영국 최초의 자발적 박물관 협회 중 하나인 헤이스팅즈 앤드 세인트 레너즈 박물관 협회(Hastings and St Leonards Museum Association)를 공동 설립하고, 유물 및 문서 수집을 담당하는 박물관 위원회 위원으로 자원 봉사했다.[29] 고고학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그는 여러 발견들을 발표했고, 서섹스 데일리 뉴스(''Sussex Daily News)''는 그를 "서섹스의 마법사(Wizard of Sussex)"라고 불렀다.[29]
1893년 도슨은 치체스터 근처 라반트(Lavant) 지역에서 선사 시대, 로마 및 중세 공예품으로 가득 찬 부싯돌 광산을 조사하고 헤이스팅스 성(Hastings Castle) 아래에 있는 두 개의 터널을 조사했다. 같은 해, 뷰포트 파크에서 로마 시대의 주조된 조각상을 발견하여 대영 박물관에 제출했다. 이후 신석기 시대 석조 도끼와 고대 목재 보트 등 특이한 발견들이 이어졌다.[30]
그는 고대 채석장을 연구하고 바이외 태피스트리(Bayeux Tapestry)를 재분석했으며, 1909년에는 헤이스팅스 성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또한 서섹스의 피벤시 성(Pevensey Castle)에서 로마 점령의 마지막 단계에 대한 위조된 증거를 발견했다.[31] 그는 부싯돌 결절 내부의 석화된 두꺼비, 이스트 에섹스의 히스필드(Heathfield)에서 대량의 천연 가스, 바다 독사, 새로운 종의 인류, 금붕어와 잉어의 잡종 등 특이한 요소들을 발견했다고 보고했다. 그는 런던에서의 체펠린 비행선의 공격에 대한 억지력으로 인광성 탄환을 실험하고 있다고 보도하기도 했다.[2]
이러한 발견들로 도슨은 1895년 런던 골동품 학회의 펠로로 선출되었다. 31세에 대학 학위 없이 FGS, FSA가 되었다. 그의 가장 유명한 발견은 1912년에 발표된 필트다운 인으로, 인간과 유인원 사이의 "누락된 연결고리"로 주장되었으나, 이후 사기극으로 밝혀졌다.
필트다운 발견에 관한 의문은 아서 키스에 의해 처음 제기되었고, 미국과 유럽의 고생물학자와 해부학자들에 의해서도 제기되었다. 1920년대에 필트다운 인에 대한 도전이 다시 일어 났지만 부정되었다.[34]
3. 1. 필트다운 인 발견 경위
1895년 런던 골동품 학회의 펠로(특별회원)로 선출된 찰스 도슨은 1912년에 인간과 다른 유인원 사이의 "누락된 연결고리"로 주장된 필트다운 인 및 기타 인간과의 유인원 발견을 발표하며 가장 유명해졌다.[32] 도슨은 서식스주 필트다운에서 유인원과 같은 턱뼈와 인간과 같은 두개골을 포함한 화석들을 발견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그의 사후에, 이 유해가 분명히 위조된 것으로 밝혀졌다.[2]3. 2. 필트다운 인의 특징과 학계의 반응


필트다운 인은 서식스주 필트다운에서 발견된 유인원과 같은 턱뼈와 인간과 같은 두개골을 포함한 화석으로, 인간과 유인원 사이의 "잃어버린 고리"로 묘사되었다.[32]
필트다운 인 발견에 대한 의문은 처음부터 아서 키스에 의해 제기되었고, 미국과 유럽의 고생물학자와 해부학자들에 의해서도 제기되었다.[34] 화석에 대한 옹호는 런던 자연사 박물관의 아서 스미스 우드워드가 이끌었다. 논쟁은 때때로 격렬했고, 발견에 이의를 제기하는 사람들에 대한 반응은 종종 개인적으로 모욕적인 것이 되었다.[34] 1920년대에 필트다운 인에 대한 도전이 다시 제기되었지만 다시 기각되었다.[34]
3. 3. 필트다운 인 사기극 폭로
1949년 필트다운 인의 진위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어 1953년 사기극으로 결론났다. 이후 도슨이 발견했다고 주장하는 다수의 다른 발견들도 위조되었거나 미리 배치해 두었던 것으로 나타났다.[35][36]2003년 본머스 대학의 밀스 러셀은 도슨의 골동품 수집에 대한 조사 결과를 발표하여 적어도 38개의 표본이 명확하게 가짜인 것으로 결론지었다. 러셀은 도슨의 학술 경력 전체가 "속임수, 손재주, 사기에 기반한 것으로 궁극적인 이득은 국제적인 인정"으로 보인다고 지적하였다.[37]
2016년 영국의 연구팀은 DNA 연구를 통해 필트다운 인의 출처에 대한 추가 증거를 제시했다. 그들은 사기행위가 도슨의 독자적인 행동이었을 가능성이 높고, 범인으로 의심되는 집단에 속한 자들 중에서 허풍을 부리지 않기에 충분한 과학 지식을 가진 유일한 사람으로 결론지었다.[38]
대부분의 사람들은 필트다운 인이 찰스 도슨에 의해 위조되었다는 데 동의한다. 도슨은 이전에도 약 38건의 위조 행위를 저지르고, 헤이스팅스 성에 대한 역사적 기록을 표절했으며, 서식스 고고학회를 대신하여 행동하는 척하는 등 속임 전력이 있었다.[11] 그는 필트다운 발견에 주도적으로 관여했고, 필트다운 II 지점을 본 유일한 사람이었으며, 모든 발견에 유일하게 참석한 사람이었다. 그가 없을 때는 현장에서 아무것도 발견되지 않았고, 그가 사망한 후에는 다른 화석이 발견되지 않았다.[5]
도슨이 필트다운 인을 위조한 동기는 과학적 인정을 받고 왕립학회에 가입하려는 강한 욕망 때문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1909년, 그는 스미스 우드워드에게 중요한 발견을 하고 싶지만 그런 발견을 한 적이 없는 것처럼 보인다고 편지를 썼다. 불과 6주 후, 도슨의 아내는 내무부 장관에게 도슨의 전문성을 옹호하는 편지를 썼다. 그는 중요한 발견을 한 번도 하지 못한 것에 대해 슬퍼하며 필트다운 인을 만들어 왕립학회 회원으로 선출되었다.[5]
일부에서는 도슨이 초기 발굴 작업에서 함께 일했던 테이야르 드 샤르댕이나, 도슨의 친구이자 필트다운 II 발표의 공동 저자인 런던 자연사 박물관의 아서 스미스 우드워드 경과 같은 다른 전문가들의 도움을 받았을 것이라고 추정하기도 한다.[5]
3. 3. 1. 사기극 폭로의 과학적 증거
1949년, 필트다운 인과 그 진위성에 관한 더 많은 의문이 제기되었고, 이는 1953년 필트다운 인이 날조라는 최종적인 증명으로 이어졌다.[35][36] 더 많은 인류 화석이 발견됨에 따라, 이들은 필트다운 인과 거의 유사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2] 필트다운 인은 결국 사기를 밝혀낸 새롭고 엄격한 기술적 방법을 통해 재검토되었다.불소 기반 검사, 즉 토양에서 뼈가 흡수하는 불소의 양으로 화석의 연대를 측정하는 화학 검사가 필트다운 유물의 연대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었다. 질소 기반 검사로 검증된 이 검사는 두개골의 연대를 도슨이 제안한 것보다 훨씬 최근인 5만 년 이하로, 턱뼈의 연대를 수십 년으로 측정했다. 이는 필트다운 인이 현생 인류의 조상이 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했다.[1][10] 또한 화학 검사 결과 화석이 중세 시대처럼 보이도록 철과 크롬으로 인공적으로 염색되었음이 드러났다.[1]
뼈 내부를 분석하는 데 사용된 CT 스캔은 많은 뼈에 자갈이 채워져 있고, 퍼티로 밀봉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5] 더욱이 X-레이는 치아가 인간의 치아처럼 보이도록 줄질 또는 연마하여 평평해졌다는 것을 나타낸다.

2016년, 영국 연구팀은 DNA 연구를 사용하여 필트다운 인의 출처에 대한 추가 증거를 제공했다. 필트다운 I 턱뼈와 필트다운 II 어금니는 하나의 오랑우탄에서, 두개골 뼈는 원시 인류에서 유래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의 일관성에도 불구하고, 재료 분석 결과 위조범이 전문적인 훈련을 받지 않았다는 것이 드러났는데, 재료에서 뼈가 부러지고, 퍼티가 너무 빨리 굳었으며, 치아가 갈라졌기 때문이다.[5]
3. 3. 2. 위조 방법 상세 분석
필트다운 인 화석은 서식스주 필트다운에서 발견된 유인원의 턱뼈와 인간의 두개골을 조합한 것으로, 찰스 도슨이 발견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후 이 화석은 정교하게 조작된 위조품으로 밝혀졌다.[2]불소 기반 검사와 질소 기반 검사를 통해 두개골은 5만 년 이하, 턱뼈는 수십 년 정도의 연대로 측정되어, 필트다운 인이 현생 인류의 조상이 될 수 없음이 밝혀졌다.[1][10] 또한, 화석은 중세 시대처럼 보이도록 철과 크롬으로 인공 염색되었고,[1] CT 스캔 결과 많은 뼈에 자갈이 채워지고 퍼티로 밀봉되었으며,[5] X-레이 촬영 결과 치아는 인간처럼 보이도록 줄질(연마)되어 평평하게 만들어졌다.[5]
2016년 DNA 연구를 통해 필트다운 I 턱뼈와 필트다운 II 어금니는 하나의 오랑우탄에서, 두개골 뼈는 원시 인류에서 유래한 것으로 밝혀졌다. 재료 분석 결과 위조범은 전문적인 훈련을 받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는데, 이는 뼈가 부러지거나 퍼티가 너무 빨리 굳고 치아가 갈라지는 등의 문제에서 확인되었다.[5]
4. 필트다운 인 외 위조 의혹
1889년, 도슨은 영국 최초의 자발적 박물관 협회 중 하나인 헤이스팅스와 세인트 레너드 박물관 협회를 공동 창립하고, 박물관 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며 유물 및 문서 수집을 담당했다.[2] 그는 고고학에 대한 남다른 재능을 보였고, 《서식스 데일리 뉴스》는 그를 "서식스의 마법사"라 칭했다.[4]
1949년 필트다운인의 진위 여부에 대한 의혹이 제기되었고, 1953년 필트다운 인이 조작된 것으로 밝혀졌다. 이후 도슨의 다른 발견물들도 위조 의혹을 받았다.[35][36]
2016년 DNA 연구를 통해 필트다운 인 조작이 도슨의 단독 범행일 가능성이 높다는 증거가 제시되었다.[38]
4. 1. 도슨의 다른 위조 의혹 유물들
도슨은 여러 유물을 발견했는데, 그중에는 위조 의혹을 받는 것들이 많다. 1893년, 그는 치체스터 근처 라반트 지역에서 선사 시대, 로마 및 중세 시대 유물이 섞여 있는 부싯돌 광산을 조사했고, 헤이스팅스 성 아래 두 개의 터널을 조사했다.[30] 같은 해, 뷰포트 파크에서 로마 시대의 주조된 조각상을 발견하여 대영 박물관에 제출했다.[30] 이상한 모양의 신석기 시대 석조 도끼와 보존 상태가 좋은 고대 목재 보트 등도 발견했다.[30] 그는 바이외 태피스트리를 재분석하고, 1909년에는 헤이스팅스 성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31] 또한 페벤시 성에서 로마 점령 마지막 단계에 대한 위조된 증거를 발견했다.[31]4. 2. 마일스 러셀의 연구
2003년, 본머스 대학교의 마일스 러셀은 도슨의 골동품 수집품에 대한 조사를 발표하여, 최소 38개의 표본이 명백한 위조품이라고 결론 내렸다. 러셀은 도슨의 전체 학문적 경력이 "사기, 속임수, 부정, 기만으로 이루어졌으며, 궁극적인 이득은 국제적인 인정이었다"고 지적했다.[37]러셀의 조사에 따르면, 도슨의 위조품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1891년에 "발견"된 것으로 추정되는 파충류/포유류 잡종의 이빨 ''Plagiaulax dawsoni'' (약 20년 후 필트다운인의 이빨이 가공된 방식과 동일하게 갈아짐)
- 헤이스팅스 성 벽에 있는 소위 "그림자 형상"
- 독특한 자루가 달린 석기 도끼
- 벡스힐온시 보트 (해상용 잡종 선박)
- 페벤시 벽돌 (가장 최근에 데이트할 수 있는 로마 시대 영국의 "발견물"이라고 주장)
- 서식스주 라반트 동굴의 내용물 (사기성 "부싯돌 광산")
- 보포트 공원 "로마" 조각상 (잡종 철제 물건)
- 불버히스 망치 (나중에 필트다운 코끼리 뼈 도구가 만들어질 때와 같은 방식으로 철 칼로 모양을 냄)
- 사기성 "중국" 청동 꽃병
- 브라이튼 "구멍 속의 두꺼비" (부싯돌 결절 내부에 갇힌 두꺼비)
- 잉글리시 해협 바다 뱀
- 어크필드 말굽 (또 다른 잡종 철제 물건)
- 루이스의 가시 박차
러셀은 도슨의 골동품 간행물 대부분이 표절의 증거를 보여주거나 적어도 서투른 참조 방식을 보여주었으며, "필트다운은 '일회성' 사기가 아니라 평생의 업적의 절정이었다"고 썼다.[2][9]
5. 도슨의 동기와 목적
찰스 도슨은 필트다운인을 비롯한 여러 유물을 위조했는데, 이러한 위조 행위를 한 동기와 목적에 대해서는 여러 추론이 있다.
도슨은 이전에도 약 38건의 위조 행위를 저지른 전력이 있었다. 헤이스팅스 성에 대한 역사적 기록을 표절하고, 서식스 고고학회를 대신하여 행동하는 척하기도 했다.[11]
도슨은 필트다운인 발견에 깊이 관여했다. 그는 필트다운인 발견 이야기를 시작했고, 우드워드에게 이 사실을 알렸다.[5] 그는 필트다운 II 지점을 본 유일한 사람이었지만, 이 지점에 대한 사실을 공개하지 않았다. 필트다운 I과 필트다운 II를 만드는 데 사용된 기술이 매우 유사하다는 점과, 모든 발견에 유일하게 참석했다는 점은 도슨이 단일 위조범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그가 없을 때는 현장에서 아무것도 발견되지 않았고, 그가 사망한 후에는 다른 화석이 발견되지 않았다.[12]
도슨은 박물관과 골동품 가게에 접근할 수 있었고, 인기 있는 수집가이자 뛰어난 인맥 관리자였다. 그는 영국 과학계가 유인원과 인간 사이의 잃어버린 고리에 대해 무엇을 기대하는지 알고 있었다.[5]
5. 1. 과학적 인정 욕구
도슨이 과학적 인정을 받고 왕립학회에 가입하려는 강한 욕망이 위조 동기였을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5] 1883년에서 1909년 사이에 도슨은 50편의 논문을 썼지만, 그의 경력을 높일 만큼 중요한 것은 없었다. 1909년, 그는 스미스 우드워드에게 중요한 발견을 밝히고 싶었지만 그런 발견을 한 적이 없는 것처럼 보인다고 슬픈 마음으로 편지를 썼다. 불과 6주 후, 도슨의 아내는 내무부 장관에게 도슨의 전문성을 옹호하는 편지를 썼다. 그는 중요한 발견을 한 번도 하지 못한 것에 대해 슬퍼하며 필트다운인을 만들어 왕립학회 회원으로 선출되기를 원했다.[5]5. 2. 개인적인 명성 추구
도슨은 과학적 인정을 받고 고고학 왕립학회에 가입하려는 강한 욕망 때문에 위조 행위를 저질렀을 것으로 추정된다. 1883년부터 1909년 사이에 도슨은 50편의 논문을 썼지만, 그의 경력을 높일 만큼 중요한 것은 없었다. 1909년, 그는 스미스 우드워드에게 중요한 발견을 하고 싶지만 그런 발견을 한 적이 없는 것 같다고 슬픈 심정을 담아 편지를 썼다. 불과 6주 후, 도슨의 아내는 내무부 장관에게 도슨의 전문성을 옹호하는 편지를 썼다. 그는 중요한 발견을 한 번도 하지 못한 것에 대해 슬퍼하며 필트다운인을 만들어 왕립학회 회원으로 선출되려 했다.[5]6. 사후 평가 및 영향
찰스 도슨은 필트다운 인 사기 사건으로 인해 사후에 매우 부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학계에서는 도슨의 행적을 비판적으로 평가하며, 그의 과학적 업적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특히 1953년 필트다운 인이 사기로 밝혀진 이후, 도슨이 발견했다고 주장한 다른 많은 발견들도 위조된 것으로 드러났다.[35][36] 2003년 본머스 대학의 밀스 러셀은 도슨의 골동품 수집품 중 적어도 38개가 가짜라고 결론지었으며,[37] 2016년 영국의 한 연구팀은 DNA 연구를 통해 필트다운 인 사기 사건이 도슨의 단독 범행일 가능성이 높다고 결론지었다.[38]
6. 1. 학계의 비판적 평가
1949년, 필트다운 인과 그 진위성에 관해 더욱 많은 의문이 제기되었고, 그 결과 필트다운 인은 1953년에 사기로 결론이 났다. 그 이후 도슨이 발견했다고 주장하는 다수의 다른 발견들도 위조되거나 미리 배치해 두었던 것으로 나타났다.[35][36]2003년 본머스 대학의 밀스 러셀(Miles Russell)은 도슨의 골동품 수집에 대한 조사 결과를 발표하여 적어도 38개의 표본이 명확하게 가짜인 것으로 결론지었다. 러셀은 도슨의 학술 경력 전체가 "속임수, 손재주, 사기에 기반한 것으로 궁극적인 이득은 국제적인 인정"으로 보인다고 지적하였다.[37]
2016년, 영국의 연구팀은 DNA 연구를 통해 필트다운 인의 출처에 대한 추가 증거를 제공했다. 그들은 사기 행위가 도슨의 독자적인 행동이었을 가능성이 높고, 범인으로 의심되는 집단에 속한 자들 중에서 허풍을 부리지 않기에 충분한 과학 지식을 가진 유일한 사람으로 결론지었다.[38]
6. 2. 과학 윤리의 중요성 강조
찰스 도슨의 필트다운 인 사기 사건은 과학 연구에서 윤리성과 진실성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준다. 1953년 필트다운 인이 사기로 밝혀진 이후, 도슨이 발견했다고 주장한 다른 많은 발견들도 위조된 것으로 드러났다.[35][36]2003년 본머스 대학의 밀스 러셀은 도슨의 골동품 수집품 중 적어도 38개가 가짜라고 결론지었다. 러셀은 도슨의 학술 경력이 "속임수, 손재주, 사기에 기반"했으며, 그 궁극적인 목적은 "국제적인 인정"이었다고 지적했다.[37]
2016년, 영국의 한 연구팀은 DNA 연구를 통해 필트다운 인 사기 사건이 도슨의 단독 범행일 가능성이 높다고 결론지었다. 연구팀은 도슨이 범인으로 의심되는 사람들 중에서 유일하게 과학 지식을 충분히 갖춘 인물이라고 보았다.[38]
이러한 일련의 사건들은 과학적 증거 조작이 얼마나 위험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지, 그리고 과학 연구에서 정직함과 투명성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강조한다.
참조
[1]
논문
PILTDOWN MAN
https://www.jstor.or[...]
1955
[2]
서적
Piltdown Man Hoax: Case Closed
https://books.google[...]
The History Press
2012-05-30
[3]
논문
New fossils from a classic area: the Bulith Inlier
https://www.research[...]
2012-12
[4]
문서
Walsh
1996
[5]
논문
New genetic and morphological evidence suggests a single hoaxer created 'Piltdown man'
[6]
문서
Shreeve
1995
[7]
문서
Russell
2013
[8]
서적
Piltdown Man: The Secret Life of Charles Dawson
Tempus
[9]
뉴스
Charles Dawson: 'The Piltdown faker'
http://news.bbc.co.u[...]
2010-12-16
[10]
간행물
Case Study 4. Self-Correcting Science: The Piltdown Forgery
https://doi.org/10.1[...]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22-04-27
[11]
논문
Marginalia: Piltdown Man: The Great English Mystery Story
https://www.jstor.or[...]
1991
[12]
논문
Elsevier Enhanced Reader
https://reader.elsev[...]
2016-04
[13]
문서
Spencer
2004
[14]
문서
Spencer
2004
[15]
문서
Walsh
1996
[16]
문서
Walsh
1996
[17]
문서
Walsh
1996
[18]
문서
Walsh
1996
[19]
문서
Spencer
2004
[20]
문서
Walsh
1996
[21]
문서
Walsh
1996
[22]
문서
Walsh
1996
[23]
문서
Shreeve
1995
[24]
문서
Russell
2013
[25]
논문
New genetic and morphological evidence suggests a single hoaxer created 'Piltdown man'
http://rsos.royalsoc[...]
2016
[26]
문서
Spencer
2004
[27]
문서
Spencer
2004
[28]
문서
Walsh
1996
[29]
문서
Walsh
1996
[30]
문서
Walsh
1996
[31]
문서
Walsh
1996
[32]
문서
Spencer
2004
[33]
문서
Walsh
1996
[34]
문서
Walsh
1996
[35]
문서
Walsh
1996
[36]
서적
Shreeve
1995
[37]
서적
Russell
2013
[38]
논문
New genetic and morphological evidence suggests a single hoaxer created 'Piltdown man'
http://rsos.royalsoc[...]
20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