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모본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참모본부는 군대의 지휘 및 참모 활동을 수행하는 조직으로, 각 군대마다 조직 체계는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참모총장, 참모차장, 비서실, 일반참모, 특별참모 등으로 구성된다. 일반참모는 행정, 정보, 작전, 후방, 기획, 통신 등을 담당하며, 특별참모는 전문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대한민국, 미국, 일본, 중국, 북한, 러시아, 베트남 등 다양한 국가에서 참모본부를 운영하고 있으며, 각국의 역사와 조직 구조에 차이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참모 - 대장군참모
대장군참모는 정치적 위임을 받아 군사적 조치를 수행하는 참모 본부의 핵심 부서로, 군비, 동원, 출동, 지휘, 병참, 교육 훈련, 인사 계획 등을 담당하며, 프로이센에서 기원하여 독일을 거쳐 현대 독일 연방군까지 그 전통이 이어지고 있다. - 참모 - 우크라이나군 참모부
참모본부 | |
---|---|
지도 정보 | |
일반 정보 | |
유형 | 군사 조직 |
역할 | 군사 계획 수립 군사 작전 지휘 군사 정보 수집 군사 지원 |
기능 | 군사 전략 개발 군사 정책 결정 군사 자원 관리 군사 연구 개발 군사 훈련 |
목표 | 국가 안보 보장 군사력 유지 및 강화 군사 작전 성공 |
역사 | |
기원 | 18세기 후반 프로이센에서 시작 |
발전 | 19세기와 20세기에 걸쳐 전 세계로 확산 |
조직 구조 | |
구성 요소 | 참모총장 참모부 참모 장교 |
기능별 부서 | 작전 부서 정보 부서 인사 부서 군수 부서 |
국가별 참모본부 | |
영국 | Defence Staff |
미국 | Joint Chiefs of Staff |
독일 | 독일 연방군 참모본부 |
일본 | 일본군 참모본부 |
대한민국 |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 |
러시아 | 러시아 연방군 총참모부 |
이탈리아 | 이탈리아군 총참모부 |
중국 | 중국 인민해방군 연합참모부 |
기타 | |
중요성 | 현대 군사 조직에서 핵심적인 역할 수행 |
영향력 | 군사 정책 및 전략 결정에 막대한 영향력 행사 |
2. 역사
프로이센 왕국에서 참모본부가 발전했다. 이전에는 지휘관이 자신의 능력에 의존하여 지휘, 통솔을 했지만, 나폴레옹 전쟁 무렵부터 참모 조직의 필요성이 인정되기 시작했다.[2] 평시부터 군사 연구를 수행하여 전시에는 지휘관을 보좌하는 상설 기관이 프로이센 군에 채용되어,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 프로이센-프랑스 전쟁에서 프로이센의 승리로 그 진가가 인정받았다. 이것은 이후 각국 군대에 도입되었고, 일본에서도 일본군에서 참모총장과 군령부총장은 천황의 참모에 해당했다. 전후에는 예를 들어 미군에서는 최고 사령관인 대통령 밑에 합동참모본부가 설치되어, 군사 행동에 대해 대통령을 보좌하는 체제를 갖추고 있다.[3]
참모본부의 조직은 국가 군대마다 다르지만, 대체로 다음과 같은 조직 체계를 가지는 경우가 많다.[4]
3. 구성
3. 1. 일반 참모
일반 참모는 참모총장의 지휘 아래 각 부서의 장으로 구성되며, 각 부서의 정책을 수립하고, 계획, 조정, 관리를 수행한다. 참모회의에서는 모든 분야에 발언권을 가지며, 각 분야를 조정한다.[4]
역할 | 설명 | 주요 업무 | 부서 |
---|---|---|---|
행정참모 | 인사, 배치, 복지, 보안 등의 인사 및 민정, 점령 행정, 서무 등의 총무 | 군무과와 총무과를 두는 총무부 총괄 (부장 2명, 차장 1명) | 군무과, 총무과 |
정보참모 | 정보 수집, 처리, 보고, 방첩 등 사령부의 정보 활동 | 작전과, 방첩과, 특무과, 기획과, 통합정보과를 두는 정보부 총괄 (작전·정보 담당 부장, 방첩·특무 담당 부장, 차장) | 작전과, 방첩과, 특무과, 기획과, 통합정보과 |
작전참모 | 지휘관의 작전 계획 입안, 실행, 완료 보좌, 지휘관 결심에 필요한 정보 제공, 지휘관 결심을 하급 지휘관에게 전달 | 작전과, 훈련과, 기획과를 두는 작전부 총괄 (부장 2명, 차장) | 작전과, 훈련과, 기획과 |
후방참모 | 후방 지원, 병참에 관한 효율적인 보급 계획 입안, 개선, 실행, 참모 간의 조정 | 기획과, 작전과, 보급과, 수송과 등을 두는 후방부 총괄 (부장 2명, 차장 1명) | 기획과, 작전과, 보급과, 수송과 |
기획참모 | 장기적인 미래 계획 | 전쟁계획과, 특수계획과, 연구과를 두는 기획부 총괄 (부장 2명, 차장) | 전쟁계획과, 특수계획과, 연구과 |
통신참모 | 하급 부대의 통신 정확성, 효율성 준비, 통신 계획 준비, 조정, 감독 | 계획정책과, 장비과, 운용과 등을 두는 통신부 총괄 (부장 2명, 차장) | 계획정책과, 장비과, 운용과 |
3. 2. 특별 참모
특별참모는 사령부의 전문 장교 등으로 구성되며, 지휘관의 지휘 아래 일반참모의 조정을 받는다. 참모총장의 지휘 통제에 따라 증원 또는 감원되므로 반드시 일정하지 않다.[4]4. 나라별 참모본부
- 대한민국
- Генеральный штаб|게네랄니 슈타프ru (러시아)
- Bộ Tổng tham mưu Quân đội nhân dân Việt Nam|베트남인민군 총참모부vi (베트남)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미국
- 中国人民解放军总参谋部|중국인민해방군 총참모부중국어 (중화인민공화국)
- 일본
실질적인 의미에서 참모본부로 볼 수 있는 기관들은 다음과 같다(개칭되었거나 폐지된 것을 포함).
- 프로이센 왕국・독일 제국・독일 연방 공화국
- * 참모본부
- * 병무국
- * 국방군 최고사령부
- ** 육군 총사령부
- ** 해군 총사령부
- ** 공군 총사령부
- * 전군 지휘참모부
- 조지아
- * 참모본부
- 國防部參謀本部|국방부 참모본부중국어 (중화민국)
- Genelkurmay Başkanlığı|게넬쿠르마이 바슈칸르으tr (터키)
- 브라질
- * 육군 참모본부
- 러시아 제국
- * 러시아 제국군 참모본부
- 소비에트 연방
- 우크라이나
- * 참모본부
4. 1. 대한민국
대한민국은 국군의 군사 전략, 작전 지휘, 합동 및 연합 작전 수행을 위한 핵심 기관으로 합동참모본부를 두고 있다.4. 2. 미국
합동참모본부(Joint Chiefs of Staff)는 미국의 참모본부이다.[3] 최고 사령관인 대통령 밑에 설치되어 군사 행동에 대해 대통령을 보좌하는 체제를 갖추고 있다.[3] 해군 작전본부(Office of the Chief of Naval Operations)도 미국의 참모본부 역할을 한다.4. 3. 일본
일본군은 프로이센의 제도를 받아들여 참모본부와 군령부를 설치했다. 참모총장과 군령부총장은 천황의 참모에 해당했다.[3]자위대에는 통합막료감부, 육상막료감부, 해상막료감부, 항공막료감부 등을 포함하는 막료감부가 설치되어 있다.
구 일본 육해군의 군령기관 변천은 다음과 같다.
날짜 | 육군 | 해군 | 근거 법령 |
---|---|---|---|
1871년(메이지 4년) 7월 | 병부성 육군참모국 | 병부성직원령 | |
1874년(메이지 7년) 6월 18일 | 참모국 | 「참모국 조례」 | |
1878년(메이지 11년) 12월 5일 | 참모본부 | 구「참모본부 조례」 | |
1884년(메이지 17년) 2월 | 군사부 | ||
1886년(메이지 19년) 3월 18일 | 참모본부 | 메이지 19년 칙령 무호 | |
1888년(메이지 21년) 5월 12일 | 육군참모본부 | 해군참모본부 | 메이지 21년 칙령 제25호 |
1889년(메이지 22년) 3월 7일 | 참모본부 | 해군참모부 | 메이지 22년 칙령 제25호・동 제30호 |
1893년(메이지 26년) 5월 19일 | 해군군령부 | 메이지 26년 칙령 제37호 | |
1933년(쇼와 8년) 10월 1일 | 군령부 | 쇼와 8년 군령 해 제5호 | |
1945년(쇼와 20년) 10월 15일 | (폐지) | 쇼와 20년 군령 해 제8호 등 |
4. 4. 중국
- 중국인민해방군 총참모부(中国人民解放军总参谋部|중국인민해방군 총참모부중국어)
- 중화민국 국방부 참모본부(國防部參謀本部|국방부 참모본부중국어)
4. 5.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인민군 총참모부4. 6. 러시아
러시아 제국의 러시아 제국군 참모본부를 계승하였다. 러시아 연방의 참모본부는 Генеральный штаб|게네랄니 슈타프ru이다.[3]4. 7. 베트남
Bộ Tổng tham mưu Quân đội nhân dân Việt Nam|베트남인민군 총참모부vi는 베트남의 참모본부이다.4. 8. 기타 국가
- 프로이센 왕국・독일 제국・독일 연방 공화국
- * 참모본부
- * 병무국
- * 국방군 최고사령부
- ** 육군 총사령부
- ** 해군 총사령부
- ** 공군 총사령부
- * 전군 지휘참모부
- 미국
- * 합동참모본부
- * 해군 작전본부
- 조지아
- * 참모본부
- 중화인민공화국
- * 중국인민해방군 총참모부(中国人民解放军总参谋部|중국인민해방군총참모부중국어)
- 중화민국
- * 국방부 참모본부(國防部參謀本部|국방부참모본부중국어)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 조선인민군 총참모부
- 터키
- * 참모본부(Genelkurmay Başkanlığı|게넬쿠르마이 바슈칸르으tr)
- 일본
- * 일본군
- ** 대본영(전시에만[5])
- ** 참모본부・육군참모본부
- ** 군령부・해군군령부・해군참모부・해군참모본부
- * 자위대
- ** 막료감부(통합막료감부・육상막료감부・해상막료감부・항공막료감부・제1막료감부・제2막료감부)
- 브라질
- * 육군 참모본부
- 러시아 제국
- * 러시아 제국군 참모본부
- 러시아 연방
- * 참모본부(Генеральный штаб|게네랄니 슈타프ru)
- 소비에트 연방
- 우크라이나
- * 참모본부
날짜 | 육군 | 해군 | 근거 법령 |
---|---|---|---|
1871년(메이지 4년) 7월 | 병부성 육군참모국 | 병부성직원령 | |
1874년(메이지 7년) 6월 18일 | 참모국 | 「참모국 조례」 | |
1878년(메이지 11년) 12월 5일 | 참모본부 | 구「참모본부 조례」 | |
1884년(메이지 17년) 2월 | 군사부 | ||
1886년(메이지 19년) 3월 18일 | 참모본부 | 메이지 19년 칙령 무호 | |
1888년(메이지 21년) 5월 12일 | 육군참모본부 | 해군참모본부 | 메이지 21년 칙령 제25호 |
1889년(메이지 22년) 3월 7일 | 참모본부 | 해군참모부 | 메이지 22년 칙령 제25호・동 제30호 |
1893년(메이지 26년) 5월 19일 | 해군군령부 | 메이지 26년 칙령 제37호 | |
1933년(쇼와 8년) 10월 1일 | 군령부 | 쇼와 8년 군령 해 제5호 | |
1945년(쇼와 20년) 10월 15일 | (폐지) | 쇼와 20년 군령 해 제8호 등 |
참조
[1]
서적
バトル・シミュレーション 戦術と指揮 命令の与え方・集団の動かし方
文藝春秋
2005
[2]
서적
戦争の常識
文藝春秋
2005
[3]
서적
戦争の常識
文藝春秋
2005
[4]
서적
統合軍参謀マニュアル
白桃書房
1987
[5]
웹사이트
大本営
https://kotobank.jp/[...]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