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천경공방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천경공방전은 1863년부터 1864년까지 태평천국의 난의 주요 전투로, 청군이 태평천국의 수도 천경(난징)을 포위하고 함락하는 과정을 다룬다. 청군은 1863년 6월 구보주를 점령하며 장강 북쪽의 지배권을 확보하고, 증국전의 공격으로 자금산 남쪽 지역을 장악하며 천경을 포위했다. 1864년 홍수전의 사망 이후, 청군은 갱도전을 통해 천경의 성벽을 무너뜨리고, 시가전을 거쳐 도시를 점령했다. 이 과정에서 태평천국군의 지도자들이 체포되거나 사망하고, 10만 명의 군사가 사망하는 등 막대한 인명 피해가 발생했다. 천경 함락 이후 청군은 약탈과 학살을 자행하여, '상군판 난징대학살'로 불릴 정도로 큰 사회적 비극을 초래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천경공방전 - [전쟁]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천경공방전
천경공방전
분쟁태평천국의 난의 일부
날짜1864년 3월 14일 – 7월 19일
장소난징
결과청나라의 승리
교전 세력
교전국 1청나라
교전국 2태평천국
지휘관 및 지도자
청나라증국번
태평천국홍수전
병력 규모
청나라500,000+ 상군
태평천국370,000명 방어군
사상자 및 피해
청나라10,000명 이상 병사
태평천국증국번 주장 100,000명 태평천국 군인 사상자
민간인200,000–300,000명 민간인 학살
추가 정보대규모 즉결 처형, 전시 강간, 약탈 및 방화

2. 배경

19세기 중반, 청나라아편 전쟁 패배와 사회경제적 혼란으로 인해 심각한 위기에 직면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홍수전이 이끄는 태평천국 운동이 발발하여 청나라 남부를 장악하고 천경을 수도로 삼았다. 태평천국은 토지 균분과 사회 개혁을 주장하며 농민들의 지지를 얻었지만, 내부 분열과 청나라의 반격으로 점차 약화되었다.

3. 전개 과정

1863년 6월부터 1864년 7월까지 천경(난징)을 둘러싸고 청군과 태평천국군 사이에 벌어진 전투는 다음과 같이 전개되었다.

'''포위 준비'''

1863년 6월, 청나라 군대는 장강 북쪽 지역에 대한 통제력을 확보했다. 9월, 증국번의 동생 증국전은 천경 주변 지역을 점령하기 시작했다. 11월까지 천경 외곽의 주요 거점들이 청군에 의해 장악되어 천경은 외부와 고립되었다.

'''포위'''

1863년 12월, 이수성홍수전에게 천경을 포기할 것을 제안했으나 거절당했다. 1864년 2월, 자금산의 천보성이 함락되면서 천경은 완전히 포위되었다.

'''공성전과 함락'''

1864년 3월, 청군은 갱도를 파는 전략을 사용했고, 태평천국군은 성벽을 보강하며 맞섰다. 6월, 홍수전이 사망하고 이수성이 지휘를 맡았지만 전세는 이미 기울었다. 7월, 청군은 총공격을 개시하여 천경의 성벽을 돌파하고 도시를 함락시켰다. 이수성은 어린 천왕을 데리고 탈출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3. 1. 포위

1863년 6월, 절강제독 포초가 구보주(九洑洲)를 점령하면서 태평천국군은 양쯔강 북쪽 강둑 전체에 대한 지배권을 잃었다. 포초는 장강을 건너 천경의 신책(神策)문 밖에 진을 쳤다. 9월에 증국번의 동생 증국전이 공격을 시작했고 도시의 남동쪽 상방교(上方桥)와 남서쪽의 강동교(江东桥)를 탈취했다. 증국전은 교외를 계속 공격했고, 11월 초순에는 상방문(上方门) ·고교문(高桥门)·쌍교문(双桥门), 칠교옹(七桥瓮), 말릉(秣陵), 중화교(中和桥)를 확보했다. 이에 따라 태평천국군은 자금산 남쪽 지역을 모두 잃었다.[1]

11월 중순에는 순화(淳化), 해계(解溪), 용도(龙都), 호수, 삼차진(三岔镇)이 청나라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동시에 수사제독 팽옥린과 그의 부하 양악빈(양재복 杨载福이라고도 알려짐)은 고순을 점거하고 포초군을 엄호했다. 11월 하순에 여수의 태평천국 수비대는 청군에 항복했다. 그 결과, 태평천국군은 천경 8km 이내의 광대한 지역에서 물러났다. 11월 25일, 증국전과 그 부하인 소경연(萧庆衍)은 명효릉에 군대를 전개시켰다. 이렇게 천경과 외부의 연락은 신책문과 태평문 뿐이었다.[1]

12월 20일, 충왕 이수성단양에서 천경으로 돌아와 천왕 홍수전에게 천경을 포기하도록 권유했다. 그러나 홍수전은 그의 제안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홍수전은 자신과 신을 거스르는 자는 누구든지 처형하겠다고 선포했다. 이에 따라 태평천국군에 불만이 확산되면서 20만 명의 병력이 천경에서 도주하거나 청군과의 전투에서 항복했다.[1] 1864년 2월 28일에 자금산 꼭대기의 천보성이 함락되었다. 3월 2일, 증국전은 신책문과 태평문에 군대를 전개시켜 천경 포위를 완성했다.[1]

3. 2. 공성전

1864년 3월 12일, 증국전은 사다리를 이용하여 첫 공격을 시도했지만 수비병에게 배후에서 공격당하면서 실패했다. 그리하여 청군은 조양문, 신책문, 금천문에 총 10개의 갱도를 파는 전략으로 전환했다. 태평천국군은 이에 맞서 성벽 뒤에 다른 벽을 만드는 전략을 취했다.[1]

6월 1일, 홍수전이 병사했다. 5일 후 이수성은 모든 예비군과 문관을 투입하기로 결정했지만 이미 늦었다. 7월 3일, 자금산의 지호성이 함락되었다. 청군은 이곳에 포병을 배치해 포격을 하면서 갱도 부대를 엄호했다.[1]

7월 18일, 이수성은 수비병 천 명을 변장시켜 갱도 부대를 습격하도록 명령했지만, 청군이 속지 않아 실패로 끝났다. 다음 날 청군은 태평문 아래 갱도를 폭파해 성벽을 파괴했다. 수비병은 필사적으로 방어했지만, 끝내 막을 수 없었다. 청군은 4개 부대로 나누어 공격을 시작했다. 왕원화의 군대는 천왕부를 공격했다. 유련첩군은 사다리를 놓아 침입했고, 주남계군과 함께 신책문을 공격하며 양군은 의봉문을 차지하고 서쪽 사자산으로 향했다. 팽육귤군은 통제문을 공격했다. 소부사군은 조양문과 홍무문을 공격했다.[1]

수비병의 저항은 완강했고, 시가전은 격렬해졌다. 그러나 조양문이 함락된 이후 수비병의 사기는 떨어지고, 나봉원군은 취보문을 통해 침입했고, 이금주군은 팽육귤군과 함께 통제문으로 침입했다. 동시에 황익승이 수군을 이끌고 중관을 장악하며 강변 요새를 함락시켰다. 이어 원군인 진식은 수서문과 한서문을 함락시켰고, 밤까지 모든 문은 청군의 손에 장악되었다.[1]

이수성은 아침녘에 태평문에서 패배한 후 천왕부에 돌아와 어린 천왕 홍천귀복을 데리고 한서문으로 탈출을 시도했다. 그러나 이수성의 수천 명의 군대는 뒤에서 진식 군의 공격을 받아 청량산으로 피신할 수밖에 없었다. 그날 밤 이수성과 잔여 병력 천 명이 태평문에 가서 청군으로 변장하여 명효릉에서 탈출하는 데 성공했다. 청군은 약탈에 바빠서 검문할 겨를이 없었던 것이다. 약탈 후 도시에 불이 붙어 7월 26일까지 꺼지지 않았다.[1]

3. 3. 함락

3월 12일, 증국전은 사다리를 사용하여 첫 번째 공격을 시도했지만 수비병에게 배후에서 공격당하면서 실패했다. 그리하여 청군은 조양문, 신책문, 금천문에 총 10개의 갱도를 파는 전략으로 전환했다. 태평천국군은 이에 맞서 성벽 뒤에 다른 벽을 만드는 전략을 취했다.

6월 1일, 홍수전이 병사했다. 5일 후 이수성은 모든 예비군과 문관을 투입하기로 결정했지만 이미 늦었다. 7월 3일에 자금산의 지보성이 함락되었다. 청군은 이곳에 포병을 배치해 포격을 하면서 갱도 부대를 엄호했다.

마지막 공격이 다가오고 있었다. 7월 18일, 이수성은 수비병 천 명을 변장시켜 갱도 부대를 습격하도록 명령했지만, 청군이 속지 않아서 실패로 끝났다. 다음 날, 청군은 태평문 아래 갱도를 폭파해 성벽을 파괴했다. 수비병은 필사적으로 방어했지만, 끝내 막을 수 없었다. 청군은 4개 부대로 나누어 공격을 시작했다. 왕원화의 군대는 천왕부를 공격했다. 유연첩 군은 사다리를 놓아 침입했고, 주남계 군과 함께 신책문을 공격하며 양군은 의봉문을 차지하고 서쪽 사자산으로 향했다. 팽육귤 군은 통제문을 공격했다. 소부사 군은 조양문과 홍무문을 공격했다.

수비병의 저항은 완강했고, 시가전은 격렬해졌다. 그러나 조양문이 함락된 이후 수비병의 사기는 떨어졌고, 나봉원 군은 취보문을 통해 침입했고, 이금주 군은 팽육귤 군과 함께 통제문으로 침입했다. 동시에 황익승이 수군을 이끌고 중관을 장악하며 강변 요새를 함락시켰다. 이어 원군인 진식은 수서문과 한서문을 함락시켰고, 밤까지 모든 문은 청군의 손에 장악되었다.

이수성은 아침녘에 태평문에서 패배한 후 천왕부에 돌아와 어린 천왕 홍천귀복을 데리고 한서문으로 탈출을 시도했다. 그러나 이수성의 수천 명의 군대는 뒤에서 진식 군의 공격을 받아, 청량산으로 피신할 수밖에 없었다. 그날 밤 이수성과 잔여 병력 천 명이 태평문에 가서 청군으로 변장하여 명효릉에서 탈출하는 데 성공했다. 청군은 약탈에 바빠서 검문할 겨를이 없었던 것이다. 약탈 후 도시에 불이 붙어 7월 26일까지 꺼지지 않았다.[2]

4. 주요 인물

다음은 천경공방전에 등장하는 주요 인물들에 대한 간략한 소개와 그들의 역할이다.


  • '''홍수전''': 태평천국의 지도자로, 난징을 포기하라는 이수성의 제안을 거부하고 결사항전을 주장했다. 그러나 1864년 6월 1일 병으로 사망했다.[1]
  • '''이수성''': 태평천국의 장군으로, 홍수전에게 난징 포기를 제안했으나 거부당했다. 난징 함락 직전 어린 천왕 홍천귀복을 데리고 탈출을 시도했다.[1]
  • '''홍천귀복''': 홍수전의 아들로, 난징 함락 당시 이수성과 함께 탈출했다.[1]
  • '''증국번''': 청나라군의 지휘관으로, 난징 포위 작전을 총괄했다. 그의 동생 증국전은 난징 외곽의 여러 지역을 점령했다.
  • '''증국전''': 증국번의 동생으로, 난징 남동쪽과 남서쪽 지역을 공격하여 점령하는 등 난징 포위 작전에 큰 공을 세웠다.
  • '''포초''': 청나라 장군으로, 1863년 6월 양쯔강 북쪽의 구보주(九洑洲)를 점령하여 태평천국군이 강 북쪽 통제력을 잃게 만들었다.
  • '''팽옥린''': 청나라 해군 사령관으로, 부관 양악빈(양재복)과 함께 포초를 도와 고순과 동파 등 중요한 지역을 점령했다.

4. 1. 청나라

1863년 6월, 청나라 장군 포초는 구보주(九洑洲)를 점령하여 태평천국군이 양쯔강 북쪽 강둑 전체에 대한 통제력을 잃게 했다. 포초는 군대를 이끌고 강을 건너 난징의 신책(神策)문 밖에 주둔했다. 9월, 증국번의 동생인 증국전은 도시 남동쪽의 상방교(上方桥) 지역과 남서쪽의 강동교(江东桥) 지역을 공격하여 점령했다. 증국전은 난징 교외에서 공격을 계속했고, 11월 초까지 상방문(上方门), 고교문(高桥门), 쌍교문(双桥门), 칠교옹(七桥瓮), 몰릉(秣陵) 패스, 중화교(中和桥) 등 여러 지역을 점령하는 데 성공했다. 따라서 태평군은 자금산 남서부의 모든 거점을 잃었다. 11월 중순까지 춘화(淳化), 해계(解溪), 용도(龙都), 호수, 삼차진(三岔镇) 등의 지역이 청나라 군대의 통제 하에 들어갔다. 동시에 제국 해군 사령관 팽옥린(彭玉麟)과 그의 부관 양악빈(杨岳斌, 양재복 杨载福이라고도 알려짐)은 보초의 군대의 도움을 받아 고순과 동파(东坝)를 포함한 중요한 지역을 점령했다. 11월 말까지 여수의 태평군 수비대는 청나라 군대에게 항복했다. 그 결과 태평군은 난징에서 50마일 이내 지역에서 쫓겨났다. 11월 25일, 증국전과 그의 부하인 장군 소경연(萧庆衍)은 명효릉에 병력을 배치했다. 외부로 연결되는 유일한 통로는 신책문과 태평문뿐이었다.

12월 20일, 이수성단양에서 난징으로 돌아와 홍수전에게 다음 날 태평천국의 수도를 포기할 것을 촉구했다. 그러나 이 제안은 작전을 총지휘한 홍수전에 의해 거부되었다. 그는 자신과 신에게 불복종하는 자는 즉시 처형하겠다고 선언했다. 이는 태평군과 난징을 파멸로 이끌었고, 널리 불만을 조성했으며, 다른 요인들과 결합하여 결국 20만 명 이상의 태평군이 난징을 떠나 전투 과정에서 청나라 제국군에게 항복했다. 항복을 거부했지만 홍의 결정에 불만을 품은 사람들은 포위가 아직 완료되지 않았을 때 탈출을 선택했다. 홍, 이, 다른 사람들은 이러한 행위를 막을 수 없었다. 1864년 2월 28일, 자금산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인 천보(天保)성이 청나라 군대의 통제 하에 들어갔다. 3월 2일, 증국전은 신책문과 태평문에 병력을 배치했다. 난징에 대한 포위가 완료되었다.

4. 2. 태평천국

1864년 6월 1일, 홍수전이 병으로 사망하였다.[1] 5일 후, 이수성이 모든 예비병과 문관을 투입하기로 결정했지만, 이미 늦은 상황이었다.[1] 7월 3일, 자금산의 지보성이 청군에게 함락되었고, 청군은 이곳에 포병을 배치하여 포격을 가하며 갱도 부대를 지원했다.[1]

7월 18일, 이수성은 수비병 1천 명을 청군으로 위장시켜 갱도 부대를 습격하려 했으나 실패했다.[1] 다음 날, 청군은 태평문 아래 갱도를 폭파하여 성벽을 무너뜨렸다.[1] 수비병은 격렬히 저항했으나, 결국 청군의 공격을 막아내지 못했다.[1]

청군은 네 갈래로 나뉘어 공격을 개시했다.[1]

부대공격 방향
왕원화 군천왕부
유련첩 군, 주남계 군신책문 공격 후 의봉문을 향해 서쪽의 사자산으로 진격
팽육귤통제문
소부사 군조양문, 홍무문



격렬한 시가전이 벌어졌지만, 조양문 함락 이후 수비병의 사기가 저하되었다.[1] 라봉원 군은 취보문으로, 이금주 군은 팽육귤 군과 함께 통제문으로 진입했다.[1] 황익승이 이끄는 수군은 중관을 점령하고 강변 요새를 함락시켰으며, 진식은 수서문과 한서문을 함락시켰다.[1] 밤이 되자 모든 성문이 청군의 손에 넘어갔다.[1]

이수성은 어린 천왕 홍천귀복을 데리고 한서문으로 탈출을 시도했으나, 진식 군의 공격을 받고 청량산으로 피신했다.[1] 그날 밤, 이수성과 남은 병력 1천 명은 청군으로 위장하여 명효릉으로 탈출하는 데 성공했다.[1] 이후 도시는 약탈과 방화로 큰 피해를 입었다.[1]

5. 결과

1864년 천경 함락으로 14년간 이어진 태평천국의 난은 막을 내렸다. 3일간의 전투에서 태평천국군 10만 명이 사망하고 더 많은 부상자가 발생했으며, 청군은 이들을 섬멸하고 수많은 시민을 학살하여 20~30만 명의 희생자가 발생했다는 기록이 있다.

태평천국 지도자들은 대부분 탈출에 실패했다. 이수성은 생포되어 자술서를 작성한 후 처형되었으나, 준왕 뇌문광은 염군과 합류하여 4년간 전투를 계속했다.

청군의 승리에는 화기 등 근대식 무기가 영향을 미쳤다. 1864년 중국 자체 제작 볼트 액션 단발 소총이 등장, 검, 등 전통 무기보다 우월함을 보이며 전투에 활용되었다.

5. 1. 태평천국의 멸망

태평천국군은 대부분 탈출에 실패했다. 7월 21일, 열왕(列王) 이만재가 순화(淳化)에서 체포되었고, 같은 날 장왕(章王) 임소장과 유서왕(幼西王) 소우화가 호숙(湖熟)에서 살해되었다. 탈출에 성공한 이수성홍천귀복과 헤어졌다. 증국전은 7백 명의 기병으로 추격하게 했고, 7월 22일 이수성은 방산(方山)에서 체포되었다. 7월 28일, 전군 지휘관인 증국번이수성의 자술서를 받기 위해 난징에 도착했다. 이수성은 자술서가 완성된 8월 7일에 처형되었다.[1]

이로써 14년에 걸친 태평천국의 난은 종결되었지만, 준왕(遵王) 뇌문광은 염군과 합류하여 4년에 걸쳐 전투를 계속하게 되었다.[1]

5. 2. 사회적 영향

3일간의 전투에서 100만 명의 태평천국군 중 10만 명이 사망하고, 더 많은 부상자가 발생했다. 청군은 태평천국군을 섬멸한 후 수많은 시민을 학살했다. 증국번의 막료 중 한 명인 조열문은 『능정거사일기』에서 길거리에 노인의 유해가 대량으로 뒹굴고, 2, 3세의 어린아이도 놀이하듯 살해되었으며, 40세 이하의 젊은 부녀는 납치되었고, 20만에서 30만 명의 희생자가 발생했다고 기록하고 있다[4]。 쑤루이창은 1937년 12월 일본군에 의한 「난징 대학살」에 대해, 이 사건은 "상군판 난징 대학살"이라고 주장하고 있다[4]

호남군의 규율은 난징이 함락되자 완전히 무너졌다. 민병들은 봉급을 받지 못했고, 제대로 먹지도 못했다. 수년간 가족과 집을 떠나 고된 전투를 치른 끝에 마침내 최종 목표를 달성하자, 젊은 여성들은 끌려가고, 남은 장정들은 금, 은, 비단, 모피, 옥 등 도시에서 약탈한 엄청난 양의 전리품을 운반하는 짐꾼으로 강제 동원되었다. 심지어 증국전의 부하들 중 약탈 상황을 조사하기 위해 도시에 들어간 일부도 호남군에게 강도질을 당하고 구타를 당했다. 군인들은 먼저 궁궐에 불을 지르고, 다음으로 가옥을 불태웠다.[2]

6. 역사적 평가

(참조할 원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았으므로, 이전 출력을 수정할 수 없습니다. 원문 소스를 제공해주시면 수정 작업을 진행하겠습니다.)

참조

[1] 서적 近代中國史綱 CUHK Press 1979
[2] 서적 Autumn in the Heavenly Kingdom: China, the West, and the Epic Story of the Taiping Civil War https://archive.toda[...] 2012
[3] 서적 近代中國史綱 CUHK Press 1979
[4] 간행물 近代中國史綱 中文大學出版社 197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