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중 응답 시스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청중 응답 시스템(ARS)은 1960년대부터 사용된 기술로, 청중의 의견을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분석하는 데 사용된다. 초기에는 하드웨어 기반으로 시작하여 무선 장치, 스마트폰 앱, 웹 기반 시스템 등으로 발전해왔으며, 교육, 기업, 컨퍼런스, 정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ARS는 익명성 보장, 빠른 응답 집계, 즉각적인 피드백 제공 등의 장점을 통해 학습 참여도와 이해도를 높이는 데 기여하며, 데이터 수집 및 분석에도 활용된다. 하지만, 초기 비용, 기술적 문제, 개방형 질문의 어려움 등의 한계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여론 조사 - 유고브
유고브는 2000년 영국에서 설립된 온라인 여론조사 및 시장조사 기관으로, 런던 증권거래소에 상장되어 있으며 정교한 방법론으로 정확도 높은 여론조사 결과를 발표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여론조작 의혹 등 논란도 있다. - 여론 조사 - 감정 분석
감정 분석은 텍스트에 표현된 의견, 감정, 태도를 파악하고 분류하는 자연어 처리 기술로, 긍정, 부정, 중립의 극성이나 감정 상태를 판단하며, 통계적 방법, 머신 러닝, 딥 러닝 기술을 활용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브랜드 평판 분석과 같은 작업 기반 평가 방법론이 중요해지고 있다.
청중 응답 시스템 |
---|
2. 역사
1960년대부터 여러 회사에서 청중 응답 시스템을 제공해 왔지만, 일부는 사업을 중단하거나 사업 모델을 변경했다. 초기 청중 응답 시스템은 유선 하드웨어 기반이었으나, 기술 발전에 따라 무선 장치와 소프트웨어 기반으로 변화했다.
1966년경, 캘리포니아주, 할리우드의 오디언스 스터디스 인스티튜트(Audience Studies Institute)는 독점적인 아날로그 ARS 시스템을 개발했다. 이 시스템은 영화 및 텔레비전 스튜디오와 광고 대행사에서 관객 반응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었다.
윌리엄 W. (빌) 시몬스와 시어도어 J. (테드) 고든은 콘센서(Consensor)라는 초기 청중 응답 시스템을 개발했다. Applied Futures에서 개발 및 판매한 콘센서는 익명으로 의견을 표명하고 그룹의 평균을 즉시 표시하는 시스템이었다.
1980년대에는 콘센서 제품 라인이 PC에 연결할 수 있는 주변 장치와 소프트웨어 응용 프로그램으로 발전했다.[17] 이후 무선 LAN을 통해 오늘날의 주변 장치를 무선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마우스 미스치프(Mouse Mischief)는 파워포인트 애드인으로, 오디언스 응답을 프레젠테이션에 통합할 수 있게 해주었다.
스마트폰의 출현으로 앱 기반의 청중 응답 시스템이 등장했다.[19] 관객은 앱을 다운로드하거나 SaaS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하여 오디언스 응답 시스템과 통신할 수 있게 되었다.
2. 1. 초기 모델
1960년대 캘리포니아주, 할리우드의 오디언스 스터디스 인스티튜트(Audience Studies Institute)는 영화 시사회 반응을 평가하기 위해 아날로그 방식의 청중 응답 시스템을 개발했다.[9] 관객은 '다이얼' 핸드셋의 노브를 돌려 '지루함'부터 '훌륭함'까지의 관심도를 표시했으며, 1976년에는 예/아니오 버튼과 숫자 키를 갖춘 디지털 방식으로 업그레이드되었다.1970년대 초, IBM 임원 윌리엄 W. (빌) 시몬스는 기업 회의의 비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해 미래학자 시어도어 J. (테드) 고든과 함께 '콘센서(Consensor)'라는 초기 청중 응답 시스템을 개발했다.[10] '콘센서'는 '합의(consensus)'와 '센서(sensor)'를 결합한 단어이다. 콘센서는 익명으로 의견을 표명하고, 그룹의 평균값을 즉시 표시하여 진정한 합의를 파악할 수 있게 했다. 이는 당시 순응을 중시하던 기업 문화에서 개인의 의견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수단이었다.[11]
콘센서는 다이얼, 전선, 세 가지 색(빨간색, 노란색, 녹색) 조명으로 구성되었다. 질문에 대해 0에서 10 사이의 값으로 다이얼을 돌리면, 다수의 동의 여부에 따라 녹색, 노란색, 빨간색 램프가 켜졌다. 초기 시스템은 하드웨어 중심이었지만, 이후 PC 연결과 소프트웨어 응용 프로그램으로 발전했다.
2. 2. 발전 과정
1960년대 후반과 1970년대 초, IBM 임원 윌리엄 W. (빌) 시몬스는 회의의 비효율성에 주목하고, 익명으로 의견을 표명할 수 있는 시스템의 필요성을 인식했다.[9] 그는 미래학자 시어도어 J. (테드) 고든과 함께 '콘센서(Consensor)'라는 시스템을 개발했다.[10] 콘센서는 질문에 대한 개인의 리커트 척도 답변 값은 비밀로 유지하면서, 가중치를 적용한 그룹의 평균을 즉시 표시하는 방식으로 작동했다. 이는 기업의 조직 문화에서 순응을 중시하는 경향 속에서도 그룹의 진정한 합의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11]1972년, 시몬스는 IBM에서 은퇴하고 고든과 함께 Applied Futures, Inc.를 설립하여 콘센서 시스템을 개발하고 판매했다.[12][13] 이 회사는 최초의 오디언스 응답 회사 중 하나였으며, 1973년과 1976년에 관련 특허를 획득했다.[10] 콘센서는 다이얼, 전선, 세 가지 색(빨간색, 노란색, 녹색) 조명으로 구성되었으며, 다이얼을 0에서 10까지 돌려 의견을 표시하고, 다수의 의견 일치 여부에 따라 조명 색이 달라지는 방식이었다.
Applied Futures는 기업 및 정부 기관에 많은 장치를 판매했지만,[15] 당시의 지휘 통제 관리 스타일은 합의 구축을 장려하는 이 도구의 확산에 어려움을 겪었다.[16] 1984년, Applied Futures는 브룩스 인터내셔널 코퍼레이션의 자회사가 되었다.[17]
1980년대에는 콘센서 제품 라인이 PC에 연결되는 주변 장치와 소프트웨어로 발전했다.[17] 무선 기술의 발달로 휴대용 무선 장치와 소형 수신기가 등장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파워포인트 애드인인 마우스 미스치프(Mouse Mischief)는 오디언스 응답을 프레젠테이션에 쉽게 통합할 수 있게 해주었다.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앱 기반의 청중 응답 시스템이 등장했다.[19] 관객은 앱을 다운로드하거나 SaaS 방식으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하여 오디언스 응답 시스템과 통신할 수 있게 되었다. 이 모델에서는 전체 오디언스 응답 시스템이 소프트웨어 제품이며, 모든 하드웨어는 사용자가 제공한다.[19]
2. 3. 한국의 현황
대한민국 내에는 로이맨, 선보트, 센드큐, 심플로우, 위라이브온 등 다양한 청중 응답 시스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1] 특히 온라인 교육 및 회의가 증가하면서 관련 기술 및 서비스가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3. 기술 방식
청중 응답 시스템은 다양한 기술 방식을 사용하여 청중의 응답을 수집하고 처리한다. 크게 하드웨어 기반 시스템과 소프트웨어/클라우드 기반 시스템으로 나눌 수 있으며, 각각 다른 통신 방식을 사용한다.
하드웨어 기반 시스템은 발표자가 컴퓨터와 비디오 프로젝터를 사용하여 프레젠테이션을 진행하고, 청중은 개별 무선 키패드를 사용하여 응답하는 방식이다. 청중 응답 소프트웨어는 결과를 수집하고 집계된 데이터를 그래픽으로 표시한다. 데이터는 익명으로 수집하거나 개별 참가자를 추적할 수 있으며, 프레젠테이션 후 추가 분석을 위한 보고서를 생성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클라우드 기반 시스템은 발표자가 컴퓨터를 사용하여 질문을 생성하고, 참가자는 자신의 태블릿 컴퓨터나 스마트폰을 사용하여 응답하는 방식이다. 결과는 인터넷을 통해 즉시 집계되어 화면에 실시간으로 표시되며, 필요한 경우 정답 채점도 가능하다.[1] 데이터는 익명 또는 개인별로 추적 가능하며, API를 통해 학습 관리 시스템에 연동할 수 있다.[1] 하드웨어 장치의 불편함과 비용 없이 분산된 청중을 수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1]
청중 응답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주요 통신 방식은 다음과 같다.
통신 방식 | 장점 | 단점 | 사용 환경 |
---|---|---|---|
적외선(IR) | 가격 저렴, 텔레비전 리모컨과 같은 익숙한 기술 | 가시선 필요, 간섭 발생 가능성, 정보 제공 기능 없음 | 소규모 그룹 |
무선 주파수(RF) | 넓은 범위, 단일 기지국으로 많은 인원 수용, 다양한 기능(일부 모델) | (상대적으로) 가격이 비쌈 | 대규모 그룹 |
인터넷(Wi-Fi, 모바일 네트워크) | 참여자의 기존 장치 사용, 별도 기지국 불필요(일부 경우) | 인터넷 연결 필요 | Wi-Fi 사용 환경 |
SMS | 별도 투표 하드웨어 불필요, 익숙한 사용 방식 | 통신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웹 서버 필요, 다중 투표 지원 어려움(일부 경우) | 대형 회의, 이동이 잦은 발표 |
3. 1. 하드웨어 기반 시스템
발표자는 컴퓨터와 비디오 프로젝터를 사용하여 청중이 볼 수 있도록 프레젠테이션을 투사한다. 일반적인 하드웨어 기반 청중 응답 시스템에서 프레젠테이션 슬라이드(청중 응답 소프트웨어로 제작)는 여러 개의 가능한 답이 있는 객관식 질문을 표시한다. 청중은 자신이 정답이라고 생각하는 답을 선택하고 개별 무선 키패드의 해당 키를 눌러 참여한다. 답변은 발표자의 컴퓨터에 연결된 기지국 또는 수신기로 전송된다. 청중 응답 소프트웨어는 결과를 수집하고 집계된 데이터를 프레젠테이션 내에 그래픽으로 표시하여 모든 사람이 볼 수 있게 한다. 일부 클릭커에는 참/거짓 질문이나 특정 숫자 답변을 요구하는 질문을 할 수 있는 추가 키가 있다.데이터는 발표자의 요구에 따라 익명으로 수집되거나(예: 투표), 개별 참가자를 추적할 수 있다(예: 교실 퀴즈, 숙제, 학생 성적 반영 질문). 수집된 데이터는 호스트 컴퓨터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며, 프레젠테이션 후 추가 분석을 위한 보고서를 생성할 수 있다.
3. 2. 소프트웨어/클라우드 기반 시스템
발표자는 컴퓨터를 사용하여 질문을 생성하며, 이는 때때로 설문 조사라고 불린다. 이 경우 해당 질문은 열린 질문, 다이얼 테스트, 투표 가능, 개방형 또는 객관식이 될 수 있다. 그런 다음 해당 질문은 발표자가 선택한 프레젠테이션 프로그램에 다운로드된다. 프레젠테이션 중에 질문은 프레젠테이션 프로그램 내에서 또는 웹 브라우저에서 자동으로 표시되며, 경우에 따라 참가자의 태블릿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에만 표시될 수도 있다. 결과는 인터넷을 통해 즉시 집계되어 화면에 실시간으로 표시되며, 원하는 경우 "정답" 채점도 포함된다. 일부 서비스는 열린 응답 또는 질문을 화면에 표시하기 전에 발표자에게 실시간 중재를 제공한다.[1]발표자의 요구 사항에 따라 데이터는 익명으로 수집되거나, 설문 조사 전에 계정을 생성한 개별 참가자에게 추적될 수 있다. 이 방법은 출석을 확인해야 하는 기업 교육 및 성적을 할당해야 하는 교실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두 방법의 데이터는 발표자가 저장하고 분석할 수 있으며, API를 통해 학습 관리 시스템에 수동으로 또는 로드할 수 있다.[1]
하드웨어 장치의 불편함과 비용 때문에 분산된 청중을 수용할 수 있는 것은 소프트웨어 또는 클라우드 기반 청중 응답 시스템뿐이다.[1]
3. 3. 통신 방식
청중 응답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주요 통신 방식은 다음과 같다.- '''적외선(IR):''' 텔레비전 리모컨과 같은 기술을 사용하며, 키패드와 수신기 사이에 가시선이 필요하다. 소규모 그룹에 적합하고 가격이 저렴하지만, 여러 키패드의 신호가 동시에 수신기에 도착하면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 '''무선 주파수(RF):''' 단일 기지국으로 수백 명의 투표자를 수용할 수 있으며, 넓은 범위(90~150미터)에서 사용 가능하다. 대규모 그룹 환경에 이상적이며, 일부 고급 모델은 짧은 단어 답변, 사용자 로그인, 다중 사이트 설문 조사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 '''인터넷(Wi-Fi, 모바일 네트워크):''' 참여자의 기존 컴퓨팅 장치(노트북 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등)를 사용한다. Wi-Fi를 통해 인터넷에 연결하거나, 진행자의 컴퓨터가 자체 IP 네트워크를 생성하여 폐쇄형 시스템을 만들 수도 있다.
- '''SMS:''' 휴대 전화 문자 메시지를 통해 응답을 수집하고, 웹 브라우저를 통해 결과를 표시한다. 별도의 투표 하드웨어가 필요 없지만, 통신 하드웨어(휴대폰)와 소프트웨어, 웹 서버가 필요하다.
통신 방식 | 장점 | 단점 | 사용 환경 |
---|---|---|---|
적외선(IR) | 가격 저렴, 텔레비전 리모컨과 같은 익숙한 기술 | 가시선 필요, 간섭 발생 가능성, 정보 제공 기능 없음 | 소규모 그룹 |
무선 주파수(RF) | 넓은 범위, 단일 기지국으로 많은 인원 수용, 다양한 기능(일부 모델) | (상대적으로) 가격이 비쌈 | 대규모 그룹 |
인터넷(Wi-Fi, 모바일 네트워크) | 참여자의 기존 장치 사용, 별도 기지국 불필요(일부 경우) | 인터넷 연결 필요 | Wi-Fi 사용 환경 |
SMS | 별도 투표 하드웨어 불필요, 익숙한 사용 방식 | 통신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웹 서버 필요, 다중 투표 지원 어려움(일부 경우) | 대형 회의, 이동이 잦은 발표 |
4. 장점 및 효과
청중 응답 시스템(ARS)은 교육 및 발표 환경을 개선하고 다양한 효과를 제공한다.
- 참여 증진: 익명성이 보장되므로 군중 심리에 기반한 답변 경향이 줄어든다.[3]
- 빠른 집계: 대규모 그룹의 답변을 신속하게 처리하여 시간을 절약한다.[3]
- 데이터 기반 분석: 응답 데이터를 통해 청중의 이해도를 파악하고, 추가적인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3]
이러한 장점과 효과 덕분에 청중 응답 시스템은 단순한 투표 도구를 넘어, 교육 효과를 높이는 중요한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4. 1. 일반적인 장점
청중 응답 시스템(ARS)은 교육 및 발표 환경을 개선하는 다양한 장점을 제공한다.- 참여 증진: 익명성이 보장되므로, 다른 사람의 선택에 영향을 받지 않고 솔직하게 응답할 수 있다. 손을 드는 방식과 달리, 다른 사람이 어떤 선택을 하는지 알기 어려워 군중 심리에 기반한 답변 경향이 줄어든다.[3]
- 빠른 집계: 수동 방식보다 훨씬 빠르게 답변을 집계할 수 있다. 대규모 그룹의 답변을 신속하게 처리하여 시간을 절약한다.[3]
- 데이터 기반 분석: 응답 데이터를 통해 청중의 이해도를 파악하고, 추가적인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수집된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발표 후 분석에 활용 가능하다.[3]
이러한 장점 덕분에 청중 응답 시스템은 단순한 투표 도구를 넘어, 교육 효과를 높이는 중요한 수단으로 자리 잡고 있다.
4. 2. 교육 현장에서의 효과
Audience response영어 프로그램은 실시간 온라인 강의에서 학생들의 이해도를 쉽게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준다. 청중 응답 시스템(ARS)은 익명성을 보장하여 군중 심리에 따른 답변을 줄이고, 대규모 그룹의 답변을 빠르게 집계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많은 대학 교수들은 ARS 시스템을 사용하여 출석 체크 및 답안 채점에 활용하고 있다.[3]- 집중력 향상: 위스콘신 대학교 4개 캠퍼스(밀워키, 오클레어, 오시코시, 화이트워터)에서 실시된 연구에 따르면, 교수진의 94%와 학생들의 69%가 클릭커(clicker) 사용이 교실 참여를 증가시켰다고 응답했다.[3]
- 지식 보유력 증가: 같은 연구에서 교수진의 74%와 학생들의 53%가 클릭커가 학습에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했다.[4]
- 동료 교수법(Peer Instruction) 효과 증진: 캐서린 크라우치와 에릭 마주의 연구에 따르면, 동료 교수법과 개념 테스트(ConcepTests)를 활용했을 때, 학생들은 핵심 개념에 대한 이해도를 묻는 질문에 답하고, 동료들과 토론 후 다시 답변하는 과정을 통해 학습 효과가 향상되었다. 초기에는 스캔 양식과 손 들기를 사용했으나, 이후 컴퓨터 기반 청중 응답 시스템으로 전환하면서 "힘 개념 인벤토리와 역학 기본 테스트" 및 전통적인 수업 시험에서 더 나은 성과를 보였다.[5][6]
- 익명 투표: 휴대용 리모컨을 이용한 응답은 익명성이 보장되어, 다른 학생들의 응답을 알 수 없다. 또한, 소프트웨어를 통해 진정한 익명 모드로 질문이 가능하여, 개별 응답과 답변을 연결하지 않는다.
- 개별 응답 추적: "클릭커"는 특정 사용자에게 등록되어 식별 번호가 있으며, 사용자의 응답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추후 분석에 활용될 수 있다. 또한, 학습 관리 시스템과 연결하여 학생들의 성과를 추적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 투표 결과 즉시 표시: 소프트웨어를 통해 청중의 응답을 기록하고 집계하여 막대 차트 형태로 결과를 즉시 표시한다. 정답/오답 유무에 따라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며, 설문 조사 유형의 질문에서는 다른 청중들의 응답 분포를 확인할 수 있다.
- 상호 작용적 학습 환경 조성: 청중 응답 시스템의 상호 작용적인 특성은 학습 환경에 흥미를 더하고, 학생들은 질문에 대한 결과에 관심을 갖게 된다. 위스콘신 대학교 연구에서 언급된 학생 참여 증가는 이러한 학습 환경 개선 효과를 보여준다.[8]
- 핵심 내용 이해도 즉시 확인: 위스콘신 대학교 연구에서 교수진 응답자의 100%가 클릭커를 통해 학생들의 지식 평가가 가능했다고 응답했다. 학생들 또한 75%가 클릭커를 통해 자신이 알고 있는 것과 알지 못하는 것에 대한 즉각적인 피드백을 받았다고 응답했다. 매사추세츠 대학교 애머스트 물리학 교육 연구 그룹(UMPERG)은 교실 커뮤니케이션 시스템(CCS)을 통해 학생들의 배경 지식과 선입견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강사가 학생의 지식 상태에 적합한 학습 경험을 설계하고 오해를 해결하도록 돕는다고 설명했다.[8]
- 데이터 수집 및 분석: 청중 응답 시스템은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청중 응답을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고, 특정 사용자와 연결하여 분석할 수 있다.
청중 응답 시스템은 퀴즈, 설문 조사, 출석 체크 등 액티브 러닝을 통합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20] 9세 또는 10세의 학생들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익명 응답 기능은 표절과 같은 민감한 주제에 대한 토론을 활성화하는 데 기여한다.[21]
5. 활용 분야
청중 응답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 교육: 강의, 워크숍, 퀴즈, 설문 조사 등에 활용될 수 있다. 특히 실시간 온라인 강의에서 학생들의 이해도를 파악하는 데 유용하다. 학생들은 익명으로 응답을 보낼 수 있어 표절과 같은 민감한 주제에 대한 교육도 가능하다.[21] 또한, "Live the Trial"과 같은 무작위 대조 시험(RCT) 시뮬레이션을 통해 임상 연구 개념을 가르치는 데에도 활용된다.[22]
- 기업: 회의, 교육, 의사 결정, 시장 조사 등에 활용된다.
- 컨퍼런스 및 이벤트: 실시간 투표, 질의응답, 설문 조사 등에 활용된다.
- 정치: 선거 캠페인, 정치 뉴스 행사, 여론 조사 등에 활용된다.
- 기타: 게임 쇼 (예: 백만장자가 되고 싶어?의 청중에게 질문), 의학 교육, 환자 만족도 조사 등에도 활용된다.
대표적인 청중 응답 시스템으로는 미국의 Turning Technologies (터닝테크놀러지스), 중국의 Sunvote가 있으며, 대한민국 내에는 Roiman(로이맨), Sunvote(선보트), SendQ(센드큐), Collabo!, 심플로우, 위라이브온이 서비스 중이다.
6. 한계 및 과제
하드웨어 기반 청중 응답 시스템(ARS)은 초기 도입 비용이 높을 수 있는데, 장치 개별 구매 가격이 소프트웨어 전용 솔루션 비용의 10배에 달한다.[1] 또한 장치 관리, 소프트웨어 구성, 네트워크 연결 등 기술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1] 중앙 장치나 조직 소유 장치의 유지 보수 및 수리가 필요하며, ARS 장치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는 관련 프리젠테이션 소프트웨어의 구성, 문제 해결 및 지원도 과제이다.[1]
하드웨어 전용 응용 프로그램의 경우, 개방형 질문이나 다이얼 테스트 기능, 기타 비표준 질문 형식을 처리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1]
참조
[1]
웹사이트
CNN to track debate viewers' responses in real time
http://edition.cnn.c[...]
[2]
웹사이트
What is a Worm Poll?
http://www.wisegeek.[...]
2023-11-30
[3]
논문
Student Response Systems: A University of Wisconsin System Study of Clickers
http://www.educause.[...]
2007-05-08
[4]
논문
Student Response Systems: A University of Wisconsin System Study of Clickers
http://www.educause.[...]
2007-05-08
[5]
논문
Peer Instruction: Ten years of experience and results
https://aapt.scitati[...]
2001-09-01
[6]
논문
Peer Instruction: Ten years of experience and results
https://web.archive.[...]
2001-09-01
[7]
논문
Evaluation of an audience response system for the continuing education of health professionals
https://archive.toda[...]
2003
[8]
논문
Transforming Student Learning with Classroom Communication Systems
http://www.educause.[...]
2004-02-03
[9]
서적
(페이지 138-187)
1988
[10]
서적
(페이지 188)
1988
[11]
서적
(페이지 188-189)
1988
[12]
서적
(페이지 187)
1988
[13]
서적
(페이지 188-193)
1988
[14]
서적
(페이지 190)
1988
[15]
서적
(페이지 191-193)
1988
[16]
서적
(페이지 190-191)
1988
[17]
서적
(페이지 193)
1988
[18]
논문
The Networked Classroom
http://scholarship.r[...]
1996
[19]
서적
2011
[20]
웹사이트
Clickers in the Classroom: An Active Learning Approach
https://web.archive.[...]
2007
[21]
논문
Academic integrity: a quantitative study of confidence and understanding in students at the start of their higher education
2016-04-02
[22]
논문
A Mock Randomized Controlled Trial With Audience Response Technology for Teaching and Learning Epidemiology
https://eprints.qut.[...]
2017-04-22
[23]
웹사이트
State of the Union – Bing Politics
http://www.bing.com/[...]
2013-04-27
[24]
웹사이트
Microsoft - Official Home Page
http://pulse.bing.co[...]
[25]
웹사이트
Crowdsourcing the worm: the Aussie start-up tracking the election debate
http://www.businesss[...]
2013-08-12
[26]
논문
Educating the Mobile Generation – using personal cell phones as audience response systems in post-secondary science teaching
http://editlib.org/p[...]
2010-04-01
[27]
웹사이트
Audience response system
http://youconnect.i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